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093B1 -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093B1
KR101436093B1 KR1020130005535A KR20130005535A KR101436093B1 KR 101436093 B1 KR101436093 B1 KR 101436093B1 KR 1020130005535 A KR1020130005535 A KR 1020130005535A KR 20130005535 A KR20130005535 A KR 20130005535A KR 101436093 B1 KR101436093 B1 KR 10143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ction
body fluid
suction devi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127A (ko
Inventor
남승현
Original Assignee
남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현 filed Critical 남승현
Priority to KR102013000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0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체(死體)의 몸속에 잔존하는 복수 등의 체액(體液)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체액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거치 플레이트에 흡입펌프와 압력 컨트롤부와 체액 수용용기가 장착 되는 용기 장착부가 형성된 일체형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흡입장치의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장소를 구애받지 않아 흡입장치 사용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며, 또한, 체액 수용용기를 장착함에 있어, 용기홀더에 탄력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체액 수용용기의 취급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흡입된 체액의 처리가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Body fluid suction apparatus for corpse}
본 발명은 사체(死體)의 몸속에 잔존하는 복수 등의 체액(體液)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체액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흡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흡입펌프와, 흡입펌프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흡입컨트롤부와 흡입된 체액을 수용하기 위한 체액 수용용기를 하나의 거치 플레이트 상에 일체로 배열 구성하되, 흡입장치의 이동 편리성을 부여함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함은 물론, 체액 수용용기의 장착 용이성을 확보 및 흡입된 체액의 처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속에는 피, 가래, 타액, 분비물 등의 액상의 다양한 체액(體液)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데, 사람이 죽을 경우 이러한 체액은 액상으로 이루어진 특성상 쉽게 마르지 않고 상당한 기간 동안 사체(死體)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사람이 죽을 경우 그 장례절차 중 입관절차를 진행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입관절차에서 사체를 수의로 갈아입힌 다음 베나 이불 따위로 싸는 염(殮)을 진행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체의 몸속에서 체 마루지 않은 체액이 사체의 구강, 코, 항문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러한 체액의 배출은 암 등의 복수가 발생하는 병증 사체의 경우 특히 심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염을 하는 과정에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면 그 모습이 보기 좋지 않으며, 이러한 모습을 지켜보는 가족 또한 마음이 편치 못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염을 하기에 앞서 사체의 몸속에 있는 체액을 제거한 상태에서 몸속과 통하는 구강, 코, 항문 등의 구멍을 막아줌으로 염을 하는 과정에서 체액의 배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체의 체액을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통상의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사체의 체액 잔존 부위를 찔러 넣어 흡입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체액 제거수단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체액을 제거하는데에도 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117179와 같이 브라켓에 의해 벽체 등에 고정되는 이물질의 흡입 및 공기의 유출이 가능한 수용용기를 갖는 흡인장치본체와, 상기 흡입장치본체와 분리 형성되어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흡인압력계와, 상기 흡인압력계에 의해 펌핑 작동하는 흡입기로 구성된 이물질 흡인장치가 제안된바 있으며, 이러한 흡인장치를 이용하여 펌핑작동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체액을 흡입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흡인장치는 흡인장치본체가 지정된 장소에 장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그 흡인장치의 이동 사용이 불가능 하는 등 흡인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재차 주사기 등의 수작업에 의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그 사용상의 번거로움 및 사용제한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인장치본체와 흡인압력계와 흡입기가 분리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취급상의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사용상의 번거로움 또한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717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거치 플레이트에 흡입펌프와 압력 컨트롤부와 체액 수용용기가 장착되는 용기 장착부가 형성된 일체형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흡입장치의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장소를 구애받지 않아 흡입장치 사용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체액 수용용기를 장착함에 있어, 용기홀더에 탄력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체액 수용용기의 취급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흡입된 체액의 처리가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흡입력을 부여하는 흡입펌프와, 제1 흡입호스에 의해 연결 및 전원스위치와 압력조절스위치와 압력게이지가 형성되어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컨트롤부와, 상기 압력 컨트롤부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부여하는 제2 흡입호스와 사체로부터 체액을 흡입하기 위해 단부에 침 형태의 석션노즐이 형성된 석션호스가 연결되는 체액 수용용기로 된 체액 흡입장치에 있어서,
판체 형태의 거치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펌프와 압력 컨트롤부를 일체 형성하여 흡입장치 본체를 이루되, 상기 거치 플레이트 상부에 흡입장치 본체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는 용기 장착부를 더 형성하되, 상기 용기 장착부에는 용기홀더를 형성하여 상기 체액 수용용기의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는, 흡입펌프와 압력컨트롤부와 용기 장착부가 하나의 거치 플레이트 상에 일체를 이루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흡입장치의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 장소의 구애받지 않고 흡입장치의 사용 및 이에 따른 흡입장치 사용의 증대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용기 장착부에 체액 수용용기를 장착함에 있어 용기홀더에 의해 간편하게 착탈 사용이 가능하여 체액 수용용기의 취급이 용이하게 하고, 특히 흡입된 체액의 처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의 용기 장착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의 체액 수용용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의 체액 수용용기 장착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1)는, 흡입력을 부여하는 흡입펌프(110)와, 제1 흡입호스(111)에 의해 연결 및 전원스위치(211)와 압력조절스위치(122)와 압력게이지(123)가 형성되어 흡입펌프(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컨트롤부(120)와, 상기 압력 컨트롤부(120)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부여하는 제2 흡입호스(301)와 사체로부터 체액을 흡입하기 위해 단부에 침 형태의 석션노즐(302a)이 형성된 석션호스(302)가 연결되는 체액 수용용기(300)로 된 체액 흡입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 체액 흡입장치(1)는, 테이블 등에 거치 가능한 판체 형태의 거치 플레이트(200)를 형성하되, 그 거치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상기 흡입펌프(110) 및 압력 컨트롤부(120)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흡입펌프(110)와 압력 컨트롤부(120)를 서로 일체로 형성하여 흡입장치 본체(100)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으로, 압력 컨트롤부(120)의 전원스위치(211)에 의해 전원의 ON/OFF 및 압력조절스위치(222)에 의해 흡입펌프(110)의 흡입 압력이 조절되며 조절된 흡입 압력은 압력게이지(123)에 의해 확인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장치 본체(100)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거치 플레이트(200)와 함께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흡입장치 본체(100)에는 운반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운반 손잡이(101)가 형성된 것으로, 그 운반 손잡이(101)에 의해 흡입장치(1)의 운반상 용이함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그 거치 플레이트(200)와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는 용기 장착부(230)가 더 형성된 것으로,
상기 용기 장착부(230)의 상부에는 체액 수용용기(300)가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용기홀더(24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도 3의 도시와 같이 용기홀더(240)는, 다수의 탄력편(241)(241')이 상향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탄력편(241)(241')은, 용기 장착부(230)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사방에 돌출 형성된 것이며, 각각의 탄력편(241)(241')에 의해 용기 장착부(230)의 중심부에 체액 수용용기(300)가 내입되는 용기 수용부(242)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탄력편(241)(241')은, 그 상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 절곡부(241a)가 형성된 것으로, 체액 수용용기(300)가 용기 수용부(242)에 삽입시 그 원활한 삽입을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체액 수용용기(300)는, 용기몸체(310)와, 비닐백(320)과, 뚜껑(330)과, 밀폐링(340)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용기몸체(31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비닐백 수용공간(311)이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한편, 상단 위주면에는 반구 형태의 걸림돌기(312)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비닐백(320)은, 상부가 개구된 봉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용기몸체(310)의 비닐백 수용공간(311)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그 상부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321)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뚜껑(330)은, 상기 용기몸체(310)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마감하게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관 형태의 흡입포트(331)와 석션포트(332)가 각각 형성되고, 외둘레에는 하방 돌출되는 한편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몸체(310)의 걸림돌기(312)와 대응되는 단면상 반원 홈 형태의 걸림홈(333a)이 형성된 연장부(333)가 하방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330)의 저면에는 상기 연장부(333)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띠 형태의 돌출조(334)가 하방 돌출되게 구성된 것이며, 상기 연장부(333)와 돌출조(334)의 사이에는 결착홈(335)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뚜껑(330)에 형성된 흡입포트(331)에는 압력 컨트롤부(120)로부터 인출되는 제2 흡입호스(301)가 끼움 연결되고, 석션포트(332)에는 석션호스(302)가 끼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결착홈(335)에는 비닐백(320)의 상부가 내입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밀폐링(340)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330)의 결착홈(335)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결착홈(335)에 내입된 비닐백(320)을 고정 및 상기 뚜껑(330)을 용기몸체(310)에 덮을 시 밀폐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액 수용용기(300)는, 그 용기몸체(310)에 의해 상기 용기홀더(240)의 용기 수용부(242)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장착시 탄력편(241)(241')의 만곡 절곡부(241a)에 의해 용기 수용부(242)로의 안정된 유도 삽입이 가능한 것이고, 삽입되는 체액 수용용기(300)의 용기몸체(310) 외주면은 다수의 탄력편(241)(241')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1)는, 거치 플레이트(200)에 흡입펌프(110) 및 압력 컨트롤부(120)를 이루는 흡입장치 본체(100)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용기 장착부(230)가 형성되어 체액 수용용기의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된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체액 흡입장치(1)를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흡입장치 본체(100)에 형성된 운반 손잡이를 파지 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 및 거치 플레이트(200)를 이용하여 테이블(10) 등에 거치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어떤 장소에서든 그 간편한 운반 및 설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체액 흡입장치(1)의 용기 장착부(230)의 용기홀더(240)에는 체액 수용용기(300)를 착탈 장착하여 사용하면 것으로, 이때, 체액 수용용기(300)는, 먼저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용기몸체(310) 내부 비닐백 수용공간(311)에 비닐백(320)이 수용되도록 뚜껑(330)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비닐백(320)은, 그 상부 둘레를 뚜껑(330)의 결착홈(335)에 내입시킨 상태에서 밀폐링(340)을 결착홈(335)에 끼움 결합함으로 그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닐백(320)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체를 겔 타입으로 형태 변화 시켜주는 고분자 흡수포를 내입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고분자 흡수포는 체액이 접촉되면 포 타입의 외면이 녹아서 내부에 고분자 분말이 외부로 노출되어 체액과 접촉하여 체액을 겔 타입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용기몸체(310)의 상단 개구부에는 비닐백(320)이 설치된 뚜껑(330)을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뚜껑(330)은 그 하부 연장부(333)와 돌출조(334) 사이에 밀폐링(340)이 내재 된 상태에서 용기몸체(310) 상부를 덮어 마감하면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비닐백(320)은 용기몸체(310)의 비닐백 수용공간(311)에 수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뚜껑(330)을 덮게 되면, 그 뚜껑(330)의 연장부(333)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333a)에는 용기몸체(31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12)가 형합 됨으로 그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밀폐링(340)이 용기몸체(310)의 단부 및 비닐백(320)을 가압하여 견고한 밀폐력이 확보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뚜껑(330)이 결합된 체액 수용용기(300)를 용기 장착부(230)에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그 용기 장착부(230)에 형성된 용기홀더(2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용기몸체(310)를 이용하여 용기홀더(240)의 용기 수용부(242)에 상부로부터 삽입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장착시 각각의 탄력편(241)(241') 상단에 형성된 만곡 절곡부(241a)에 의해 용기 수용부(242)로의 안정된 유도 삽입이 가능한 것이고, 삽입시 각각의 탄력편(241)(241')은 용기몸체(310)의 외형을 따라 복원력을 가짐과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며, 용기몸체(310)가 용기 수용부(242)에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탄력편(241)(241')의 복원력에 의해 용기몸체(310)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체액 수용용기(300)가 장착 후 뚜껑(330)에는, 압력 컨트롤부(120)로부터 인출되는 제2 흡입호스(301)와 석션호스(302)를 각각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제2 흡입호스(301)는 흡입포트(331)에 연결하고 석션호스(302)는 석션포트(332)에 연결하면 준비과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의한 체액 흡입장치(1)를 이용하여 사체의 몸속에 잔존하는 체액을 뽑아내고자 할 시에는 석션호스(302)의 단부에 형성된 석션노즐(302a)을 뽑아내고자 하는 위치에 삽입시킨 후, 압력 컨트롤부(120)에 형성된 전원스위치(211)를 이용하여 흡입펌프(110)를 가동시켜 흡입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흡입펌프(110)에 부여되는 흡입력은, 압력조절스위치(122)를 이용하여 조절 및 압력게이지(123)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입펌프(110)에서 흡입력이 부여되면, 그 흡입력은 제1 흡입호스(111)를 통해 압력 컨트롤부(120)를 거쳐 제2 흡입호스(301)를 통해 체액 수용용기(300)를 거쳐 석션호스(302)에 전달되어 석션노즐(302a)을 통해 사체 몸속에 잔존하는 체액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체액 수용용기(300) 내부에 흡입력이 부여되게 되면, 그 내부는 진공상태를 이루는 것인데, 이때, 용기몸체(310)의 비닐백 수용공간(311)과 비닐백(320)의 내부는 통공(321)을 통해 서로 연통 되어있어 동일한 진공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에 비닐백(320)이 수축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석션호스(302)를 통해 체액 수용용기(300)로 흡입되는 체액은 석션포트(332)를 통해 비닐백(320)으로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비닐백(320)에 체액이 수용됨과 동시에 일정량 이상의 체액이 수용되게 되면 흡입펌프(110)의 작동을 중지 후, 체액 수용용기(300)를 용기홀더(240)로부터 탈거 및 뚜껑(330)을 분리시킨 후, 비닐백(320)의 통공(321)을 테이프 등으로 마감 처리 후 폐기처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비닐백(320)을 폐기 처리함에 있어, 뚜껑(330)과 그 뚜껑(330)에 에 결합되는 밀폐링(340) 또한 청결을 위해 폐기 처리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폐기 처리되는 뚜껑(330)과 밀폐링(340)과 비닐백(320)을 제외한 체액 수용용기(300)의 용기몸체(310)를 포함한 구성품은 필요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한 것인바, 뚜껑(330)과 밀폐링(340)과 비닐백(320)을 용기몸체(310)에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장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는, 하나의 거치 플레이트상에 흡입장치 본체를 일체 형성하여 그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것이며, 체액 수용용기 또한 간단한 착탈 과정에 의해 그 사용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100 : 흡입장치 본체 101 : 운반 손잡이
110 : 흡입펌프 111 : 제1 흡입호스
120 : 압력 컨트롤부 121 : 전원스위치
122 : 압력조절스위치 123 : 압력게이지
200 : 거치 플레이트 230 : 용기 장착부
240 : 용기홀더 241,241' : 탄력편
241a : 만곡 절곡부 242 : 용기 수용부
300 : 체액 수용용기 301 : 제2 흡입호스
302 : 석션호스 302a : 석션노즐
310 : 용기몸체 311 : 비닐백 수용공간
312 : 걸림돌기 320 : 비닐백
321 : 통공 330 : 뚜껑
331 : 흡입포트 332 : 석션포트
333a : 걸림홈 333 : 연장부
334 : 돌출조 335 : 결착홈
340 : 밀폐링

Claims (5)

  1. 흡입력을 부여하는 흡입펌프(110)와, 제1 흡입호스(111)에 의해 연결 및 전원스위치(211)와 압력조절스위치(122)와 압력게이지(123)가 형성되어 흡입펌프(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컨트롤부(120)와, 상기 압력 컨트롤부(120)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부여하는 제2 흡입호스(301)와 사체로부터 체액을 흡입하기 위해 단부에 침 형태의 석션노즐(302a)이 형성된 석션호스(302)가 연결되는 체액 수용용기(300)로 된 체액 흡입장치에 있어서,
    판체 형태의 거치 플레이트(200)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펌프(110)와 압력 컨트롤부(120)를 일체 형성하여 흡입장치 본체(100)를 이루되,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 상부에 흡입장치 본체(100)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평행하게 돌출 연장되는 용기 장착부(230)를 더 형성하되, 상기 용기 장착부(230)에는 용기홀더(240)를 형성하여 상기 체액 수용용기(300)의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 본체(100)에 흡입장치의 운반이 가능하게 운반 손잡이(10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홀더(240)는,
    상기 용기 장착부(230)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 사방에 다수의 탄력편(241)(241')을 상향 돌출 형성하되,
    상기 탄력편(241)(241')에 의해 용기 장착부(230)의 중심부에 용기 수용부(242)가 형성되어, 체액 수용용기(300)가 삽입 및 탄력편(241)(241')에 의해 탄력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력편(241)(241')은, 그 상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 절곡부(241a)를 형성하되,
    상기 만곡 절곡부(241a)에 의해 삽입되는 체액 수용용기(300)를 안내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체액 수용용기(3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내측에 비닐백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걸림돌기(312)가 돌출 형성된 용기몸체(310);
    상기 용기몸체(310)의 비닐백 수용공간(311)에 수용되며,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321)이 형성된 비닐백(320);
    상기 용기몸체(310) 상단을 마감하며, 상부에 흡입포트(331)와 석션포트(332)가 하부로 관통 형성되고, 외둘레에는 내주면에 걸림홈(333a)이 형성된 연장부(333)가 하방 돌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연장부(333)와 이격되게 돌출조(334)가 하방 돌출 및 그 연장부(333)와 돌출조(334)의 사이에 비닐백(320)의 상부가 내입되는 결착홈(335)이 형성된 뚜껑(330);
    상기 뚜껑(330)의 결착홈(335)에 끼움 결합되어 비닐백(320)을 고정 및 뚜껑(330)을 용기몸체(310)에 덮을 시 밀폐력을 부여하는 밀폐링(3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KR1020130005535A 2013-01-17 2013-01-17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KR10143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35A KR101436093B1 (ko) 2013-01-17 2013-01-17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35A KR101436093B1 (ko) 2013-01-17 2013-01-17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27A KR20140093127A (ko) 2014-07-25
KR101436093B1 true KR101436093B1 (ko) 2014-09-01

Family

ID=5173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35A KR101436093B1 (ko) 2013-01-17 2013-01-17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487B1 (ko) * 2021-01-22 2021-08-04 이용선 모바일 석션 유닛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410A (ja) * 1994-08-15 1996-02-27 Rion Co Ltd 圧電形加速度ピックアップ
JP2004049704A (ja) 2002-07-23 2004-02-19 Nipro Corp 医療用吸引器
JP2004049706A (ja) 2002-07-23 2004-02-19 Nipro Corp 医療用吸引器
KR200459725Y1 (ko) 2011-04-19 2012-06-13 김민희 의료용 석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410A (ja) * 1994-08-15 1996-02-27 Rion Co Ltd 圧電形加速度ピックアップ
JP2004049704A (ja) 2002-07-23 2004-02-19 Nipro Corp 医療用吸引器
JP2004049706A (ja) 2002-07-23 2004-02-19 Nipro Corp 医療用吸引器
KR200459725Y1 (ko) 2011-04-19 2012-06-13 김민희 의료용 석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27A (ko) 201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4585B1 (en) Nasal aspirator
KR100977749B1 (ko) 자극 특성을 갖는 수동 착유기
EP2158926B1 (en) Aspirator assembly
US8668677B2 (en) Device suitable for carrying on the body of a user to generate vacuum for medical applications
US8657806B2 (en) Device suitable for carrying on the body of a user to generate vacuum for medical applications
US20090048581A1 (en) Aspirator assembly
CN209596163U (zh) 丰唇装置
JP2001353213A (ja) 乳畜機
KR101322380B1 (ko) 버튼식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436093B1 (ko) 사체용 체액 흡입장치
KR200167073Y1 (ko) 부항기용 마사지구
JP2016087079A (ja) 医療用吸引器
WO2008059566A1 (fr) Dispositif de massage par succion pour parties saillantes du corps humain
US20020188231A1 (en) Device for performing can sucking therapy
KR101792835B1 (ko) 피부 세정 진공흡입장치
GB2542444A (en) Nasal suction device
CN219148736U (zh) 自主分离式拔罐装置
KR101028916B1 (ko) 의료용 흡입장치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WO2008059565A1 (fr) Appareil de massage par succion
KR200487833Y1 (ko) 자가 부항장치
KR200345636Y1 (ko) 의료용 흡입장치
KR200171302Y1 (ko) 부항기용 흡입기
JP2023066543A (ja) 医療器具用キャップ
JP2000316968A (ja) 介護用吸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