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257A -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257A
KR20070080257A KR1020070073189A KR20070073189A KR20070080257A KR 20070080257 A KR20070080257 A KR 20070080257A KR 1020070073189 A KR1020070073189 A KR 1020070073189A KR 20070073189 A KR20070073189 A KR 20070073189A KR 20070080257 A KR20070080257 A KR 20070080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milling
chamber
blades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훈
Original Assignee
김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훈 filed Critical 김장훈
Priority to KR102007007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257A/ko
Publication of KR2007008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식품, 약품, 광물 또는 금속물질 등의 고형 소재를 미세 분말의 형태로 분쇄하는 분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분쇄장치는 상부와 하부에 분체원료 투입구와 분쇄된 분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실이 형성되며 상기 분쇄실 내부의 수직방향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구들이 형성된 분쇄기 본체와; 돌출된 1차 분쇄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분쇄날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2차 분쇄편이 원주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2분쇄날이 상기 회전축에 적층되어 축결합된 분쇄체들이 상기 분쇄실 내의 회전축 결합구들에 결합되어지되, 이웃하는 분쇄체들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들이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분쇄체 모듈과; 전동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분쇄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분쇄체 모듈내의 분쇄체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분쇄장치, 기류식 분쇄, 분쇄체, 고정분쇄날, 분쇄편, 분쇄날, 분체투입구, 분체회수구, 회수관,

Description

분쇄장치{MILL DEVICE}
본 발명은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약품, 광물 또는 금속물질 등의 고형 소재를 미세 분말의 형태로 분쇄하는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산업의 분야에서는, 식품, 비료, 약품, 광물, 또는 금속재료 등의 고형소재를 분쇄하여 미세 분말로 분체화시키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들 분쇄처리에서는, 분체의 입자형상이나 입도분포를 일정한 범위로 마무리함으로써, 예컨대 식품업이나 약품업의 분야에서는 난용성 물질의 용출속도를 촉진시키거나, 체내흡수성을 향상시키거나, 약품 혼합 시에 있어서의 함량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행하고 있다. 또한, 광공업이나 화학공업의 분야에서는 소재를 압축 성형할 때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거나, 코팅물의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형물질을 분체화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 분쇄처리는 일반적으로 기류식(Air flow type mill)이나 기계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기류식은 고압 고용량의 압축공기를 분쇄부 내에 분사하 고, 음속역의 고속기류에 의해 분체화시키 시키기 위한 소재끼리 또는 소재를 분쇄부의 둘레 벽면 등의 부위에 충돌시켜 분쇄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류식의 분쇄장치는, 발열의 영향이 적고 초미분쇄가 가능하다. 그러나 고압축공기를 대량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공급해야만 하므로, 이것에 따라 높은 용량의 고마력 콤프레셔가 필요하다. 따라서 초기비용이나 런닝 코스트가 커진다. 기계식의 것은 회전 충격식(롤밀, 해머 밀, 핀 밀 등)이나 텀블러식(볼밀, 진동밀 등) 등의 것으로 분류되지만, 회전 충격식의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외주에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 디스크를 분쇄부 내에서 고속회전시키는 것이고, 분쇄부에 도입된 소재를 스트라이킹하거나, 둘레벽면 등의 부위에 충돌시키거나 하여 분쇄처리를 행한다. 이 기계식의 분쇄장치는 일정한 분쇄 효율을 달성할 수 있어, 필요한 런닝 코스트를 비교적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충돌 기류식 분쇄장치로서는 1992. 10. 15. 특허공고된 공고번호 제92-9291호 "충돌식 기류분쇄기 및 분체의 분쇄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칭함)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개시에서는 호퍼(hopper)로 공급되는 고형물질을 압력이 높은 압축 기체에 의하여 분쇄실의 내부벽과 그 안에 설치된 충돌부재에 충돌시켜 1차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실에서 1차 분쇄된 분쇄물을 분체원료 투입구인 호퍼로 분급하여 공급함으로써 지속 반복적인 동작에 의하여 원하는 크기의 미립자로 분쇄하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충돌 기류식 분쇄기는 호퍼로 공급되는 고형재료를 분쇄실의 내부측벽 및 그 안에 설치된 충돌부재에 놓은 압력으로 충돌시 키기 위하여 매우 높은 압력을 가지는 압축 기체를 공급하여야 함으로써 공기가속관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며,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높은 수준의 정밀도가 요구되어 가격이 고가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기의 회전에 의하여 분쇄실에 축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돌 분쇄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충돌기류를 발생함으로써 분체원료투입구로 투입되는 분체원료를 상기 충돌 분쇄체 및 분쇄실의 측벽에 충돌시켜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 전달에 의하여 분쇄실 내부에 강한 충돌(high smash : high collision) 기류를 형성하여 분쇄실로 투입되는 분체원료를 초미분체로 분쇄하는 기류식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실 내부에 설치된 분쇄체의 회전에 의한 기류에 의하여 투입되는 분체원료를 상기 분쇄체와 상기 분쇄실의 측벽에 충돌시켜 분쇄하는 기류식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쇄장치는, 상부와 하부에 분체원료 투입구와 분쇄된 분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사이 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실을 형성되며 상기 분쇄실의 내부의 수직방향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구들이 형성된 분쇄기 본체와; 돌출된 1차 분쇄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분쇄날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2차 분쇄편이 원주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2분쇄날이 상기 회전축에 적층되어 축결합된 분쇄체들이 상기 분쇄실 내의 회전축 결합구들에 결합되어지되, 이웃하는 분쇄체들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들이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분쇄체 모듈과; 전동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분쇄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분쇄체 모듈내의 분쇄체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 내부측벽에는 수직 방사상으로 등 간격을 이루는 고정분쇄편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실내의 분쇄체들의 회전에 의한 기류가 발생시 상부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가 분쇄실 내부측벽에 충돌시 분쇄가 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이격된 부분에는 분쇄실과 연통되는 회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수구와 상기 분체원료 투입구의 사이에는 회수구로 분출되는 분체를 상기 분체원료 투입구로 재투입하는 회수관이 연결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 상부에는 분체원료 투입구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를 이웃하는 분쇄체로 분리투하 하고 상기 이웃하는 분쇄체들의 회전에 의해 투입되는 분체원료를 1차 충돌시키는 충돌벽을 제공하는 격벽이 형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분쇄체들의 제1분쇄날은 방형구조로서 다수의 1차 분쇄편이 각 모서리에서 톱니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날의 상하부에 적층되거나 이웃하는 분쇄체의 제1분쇄날에 대응하여 이격되어진 제2분쇄날은 원형구조이며 방사상의 2차 분쇄편이 원주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체 본체의 분쇄실은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taper) 되게 형성하여 분체 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쇄장치는 충돌부재인 분쇄날들이 다단으로 축결합된 둘 이상의 분쇄체가 분쇄실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강한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의 분체원료 투입구로부터 투하되는 고형의 분체원료는 상기 분쇄체들과 그 사이에 위치된 분쇄실의 격벽, 분쇄실의 내측벽 및 그에 설치된 고정분쇄날들에 연속적으로 충돌되어 분쇄됨으로써 분쇄효율성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횡단면도 및 작동상태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분쇄기 본체(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에 분체원료 투입구(15)와 분쇄된 분체를 배출하는 배출구(16)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5)와 배출구(16)의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실(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5)는 상기 분쇄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11)에 형성된다.
상기 분쇄실(40)을 형성하는 분쇄기 본체(10)와 덮개(11)에는 상기 분쇄실(40)의 내부의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이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구(44, 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11)에 형성된 회전축 결합구(46)는 요홈의 형상이고, 분쇄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 결합구(44)는 상하 관통된 구멍의 형상이다. 또한 상기 분쇄실(40)의 내부측벽에는 수직 방향으로 방사상의 고정분쇄날(35)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6)와 다른 대향 위치에는 상기 분쇄실(40)과 연통하는 회수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수구(17)와 상기 상부 덮개(11)에 형성된 분체원료 투입구(15)의 일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회수구(17)로부터 토출되는 분체가 투입구(15)로 재투입시키는 회수관(1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쇄기 본체(10)의 분쇄실(42)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로 좁아지도록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분쇄실(42)의 내부에서 회전 기류가 형성되어질 때 상부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가 그 하부로의 토출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쇄기 본체(10)의 분쇄실(42)의 중앙부분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격벽(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기 본체(10)와 덮개(11)의 회전축 결합구(44, 46)들에는 제1 및 제2분쇄체(20, 30)의 제1, 제2회전축(13, 14)이 끼워지되, 상기 제1, 제2회전축(13, 14)의 상부는 덮개(11)의 회전축 결합구(46)의 요홈에 결합되고 하부는 분쇄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 결합구(4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분쇄기 본체(10)의 하부로 돌출된 제1, 제2회전축(13, 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풀리(belt pulley)로 구성되어 전동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1, 제2회전축(13, 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2)는 상기 제1, 제2회전축(13, 14)들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기 본체(10)와 덮개(11)의 사이에 축결합된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 각각은 방형구조를 가지는 제1분쇄날(22, 32)과 원형 구조를 가지는 제2분쇄날(24, 34)이 제1회전축(13)과 제2회전축(14)에 키(key) 방식으로 축결합되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분쇄날(22, 3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1차분쇄편(21, 31)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분쇄날(24, 34)의 원주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2차 분쇄편(23, 33)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3)의 제1분쇄날(22)은 이웃하는 제2회전축(14)의 제2분쇄날(34)의 대응 위치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14)의 제2분쇄날(34)은 이웃하는 제1회전축(13)의 제1분쇄날(34)에 이웃하게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에서는 제1회전축(13)과 제2회전축(14)의 상단부분에는 제1분쇄날들을 축결하였으며, 제1회전축(13)과 제2회전축(14)의 중간 이하부분에서는 이웃하는 회전축들에는 제1분쇄날(22, 32)와 제2분쇄날(24, 34)들이 어긋난 형태로 결합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분쇄체(20)의 제1회전축(13)에 다단형태로 축결합된 제1분쇄날(22)들 중 상부에 위치된 제1분쇄날(22)의 직경이 하부에 위치되는 제1분쇄날(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2분쇄체(30)의 제2회전축(14)에 다단형태로 축결합된 제1분쇄날(34)들의 직경의 크기는 제1분쇄체(20)와는 반대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제1분쇄체(20), 제2분쇄체(30)는 분쇄체 모듈에 해당한다.
분쇄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6)가 닫힌 상태라 가정 하에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벨트 풀리로 구성된 동력전달부(12)에 연결된 전동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되어 도 1과 같이 구성된 분쇄기 본체(10) 내부의 분쇄실(42)에서 그 외부로 돌출된 제1회전축(13)과 제2회전축(14)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분쇄실(42)의 내부에 설치된 제1분쇄체(20), 제1분쇄 체(30)가 회전된다. 이때 분쇄기 본체(10)의 분쇄실(42)의 내부에는 상기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의 회전에 의한 기류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류는 투입구(15)의 방향으로부터 수직의 하부를 통해 배출구(16)와 회수구(17)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수구(17)의 기류는 회수관(18)을 통해 투입구(15)로 재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기 본체(10)의 분쇄실(42)에 기류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된 분체원료 투입구(15)로 분체원료, 예를 들면, 고형의 식품, 약품, 광물질 등의 고형 소재가 투입되면, 분쇄실(4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격벽(40)에 의하여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로 분리되어 투하된다.
따라서 투입구(15)로 투입되어 분쇄실(42)의 내부로 투하되는 분체원료인 고형소재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분쇄체(20, 30)의 최상부에 각각 결합된 제1분쇄날(22)과 제2분쇄날(34)에 1차 충돌되어 분쇄된 후, 내부의 기류에 의하여 분쇄실(42)의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분쇄날(35)에 2차로 충돌되어 분쇄된다.
이후, 상기 고정분쇄날(35)에 충돌되어 분쇄된 분체원료는 상기 제1분쇄체(20)의 제1분쇄날(22)에 형성된 1차 분쇄편(21)과 상기 제2분쇄체(30)의 제2분쇄날(34)에 형성된 제2분쇄편(33)에 3차로 충돌되어 분쇄된 후 분쇄실(42)의 내부 기류에 의해 분쇄실(42)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분쇄날(35)에 4차로 충돌되어 분쇄된다.
상기 분쇄실(42)의 내부영역 중 격벽(40)이 설치된 상부 영역에서는 제1분쇄체(20), 제2분쇄체(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가 상기 격벽(40)에 충돌되어 와류 현상을 발생함으로 상기 1차, 2차 및 3차의 충돌력이 매우 크게 발생하여 분쇄는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분쇄된 분체원료는 제1분쇄체(20) 및 제2분쇄체(30)의 회전축에 다단으로 결합된 그 하부의 제2분쇄날(24)에 형성된 2차분쇄편(23)과 제1분쇄날(32)에 형성된 1차분쇄편(33) 및 분쇄실(42)의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분쇄날(35)들에 충돌되면서 기류를 타고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분쇄된다. 상기 기류에 의한 충돌 분쇄 동작은 제1, 제2분쇄체(20, 30)의 제1회전축(13) 및 제2회전축(14)에 각각 축결합된 제1분쇄날(22, 32) 및 제2분쇄날(24, 34)의 적층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분쇄체(20, 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에 의하여 투입구(15)로 투입된 분체원료가 분쇄되어 격벽(40)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분쇄실(42)의 하부로 이송되면,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의 회전 분쇄날들의 교차점에서는 더욱 큰 충돌기류가 발생됨으로써 분쇄실(42)의 상부에서 분쇄된 분체들 상호간의 충돌, 회전분쇄날들 사이의 회전 충돌 및 분쇄실(42)의 측벽에 형성된 고정분쇄날(25)에 분체된 고형소재들이 큰 충력력에 의해 충돌되어 미립자상태로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미립자 형태로 분쇄된 분체들은 회수구(17), 회수관(18) 및 투입구(15)의 방향의 기류를 타고 투입구(15)로 재투입되어 전술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더욱 미세한 분체로 분쇄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는 분쇄실(42)의 내부에서 고속회전되는 제1 분쇄체(20), 제2분쇄체(30)에 의한 회전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에 따라 분쇄실(42)의 측벽, 제1분쇄체(20) 및 제2분쇄체(30)의 회전축에 다단으로 결합된 다수의 분쇄날에 고속 기류에 의하여 충돌시켜 분쇄하여 분체를 배출함으로써 고용량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분쇄장치의 종단면도들이다.
도 5a와 5b는 분쇄기 본체(10)내의 분쇄실에 3개의 회전축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3개의 회전축 결합구에 3개의 분쇄체(20, 30, 50)를 실장하여 동력전달부(12)에 의해 3개의 분쇄체(20, 30, 50)를 회전시켜 고속 기류를 발생, 투입구로 투하되는 분체 원료를 분쇄하는 구성만이 앞에서 설명한 실시 예의 구성과 다른 것이다.
도 5a와 같은 구성에서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가 각각 제1방향과 그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에 공통으로 이웃하여 설치된 제3분쇄체(50)는 제2분사체(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리고 도 5b와 같은 구성은 제1분쇄체(20)와 제2분쇄체(30)가 각각 제1방향과 그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분쇄체(30)에 이웃하여 설치된 제3분쇄체(50)는 제2분사체(30)와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도 5a와 도 5b와 같이 분쇄기 본체(10)의 분쇄실(42)의 내부에 다수의 회전 분쇄체를 설치하는 경우, 투입구로 공급되어 그 하부로 투하되는 분체원료와 분쇄 충둘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분쇄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투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른 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분쇄장치의 종단면도들이다.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쇄기본체, 11 : 덮개,
12 : 동력전달부, 13 : 제1회전축,
14 : 제2회전축, 15 : 투입구
16 : 배출구, 17 : 회수구,
18 : 회수관, 20, 30 : 제1, 제2분쇄체,
21, 31 : 1차 분쇄편, 22, 32 : 제1 분쇄날,
23, 33 : 2차 분쇄편, 24, 34 : 제2 분쇄날,
35 : 고정분쇄날, 40 : 격벽,
42 : 분쇄실, 44 : 회전축 결합구,
46 : 회전축 결합홈.

Claims (6)

  1. 전동기를 가지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 분체원료 투입구와 분쇄된 분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실을 형성되며 상기 분쇄실의 내부의 수직방향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구들이 형성된 분쇄기 본체와;
    돌출된 1차 분쇄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분쇄날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2차 분쇄편이 원주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2분쇄날이 상기 회전축에 적층되어 축결합된 분쇄체들이 상기 분쇄실 내의 회전축 결합구들에 결합되어지되, 이웃하는 분쇄체들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들이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분쇄체 모듈과;
    상기 전동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분쇄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분쇄체 모듈내의 분쇄체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 내부측벽에는 수직 방사상으로 등 간격을 이루는 고정분쇄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이격된 부분에는 분쇄실과 연통되는 회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수구와 상기 분체원료 투입구의 사이에는 회수구로 분출되는 분체를 상기 분체원료 투입구로 재투입하는 회수관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 상부에는 분체원료 투입구로부터 투하되는 분체원료를 이웃하는 분쇄체로 분리투하 하고 상기 이웃하는 분쇄체들의 회전에 의해 투입되는 분체원료를 1차 충돌시키는 충돌벽을 제공하는 격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체들의 제1분쇄날은 방형구조로서 다수의 1차 분쇄편이 각 모서리에서 톱니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날의 상하부에 적층되거나 이웃하는 분쇄체의 제1분쇄날에 대응하여 이격되어진 제2분쇄날은 원형구조이며 방사상의 2차 분쇄편이 원주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체 본체의 분쇄실은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KR1020070073189A 2007-07-21 2007-07-21 분쇄장치 KR20070080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189A KR20070080257A (ko) 2007-07-21 2007-07-21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189A KR20070080257A (ko) 2007-07-21 2007-07-21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57A true KR20070080257A (ko) 2007-08-09

Family

ID=3860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189A KR20070080257A (ko) 2007-07-21 2007-07-21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2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51A (ko) * 2015-03-26 2016-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재 분쇄장치
CN107051641A (zh) * 2017-05-13 2017-08-18 周海兵 滚轴型药物研磨装置
CN109365076A (zh) * 2018-10-22 2019-02-22 安吉丰美水栀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栀子果的粉碎装置
CN112973867A (zh) * 2021-02-05 2021-06-18 焦海旺 一种建筑骨料破碎装置
CN117861779A (zh) * 2024-03-13 2024-04-12 山东富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公路环保施工用废弃物回收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51A (ko) * 2015-03-26 2016-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재 분쇄장치
CN107051641A (zh) * 2017-05-13 2017-08-18 周海兵 滚轴型药物研磨装置
CN109365076A (zh) * 2018-10-22 2019-02-22 安吉丰美水栀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栀子果的粉碎装置
CN109365076B (zh) * 2018-10-22 2024-04-26 秀山县华顺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水栀子果的粉碎装置
CN112973867A (zh) * 2021-02-05 2021-06-18 焦海旺 一种建筑骨料破碎装置
CN112973867B (zh) * 2021-02-05 2022-12-16 滁州鸿卓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骨料破碎装置
CN117861779A (zh) * 2024-03-13 2024-04-12 山东富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公路环保施工用废弃物回收装置
CN117861779B (zh) * 2024-03-13 2024-05-24 山东富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公路环保施工用废弃物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0257A (ko) 분쇄장치
PL192546B1 (pl) Urządzenie do rozdrabniania materiału i sposób rozdrabniania materiału
JP5160453B2 (ja) 微粉砕装置
KR102559996B1 (ko) 분체 처리 장치
JPWO2012014985A1 (ja) ジェットミル
EP0568941B1 (en) Pulverizing apparatus
KR101803441B1 (ko)
CN105013588A (zh) 超细颗粒分级装置
JP2004050180A (ja) 流体化基層ジェットミル用複奇数ベル状開口ノズル装置
CN218394018U (zh) 一种气流粉碎机
JP4265807B2 (ja) 微粉砕機
CN207371671U (zh) 一种垂直碰撞板式超音速气流粉碎机
KR100625400B1 (ko) 햄머젯트기류를 이용한 미분분쇄기
CN2390695Y (zh) 流化床式气流超微粉碎机
CN102441474A (zh) 气旋式气流粉碎机
KR20070080258A (ko) 건식 분쇄 장치
KR100935692B1 (ko) 초고속 로터를 이용한 공기분사식 분쇄 분산 장치
EP3393669B1 (en) Device and method for micronization of solid materials
KR20140043998A (ko) 미분체 제조용 수직형 분산 분쇄장치
CN207805744U (zh) 一种高效气流粉碎机
JP2018075533A (ja) 粉砕装置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CN110773293A (zh) 一种流化床式气流粉碎系统
JP2884515B1 (ja) 微粉砕装置
KR19980017130U (ko) 초미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