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66Y1 -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966Y1 KR200456966Y1 KR2020090003117U KR20090003117U KR200456966Y1 KR 200456966 Y1 KR200456966 Y1 KR 200456966Y1 KR 2020090003117 U KR2020090003117 U KR 2020090003117U KR 20090003117 U KR20090003117 U KR 20090003117U KR 200456966 Y1 KR200456966 Y1 KR 2004569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nozzle
- grinding
- protective tube
- disper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6—Jet mills
- B02C19/065—Jet mills of the opposed-je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12—Devices for disintegrating materials by collision of these materials against a breaking surface or breaking body and/or by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also for gr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22)과 연통된 배출공(24)이 형성된 분쇄바디(20)와, 내부에 길이 방향 양단으로 연통된 대향 충돌공(32)이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는 상기 대향 충돌공(32)에 연통된 복수개의 분산공(34)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공(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산공(34)이 상기 분쇄바디(20)의 상기 배출공(24)과 마주하도록 상기 분쇄바디(20) 내부의 상기 결합공(22)에 내장된 보호관(30)과, 상기 보호관(30)의 양단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분쇄바디(20)의 상기 결합공(22)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보호관(30)의 상기 대향 충돌공(32)과 연통되는 노즐공(42)이 형성된 노즐(40)과, 상기 분쇄바디(20)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공(22)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40)의 상기 노즐공(42)과 연통된 유입공(52)이 구비된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료, 분쇄, 분쇄바디, 보호관, 대향 충돌공, 분산공, 크러시 챔버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향으로 유입되는 원료 사이의 충돌률을 높여 그라인딩 효율은 높이면서도 구조도 심플하고 자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페인트나 기타 액상의 배합물 등의 액상의 원료(이하, 편의상 원료라 칭함)를 대향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하여 나노 밀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밀 시스템은 원료 탱크를 중심으로 모터와 오일펌프 유압유닛 및 피스톤 펌프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펌핑부를 배치하고, 펌핑부의 선단에는 원료 분배기가 연결되며, 원료 분배기에는 한 쌍의 연결관을 매개로 분쇄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펌핑부를 통해 고압으로 펌핑된 원료가 원료 분배기와 연결관을 통해 분쇄장치의 양측에서 내부로 고압으로 유입되고, 이처럼 고압으로 유입되는 원료가 분쇄장치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 충돌하면서 미립자로 분쇄된 다음, 분쇄장치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원료의 대향 충돌 방식을 이용하여 분쇄시키는 분쇄장치는 가압된 액상의 액체가 상호 접하고 있는 2개의 판상체의 중심에 원료의 유입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으로 각각 가공되어 있는 관통구들을 통하여 상호 대향 충돌한 후 상기 관통구들과 수직방향의 유출구를 통하여 원료가 유출되는 구조로 된 것이 있는데, 이러한 분쇄장치는 양측 2개의 판상체에 형성되는 좁은 관통구를 각각 적층시켜 상호간의 판상체에 가공된 토출구로부터 원료가 토출되어 대향 충돌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복수의 판상체에 가공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상호 어긋나지 않도록 가공하여 원료가 모두 대향 충돌하도록 해야 하지만, 복수의 판상체 및 판상체 들을 수납하는 공간 및 판상체 내부의 관통구들의 가공 정도 및 장착 방법상, 이를 달성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향 충돌되지 못한 액체는 상대편의 좁은 관통구의 일부를 고속으로 타격하여 충격을 가하게 되어 취약한 구조로 되어있는 판상체의 관통구가 쉽게 확대되어 수명이 심하게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분쇄장치와는 다른 새로운 분쇄장치가 있기도 한데, 새로운 방식의 분쇄장치는 장치는 2개의 오리피스 노즐을 약간 각을 틀어 상호 고압으로 유출되는 액체가 상호 정면으로 대향 충돌되지 않고 약간의 각을 가지고 교차 충돌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후자의 분쇄장치는 원료의 교차 충돌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주 정교한 조정 및 교정이 필요하게 되어 조정할 때 숙련된 기술과 상당한 비용이 발 생할 뿐만 아니라 금속 가공부의 가공오차 및 2개의 오리피스 노즐을 조정할 때 100% 대향 충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대향으로 유입되는 원료 사이의 충돌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원료 상호간의 대향 충돌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그라인딩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대부분 수명을 늘이기 위하여 분산장치의 핵심부품인 오리피스 노즐의 재료로 고가의 다이아몬드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제품의 코스트 자체도 매우 상승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향으로 유입되는 원료 사이의 충돌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원활한 와류가 발생되면서 원료 상호간의 충돌률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라인딩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자체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심플하게 구현되어 제조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경우가 없으며, 제품의 코스트 자체도 저렴한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분쇄바디와, 내부에 길이 방향 양단으로 연통된 대향 충돌공이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는 상기 대향 충돌공에 연통된 복수개의 분산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공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산공이 상기 분쇄바디의 상기 배출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분쇄바디 내부의 상기 결합공에 내장된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양단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분쇄바디의 상기 결합공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보호관의 상기 대향 충돌공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과, 상기 분쇄바디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공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의 상기 노즐공과 연통된 유입공이 구비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과 마주하는 위치의 내부에는 크러시 챔버를 구비한 분쇄바디와, 상기 분쇄바디의 상기 크러시 챔버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분쇄바디의 상기 결합공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크러시 챔버와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과, 상기 분쇄바디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공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의 상기 노즐공과 연통된 유입공이 구비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요부인 보호관은 원료가 고압으로 유입되어 충돌되는 대향 충돌공에 더하여 방사 방향으로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복수개의 분산공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여, 대향 충돌공의 내측단으로 분출되어 서로 대향 충돌된 원료가 분산공의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켜 자유 충돌하면서 충돌률이 더 높아지므로, 원료 분쇄 효율(즉, 그라인딩 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관의 대향 충돌공으로 분출된 고압의 원료가 충돌 분쇄됨과 동시에 대향 분출공과 방사 방향으로 연통된 분산공으로 원료가 퍼지면서 적절히 감압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관 자체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자체의 수명을 보다 늘리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의하면, 주요부를 이루는 분쇄바디는 서로 마주하는 노즐 사이에 충분한 충돌 공간을 확보하는 크러시 챔버를 갖도록 구성되어, 고압으로 유입 분출되는 원료가 크러시 챔버의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자유 충돌하고, 이러한 대향 충돌과 자유 충돌로 인하여 원료 입자 사이의 충돌률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그라인딩 입자의 충돌 공간이 보다 넓어 와류가 보다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그라인딩 입자 사이의 충돌률을 보다 높이고, 궁극적으로, 그라인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원료 분배기를 연결관을 매개로 상호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일측부 중앙에는 결합공(22)과 연통된 배출공(24)이 형성된 분쇄바디(20)를 갖는다. 이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 안쪽으로는 서로 마주하는 단턱부(22a)가 형성되어, 이러한 마주하는 단턱부(22a) 사이에 후술할 보호관(30)과 노즐(40) 결합을 위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 안쪽에 형성된 단턱부(22a) 사이의 결합 공간부에는 보호관(30)이 내장된다. 보호관(30)은 단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호관(3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 양단으로 연통된 대향 충돌공(32)이 형성된다. 이러한 대향 충돌공(32)의 직경은 0.8mm 정도로서, 보호관(30)의 대향 충돌 공(32) 외측단으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액상 원료가 서로 마주하는 대향 충돌공(32)의 내측단으로 토출되면서 서로 대향 충돌하게 된다. 이처럼 보호관(30)의 내부로 유입 분출되어 서로 대향 충돌되는 원료가 미립자로 분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관(30)의 내부 중앙부에는 대향 충돌공(32)에 연통된 복수개의 분산공(34)이 방사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네 개의 분산공(34)이 대향 충돌공(32)에 연통되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보호관(30)의 복수개의 분산공(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산공(34)은 분쇄바디(20)의 배출공(24)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보호관(30)의 분산공(34) 직경은 대향 충돌공(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분산공(34)의 직경은 대략 6mm 정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산공(34)의 선단부에는 감압공간을 형성하는 확개홈(36)이 형성된다. 확개홈(36)의 직경은 분산공(34)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다. 본 고안에서 확개홈(36)의 직경은 대략 7mm 정도이다.
이러한 확개홈(36)도 분산공(34)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형성되는데, 하나의 확개홈(36)은 분쇄바디(20)의 배출공(24) 내측단과 마주하고, 다른 세 개의 확개홈(36)은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 내벽면과의 사이에 감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노즐(40)은 단면 원형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호관(30)의 양단부에 마주하도록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에 내장된다. 이러한 노즐(40)의 내부에는 보호관(30)의 대향 충돌공(32)과 연통되는 노즐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바디(20)의 양단에서 결합공(22)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부재(50)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부재(50)는 노즐(40) 내부의 노즐공(42)과 연통된 유입공(52)이 길이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50)의 외측단에는 도 4에 도시된 연결관(2)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연결관(2)의 타단부는 원료 분배기(1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원료 분배기(10)에서 고압으로 원료가 공급되어 고정부재(50)의 유입공(52)과 노즐(40)의 노즐공(42)을 거쳐 속도가 빨라지면서 압력이 더 높아지고, 이러한 고압의 원료가 보호관(30)의 양단 대향 충돌공(32)을 통하여 보호관(30)의 내부로 유입되고, 보호관(30)의 대향 충돌공(32) 내측단으로 대향 분출되는 고압의 원료가 서로 대향 충돌하면서 미립자로 분쇄된 다음, 보호관(30)의 복수개의 분산공(34) 중에서 분쇄바디(20)의 배출공(24)과 연통된 분산공(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부호 4와 6은 각각 원료 공급관과 연료 토출관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 주요부인 보호관(30)은 대향 충돌공(32)에 더하여 방사 방향으로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복수개의 분산공(34)이 더 형성되어, 대향 충돌공(32)의 내측단으로 서로 대향 배출되어 충돌된 원료가 분산공(34)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켜 자유 충돌하면서 충돌률이 더 높아지므로, 원료 분쇄 효율(즉, 그라인딩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보호관(30)의 대향 충돌공(32)으로 분출된 고압의 원료가 충돌 분쇄됨 과 동시에 원료과 대향 분출공과 방사 방향으로 연통된 분산공(34)으로 퍼지면서 감압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관(30) 자체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체의 수명을 보다 늘리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테면, 보호관(30)은 길이 방향 대향 충돌공(32)에 의해 원료가 서로 충돌하여 분쇄됨과 동시에 방사 방향으로 분기된 분산공(34)을 통해 감암시켜 자체 완충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료 그라인딩 효율은 더욱 높이면서도 충돌로 인한 마모 현상을 최소화하여 수명은 보다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보호관(30)이 한계지점까지 마모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면, 보호관(30)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코스트 절감 등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한편, 상기 보호관(30)의 분산공(34)의 선단부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확개홈(36)이 형성되어, 감압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분쇄바디(20)의 배출공(24) 내측단과 마주하는 하나의 확개홈(36)을 제외한 나머지 확개홈(36)은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 내벽면과의 사이에 감압공간을 형성하여, 보호관(30)의 대향 충돌공(32) 내측단에서 서로 충돌된 원료가 분산공(34)으로 퍼지면서 1차 감압이 되고, 상기 확개홈(36)으로 원료가 유입되면서 2차 감압되기 때문에, 보호관(30)의 분산공(34)과 마주하는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 내벽면 부분에 생기는 마모 현상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충돌로 인한 마모 현상의 극소화는 자체의 수명을 최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밸브와 압력계를 추가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에 의하면, 좌우 두 개의 연결관(2)에 각각 밸브(80)를 설치하고, 밸브(80)의 후단 위치에는 압력계(85)를 설치하여, 두 개의 연결관(2)에서 유입되는 액체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여러 가지 두 개의 연결관(2)을 통해 공급되는 그라인딩 액체의 압력이 다른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처럼 두 개의 연결관(2)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이 다른 경우 밸브(80)를 조작하여 압력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그라인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압력계(85)에 의해 압력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압력을 맞추는 작업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일측 중앙부에는 결합공(22)과 연통된 배출공(24)이 형성되며 배출공(24)과 마주하는 위치의 내부에는 크러시 챔버(60)를 구비한 분쇄바디(20)를 갖는다. 도 6에서 부호 4와 6은 각각 원료 공급관과 연료 토출관이다.
상기 분쇄바디는 배출공(24)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내부 위치에 제1단턱(62)이 구비되고, 배출공(24)의 내측단 둘레부에는 제1단턱(62)과 마주하는 제2단턱(64)이 구비되어, 이러한 제1단턱(62)과 제2단턱(64) 사이의 공간부에 크러시 챔버(60)가 형성된다. 제1단턱(62)은 단면 블록 형상으로서 분쇄바디의 배출공(24) 내측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단턱(64)은 분쇄바디의 배출공(24) 내측단에서 연속되는 한 쌍의 서로 나란한 단턱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분쇄바디(20)의 크러시 챔버(6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에 한 쌍의 노즐(40)이 내장된다. 각 노즐(40)의 내부에는 분쇄바디(20)의 크러시 챔버(60)와 연통되는 노즐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분쇄바디(20)의 양단에서 결합공(22)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부재(50)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부재(50)는 노즐(40) 내부의 노즐공(42)과 연통된 유입공(52)이 길이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50)의 외측단에는 도 7에 도시된 연결관(2)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연결관(2)의 타단부는 원료 분배기(10)에 연결된다.
고정부재(50)를 분쇄바디(20)의 양단에서 각 결합공(22)에 결합시키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노즐(40)이 분쇄바디(20)의 결합공(22) 내부에 형성된 제1단턱(62)과 제2단턱(64) 및 고정부재(50)의 내측단 사이에 지지되어 분쇄바디(20)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서로 마주하는 노즐(40)의 내측단부와 제1단턱(62)과 제2단턱(64) 사이에 크러시 챔버(60)가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원료 분배기(10)에서 고압으로 원료가 공급되어 고정부재(50)의 유입공(52)과 노즐(40)의 노즐공(42)을 거쳐 속도가 빨라지면서 압력이 더 높아지고, 이러한 고압으로 분출되는 원료가 서로 대향된 노즐(40)의 노즐공(42)을 통하여 분출되어 분쇄바디(20)의 크러시 챔버(60) 내부에서 서로 대향 충돌하면서 미립자로 분쇄되고, 이렇게 분쇄된 미립자 원료가 분쇄바디(20)의 배출공(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이루는 분쇄바디(20)는 서로 마주하는 노즐(40) 사이에 충분한 충돌 공간을 확보하는 크러시 챔버(60)를 갖도록 구 성되어, 고압으로 유입 분출되는 원료가 크러시 챔버(60)의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자유 충돌하고, 이러한 대향 충돌과 자유 충돌로 인하여 원료 입자 사이의 충돌률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고, 결국, 원료 분쇄(그라인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분쇄바디(20)가 내부에 크러시 챔버(60)를 구비하여 그라인딩 입자의 충돌 공간이 보다 넓어질 수 있으며, 충돌 공간이 넓은 만큼 와류가 보다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그라인딩 입자 사이의 충돌률을 보다 높이고, 궁극적으로, 그라인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노즐(40)의 노즐공(42)을 통해 대향 분출되는 고압의 원료가 일단 분쇄바디(20)의 크러시 챔버(60)로 유입되면서 적당한 감압이 일어나므로, 고압 원료의 무리한 충돌로 인한 마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것도 궁극적으로 자체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분쇄바디(20)의 크러시 챔버(60)를 구비함으로 인해 원료 그라인딩 효율은 보다 높이면서도 고압 원료의 무리한 충돌로 인해 주변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하여 그만큼 수명 연장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관(2)에 밸브(80)와 압력계(85)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밸브(80)와 압력계(85)를 추가 설치함으로 인한 효과는 상기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원료 분배기를 연결관을 매개로 상호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밸브와 압력계를 추가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원료 분배기를 연결관을 매개로 상호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서 밸브와 압력계를 추가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6)
-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22)과 연통된 배출공(24)이 형성된 분쇄바디(20)와, 내부에 길이 방향 양단으로 연통된 대향 충돌공(32)이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는 상기 대향 충돌공(32)에 연통된 복수개의 분산공(34)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산공(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산공(34)이 상기 분쇄바디(20)의 상기 배출공(24)과 마주하도록 상기 분쇄바디(20) 내부의 상기 결합공(22)에 내장된 보호관(30)과, 상기 보호관(30)의 양단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분쇄바디(20)의 상기 결합공(22)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보호관(30)의 상기 대향 충돌공(32)과 연통되는 노즐공(42)이 형성된 노즐(40)과, 상기 분쇄바디(20)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공(22)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40)의 상기 노즐공(42)과 연통된 유입공(52)이 구비된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30)의 상기 분산공(34)의 직경은 상기 대향 충돌공(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34)의 선단부에는 감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산공(34)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큰 확개홈(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삭제
- 내부에 양단으로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22)과 연통된 배출공(24)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24)과 마주하는 위치의 내부에는 크러시 챔버(60)를 구비한 분쇄바디(20)와, 상기 분쇄바디(20)의 상기 크러시 챔버(6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분쇄바디(20)의 상기 결합공(22)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크러시 챔버(60)와 연통되는 노즐공(42)이 형성된 노즐(40)과, 상기 분쇄바디(20)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공(22)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40)의 상기 노즐공(42)과 연통된 유입공(52)이 구비된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바디는 상기 배출공(24)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내부 위치에 제1단턱(62)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24) 둘레부에는 상기 제1단턱(62)과 마주하는 제2단턱(64)이 구비되어, 상기 제1단턱(62)과 상기 제2단턱(64)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크러시 챔버(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바디의 결합공(22)에 내장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노즐(40)은 상기 제1단턱(62)과 제2단턱(64)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내측단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분쇄바디(20)의 내부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노즐(40)의 내측단부를 상기 제1단턱(62)과 제2단턱(64)이 지지하면서 상기 한 쌍의 노즐(40)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크러시 챔버(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3117U KR200456966Y1 (ko) | 2009-03-18 | 2009-03-18 |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3117U KR200456966Y1 (ko) | 2009-03-18 | 2009-03-18 |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468U KR20100009468U (ko) | 2010-09-29 |
KR200456966Y1 true KR200456966Y1 (ko) | 2011-11-30 |
Family
ID=4419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3117U KR200456966Y1 (ko) | 2009-03-18 | 2009-03-18 |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966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37457A (ja) | 1997-06-09 | 1998-12-22 | Sugino Mach Ltd | 噴流衝合装置 |
JP2002153769A (ja) | 2000-11-15 | 2002-05-28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粒子の微細化方法及び微細化装置 |
JP2004188370A (ja) | 2002-12-13 | 2004-07-08 | Canon Inc | 衝突式気流粉砕機、衝突部材及び衝突部材の再生方法 |
-
2009
- 2009-03-18 KR KR2020090003117U patent/KR20045696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37457A (ja) | 1997-06-09 | 1998-12-22 | Sugino Mach Ltd | 噴流衝合装置 |
JP2002153769A (ja) | 2000-11-15 | 2002-05-28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粒子の微細化方法及び微細化装置 |
JP2004188370A (ja) | 2002-12-13 | 2004-07-08 | Canon Inc | 衝突式気流粉砕機、衝突部材及び衝突部材の再生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468U (ko) | 201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247868A1 (en) | Showerhead with scanner nozzles | |
EP3395449B1 (en) | Atomizing nozzle | |
CN103260711B (zh) | 低压水雾喷嘴集流装置 | |
CN101961616B (zh) | 纳米粉体材料液相分散装置 | |
JP3151706B2 (ja) | 噴流衝合装置 | |
KR200456966Y1 (ko) | 고압 나노 밀 시스템의 분쇄장치 | |
US6467709B1 (en) | Granulator of material | |
US4546926A (en) | Pressure-chamber grinder | |
KR20150096803A (ko) | 유동이 가역적인 균질화 공정 및 장치 | |
JP2005144329A (ja) | 微粒化装置 | |
CN203076056U (zh) | 双桶型研磨系统 | |
JP5778934B2 (ja) | 粉砕装置 | |
CN207371671U (zh) | 一种垂直碰撞板式超音速气流粉碎机 | |
KR20070080257A (ko) | 분쇄장치 | |
CN207238194U (zh) | 一种流化床气流粉碎机 | |
JP6596392B2 (ja) | 微粒化装置 | |
CN201899986U (zh) | 纳米粉体材料液相分散装置 | |
CN103801440B (zh) | 超高压微型撞击流超细粉碎装置 | |
KR100465662B1 (ko) | 대향 충돌형 분쇄 분산장치 | |
JP2007301508A (ja) | 微粒化装置 | |
KR200260596Y1 (ko) | 2중분쇄영역을 갖는 유체에너지에 의한 제트기류 충돌식기류분쇄기 | |
JP3930036B1 (ja) | 微粒化方法、微粒化装置及び微粒化システム | |
JP2003117369A (ja) | ノズル、ノズルアセンブリー、及び拡散方法 | |
KR20040073116A (ko) | 복수개의 분쇄물 출구와 와류발생기를 갖는 유체에너지밀 분쇄장치 및 분쇄방법 | |
KR20210144032A (ko) | 분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