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85Y1 - Rf 리모콘 시스템 - Google Patents

Rf 리모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85Y1
KR200456985Y1 KR2020100001597U KR20100001597U KR200456985Y1 KR 200456985 Y1 KR200456985 Y1 KR 200456985Y1 KR 2020100001597 U KR2020100001597 U KR 2020100001597U KR 20100001597 U KR20100001597 U KR 20100001597U KR 200456985 Y1 KR200456985 Y1 KR 200456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signal
input
remo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179U (ko
Inventor
신대민
Original Assignee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1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가정용 전자제품)를 조작하되 주변기기의 전원이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경우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리모콘의 LED가 점멸됨으로써 주변기기의 전원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RF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격으로 주변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리모콘(1)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입력부(100)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입력표시부(200)와; 리모콘(1)의 입력신호가 주변기기(2)에 전송된 후, 리모콘(1)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주변기기(2)로부터 다시 리모콘(1)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감지표시부(300)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표시부(200)와 주변기기(2)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본모드와 주변기기(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표시부(3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400)와; 모드전환부(4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어부(500)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리모콘(1)에 생성된 제어신호를 주변기기(2)에 제공하고, 주변기기(2)로부터 제어신호의 입력완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RF송수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RF 리모콘 시스템 {RADIO FREQUENCY REMOTE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RF 리모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가정용 전자제품)를 조작하되 주변기기의 전원이 켜진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경우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리모콘의 LED가 점멸됨으로써 주변기기의 전원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선명한 화질과 CD 수준에 가까운 음질을 송신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계획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용 디지털 TV와 셋탑박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라 칭함)를 통해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디지털 TV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가이드는 EIT(Event InformationTable) 정보 내에 기술된 프로그램의 PID, 시작 시각, 방영시간, 프로그램 등급, 영상 크기 등의 정보를 복호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디지털 TV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디지털 TV 및 셋탑박스에 주변기기(홈씨어터, 비디오, 오디오 등)를 연결하여 리모콘의 외부입력 버튼을 눌러서 사용한다.
기존의 RF(Radio Frequency) 리모콘은 버튼만 있거나 버튼 누름을 표시하기 위한 LED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RF 리모콘을 사용하는 전자제품은 항상 전원이 켜져 있거나, 제품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RF 리모콘의 버튼을 눌렀을 때만 동작하는 제품으로 사용자가 제품의 전원상태를 알 필요가 없는 제품이다.
주변기기가 디지털 TV나 셋탑박스에 가려져 있는 경우 RF 리모콘에 의해 주변기기를 작동시킬 수는 있지만, 주변기기의 전원이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눈으로 확인이 어려워 주변기기는 항상 전원을 켜놓은 상태로 유지하게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하여 RF 리모콘이 사용되고 있지만, RF 리모콘에 이들 전자제품의 전원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한편 IR 방식의 리모콘 신호는 직진성을 가지므로 리모콘과 주변기기 사이에 장애물이 있으면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 RF 방식의 리모콘 신호는 IR 키 값을 RF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므로 RF 리모콘과 주변기기가 원거리에 놓여져있거나 이들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도 잘 작동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RF 리모콘 방식은 다른 RF 리모콘 신호와의 간섭을 막기 위한 보안 코드가 필요하고, RF 신호를 디코딩하는 S/W 드라이버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보안 코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는 무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를 조작하되 이 주변기기의 전원상태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RF 리모콘의 구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용 전자제품인 주변기기 중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를 조작하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이 주변기기의 전원상태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전력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RF 리모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위한 RF 리모콘은, 리모콘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입력부와; 버튼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발광체인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입력표시부와; 리모콘의 입력신호가 주변기기에 전송된 후, 리모콘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주변기기로부터 다시 리모콘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발광체인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감지표시부와; 버튼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표시부와 주변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본모드와 주변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표시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와; 모드전환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튼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를 주변기기에 제공하고 양방향 통신으로 주변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RF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입력표시부와 감지표시부의 LED는 각각 기설정된 다른 색상으로 활성화된다.
본 고안에 따른 RF 리모콘 시스템에 따르면,
첫째, 사용목적상 다른 전자제품에 가려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인 경우에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리모콘의 버튼입력부를 누름으로써 실시간으로 주변기기의 현재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부지불식중에 낭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목적상 다른 전자제품에 가려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는 부차적인 편리함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RF 리모콘이 작동되는 네트워크의 개략도,
[도 2]는 RF 리모콘의 세부구성도,
[도 3]은 RF 리모콘과 연동되는 주변기기의 입력 제어 블록도,
[도 4]는 RF 리모콘과 주변기기가 연동하여 작동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RF 리모콘이 작동되는 네트워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RF 리모콘의 세부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RF 리모콘은 원격으로 주변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리모콘(1)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입력부(100)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발광체(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입력표시부(200)와; 리모콘(1)의 입력신호가 주변기기(2)에 전송된 후, 리모콘(1)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주변기기(2)로부터 다시 리모콘(1)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감지표시부(300)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표시부(100) 및 주변기기(2)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본모드와 주변기기(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표시부(3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400)와; 모드전환부(4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주변기기(2)에 제공하고, 양방향 통신에 의해 주변기기(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RF 송수신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지털 TV(T)와 셋탑박스에 주변기기(2)인 홈씨어터, 비디오, 오디오 등의 기기를 연결하여 리모콘(1)의 외부입력 버튼을 눌러서 사용하게 된다. 디지털 TV(T) 후면에 주변기기(2)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지털 TV(T)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지털 TV(T)를 시청하면서 RF 리모콘(1)을 조작하는 경우, RF 리모콘(1)과 주변기기(2) 수신부 사이에 장애물인 디지털 TV(T)가 있거나 주변기기(2)가 RF 리모콘과 원거리에 있어도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범위가 광범위하다는 특징이 있다.
버튼입력부(100)는 사용자의 리모콘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버튼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이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표시부(100)와 RF 송수신부(600)에 신호가 전송된다. 버튼의 입력신호는 사용자가 리모콘 버튼을 클릭하거나 버튼을 일정시간 계속하여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다.
모드전환부(400)는 제어부(500)의 선택적인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버튼입력부(1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된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입력표시부(200)와 RF 송수신부(600)에 신호가 전달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모드전환부(400)의 전환에 의해 입력신호가 이동되는 기본모드를 나타낸다. 또한 양방향 통신에 의해 주변기기(2)의 RF 송수신부(21)로부터 리모콘(1)의 RF 송수신부(600)로 제공된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감지표시부(300)에 신호가 전송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모드전환부(400)의 전환에 의해 주변기기(2)로부터 리모콘(1)에 수신된 신호가 감지되는 센싱모드를 나타낸다.
입력표시부(200)와 감지표시부(300)의 LED는 각각 기설정된 다른 색상으로 활성화된다. 버튼입력부(100)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어 리모콘(1) 상의 LED에 신호가 입력됨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200)와,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가 양방향 통신에 의해 주변기기(2)에 전송된 후 주변기기(2)의 전원이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가 주변기기(2)로부터 리모콘(1)에 전송되어 LED로 표시하는 감지표시부(30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표시부(200)는 리모콘(1)에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버튼 별로 구별하여 표시되는 복수 개의 LED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RF 리모콘(1)과 연동되는 주변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디지털 TV(T)나 셋탑박스에 주변기기(2)인 홈씨어터, 비디오, 오디오 등을 연결하고 리모콘(1)의 외부입력 버튼을 눌러서 사용하는데, RF 리모콘(1)과 양방향 통신에 의해 연동되는 주변기기(2)는 RF 리모콘(1)과의 신호전달 측면에서 간략한 구성체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RF 리모콘(1)의 RF 송수신부(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또다른 RF 송수신부(21)와, 주변기기(2)의 작동을 위한 운영체제와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되 RF 송수신부(21)와 양방향 통신에 의해 상호 신호가 전달되는 컨트롤러(MCU;22)와, 이 컨트롤러(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RF 리모콘과 주변기기가 연동하여 작동되는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RF 리모콘을 조작하여 주변기기의 전원상태에 따라 RF 리모콘의 감지표시부에 LED가 점멸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는 보이지 않는 곳에 비치된 주변기기(2)를 작동시키거나 주변기기(2)의 전원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RF 리모콘(1)의 버튼입력부(100)에 형성된 임의의 버튼을 클릭한다. 즉 사용자가 버튼입력부(100)의 임의의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RF 리모콘(1)에 입력신호가 생성된다(S110).
둘째, 버튼입력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신호는 모드전환부(400)에 의한 기본모드의 패턴에 따라 RF 리모콘(1)의 상면에 위치한 입력표시부(200)에 전송되어 입력표시부(200)의 LED가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는 버튼입력부(10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입력신호는 RF 리모콘(1)의 RF 송수신부(600)에 신호 전송되며(S120), 이렇게 전송된 신호는 원격으로 주변기기(2)의 RF 송수신부(21)에 신호전송된다(S130).
셋째, 주변기기(2)의 RF 송수신부(21)에 전송된 신호는 컨트롤러(22)에 전달되는데, 전원공급부(23)로부터 컨트롤러(22)로 동작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22)로부터 RF 송수신부(21)에 양방향 통신에 의한 신호 전송이 불가하므로 (S130)으로 이동한다. 전원공급부(23)로부터 컨트롤러(22)로 동작 전원이 인가되어 주변기기(2)의 작동을 위한 전원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S150)으로 이동한다(S140).
넷째, 주변기기(2)의 RF 송수신부(21)로부터 양방향 통신에 의해 RF 리모콘(1)으로 무선 수신된 신호는 모드전환부(400)에 의한 센싱모드의 패턴에 따라 RF 리모콘(1)의 상면에 위치한 감지표시부(300)에 전송되어 감지표시부(300)의 LED가 활성화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이지 않는 곳에 배치된 주변기기(2)의 전원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변기기(2)의 전원플러그를 뽑아 주변기기(2)에서 부지불식 중에 낭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RF 리모콘(1)의 상면에 위치한 전원버튼(P)을 누른 이후, 전원버튼(P)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연동되어 주변기기(2)가 작동되는 과정은 기존 리모콘의 동작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RF 리모콘은 가정용 전자제품인 주변기기 중 사용목적상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주변기기를 조작하되 이 주변기기의 전원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부지불식중에 낭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본 고안인 RF 리모콘 2 : 주변기기
21 : RF 송수신부 22 : 컨트롤러
23 : 전원공급부 100 : 버튼입력부
200 : 입력표시부 300 : 감지표시부
400 : 모드전환부 500 : 제어부
600 : RF 송수신부 700 : 배터리부
P : 전원버튼 T : 텔레비젼
B : 고정볼트

Claims (3)

  1. 주변기기(2)와 RF 리모콘(1) 간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기기가 스탠바이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알려줌으로써 상기 주변기기의 전력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해주는 RF 리모콘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RF 리모콘과 RF 방식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RF 송수신부(21)와, 상기 제 1 RF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RF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장치 내부의 전원 상태를 체크하여 스탠바이 모드인 경우에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RF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RF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컨트롤러(22)를 구비하는 주변기기(2);
    상기 주변기기와 RF 방식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RF 송수신부(600)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입력부(100)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제 1 색상의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입력표시부(200)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색상의 LED 점멸로 활성화되는 감지표시부(300)와, 상기 버튼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표시부와 상기 주변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본모드와 상기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표시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400)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RF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기기가 스탠바이 모드라고 판단하여 이를 표시하는 명령을 상기 감지표시부로 제공하며, 이를 위해 상기 모드전환부의 모드 전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어부(500)를 구비하는 RF 리모콘(1);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RF 리모콘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리모콘(1)의 상기 입력표시부(200)와 상기 감지표시부(300)의 LED에 대한 상기 제 1 색상과 상기 제 2 색상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리모콘 시스템.
KR2020100001597U 2010-02-12 2010-02-12 Rf 리모콘 시스템 KR200456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597U KR200456985Y1 (ko) 2010-02-12 2010-02-12 Rf 리모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597U KR200456985Y1 (ko) 2010-02-12 2010-02-12 Rf 리모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179U KR20110008179U (ko) 2011-08-18
KR200456985Y1 true KR200456985Y1 (ko) 2011-11-30

Family

ID=4556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597U KR200456985Y1 (ko) 2010-02-12 2010-02-12 Rf 리모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8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256A (ja) 1999-09-14 2001-03-30 Ricoh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リモコ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256A (ja) 1999-09-14 2001-03-30 Ricoh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リモコ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179U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89485A1 (en) Anti-interference relay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KR101489811B1 (ko) 전원자동제어장치 및 전원자동제어방법
CN100399372C (zh) 一种集成家电产品遥控控制方法
CN103632531B (zh) 一种具有激光笔功能的智能遥控器及其遥控方法
US20110221580A1 (en) Minimization of power consumption of remote controlled appliances
CN102905092A (zh) 一种通过脑电波对电视机遥控的方法及设备
CN201571129U (zh) 一种设有寻找装置的机顶盒及其专用遥控器
KR200456985Y1 (ko) Rf 리모콘 시스템
CA2453696A1 (en) Controlling viewing distance to a television receiver
CN204408720U (zh) 一种智能家居无线远程照明控制系统
KR2016003266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US20100174391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lay Unit
CN102547429A (zh) 一种具有操作提示功能的遥控器及其应用方法
US9786160B2 (en) Interior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TWI568273B (zh) Infrared remote control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of home appliance
WO2019006598A1 (zh) 一种智能遥控器及其使用方法
KR101114998B1 (ko)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리모콘 및 그 방법
KR20180002226A (ko) 잠금 기능을 구비한 리모컨, 및 이를 구비한 영상 시스템
TWI396390B (zh) Can be multi-group matching remote control device
KR20140034425A (ko) 셋톱박스 리피터 및 이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시스템
KR101156738B1 (ko)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CN101859488A (zh) 一种智能遥控器
KR20090114574A (ko)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전등 온/오프 제어 스위치 장치
US20080150703A1 (en) Collaborative wireless micro-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