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500Y1 -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00Y1
KR200456500Y1 KR2020090008445U KR20090008445U KR200456500Y1 KR 200456500 Y1 KR200456500 Y1 KR 200456500Y1 KR 2020090008445 U KR2020090008445 U KR 2020090008445U KR 20090008445 U KR20090008445 U KR 20090008445U KR 200456500 Y1 KR200456500 Y1 KR 200456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oard
slide
picture
pan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145U (ko
Inventor
정광선
Original Assignee
박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대 filed Critical 박영대
Priority to KR2020090008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0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림 판넬을 파티션 보드 전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파티션 보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림 판넬의 그림을 사용자의 취향대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어 실내의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은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 상기 파티션 보드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일 측에 슬라이드 삽입 홈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 상기 파티션 보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 및 상기 파티션 보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그림 판넬을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그림 판넬, 상부 프레임

Description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Slide Type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그림 판넬을 파티션 보드 전면에 슬라이드 구조로 탈부착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다수개의 판넬과 그 판넬 들을 연결시키고 가장자리를 마무리하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제한된 실내공간을 분할하여 공간의 효율의 극대화로 업무의 능률 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아울러 창의적인 업무 환경을 만드는 가구를 말한다.
또한, 파티션은 이동이나 재배치가 간단하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줌으로써 특히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서는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은 가구이다.
그러나 종래 파티션은 실내 공간을 분리하는 기능만을 갖는 것으로 파티션 보드(외벽)의 외면의 심각한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파티션 보드의 외면의 세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파티션 보드를 세척하더라도 파티션 보드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종래 파티션은 파티션 보드의 디자인이 한가지로 셋팅(고정)되어 있기 때문 에 사용 도중에 싫증이 나거나 실내 분위기를 바꾸고자 할 경우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림 판넬을 파티션 보드 전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파티션 보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림 판넬의 그림을 사용자의 취향대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어 실내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은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 상기 파티션 보드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일 측에 슬라이드 삽입 홈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 상기 파티션 보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 및 상기 파티션 보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그림 판넬을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은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그림 판넬의 전면을 커버하는 투명재질의 투명판넬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후에 형성되며, 상기 그림 판넬은 상기 파티션 보드의 전면과 배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은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 상기 파티션 보드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 상기 파티션 보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파티션 보드와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 및 상기 파티션 보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 보드와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상기 그림 판넬을 슬라이드 삽입시켜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림 판넬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림 판넬을 분리 보관하여 두었다가, 파티션 보드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실내 분위기를 바꾸기 위하여 그림 판넬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림 판넬을 파티션 보드 전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파티션 보드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림 판넬의 그림을 사용자의 취향대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어 실내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및 도 4는 도 1의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연이어 설치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100)은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110);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일 측에 슬라이드 삽입 홈(121)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120);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30);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140); 및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50);을 포함하되, 상기 그림 판넬(140)을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100)은 전면에만 그림 판넬(140)이 설치되는 구조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10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파티션 보드(110)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판체로 형성되며, 외면에 천 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120)은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일 측에 슬라이드 삽입 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30)은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130)이 결합되는 구조는 통상의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그림 판넬(140)은 본 고안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부품으로, 전면에는 그림이 도안되어 있다.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에 도안되는 그림은 사용자가 직접 그릴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은 그림필름을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에 도안되는 그림은 특정 그림에 한정되지 않으며 문자, 기호, 각종 풍경화, 인물화 등이 모두 포함된다.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에는 투명재질의 투명 판넬(160)이 위치하는바, 상기 투명 판넬(160)은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을 커버 한다.
상기 투명 판넬(160)은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 판뿐만 아니라 상기 그림 판넬(140)을 커버 하면서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에 있는 그림을 가리지 않는 투명재질이면 모든 것이 다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150)은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100)은 상기 그림 판넬(140)을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150)은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 안에 삽입된 그림 판넬(140)을 하방으로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100)들은 연결볼트(미도시)에 의해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볼트는 통상의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1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양쪽 측면에 측면 프레임(120)을 결합하고,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13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림 판넬(14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에 그림 판넬(140) 및 투명 판넬(160)을 끼워 슬라이드 삽입하여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150)을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 안에 삽입된 그림 판넬(140) 및 투명 판넬(160)을 하방으로 눌러 고정한다.
상기 그림 판넬(1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50)을 상기 측면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그림 판넬(140) 및 투명 판넬(160)을 슬라이드 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분리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200)은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210); 상기 파티션 보드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양쪽에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220);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230);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전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그림 판넬(240)(240'); 및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50);을 포함하되, 상기 그림 판넬(240)(240')을 각각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2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양쪽 측면에 측면 프레임(220)을 결합하고, 상기 파티션 보드(210)(2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23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그림 판넬(240)(24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에 각각 그림 판넬(240)(240')을 끼워 슬라이드 삽입하여 상기 파티션 보드(210)(2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250)을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 안에 삽입된 그림 판넬(240)(240')을 하방으 로 눌러 고정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분리 사시 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300)은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310);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320);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330);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파티션 보드(310)와 상기 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340); 및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350);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 보드(310)와 상기 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상기 그림 판넬(340)을 슬라이드 삽입시켜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300)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티션(100)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티션(200)과는 달리 슬라이드 삽입 홈이 없는 구조로, 사용자가 상기 파티션 보드(310)와 상기 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그림 판넬(340)을 끼워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그림 판넬(340)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3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양쪽 측면에 측면 프레임(320)을 결합하고,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33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그림 판넬(34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파티션 보드(310)와 상기 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그림 판넬(340) 및 투명 판넬(360)을 끼우고 슬라이드 삽입하여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350)을 상기 측면 프레임(320)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상기 그림 판넬(340) 및 투명 판넬(360)을 하방으로 눌러 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림 판넬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림 판넬을 분리 보관하여 두었다가, 파티션 보드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실내 분위기를 바꾸기 위하여 그림 판넬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림 판넬을 파티션 보드 전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파티션 보드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림 판넬의 그림을 사용자의 취향대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어 실내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연이어 설치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00: 파티션
110: 파티션 보드
120: 측면 프레임
121: 슬라이드 삽입 홈
130: 하부 프레임
140: 그림 판넬
150: 상부 프레임
160: 투명 판넬

Claims (4)

  1.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110);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일 측에 슬라이드 삽입 홈(121)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120);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30);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140); 및
    상기 파티션 보드(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50);을 포함하되,
    상기 그림 판넬(140)을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121)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그림 판넬(140)의 전면을 커버하는 투명재질의 투명 판넬(160)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3.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210);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며, 양쪽에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220);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230);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240)(240'); 및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50);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은 각각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전후에 형성되며, 상기 그림 판넬(240)(240')은 상기 파티션 보드(21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그림 판넬(240)(240')을 각각 상기 슬라이드 삽입 홈(221)(221')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4. 일정두께를 갖는 파티션 보드(310);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320);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330);
    전면에 그림이 도안되며, 상기 파티션 보드(310)와 상기 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끼워져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림 판넬(340); 및
    상기 파티션 보드(3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350);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 보드(310)와 상기 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상기 그림 판넬(340)을 슬라이드 삽입시켜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KR2020090008445U 2009-06-30 2009-06-30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KR200456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445U KR200456500Y1 (ko) 2009-06-30 2009-06-30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445U KR200456500Y1 (ko) 2009-06-30 2009-06-30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145U KR20110000145U (ko) 2011-01-06
KR200456500Y1 true KR200456500Y1 (ko) 2011-11-02

Family

ID=4420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445U KR200456500Y1 (ko) 2009-06-30 2009-06-30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99B1 (ko) 2013-05-02 2013-08-06 은종선 가림막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25B1 (ko) * 2020-02-10 2022-05-04 김선미 입체패턴을 제공하는 저부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317A (ja) 2001-07-27 2003-02-12 Yokoyama Keikogyo Kk 屏 風
KR200332218Y1 (ko) 2003-08-05 2003-11-05 조현민 가구용 문짝
KR200332976Y1 (ko)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KR200402951Y1 (ko) 2005-09-07 2005-12-09 김영환 동판에 무늬가 형성된 가구용 도어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317A (ja) 2001-07-27 2003-02-12 Yokoyama Keikogyo Kk 屏 風
KR200332218Y1 (ko) 2003-08-05 2003-11-05 조현민 가구용 문짝
KR200332976Y1 (ko)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KR200402951Y1 (ko) 2005-09-07 2005-12-09 김영환 동판에 무늬가 형성된 가구용 도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99B1 (ko) 2013-05-02 2013-08-06 은종선 가림막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145U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10068U (zh) 一种实用模块化金属框架式柜体
KR200456500Y1 (ko) 슬라이드 타입 파티션
CN202948848U (zh) 一种墙壁开关面板卡接结构
CN109043879B (zh) 一种组合式办公书柜
USD542936S1 (en) Slotted panel screen
CN111374447A (zh) 一种具有防尘散热功能的电脑桌
CN201542198U (zh) 一种屏风的顶置遮屏
KR200456499Y1 (ko) 인서트 타입 파티션
CN201605688U (zh) 新型双层间隔墙结构
CN210276641U (zh) 一种色卡展示架
CN211092399U (zh) 一种可diy拼装的办公家具
CN207370648U (zh) 一种紧固件隐藏的淋浴房型材连接结构
CN215337275U (zh) 一种冰箱门体
CN201056951Y (zh) 替换式门板结构
KR101437478B1 (ko) 파티션과 책상의 고정구
CN217743545U (zh) 一种折叠桌
CA105821S (en) Transformable chair into a desk
JP3130329U (ja) 屏風式の連立額縁
CN219759105U (zh) 一种降低屏幕成本的信息展示屏
CN212405802U (zh) 一种便于安装的装配式立体软硬包结构
CN205736583U (zh) 一种装饰用贴合板材
CN204683378U (zh) 一种烧烤炉
CN207202511U (zh) 一种便于匹配室内设计的书架
JP7482711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CN203597704U (zh) 双面画框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