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682Y1 -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682Y1
KR200456682Y1 KR2020110001854U KR20110001854U KR200456682Y1 KR 200456682 Y1 KR200456682 Y1 KR 200456682Y1 KR 2020110001854 U KR2020110001854 U KR 2020110001854U KR 20110001854 U KR20110001854 U KR 20110001854U KR 200456682 Y1 KR200456682 Y1 KR 200456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region
coupled
lo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대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Priority to KR2020110001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51)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팬하우징(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송풍팬(65a), 송풍팬(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격판(52)의 상면과 면하는 케이싱(51)의 상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토출챔버(11a)와;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a)와;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며, 토출덕트(18a)의 장구간 토출면적과 중구간 토출면적으로 안분한 경계지점으로부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의 경계지점까지 곡면을 이루게 구획하는 구획부재(12a)와;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20a, 20b)와;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Air Discharge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기 토출 도달거리가 중구간 및 장구간에 이르게 조절할 수 있고,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마다 독립적으로 급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 열원으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 열교환하여 송풍팬을 통해 급기 및 환기하는 작용의 공기조화기는, 특칭된 팩케이지 에어컨(Packaged air conditioner), 냉난방기(Cooling and heating unit), 에어 핸드링 유닛(Air handling unit), 항온 항습기(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unit) 또는 온풍기(Fan heater)를 포괄하며,
냉방(냉각) 열원은, 공기조화기의 자체 또는 분리형 실외기(Outdoor unit)에 구비된 압축기, 증발기 및 응축기의 냉동사이클을 통해 생산되는 냉각열원, 냉동기로부터 공급되는 냉수(Chilled water)의 냉각열원 또는 지열 냉각열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난방(가열) 열원은, 보일러 등 열원 발생기로부터 공급받는 온수(Hot water), 증기(Steam)의 난방열원, 공기조화기의 자체에 구비되는 전기히 터, 가스 직화식 히터의 난방열원 또는, 지열 난방열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중.소형의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실내에 급기(Supply air) 및 환기(Return air)의 순환은, 자체 구비된 토출그릴(Discharge grille)을 통하여 급기하고 흡기부(Suction Part)를 통하여 환기(Return air)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급기구와 흡기구에 급기덕트(Supply air duct) 및 환기덕트(Return air duct)를 설치하여 덕트를 통하여 공기조화 실내에 급기하고 공기조화 실내로부터 환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교적 층고가 높고 실내 면적이 넓은 대공간의 공기조화 실내(이를 테면; 전시장, 실내 공연장, 극장, 실내 체육시설, 대합실, 강당, 교회, 성당 및 제어 센터 등)에서는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덕트를 통해 급기 및 환기하는 것이 일반적이 나, 층고가 높아 덕트에 연결된 디퓨셔(Diffuser)의 토출 도달거리 및 흡입거리에 제약을 받는 경우, 그리고 천정이 노출되어 덕트 설치시 미관이 훼손되어 제약을 받는 경우에는 토출부와 흡기부가 구비된 다수의 공기조화기를 배치하여 실내공간에 직접 급기와 환기를 하여 냉방(또는 난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토출그릴과 흡기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는 급기의 토출 도달거리와 환기 흡인거리가 짧아, 토출그릴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토출 급기가 도달하는 근거리 영역에는 과잉 냉방(또는 난방)이 발생될 수 있고, 이와 상응하여 토출 급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장구간 영역에는 결핍 냉방(또는 난방)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냉방(또는 난방)의 편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공기조화 실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실내 외각에 다수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거나, 공기조화기의 토출부에 제트노즐(Jet Nozzle)을 장착하여 급기의 토출 도달거리를 증가시키지만, 이와 같은 해결책은 공기조화 실내에 과잉 및 결핍 냉방(또는 난방)의 편차를 해결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도 1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이라 칭한다.
종래기술의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공기조화기(200)는, 일영역에 흡기부(254)가 구성되는 케이싱(251)내에 열교환영역(미부호)과, 토출영역(215)을 형성하는 토출부(210)를 구획하며, 토출개구(253)가 형성되는 격판(252)과, 상기 토출부(210)의 일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230)과,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며 냉방열교환기(271) 및 난방열교환기(275)로 구성되는 열교환부 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253)에 결합되는 팬토출구(262)를 형성하는 팬하우징(261)과 상기 팬하우징(261) 내에 배치되는 팬날개(263)로 구성되는 송풍팬(260)과, 상기 송풍팬(260)을 구동하는 모터(267)를 갖는 송풍팬부(260)와, 상기 흡기부(254)에 구비되는 공기필터(280) 및 그릴부재(285)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토출그릴(230)을 통하여 공기조화 실내 공간에 급기를 직접 토출하고 흡기부를 통해 공기조화기(200)내로 직접 환기하는 직접 순환에 의하여 공기조화 실내공간에 냉방(또는 난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적 층고가 높고 실내 면적이 넓은 대공간에 냉방(또는 난방)의 과잉 및 결핍의 편차 영역을 감소하기 실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실내외각에 이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를 다수 설치하는 경우라도 공기조화기와 비교적 거리가 먼 공기조화 실내의 중앙 영역의 냉방(또는 난방) 결핍은 해소하기가 어렵고, 실내공간의 점유에 따른 실용 공간 감소, 실내 미관손상 및 소음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 급기의 도달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용량의 종래 공기조화기의 토출부에 제트노즐 또는 제트팬 노즐(Jet nozzle or Jet fan nozzle)을 구성하는 경우라도 이들 노즐은 설계된 토출 도달거리의 영역에 국한하여 급기되는 것이므로, 공기조화기로부터 단구간 및 중구간(Short and middle throw area), 장구간(Long throw area)의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하는 작용에는 한계가 있어, 냉방(또는 난방) 과잉 및 결핍의 편차 영역 감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공기조화 실내 냉방(또는 난방)의 과잉 및 결핍의 편차로 공기조화 실내 공간 전반에 쾌적한 공기조화 환경의 유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방(또는 난방) 결핍영역의 온도(냉방온도 또는 난방온도)를 벌충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가 설계기준 이상으로 운전되어야 함으로 운전 에너지비용의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마다 독립적으로 급기할 수 있고,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 각각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중구간 토출영역의 토출부재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단구간 및 중구간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함과 동시에 장구간 토출영역의 토출부재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장구간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할 수 있고, 공기조화 실내의 냉방(또는 난방)의 과잉 및 결핍의 편차 영역을 감소시키어 공기조화 실내 공간 전반에 공기조화 환경을 향상할 수 있으며, 중구간 실내 공간 및 장구간 실내 공간영역 모두에 급기하거나 이들 영역 중 공기조화가 요구되는 일영역에 선택적으로 급기할 수 있고, 운전 에너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 (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격판(52)의 상면과 면하는 상기 케이싱(51)의 상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토출챔버(11a)와; 상기 토출개구 (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a)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며, 상기 토출덕트(18a)의 장구간 토출면적과 중구간 토출면적으로 안분한 경계지점으로부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의 경계지점까지 곡면을 이루게 구획하는 구획부재 (12a)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 (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는 구조의 중구간 토출챔버(11b)와;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 (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급기를 안내하는 토출분기구(19)가 형성되고,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b)와;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저부 일영역에 상기 토출덕트(18b)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장구간 토출챔버(11c)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에 의해서도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된다.
또한,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 (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격판(52)의 상면과 면하는 상기 케이싱(51)의 상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토출챔버(11a)와; 상기 토출개구 (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a)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며, 상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상부벽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분기구(19)가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구조인 구획부재(12b)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에 의해서도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된다.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 53b)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 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 53b)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 62b)를 형성하는 팬하우징 (61a, 61b)과 상기 팬하우징(61a, 61b)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65b), 상기 송풍팬(65a, 65b)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60b),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는 구조의 중구간 토출챔버(11b)와; 상기 토출개구(53b)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 (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c)와;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d)와;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저부 일영역에 상기 토출덕트(18c)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장구간 토출챔버(11c)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에 의해서도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팩케이지 에어컨(Packaged air conditioner), 냉난방기(Cooling and heating unit), 에어 핸드링 유닛(Air handling unit), 항온 항습기(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unit) 또는 온풍기(Fan heat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는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토출개구(53a)의 상면 또는 토출덕트(18a)의 토출 면적을 중구간 토출면적과 장구간 토출면적으로 안분한 지점으로부터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의 경계지점까지 곡면을 이루게 구획하는 구획부재(12a) 또는,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 또는, 중구간 토출영역(15)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재(12b) 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 및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는 다른 구조의 구획부재로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재(12a)의 상측 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토출측 측벽 내측면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양측벽 내측면에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또는 기밀 밀착)되되,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가 우회유동 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덕트(18a)에 구성된 장구간 토출영역(13) 측 댐퍼(40b)와 중구간 토출영역(15) 측 댐퍼(40a) 사이로 상기 구획부재(12a)의 하단부 일부가 매립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획부재(12b)의 상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상부벽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또는 기밀 밀착)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토출측 측벽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개구(53a, 53b)와 면하는 외측은 장구간 토출영역(13)이 되고 상기 구획부재(12b)의 내측은 중구간 토출영역(15)이 되며, 상기 토출개구(53a, 53b)로부터 토출되는 급기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구획부재(12b)의 일영역에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구비된 토출분기구(19)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51)에 상단부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결합은,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17a)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17b)로도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하단부를 맞 물림하여 고정부재(고정 나사 등)로 고정하는 등의 다른 결합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51)에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토출챔버(11b)는,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51)에 상단부와 상기 토출챔버(11b)의 결합은,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17b)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와 상기 토출챔버(11b)의 하단부를 맞 물림하여 고정부재(고정 나사 등)로 고정하는 등의 다른 결합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챔버(11b)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토출챔버(11c)는 6면이 폐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챔버(11b)와 상기 토출챔버(11c)의 결합은, 상기 토출챔버(11b)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토출챔버(11c)의 저부에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17a)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결합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챔버(11c)의 저부에는 상기 토출덕트(18b 또는 18c)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미도시)의 단면과 와 상기 토출덕트(18b 또는 18c)의 외면 사이의 간극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의 성형실러(미도시)로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리콘으로 그 간극을 밀봉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도 있고, 상기 토출덕트(18b 또는 18c)의 상단부를 "ㄱ"자 형으로 절곡하여 플랜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미도시)의 저면과 상기 토출덕트의 플랜지면 사이에 탄성과 기밀성을 갖는 밀봉재(미도시)를 개재한 후 상기 토출챔버(11b)와 상기 토출챔버(11c)의 결합(조임)에 의하여 상기 관통구의 저면과 상기 토출덕트(18b 또는 18c)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밀봉재를 압착시키어 기밀을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토출챔버(11a, 11b, 11c)의 일측면 또는 상면에는 토출챔버 내부 구성부의 점검 및 보수의 편리를 위하여, 점검개구(미부호)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검개구에는 점검문 또는 개폐커버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는 점검부(1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챔버(11a, 11c)의 이면 상부 모서리부는 유동 급기의 마찰 저항 및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굴곡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챔버(11a, 11b, 11c)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를 더 구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토출덕트(18a, 18b, 18c, 18d)는, 장구간 토출영역 댐퍼(40a)와 중구간 토출영역 댐퍼(40b)를 구성하는 댐퍼의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분기구(19)는, 토출덕트(18b)에 형성된 분기개구(미도시)에 장착되는 댐퍼의 하우징이 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40a, 40b)에는, 풍량을 조절하는 수동 개폐부(레버(lever) 또는 핸들(Handle)) 및 댐퍼 링키지(Damper linkage)(41a, 41b)로 구성되는 수동 댐퍼작동부 또는, 토출 급기의 풍속 검출기 또는,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의 급기량 조절기 등의 검출기의 제어신호로 작동되는 전동액추에이터(Actuator) 및 댐퍼 링키지(41a, 41b)로 구성되는 자동 댐퍼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댐퍼작동부(45a, 45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는, 토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구형의 회동부(미부호)와 상기 회동부에 일체하게 형성되는 노즐(21)과 상기 회동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장착부(22)로 구성되는 제트노즐(Jet nozzle)로 이루어지는 토출부재(20a) 또는, 토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구형의 회동부(미부호)와 상기 회동부에 일체하게 형성되는 노즐(21)과 상기 회동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장착부(22)와 상기 장착부(22)의 일측과 면하게 결합되는 팬실린더(26)와, 팬실린더내(26)에 장착되는 제트팬(25) 및 모터로 구성되는 제트팬 노즐(Jet fan nozzle)로 이루어지는 토출부재(20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식 제트노즐 또는 제트팬 노즐 중 어느 하나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트팬 노즐의 팬실린더(26) 측의 지지는. 상기 토출챔버(11c)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지지부(14)를 더 구비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14)는, 상기 팬실린더(26)의 저부를 지지하며 양측 단부에 볼트체결 결합판(미도시)이 형성된 지지비이임(미부호)과, 상기 지지비임을 지지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볼트체결 결합판(미도시)이 형성된 지지기둥(미부호)과, 상기 팬실린더(26)를 상기 지지비임에 고정하는 브래킷(또는 U-bolt)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팬실린더(26)를 상기 토출챔버(11c)의 상부에 매다는 방진 행거(Vibration isolating hanger)등 다른 지지방식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중구간 토출부재는, 토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구형의 회동부(미부호)와 상기 회동부에 일체하게 형성되는 노즐(31)과 상기 회동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장착부(33)로 구성되는 펑커노즐(Punkah nozzle)로 이루어지는 토출부재(30a, 30b) 또는 토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구형의 회동부(미부호)와 상기 회동부에 일체하게 형성되는 디퓨셔 노즐(31)과 상기 회동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장착부(33)로 구성되는 제트 디퓨셔(Jet diffuser)로 이루어지는 토출부재(30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식 펑커노즐 또는 제트 디퓨셔 중 어느 하나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 및 중구간 토출부재에는, 각 토출부재 마다 급기 토출량(또는 풍속)을 자체 조절할 수 있는 노즐댐퍼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트노즐, 제트팬 노즐, 펑커노즐 및 제트 디퓨셔는 통상의 제품이거나 통상 제품의 일부를 개선한 개량 제품이 될 수 있으므로, 후술에서는 그 구조 내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는,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 열교환기(71) 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75)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1)의 일영역 측부에는, 신선한 외기를 공기조화 실내로 도입하는 외기도입구(미부호)와, 상기 외기도입구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인하는 외기덕트(미부호)와, 외기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와, 외기 도입량을 조절하는 댐퍼(미부호)로 구성되는 외기도입부(5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마다 독립적으로 급기할 수 있고,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 각각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중구간 토출영역의 토출부재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단구간 및 중구간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함과 동시에 장구간 토출영역의 토출부재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장구간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할 수 있고, 공기조화 실내의 냉방(또는 난방)의 과잉 및 결핍의 편차 영역을 감소시키어 공기조화 실내 공간 전반에 공기조화 환경을 향상할 수 있으며, 중구간 실내 공간 및 장구간 실내 공간영역 모두에 급기하거나 이들 영역 중 공기조화가 요구되는 일영역에 선택적으로 급기할 수 있고, 운전 에너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도 6은 도 4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4의 개략적인 설치 및 급기 토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
도 9는 도 8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도 1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 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 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종래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토출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1a)는, 일영역에 흡기부(54)가 구성되는 케이싱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격판(52)의 하부에 형성되는 열교환영역(미부호)내에 배치되는 냉방열교환기(71)와 난방열교환기(75)로 구성되는 열교환부(미부호),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내(61a)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54)에 구비되는 공기필터(80) 및 그릴부재(85)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50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는 구조인 토출챔버(11a)와, 상기 토출챔버(11a)내에서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는 구획부재(12a)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이면 측벽에는 구비되는 점검부(16)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장착된 복수의 장구간 토출부재(20a)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장착된 복수의 중구간 토출부재(30a)와, 상기 토출챔버(11a)내에 팬토출구(62a)와 연통하게 상기 토출개구(53a)의 상면에 결합되는 토출덕트(18a)와, 상기 토출덕트(18a) 내에 구비되는 장구간 토출영역(13) 측 댐퍼(40a) 및 중구간 토출영역(15) 측 댐퍼40b)와, 상기 토출챔버(11a)의 저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미부호)와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미부호)로 이루는 결합부재(17a)로 구성되는 토출장치(10a)가 상기 공기조화기(50a)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챔버(11a)의 일측벽에는 점검부(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 측 댐퍼40a) 및 중구간 토출영역(15) 측 댐퍼40b) 각 각에는 댐퍼 링키지(41a, 41b)와 상기 댐퍼 링키지(41a, 41b)에 연결되는 댐퍼작동부(45, 45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장구간 토출부재(20a)가 장착되고,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중구간 토출부재(30a)가 장착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은 하부에, 중구간 토출영역(15)은 상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20a)와 중구간 토출부재(30a)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즐댐퍼부(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50a)의 케이싱(51) 일측벽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기도입부(57)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20a)는 다른 형식의 장구간 토출부재(20b)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중구간 토출부재(30a) 또한, 다른 형식의 중구간 토출부재(30c)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기부(54)로 유입되는 환기는 열교환부를 걸쳐 송풍팬(65a)으로 유입되고 송풍팬(65a)으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장구간 토출영역(13) 측 댐퍼(40a)를 통해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어 장구간 토출부재(20a)를 통해 공기조화 실내의 장구간으로 토출되고, 한편, 중구간 토출영역(15) 측 댐퍼(40b)를 통해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는 중구간 토출부재(30a)를 통해 공기조화 실내의 중구간으로 토출되어 공기조화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방(또는 난방)하게 된다. 장구간 토출부재(20a) 및 중구간 토출부재(30a)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부터 열부하를 흡수하여 다시 공기조화기(50a)로 환기되며, 이와 같은 작용은 반복된다.
그리고 장구간 토출영역(13) 및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댐퍼(40a, 40b)로 조절하면, 공기조화 실내공간의 장구간 영역 또는 중구간 영역에 토출 공기량이 조절된다.
또한, 공기조화 실내공간의 장구간 영역 또는 중구간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공기조화를 정지할 때에는 공기조화기(50a)는 부하(풍량 및 열부하) 감축 제어운전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그 정지할 영역의 급기 댐퍼(40a 또는 40b)를 폐쇄(Close)하여 공기조화를 정지한다.
한편, 공기조화 정지영역의 해제 운전은 정지의 역순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도 6은 도 4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4의 개략적인 설치 및 급기 토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토출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1b)는,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장구간 토출영역(13)을 형성하며, 6면이 폐쇄된 구조의 토출챔버(11c)와, 토출영역(13) 측벽에 장착되며 노즐(21)과, 장착부(22)와. 제트팬(25) 및 모터와, 팬실린더(26)로 구성되는 복수의 장구간 토출부재(20b)와,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는 구조의 토출챔버(11b)와, 상기 토출영역(15) 측벽에 장착되며 노즐(31)과 장착부(32)와 노즐댐퍼(35)로 구성되는 복수 중구간 토출부재(30b)와, 하단부는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내에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장구간 토출챔버(11c)의 저부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토출덕트(18b)와, 상기 토출덕트(18b)의 상부 일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와, 상기 토출덕트(18b) 하부 일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내로 급기를 안내하는 토출분기구(19)와, 상기 토출분기구(19)에 구비되어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와, 상기 토출챔버(11c)의 내측벽을 지지부로 하여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20b)를 지지하는 지지부(14)와,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의 상단부와 상기 장구간 토출챔버(11c)의 저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7a)와, 케이싱(51)의 상단부와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의 하단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7b)로 구성되는 토출장치(10b)가 공기조화기(50a)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51)의 일측벽에는 외기도입부(57)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은 설치 예로서, 공기조화기(50a)와 토출챔버(11b, 11c) 등이 공기조화 실내(100)에서 보이지 않도록 미장 칸막이벽(110)으로 구획된 기계실(120)에 하이브리도 토출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50a)의 서비스공간을 구비하기 위하여 흡기부(54)로부터 연장된 연결덕트(55)의 외측 단부가 칸막이벽(110)에 형성된 흡기개구(미부호)에 결합되고, 그릴부재(85)는 공기조화 실내(100) 측 흡기개구에 장착되어 있 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110)에는 복수의 장구간 토출부재(20b)와, 중구간 토출부재(30b)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미부호)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은, 토출부재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토출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급기 토출의 형태를 간략하게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토출부재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장구간 토출부재(20b)는 장구간의 급기를 커버하고, 중구간 토출부재(30b)는 단구간 및 중구간의 급기를 커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전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과 같거나 유사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토출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1c)는,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토출챔버(11a)내에서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며, 상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상부벽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또는 기밀 밀착)되며, 양측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토출측 측벽 내측면에 결합되는 구획부재(12b)와, 토출개구(53a)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를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안내하며 상기 구획부재(12b)의 일영역에 구비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 및 토출분기구(19)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 측벽에 장착되는 복수의 장구간 토출부재(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 측벽에 장착되는 복수 중구간 토출부재(30b)로 구성되는 토출장치(10c)가 공기조화기(50a)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전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과 같거나 유사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토출장치 갖는 공기조화기 (1d)는,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케이싱(51)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한 쌍의 토출개구(53a, 53b)가 형성되는 격판(52)과, 상기 격판(52)의 하부에 형성되는 열교환영역(미부호)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내(61a)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60a)와, 상기 다른 하나의 토출개구(53b)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b)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b)과 상기 팬하우징내(61b)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b)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60b)를 갖는 공기조화기(50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장구간 토출영역(13)을 형성하며, 6면이 폐쇄된 구조의 토출챔버(11c)의 토출영역(13) 측벽에 장착되는 복수의 장구간 토출부재(20b)와,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는 구조의 토출챔버(11b)의 토출영역(15) 측벽에 장착되며 디퓨셔 노즐(33)과 장착부(32)로 구성되는 복수 중구간 토출부재(30c)와, 하단부는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내에 토출개구(53b)와 연통하게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장구간 토출챔버(11c)의 저부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토출덕트(18c)와, 상기 토출덕트(18c)의 상부 일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와, 하단부는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고,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구비되는 토출덕트(18d)를 갖는 토출장치(10d)가 상기 공기조화기(50b)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67)로 한 쌍의 송풍팬(65a,65b)을 구동하는 것을 일례로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한 쌍의 송풍팬(65a,65b) 각각에 모터(67)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적용하여 장구간 토출챔버(11c)와 중구간 토출챔버(11b) 각각에 독립적으로 급기 및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토출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송풍팬(65a,65b) 중 어느 하나의 송풍팬에 대한 풍량 및 정압은 보다 크게 하고 다른 하나의 송풍팬에 대한 풍량 및 정압은 보다 작게 적용하여 장구간 토출 및 중구간 토출이 이들 송풍팬에 의하여 작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기부(54)로 유입되는 환기는 열교환부를 걸쳐 한 쌍의 송풍팬(65a,65b)으로 유입되고 송풍팬(65b)으로부터 유입되는 급기는,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 측 댐퍼(40a)를 통해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어 장구간 토출부재(20b)를 통해 공기조화 실내의 장구간으로 토출되고,
한편, 송풍팬(65a)으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중구간 토출영역(15) 측 댐퍼(40b)를 통해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어 중구간 토출부재(30c)를 통해 공기조화 실내의 중구간으로 토출되어 공기조화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방(또는 난방)하게 된다. 장구간 토출부재(20b) 및 중구간 토출부재(30c)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부터 열부하를 흡수하여 다시 공기조화기(50b)로 환기되며, 이와 같은 작용은 반복된다.
그리고 장구간 토출영역(13) 및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댐퍼(40a, 40b)로 조절하면, 공기조화 실내공간의 장구간 영역 또는 중구간 영역에 토출 공기량이 조절된다.
또한, 공기조화 실내공간의 장구간 영역 또는 중구간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공기조화를 정지할 때에는 공기조화기(50b)는 부하(풍량 및 열부하) 감축 제어운전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그 정지할 영역의 급기 댐퍼(40a 또는 40b)를 폐쇄(Close)하여 공기조화를 정지한다.
한편, 공기조화 정지영역의 해제 운전은 정지의 역순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 만, 본 고안이 기술적 사상이나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변형된 구성을 용이하게 구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 예들은 그 실시 예가 특정하는 기술적 특징 및 작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과 그 변형으로부터 얻은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는,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마다 독립적으로 급기할 수 있고, 중구간 토출영역과 장구간 토출영역 각각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중구간 토출영역의 토출부재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단구간 및 중구간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함과 동시에 장구간 토출영역의 토출부재로부터 토출되는 급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장구간 실내 공간영역에 급기를 이르게 할 수 있고, 공기조화 실내의 냉방(또는 난방)의 과잉 및 결핍의 편차 영역을 감소시키어 공기조화 실내 공간 전반에 공기조화 환경을 향상할 수 있으며, 중구간 실내 공간 및 장구간 실내 공간영역 모두에 급기하거나 이들 영역 중 공기조화가 요구되는 일영역에 선택적으로 급기할 수 있고, 운전 에너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의 이점이 있다.
1a, 1b, 1c, 1d ; 토출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10a, 10b, 10c, 10d ; 토출장치
11a, 11b, 11c ; 토출챔버 12a, 12b ; 구획부재
13 ; 장구간토출영역 14 ; 지지부
15 ; 중구간토출영역 16 ; 점검부
17a, 17b, 17c ; 결합부재 18a, 18b, 18c, 18d ; 토출덕트
19 ; 토출분기구 20a, 20b ; 장구간토출부재
22, 32 ; 장착부 21 ;노즐
25 ; 제트팬 26 ; 팬실린더
30a, 30b, 30c ; 중구간토출부재
33 ; 디퓨셔 노즐 35 ; 노즐댐퍼부
40a, 40b ; 댐퍼 41a, 41b ; 댐퍼 링키지
45a, 45b ; 댐퍼작동부 50a, 50b ; 공기조화기
51, 251 ; 케이싱 52, 252 ; 격판
53a, 53b, 253 ; 토출개구 54, 254 ; 흡기부
55 ; 연결덕트 57 ; 외기도입부
60a, 60b ;송풍팬부 61a. 61b, 261 ; 팬하우징
62a, 62b, 262 ;팬토출구 63, 263 ; 팬날개
65a, 65b, 260 ; 송풍팬 67, 267 ; 모터
71, 271 ; 냉방열교환기 75, 275 ; 난방열교환기
80, 280 ; 공기필터 85, 285 ; 그릴부재
100 ; 공기조화 실내 110 ; 칸막이벽
120 ; 기계실 210 ; 토출부
215 ; 토출영역 230 ; 토출그릴

Claims (11)

  1.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51)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 (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격판(52)의 상면과 면하는 상기 케이싱(51)의 상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토출챔버(11a)와;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a)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며, 상기 토출덕트(18a)의 장구간 토출면적과 중구간 토출면적으로 안분한 경계지점으로부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의 경계지점까지 곡면을 이루게 구획하는 구획부재(12a)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 (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 (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2.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51)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징 (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어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중구간 토출챔버(11b)와;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을 형성하는 장구간 토출챔버(11c)와;
    하단부는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장구간 토출챔버(11c)의 저부 일영역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급기를 안내하는 토출분기구(19)가 형성되고,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b)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 (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3.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51)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1a)과 상기 팬하우 징(61a)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상기 송풍팬 (65a)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격판(52)의 상면과 면하는 상기 케이싱(51)의 상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토출챔버(11a)와;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a)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과 중구간 토출영역(15)을 구획하며, 상단부는 상기 토출챔버(11a)의 상부벽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분기구(19)가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구조인 구획부재(12b)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 (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 (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4. 일영역에 흡기부가 구성되는 케이싱(51)내에 열교환영역과 토출영역을 구획하며, 토출개구(53a, 53b)가 형성되는 격판(52), 상기 토출영역의 측벽에 형성되는 토출 그릴, 상기 열교환영역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개구(53a, 53b)에 결합되는 팬토출구(62a, 62b)를 형성하는 팬하우징 (61a, 61b)과 상기 팬하우징(61a, 61b)내에 배치되는 팬날개(63)로 구성되는 송풍팬(65a, 65b), 상기 송풍팬(65a, 65b)을 구동하는 모터(67)를 갖는 송풍팬부(60a, 60b), 상기 흡기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 및 그릴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되어 중구간 토출영역(15)을 형성하는 중구간 토출챔버(11b)와;
    상기 중구간 토출챔버(11b)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장구간 토출영역(13)을 형성하는 장구간 토출챔버(11c)와;
    하단부는 상기 토출개구(53b)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장구간 토출챔버(11c)의 저부 일영역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결합되 며,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c)와;
    하단부가 상기 토출개구(53a)와 연통하게 상기 격판(5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가 배치되는 토출덕트(18d)와;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장구간 토출부재 (20a, 20b)와;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의 측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구간 토출부재 (30a, 30b, 3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간 토출영역(13)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a) 및 상기 중구간 토출영역(15)으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댐퍼(40b)에는, 풍량을 조절하는 수동 개폐레버 또는 제어신호로 작동되는 전동 액추에이터(actuator) 중 어느 하나인 댐퍼작동부(45a, 45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는, 토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트노즐(20a) 또는 제트팬 노즐(20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7.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구간 토출부재는, 토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펑커노즐(30a, 30b) 또는 제트 디퓨셔(30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간 토출부재(20a, 20b) 및 중구간 토출부재(30a, 30b, 30c)에는, 급기 토출량(또는 풍속)을 조절하는 노즐댐퍼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 열교환기(71) 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75)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10.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1)에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5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11.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팩케이지 에어컨(Packaged air conditioner), 냉난방기 (Cooling and heating unit), 에어 핸드링 유닛(Air handling unit), 항온 항습기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unit) 또는 온풍기(Fan heat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KR2020110001854U 2011-03-07 2011-03-07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KR200456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54U KR200456682Y1 (ko) 2011-03-07 2011-03-07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54U KR200456682Y1 (ko) 2011-03-07 2011-03-07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682Y1 true KR200456682Y1 (ko) 2011-11-11

Family

ID=5367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854U KR200456682Y1 (ko) 2011-03-07 2011-03-07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6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57B1 (ko) * 2012-11-22 2013-07-16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주차장용 배기가스 다단 유인팬
WO2020037405A1 (en) * 2018-08-21 2020-02-27 9381-6031 Québec Inc. Apparatus for bedding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use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57B1 (ko) * 2012-11-22 2013-07-16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주차장용 배기가스 다단 유인팬
WO2020037405A1 (en) * 2018-08-21 2020-02-27 9381-6031 Québec Inc. Apparatus for bedding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use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2074Y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150075934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156295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KR10061710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456682Y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JP200400386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換気空調ユニット
JPH08226668A (ja) 天井埋込型換気空調ユニット
JPH037821A (ja) 空調設備
KR1006726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 열교환유닛
JP6626550B1 (ja) 住宅用空気調和装置
JP5489794B2 (ja) 送風装置
KR1024927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2016099034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調整方法及び空気調和設備の製造方法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KR100566800B1 (ko) 공기조화기
JP2004045029A (ja) 換気システム
CN218627080U (zh) 空调室内机
CN201129803Y (zh) 一种采用新型风道系统的分体落地式空调器
KR20180034980A (ko) 공기 조화기
KR102485757B1 (ko) 공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20220152817A (ko) 독립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창문형 에어컨 냉장고
JPH05322208A (ja) 空調機
KR20030045746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에 사용될수 있는 시로코팬
KR100734363B1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