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73Y1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73Y1
KR200455573Y1 KR2020110001358U KR20110001358U KR200455573Y1 KR 200455573 Y1 KR200455573 Y1 KR 200455573Y1 KR 2020110001358 U KR2020110001358 U KR 2020110001358U KR 20110001358 U KR20110001358 U KR 20110001358U KR 200455573 Y1 KR200455573 Y1 KR 200455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ents
vent valve
ai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이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희 filed Critical 이병희
Priority to KR2020110001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의 상부에 젖꼭지 형태의 인출꼭지가 마련된 꼭지캡;을 구비하는 유아용 젖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부에 선단이 절개된 삼각밀폐부가 마련되고, 외주 하단부에 마련된 제1돌출링과 제2돌출링의 사이에 접속요입홈이 마련된 원통형의 통기밸브를 상기 본체에 형성한 접속구멍에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 {a Nursing Bottle For a Baby}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내용물을 인출할 때에 본체 내부의 압력을 외부 압력과 같도록 하여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가 우유나 물 등을 먹을 때에 사용하는 유아용 젖병은 내부에 내용물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의 상부에 젖꼭지 형태의 인출꼭지가 마련된 꼭지캡;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아용 젖병을 사용하여 유아가 우유나 물을 먹을 때에는 꼭지캡의 인출꼭지를 입에 넣고 빨게 되면 인출꼭지의 선단에 마련된 인출구멍으로 내용물이 인출되는데, 내용물이 인출되면서 본체 내부의 공기가 같이 흡입되므로 초기에는 내용물이 비교적 쉽게 인출되지만 갈수록 본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내용물의 인출이 어렵게 되며, 인출꼭지에서 입을 떼어 인출구멍을 통해 본체 내부에 외부공기를 채워넣지 않게 되면 아예 인출꼭지가 들러붙으면서 내용물이 인출되지 않게 된다.
실제 유아용 젖병을 사용하는 유아는 내용물이 인출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 인출꼭지를 빨게 되고, 더 이상 내용물이 인출되지 않게 되면 비로소 인출꼭지에서 입을 떼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유아가 인출꼭지를 계속적으로 힘껏 빨게 되면 중이염의 위험이 있고, 인출꼭지의 인출구멍을 통해 본체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므로 거품이 생기면서 내용물이 산화될 우려가 많게 되며, 빨기와 공기주입을 위해 인출꼭지에서 입을 떼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공기도 함께 마시게 되어 배않이를 하게 될 우려도 많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꼭지캡의 접속부에 통기구멍을 내어 본체 내부로 항상 공기가 들어가도록 한 유아용 젖병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유아용 젖병은 본체 내부에 항상 공기가 순환되어 공기의 부족함으로 인한 인출꼭지 들러붙음 현상이 방지되고, 항상 일정한 양의 내용물이 인출될 수 있게 되며, 내용물에 기포가 생기지 않아 산화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본체 내부에 공기가 항상 유통되므로 유아가 인출꼭지를 빨지 않고 입에 물고 있어도 유아의 의사에 관계없이 내용물이 인출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유아가 인출꼭지를 빨다가 자는 경우 잘못되면 내용물이 기도로 흘러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아기가 빨아서 배출공을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는 젖꼭지와 내용물이 담기는 젖병본체로 이루어진 통상의 젖병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의 양측이면서 꼭지캡과의 연결부분에 공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상기 젖병본체로 유입되도록 통기공이 그 양측내부로 관통 형성되면서 그 하측의 공기유입대 내부에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로에 연결되는 통기연결구가 상기 젖꼭지와 젖병본체 사이에 끼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대의 공기유입시 내용물에 기포가 생기지 않고 공기유입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상기 통기연결구 하측의 저장구끼움구에 공기저장구가 끼움 형성되고, 상기 젖병본체 내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로가 저장구끼움구 외측의 통기연결구 내부로 관통되어 꼭지결합구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젖병이 제안된 바 있다.(특허공개 제2003-91620호)
상기 종래의 통기성 젖병은 공기가 젖꼭지 측부의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어 공기주홈에 저장되면서 젖병 안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배출공과 공기유입공을 크기와 수를 여러 단계의 젖꼭지를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아기가 젖꼭지를 빨 때만 내용물이 배출되어 자면서 젖꼭지를 물 때 내용물이 기도로 넘어가거나 아이가 넘어져도 젖병이 잘 새지 않게 되고, 아기의 성장에 따라 한 젖병에 공기유입공과 배출공의 크기와 수를 달리하는 여러 단계의 젖꼭지를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아기가 젖꼭지를 힘껏 빨지 않아도 내용물이 잘 배출되므로 중이염의 위험이 적고, 내용물에 기포가 생기지 않아 내용물이 산화될 위험성도 없으며, 산화된 내용물이나 기포 및 공기를 마시지 않게 되어 배앓이를 현저히 감소시키게 되는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지만 다수의 부품이 사용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원가가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통기연결구, 공기유입대, 공기저장구 등의 세척이 매우 번거롭게 되어 위생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젖병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본체 내부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흡입꼭지를 통한 내용물 인출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면서도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세척 및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젖병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은 본체의 일측에 흡입꼭지를 통해 내용물을 인출할 때에만 외부 공기가 본체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기밸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의 상부에 젖꼭지 형태의 인출꼭지가 마련된 꼭지캡;을 구비하는 유아용 젖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부에 선단이 절개된 삼각밀폐부가 마련되고, 외주 하단부에 마련된 제1돌출링과 제2돌출링의 사이에 접속요입홈이 마련된 원통형의 통기밸브를 상기 본체에 형성한 접속구멍에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에 있어서 통기밸브는 삼각밀폐부의 하부에 개폐탄성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3돌출링이 마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에 의하면 꼭지캡의 인출꼭지를 통해 내용물을 인출할 때에만 통기밸브의 삼각밀폐부가 개방되어 본체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므로 내용물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며, 내용물이 인출되지 않을 때에는 본체 내부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통기밸브만을 본체에 설치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통기밸브의 부피가 작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 절제 정면도
도 1b는 동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일부 절제 정면도
도 2a는 동 실시예의 통기밸브 설치부위의 종단면도
도 2b는 동 실시예의 통기밸브 설치부위의 삼각밀폐부 개방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통기밸브의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 절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동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일부 절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에는 동 실시예의 통기밸브 설치부위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동 실시예의 통기밸브 설치부위의 삼각밀폐부 개방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통기밸브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3과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이 개구된 통형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접속되는 접속부(121)의 상부에 인출꼭지(122)가 마련된 꼭지캡(120);을 구비하는 유아용 젖병(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부에 선단이 절개된 삼각밀폐부(134)가 마련되고, 외주 하단부에 마련된 제1돌출링(131)과 제2돌출링(132)의 사이에 접속요입홈(135)이 마련된 원통형의 통기밸브(130)를 상기 본체(110)에 형성한 접속구멍(113)에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100)에 있어서 통기밸브(130)는 탄성력이 양호한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되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밸브(130)는 삼각밀폐부(134)의 하부에 개폐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돌출링(133)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밸브(130)는 본체(110)의 하단에 형성된 접속구멍(113)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통기밸브(130)는 본체(110)의 하단 뿐 아니라 본체(110)의 외주면 등의 다른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100)은 유아가 꼭지캡(120)의 흡입꼭지(122)를 물어서 빨게 되면 흡입꼭지(122)에 형성된 인출구멍(123)을 통해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이 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100)에 있어서는 유아가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과 함께 공기가 인출됨으로써 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부족하게 되어 본체(110)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통기밸브(130)의 삼각밀폐부(134)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본체(110)의 내부로 충전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용물의 인출을 중지하게 되면 삼각밀폐부(134)가 자체 탄성력을 통해 닫히게 되어 통기밸브(130)를 통한 본체(11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내용물의 외부 유출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100)에 있어서는 유아가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만 통기밸브(13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내용물의 인출을 중지하게 되면 곧바로 통기밸브(130)가 닫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100)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통기밸브(130)만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제작이 간편하게 됨은 물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세척 및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유아용 젖병
110 : 본체
113 : 접속구멍
120 : 꼭지캡
121 : 접속부
122 : 흡입꼭지
130 : 통기밸브
131 : 제1돌출부
132 : 제2돌출부
133 : 제3돌출부
134 : 삼각밀폐부
135 : 접속요입홈

Claims (2)

  1. 삭제
  2. 내부에 내용물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이 개구된 통형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접속되는 접속부(121)의 상부에 인출꼭지(122)가 마련된 꼭지캡(120);을 구비하며, 상단부에 선단이 절개된 삼각밀폐부(134)가 마련되고, 외주 하단부에 마련된 제1돌출링(131)과 제2돌출링(132)의 사이에 접속요입홈(135)이 마련된 원통형의 통기밸브(130)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접속구멍(113)에 설치된 유아용 젖병에 있어서, 상기 통기밸브(130)는 삼각밀폐부(134)의 하부에 개폐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돌출링(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KR2020110001358U 2011-02-18 2011-02-18 유아용 젖병 KR200455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58U KR200455573Y1 (ko) 2011-02-18 2011-02-18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58U KR200455573Y1 (ko) 2011-02-18 2011-02-18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573Y1 true KR200455573Y1 (ko) 2011-09-15

Family

ID=4508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58U KR200455573Y1 (ko) 2011-02-18 2011-02-18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66A (ko) 2019-12-28 2021-07-07 김여진 다기능 젖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287U (ko) * 1974-07-12 1976-01-27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287U (ko) * 1974-07-12 1976-01-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66A (ko) 2019-12-28 2021-07-07 김여진 다기능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135B2 (en) Artificial nipple and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JP6010604B2 (ja) 乳首ユニット
US20160346168A1 (en) Nursing bottle having air returning function
CN104274034A (zh) 一种吸管及其杯盖
KR200455573Y1 (ko) 유아용 젖병
US10799426B2 (en) Nipple structure
RU2014146200A (ru) Де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ья
CN202605339U (zh) 一种具有防回流的防胀气防泄漏奶瓶
CN103271828A (zh) 一种具有回气功能的奶瓶
TW201838615A (zh) 奶瓶奶嘴及於其中形成開口之方法
CN108814986A (zh) 婴儿奶瓶
JP2011131052A (ja) 二開口式哺乳瓶
KR101213196B1 (ko) 기능성 젖병
CN208031533U (zh) 一种具有防止空气倒吸及防漏功能的奶/水瓶
CN205145154U (zh) 带透气结构的饮用瓶
CN203885874U (zh) 奶瓶
KR200484185Y1 (ko) 젖병
JP3158467U (ja) 二開口式哺乳瓶
CN210728232U (zh) 吸管内置单向阀
CN204033802U (zh) 一种透气奶瓶结构
CN209662227U (zh) 一种奶瓶
CN204932310U (zh) 具有空气阻隔结构的鼻胃管
CN208823476U (zh) 一种防残留液奶嘴、奶嘴组件及奶瓶
KR101536223B1 (ko) 유아용 음료병
ES2694974T3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para líquid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