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798Y1 - 의료용 흡인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798Y1
KR200456798Y1 KR2020080016636U KR20080016636U KR200456798Y1 KR 200456798 Y1 KR200456798 Y1 KR 200456798Y1 KR 2020080016636 U KR2020080016636 U KR 2020080016636U KR 20080016636 U KR20080016636 U KR 20080016636U KR 200456798 Y1 KR200456798 Y1 KR 200456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suction
lower container
treatment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397U (ko
Inventor
황배근
Original Assignee
메디플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플랜(주) filed Critical 메디플랜(주)
Priority to KR2020080016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9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술이나 치료시 환자의 피, 고름, 가래 등의 대상물을 흡입하여 흡입된 대상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흡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흡인라인과 연결되는 노즐이 형성되고, 타측에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관이 형성되며, 상측에 흡입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빨아들인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오목한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원터치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주연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 및 걸림 해체되는 것이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장치가 설치되는 하부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원터치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하부 용기를 상부 케이스로부터 매우 간단하게 한 손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조작시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수술이나 급박한 치료시 대상물 처리 및 재흡입의 기능을 신속하고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환자가 원만한 수술 및 신속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의료용 흡인장치{Wall Suction Unit}
본 고안은 의료용 흡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술이나 치료시 환자의 피, 고름, 가래 등의 대상물을 흡입하여 흡입된 대상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흡인장치에 관한 것이며 흡입압력을 게이지가 아니라 실시간적으로 전자적인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병실이나 수술실 등의 벽체에는 진공 펌프 등과 연결되는 흡인라인이 내장되어 설치되고, 이러한 상기 흡인라인에 밸브를 개폐하여 흡입압력을 조절하거나 흡입된 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의료용 흡인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흡인장치는, 크게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조립되는 하부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일측에 흡인라인과 연결되는 노즐이 형성되고, 타측에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관이 형성되며, 상측에 흡입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흡입관을 통해 빨아들인 대상물을 내부에 수 용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오목한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이러한, 종래의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조립 방식은,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과 상기 하부 용기의 주연부에 각각 서로 비틀림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비틀림식 결합방식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과 상기 하부 용기의 주연부에 각각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걸림쇠와 걸림레버를 설치하여 레버 당김/풀림식 탈착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틀림식이나 레버 당김/풀림식 방법은,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하부 용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하부 용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하부 용기를 비틀거나, 레버를 당기거나 푸는 등 반드시 사용자의 두 손이 필요하게 되고, 비틀거나 당기는 동작이 번거로워서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물론, 조작의 실수로 대상물을 쏟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불편한 작업으로 말미암아 대상물 처리 시간이 지연되고, 수술이나 급박한 치료시 대상물 처리 및 재흡입의 기능을 신속하고 충실하게 수행할 수 없어서 사용자의 불편은 물론, 환자가 원만한 수술이나 신속한 치료를 받지못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술이나 치료시 환자의 피, 고름, 가래 등의 대상물을 흡입하여 흡입된 대상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흡인장치에 관한 것이며 흡입압력을 게이지가 아니라 실시간적으로 전자적인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흡인장치의 특징은, 일측에 흡인라인과 연결되는 노즐이 형성되고, 타측에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관이 형성되며, 상측에 흡입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밸브의 동작에 따른 흡입압력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전자표시창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빨아들인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오목한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원터치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주연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 및 걸림 해체되는 것이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장치가 설치되는 하부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원터치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하부 용기를 상부 케이스로부터 매우 간단하게 한 손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조작시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수술이나 급박한 치료시 대상물 처리 및 재흡입의 기능을 신속하고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환자가 원만한 수술 및 신속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더욱이 흡입압력을 게이지가 아니라 실시간적으로 전자적인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장치는, 크게 상부 케이스(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용기(2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일측에 흡인라인(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는 노즐(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관(12)이 형성되며, 상측에 흡입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의 노브(13)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11)은 병실이나 수술실의 벽체에 설치되는 흡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12)은 환자 의 피, 고름, 가래 등의 대상물을 흡입하는 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조절밸브는 압력상태를 나타내는 전자 표시창(16)을 보면서 사용자가 노브(13)를 조작하여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용기(20)는, 상기 흡입관(12)을 통해 빨아들인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오목한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원터치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주연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14)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 및 걸림 해체되는 것이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장치(30)가 설치된다.
여기서, 한 손 조작이 가능한 상기 원터치 스위치장치(30)의 일례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하면 일측에 걸림고리(15)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20)의 상면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1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착탈 조립되는 상기 하부 용기(20)의 원터치 스위치장치(30)는, 누름버튼(31)과, 가동대(32)와, 촉형돌기(33) 및 탄성스프링(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31)은, 상기 하부 용기(20)의 손잡이(22)의 엄지손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가동대(32)는, 상기 누름버튼(31)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 용기(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일(34)을 따라 전후진이 자유로운 것이다.
또한, 상기 촉형돌기(33)는, 상기 가동대(32)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대(32)와 함께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하면 타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14)과 대 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으로 진입 유도가 용이하도록 상면에 경사면(33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4)으로부터의 인출시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걸림면(332)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35)은, 상기 하부 용기(20)와 가동대(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촉형돌기(33)가 걸림홈(14)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가동대(32)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의료용 흡인장치의 하부 용기 분해 과정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기(20)는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1) 가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걸림고리(15)에 걸려 있고, 타측에 형성된 촉형돌기(33)의 걸림면(332)이 상기 탄성스프링(3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걸림홈(14)에 걸려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20)의 양측이 견고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촉형돌기(33)는 경사면(3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케이스(10)에 하부 용기(20)를 결합 할 때, 상기 촉형돌기(33)가 상기 걸림홈(14)의 진입 전, 경사면에 의해 탄성스프링(35)의 복원력을 이기고 임시 전진되어 사용자가 누름버튼(31)을 누르지 않더라도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손잡이(22)를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버튼(31)을 누르면, 상기 가동대(32)가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을 이기고 전진하면서, 상기 촉형돌기(33)의 걸림면(332)이 상기 걸림홈(14)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하부 용기(20)의 일측 걸림이 해제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걸림홈(14)과의 걸림이 해제된 촉형돌기(33)를 상기 걸림홈(14)으로부터 아래로 분리시키면, 상기 하부 용기(20)의 맞은 편에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걸림고리(15)로부터 자유로워져서 상기 하부 용기(20)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상기 하부 용기(20)에 수용된 대상물을 폐기하는 등의 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고안의 의료용 흡인장치의 이러한 원터치 스위 치장치(30)는, 반드시 1개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양손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용기(20)의 양측편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부 용기(20)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양 엄지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양손을 이용하여 하부 용기를 비틀거나 레버를 당기는 작업과는 달리, 양 손 모두 하부 용기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고, 원터치방식으로 양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하부 용기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장치의 하부 용기 분리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0: 상부 케이스 11: 노즐
12: 흡입관 13: 노브
14: 걸림홈 15: 걸림고리
16 : 전자 표시창
20: 하부 용기 21: 걸림돌기
22: 손잡이 30: 원터치 스위치장치
31: 누름버튼 32: 가동대
33: 촉형돌기 34: 레일
331: 경사면 332: 걸림면
35: 탄성스프링

Claims (1)

  1. 일측에 흡입라인과 연결되는 노즐(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관(12)이 형성되며, 상측에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10); 및 상기 흡입관(12)을 통해 빨아들인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오목한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원터치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주연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14)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 및 걸림 해체되는 것이 가능한 원터치 스위치장치(30)가 설치되는 하부 용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의 동작에 따른 흡입압력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전자표시창(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KR2020080016636U 2008-12-16 2008-12-16 의료용 흡인장치 KR200456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36U KR200456798Y1 (ko) 2008-12-16 2008-12-16 의료용 흡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36U KR200456798Y1 (ko) 2008-12-16 2008-12-16 의료용 흡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97U KR20100006397U (ko) 2010-06-24
KR200456798Y1 true KR200456798Y1 (ko) 2011-11-21

Family

ID=4445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36U KR200456798Y1 (ko) 2008-12-16 2008-12-16 의료용 흡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02A1 (ko) * 2012-05-31 2013-12-05 양지훈 테스크형 의료용 흡인장치
KR20160105709A (ko) 2015-02-28 2016-09-07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
KR20160115619A (ko) 2015-03-28 2016-10-06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진공배액장치
USD870879S1 (en) 2017-01-11 2019-12-24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surgical suction container
USD925729S1 (en) 2017-01-11 2021-07-20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surgical suction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837A (en) 1997-12-05 1999-10-05 Deroyal Industries, Inc. Suction canister having molded interlocking lid
KR200345636Y1 (ko) * 2003-12-11 2004-03-19 김혜선 의료용 흡입장치
US20040122365A1 (en) * 2002-12-18 2004-06-24 Stinson David C. Vacuum Regulato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837A (en) 1997-12-05 1999-10-05 Deroyal Industries, Inc. Suction canister having molded interlocking lid
US20040122365A1 (en) * 2002-12-18 2004-06-24 Stinson David C. Vacuum Regulator and Method
KR200345636Y1 (ko) * 2003-12-11 2004-03-19 김혜선 의료용 흡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02A1 (ko) * 2012-05-31 2013-12-05 양지훈 테스크형 의료용 흡인장치
KR20160105709A (ko) 2015-02-28 2016-09-07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
KR20160115619A (ko) 2015-03-28 2016-10-06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진공배액장치
USD870879S1 (en) 2017-01-11 2019-12-24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surgical suction container
USD888937S1 (en) 2017-01-11 2020-06-30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surgical suction container
USD925729S1 (en) 2017-01-11 2021-07-20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surgical suction container
USD928307S1 (en) 2017-01-11 2021-08-17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surgical suction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97U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798Y1 (ko) 의료용 흡인장치
US8696648B2 (en) Nasal aspirator
ES2555493T3 (es) Dispositivo transportable en el cuerpo de un usuario para la puesta a disposición de presión negativa para aplicaciones médicas
EP2158926B1 (en) Aspirator assembly
US7802574B2 (en) Medical component system
US9884143B2 (en) Medical personal-services suction handle
ITBS20040028U1 (it) Apparecchio per formare il vuoto in contenitori per conservare prodotti con vassoio di recupero liquidi separabile e lavabile
DK2788062T3 (en) Device in the form of a tracheostomy prosthesis for easy insertion and removal of an inner cannula
US6026810A (en) One hand disconnectable device for artificial breathing apparatus to endotracheal tube connections
CN205433941U (zh) 一种拔牙钳
JP2013192820A (ja) 挿入補助具
KR200345636Y1 (ko) 의료용 흡입장치
CA2986635A1 (en) Video laryngoscopes
US20090208900A1 (en) Bifunctional dental apparatus
JP2013212233A (ja) 吸引補助具
CN204501828U (zh) 吸痰管
KR20140051726A (ko) 의료용 스프레이 원터치 연결구
TWI587835B (zh) 手套配戴裝置
CN216020952U (zh) 一种带有快拆式显示器的视频喉镜
KR101436093B1 (ko)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JPH0122644Y2 (ko)
WO2021066753A1 (en) Digital vacuum extractor
JP2003052807A (ja) 注射器型吸引器
WO2019077292A1 (en) SUCTION CATHETER ASSEMBLIES
US10207033B2 (en) Sensor-controlled nasal aspi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