KR200456996Y1 -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96Y1
KR200456996Y1 KR2020090003269U KR20090003269U KR200456996Y1 KR 200456996 Y1 KR200456996 Y1 KR 200456996Y1 KR 2020090003269 U KR2020090003269 U KR 2020090003269U KR 20090003269 U KR20090003269 U KR 20090003269U KR 200456996 Y1 KR200456996 Y1 KR 200456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upling
protrusion
reinforcement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569U (ko
Inventor
장재봉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2020090003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조리기구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돌출부;및 상기 손잡이 단부에서 상기 보강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조리기구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돌출부;및 상기 연결부 단부에서 상기 보강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기구과 손잡이의 체결부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중력방향 힘에 대응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구을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잡이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력을 더욱 높 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프라이팬, 손잡이, 조리기구

Description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for handle of cookware}
본 고안은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에서 주로 발생하는 굽힘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강화하여 조리기구과 손잡이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라이팬, 냄비등과 같은 조리기구는 조리과정에서 뜨겁게 가열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조리기구의 외측에 열경화성 수지와 같은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구성된 손잡이가 마련된다.
이 조리기구의 손잡이는 보통 브래킷등의 체결부재등을 매개로 하여 나사,리벳등같은 체결부재로 조리기구와 결합된다. 그러나 이 경우 조리기구 안쪽에 나사가 사용되고 조리되는 음식물들이 나사,리벳과 조리기구 사이에 끼어들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요즘에는 조리기구의 외측에 손잡이와 결합을 위한 연결부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조리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결부에 의해 손잡이가 결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종래의 조리기구 연결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의 (b)는 종래의 조리기구 연결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리기구 손잡이 단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대표적인 조리기구인 프라이팬을 예를 들어 종래의 연결부가 형성된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조리기구(10)의 외측에 연장형성된 연결부(20)가 손잡이(30)와 결합하여 조리기구(10)과 손잡이(30)가 결합한다.
이때 종래의 조리기구의 연결부(20)와 손잡이(30)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의(a)및(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0)의 단부에 결합을 위한 장방형의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에 형성된 나사홈(22)에 도 3에서 도시한 손잡이(30)의 나사공(31)을 관통한 체결나사가 결합하여 상기 조리기구(10)과 손잡이(30)가 결합된다.
도 4는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주된 힘과 굽힘력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한편, 조리자가 조리기구을 사용할 때 조리기구에 가해지는 힘은 주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중력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M)는 상기 연결부(20)와 손잡이(10)의 체결부위(도4의 A)에 집중되어 상담한 부담을 준다. 결국 장시간 사용시 상기 체결부위(A)의 나사가 느슨해지거나 나사산이 망가진 경우, 조리기구가 덜거덕거리고, 심하면 상기 체결부위(A)가 파손되어 손잡이가 분리되어 조리자의 안전에 큰 문제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특히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구 연결부(20)의 돌출부(21)는 단면높이(H1)가 단면폭(L1)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슷한 단면적을 갖는 돌출부 구조중 굽힘모멘트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홈과 이에 결합된 체결나사는 주로 상기 돌출부(21)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순간적인 힘으로 인하여 체결나사에 전단력이 발생하여 체결나사의 파손가능성이 높아지고 나사산의 변형, 파손이 발생하여 중력방향으로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이격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크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요구하는 위와 같은 프라이팬의 품질요구사항중 프라이팬의 코팅문제 다음으로 손잡이의 견고함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고, 냄비와 같은 다른 조리기구도 손잡이의 견고함은 조리기구의 품질 및 안전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리기구의 사용패턴을 고려한 지속적인 높은 결합력을 갖는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구조의 제안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기구에 주로 작용하는 굽힘모멘트에 저항력을 강화하여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체결부위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조리기구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돌출부;및 상기 손잡이 단부에서 상기 보강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형상은 십자모양인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출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연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출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보강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부에는 상기 보강나사홈과 연통하는 보강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여,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조리기구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돌출부;및 상기 연결부 단부에서 상기 보강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형상은 십자모양인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연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출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보강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보강나사홈과 연통하는 보강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는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체결부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중력방향 힘에 대응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구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잡이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강돌출부에 중력방향으로 체결나사를 결합시켜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 힘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높임으로써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은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의 (b)는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의 (c)는 도 5에서 도시한 손잡이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대표적인 조리기구인 프라이팬을 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는 조리기구(100)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연결부(200)가 손잡이(300)와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200)는 단부에 결합을 위한 결합돌출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중앙부근에서 보강돌출부(211)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보강돌출부(211)를 포함하는 상 기 결합돌출부(210)의 단면형상은 십자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이러한 단면형상을 갖는 상기 결합돌출부(210)는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의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H2)를 보강돌출부를 포함한 단면높이(H3)만큼 연장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는 결합돌출부의 단면폭(L2)보다 단면높이(H2,H3)가 굽힘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에 훨씬 크게 영향(장방향 단면을 갖는 돌출부에서 굽힘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은 단면폭(L2)에 대해서는 선형으로 증가하지만, 단면높이(H2,H3)에 대해서는 제곱으로 증가)을 주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강돌출부(211)를 마련하여 조리기구에 주로 작용하는 굽힘모멘트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켰다.
또한, 결합돌출부(210)의 단면폭(L2)의 일부분에만, 특히, 일 실시예의 경우, 결합돌출부(210)의 단면폭(L2)의 중심부에만 상기 보강돌출부(211)를 형성시키는 것은 상기 결합돌출부(210) 단면높이는 증가시키되 조리기구의 소재 및 조리기구 중량을 최대한으로 줄여 조리기구의 경제성 및 품질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전체적인 결합돌출부(210)의 단면형상이 십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조리기구의 중량 및 용도에 따라 결합돌출부(210)및 보강돌출부(211)의 단면형상은 다양하게 형성 될 수도 있다.
도 5및 도6에서 도시한 같이, 상기 결합돌출부(210)에는 상기 돌출부(210)의 길이방향 즉, 돌출방향으로 체결나사가 결합되는 나사홈(2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300)의 단부에는 도 5및 도 6의(c)에서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결합돌출부(210)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210)및 상기 보강돌출부(2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212)과 연통하는 나사공(320)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0)와 손잡이(300)는 상기 나사공(320)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212)에 결합되는 체결나사(B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체결나사(B1)는 상기 손잡이(300)에 보다 큰 힘으로 압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돌출방향으로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상기 체결나사(B1)와 나사선들은 조리기구에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 보강체결나사가 결합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에 보강체결나사가 결합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돌출부(211)에는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강나사홈(211a)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00)에는 상기 보강나사홈(211a)과 연통하는 보강나사공(330)이 형성된다.
보강체결나사(B2)가 상기 보강나사공(330)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나사홈(211a)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200)를 상기 손잡이(300)에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압착하여 결합시킨다.
이로 인하여 체결나사(B1)에 집중되는 하중을 상기 보강체결나사(B2)로 분배하고, 조리기구에 주로 발생하는 굽힘모멘트에 대해 상기 보강체결나사(B2)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상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굽힘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여 따라 상술한 굽힘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에 대한 동일한 효과를 갖는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도시한 손잡이에 보강체결나사가 결합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일 실시예는 앞서 살펴본 일 실시예와 달리 손잡이(700)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돌출부(710)가 형성되고 조리기구(500)의 외측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600)에 결합홈부(610)가 형성된다.
이에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부(610)에 길이방향으로 나사홈(6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710)에는 상기 나사홈(620)과 연통하는 나사공(7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결합돌출부(7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강돌출부(711)가 형성된다.
이에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돌출부(711)에는 상기 결합돌출부(7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강나사홈(71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610)에는 상기 보강나사홈(711a)과 연통하는 보강나사공(630)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실현되는 도 9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부(600)와 손잡이(700)의 결합 구조에 대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라이팬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냄비등과 같은 연결부 및 손잡이가 있는 모든 조리기구에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종래의 연결부에 의해 손잡이가 결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종래의 조리기구 연결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의 (b)는 종래의 조리기구 연결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리기구 손잡이 단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주된 힘과 굽힘력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은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의 (b)는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의 (c)는 도 5에서 도시한 손잡이 단부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와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11은 도 9에서 도시한 손잡이에 보강체결나사가 결합된 연결부와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600 : 연결부 210,710 : 결합돌출부
211,711 : 보강돌출부 211a,711a : 보강나사홈
300,700 : 손잡이 330,630 : 보강나사공
B2 : 보강체결나사

Claims (8)

  1.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조리기구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중앙부근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돌출부;및
    상기 손잡이 단부에서 상기 보강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형상은 십자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연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출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보강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보강나사홈과 연통하는 보강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5.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조리기구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조리기구에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돌출부;및
    상기 연결부 단부에서 상기 보강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면형상은 십자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연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출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보강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보강나사홈과 연통하는 보강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KR2020090003269U 2009-03-20 2009-03-20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KR200456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69U KR200456996Y1 (ko) 2009-03-20 2009-03-20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69U KR200456996Y1 (ko) 2009-03-20 2009-03-20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69U KR20100009569U (ko) 2010-09-29
KR200456996Y1 true KR200456996Y1 (ko) 2011-11-30

Family

ID=4419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69U KR200456996Y1 (ko) 2009-03-20 2009-03-20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708B1 (ko) * 2015-01-22 2016-06-01 임상만 직립보관형 조리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37Y1 (ko) * 2001-01-06 2001-06-15 주식회사고은산업 냄비 손잡이의 취부구조
JP2004520133A (ja) * 2001-02-14 2004-07-08 フィオッコ,マリア,グラジア ポットおよび鍋の取リ外し可能な取っ手の結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37Y1 (ko) * 2001-01-06 2001-06-15 주식회사고은산업 냄비 손잡이의 취부구조
JP2004520133A (ja) * 2001-02-14 2004-07-08 フィオッコ,マリア,グラジア ポットおよび鍋の取リ外し可能な取っ手の結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69U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4959B (zh) 炊具把手
KR200456996Y1 (ko) 조리기구 손잡이 결합구조
CN102112029A (zh) 适用于烹饪容器的防热把手
KR200411456Y1 (ko) 튀김조리용 기구
CN211022271U (zh) 一种铁锅的复合式锅底
CN208524603U (zh) 烹饪器具
US10827873B2 (en) Double-liner electric cooker
KR200454618Y1 (ko) 프라이팬
KR20080105925A (ko) 프라이팬의 손잡이 결합구조
CN201422763Y (zh) 一种锅柄与锅体的连接结构
CN208319090U (zh) 一种烹饪锅具手柄结构
CN207412015U (zh) 锅具及烹饪设备
CN201929810U (zh) 一种炊事用具
CN219680316U (zh) 烹饪器具及烹饪系统
CN209661419U (zh) 一种降低煎烤器表面温度的隔热结构
CN209518725U (zh) 一种锅具
CN218074687U (zh) 一种锅铲
CN216797328U (zh) 液体加热容器
CN211243048U (zh) 一种可拆卸式推扣手柄
CN217365444U (zh) 烹饪器具
CN208114525U (zh) 煎盘
KR200472250Y1 (ko) 냄비용 손잡이
WO2013160854A1 (en) Improved device for fixing a handle to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CN209031974U (zh) 煎烤机及其烤盘组件
CN209661418U (zh) 一种面盖温度低的煎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