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464Y1 -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 Google Patents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464Y1
KR200455464Y1 KR2020090004688U KR20090004688U KR200455464Y1 KR 200455464 Y1 KR200455464 Y1 KR 200455464Y1 KR 2020090004688 U KR2020090004688 U KR 2020090004688U KR 20090004688 U KR20090004688 U KR 20090004688U KR 200455464 Y1 KR200455464 Y1 KR 200455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water
air
culture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589U (ko
Inventor
오정규
Original Assignee
오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규 filed Critical 오정규
Priority to KR2020090004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6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6Conditioning fluids entering or exiting the reaction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6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filtration, ultrafiltration, inverse osmosis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1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by light emit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reactor, e.g. LED or O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양되는 플랑크톤에 최적 배양조건들을 부여하여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배양수조에 배양수를 공급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을 배양하는 배양수조에 있어서, 상기 배양수조(1)의 하부에는 배양수를 공급하는 워터 카트리지 필터(2)를 갖춘 워터펌프(3)와, 오존 발생기(4), CO2 공급부(5) 및, 공기필터(6)를 갖춘 에어펌프(7)가 내장되고, 이들은 각각의 연결관(8a~8d)들을 통하여 배관 배선몰드(9)를 매개로 배양수조(1)의 상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터펌프(3)에 연결되는 워터 연결관(8a)은 뚜껑(10)으로 개폐되는 배양수조(1)의 상부에 위치하고, CO2 연결관(8b)과 에어 연결관(8c)은 3방 밸브(11)와 연결 커넥터(12)를 거쳐 수중 형광등(13)을 감싸는 에어 분사 원통체(14)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Culture water tank for plant plankton}
본 고안은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양되는 플랑크톤에 최적 배양조건들을 부여하여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에 관한 것이다.
경제적인 양식산업을 위해 식물성 플랑크톤을 대량 배양시켜 공급하여야 하는바, 여기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와편 모조류와 같은 플랑크톤으로서, 물속에서 부유생활을 하고 있는 단세포 조류를 칭한다.
이 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을 대량 배양시키는 배양수조는 종래에도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종래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는 각종 플랑크톤 배양에 필요한 영양분, 영양수 및 CO2 공급설비들이 외부에 설치된 공급장치들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배양수조가 경제적이지 못하였으며, 또한 배양수 순환 등이 원활하지 못하여 배양되는 플랑크톤이 폐사되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에 필요한 각종 조건들을 부여하면서 수중조명으로 인한 배양수조의 고른 조도와 에어분사로 원활한 배양수 대류 순환효과가 증대되어 대량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을 배양할 수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명한 배양수조에 배양수를 공급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을 배양하는 배양수조에 있어서, 상기 배양수조의 하부에는 배양수를 공급하는 워터 카트리지 필터를 갖춘 워터펌프와, 오존 발생기, CO2 공급부, 공급필터를 갖춘 에어펌프가 내장되고 이들은 각각 연결관들을 통하여 배관 배선몰드를 매개로 배양수조의 상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터펌프에 연결되는 워터 연결관은 뚜껑으로 개폐되는 배양수조의 상부에 위치하고, CO2 연결관과 에어 연결관은 3방 밸브와 연결 커넥터를 거쳐 수중 형광등을 감싸는 에어 분사 원통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분사 원통체는 그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원 케이블과 연결된 수중 형광등이 내장되고 이의 상부는 냉각 배풍구가 형성되며, 이의 하단은 배양수조의 하부 고깔형 바닥부에 밀폐 연결되어 배양수 쪽으로 에어 를 폭기시키는 에어 연결관이 연결된 방사형 에어 분사기와 에어 분사 원통체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공급관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깔형 바닥부에는 배양수조의 배양수 배출을 위해 드레인 밸브를 갖춘 드레인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배양수조에서 배양시킬 때 배양에 필요한 요소를 적절하게 자동으로 공급하여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으면서 배양수의 고른 대류 순환효과 증대와 수중 형광등으로 고른 조도실현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갖추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의 부분 분리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 형광등을 내장한 에어 분사 원통체의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수조에 배양수를 공급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을 배양하는 배양수조에 있어서, 상기 배양수조(1)의 하부에는 배양수를 공급하는 워터 카트리지 필터(2)를 갖춘 워터펌프(3)와, 오존 발생기(4), CO2 공급부(5) 및, 공기필터(6)를 갖춘 에어펌프(7)가 내장되고, 이들은 각각의 연결관(8a~8d)들을 통하여 배관 배선몰드(9)를 매개로 배양수조(1)의 상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터펌프(3)에 연결되는 워터 연결관(8a)은 뚜껑(10)으로 개폐되는 배 양수조(1)의 상부에 위치하고, CO2 연결관(8b)과 에어 연결관(8c)은 3방 밸브(11)와 연결 커넥터(12)를 거쳐 수중 형광등(13)을 감싸는 에어 분사 원통체(1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분사 원통체(14)는 그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원 케이블(15)과 연결된 수중 형광등(13)이 내장되고, 이의 상부에는 냉각 통풍기(16)가 형성되며, 이의 하단은 배양수조(1)의 하부 고깔형 바닥부(17)에 밀폐 연결되어 배양수 쪽으로 에어를 폭기시키는 에어 연결관(8c)이 연결된 도너츠 형태의 방사형 에어 분사기(18)와 이 에어 분사 원통체(14)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공급관(2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깔형 바닥부(17)에는 배양수조(1)의 배양수 배출을 위해 드레인 밸브(21)를 갖춘 배출 드레인 관(22)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중 형광등(13)을 내장한 에어분사 원통체(14)는 이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3)를 이용하여 배양수조(1)의 고깔형 바닥부(17)에 형성되어 배출 드레인 관(22)이 연결되는 배출구(24)에 밀폐식으로 삽입 분리되어 진다.
또한, 상기 배양수조(1)는 고깔형 바닥부(17) 아래쪽은 불투명 수지의 하부 몸체(1a)로, 그리고 이의 위쪽으로는 투명수지의 상부 몸체(1b)로 제작되고, 수중 형광등(13)은 수중 삼파장 광원을 갖추고 에어분사 원통체(14)의 내부에서 방수몰딩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어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배양수조(1)에 공급되는 배양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데, 워터 연결관(8a)과 워터펌프(3)와 필터를 거쳐 이 배양수조(1)의 상부쪽에서 공급되고, 이 배양수에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시 최적의 배양조건을 위해 순수 산소공급과 살균(세척)시 필요에 따라 오존을 오존 발생기(4)를 통해 공급 및 차단할 수 있으며, 이 순수 산소공급 연결관(8d)은 일반 에어와 함께 에어 연결관(8c)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혼합하여 공급되는바, 즉 순수 산소공급과 일반 에어는 에어 연결관(8c)에 연통된 냉각 공급관(20)을 통하여 일부는 에어 분사 원통체(14)의 내부로 공급되어 냉각 통풍구(16)로 빠져나가고, 나머지 일부는 에어분사 원통체(14)의 하부에 있는 방사형 에어 분사기(18)을 통하여 고깔형 바닥부(17)에서 배양수 상부쪽으로 폭기방식으로 분사되어 이 배양수의 고른 대류순환작용을 도와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배양시 필수사항인 CO2 공급은 CO2 공급부(5)에서 발생된 CO2가 CO2 연결관(8b)을 통하여 에어 연결관(8c)으로 공급됨에 따라 에어 공급시 필요에 따라 CO2 공급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일반 에어 공급시 일반 에어는 자외선 살균기(25)를 거쳐 에어 연결관(8c)으로 공급되어 진다.
한편, 상기 에어 분사 원통체(14) 내부에 장착된 수중 형광등(13)은 전원 케이블(15)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데, 이 수중 형광등(13)의 조명으로 배양수조(1)의 가온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 공급관(20)을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는 냉각 배풍구(16)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의 부분 분리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상세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 형광등을 내장한 에어 분사 원통체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양수조, 2 : 워터 카트리지 필터,
3 : 워터펌프, 4 : 오존 발생기,
5 : CO2 공급부, 6 : 공기필터,
7 : 에어펌프, 8a ~ 8d : 연결관,
9 : 배관 배선몰드, 10 : 뚜껑,
11 : 3방 밸브, 12 : 연결 커넥터,
13 : 수중 형광등, 14 : 에어 분사 원통체,
15 : 전원 케이블, 16 : 냉각 통풍구,
17 : 고깔형 바닥부, 18 : 방사형 에어 분사기,
20 : 냉각 공급관, 21 : 드레인 밸브,
22 : 배출 드레인 관, 23 : 플랜지부,
24 : 배출구, 25 : 자외선 살균기.

Claims (2)

  1. 배양수조에 배양수를 공급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을 배양하기 위해 상기 배양수조(1)의 하부에는 배양수를 공급하는 워터 카트리지 필터(2)를 갖춘 워터펌프(3)와, 오존 발생기(4), CO2 공급부(5) 및, 공기필터(6)를 갖춘 에어펌프(7)가 내장되고, 이들은 각각의 연결관(8a~8d)들을 통하여 배관 배선몰드(9)를 매개로 배양수조(1)의 상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터펌프(3)에 연결되는 워터 연결관(8a)은 뚜껑(10)으로 개폐되는 배양수조(1)의 상부에 위치하고, CO2 연결관(8b)과 에어 연결관(8c) 및 산소 또는 오존 연결관(8d)은 3방 밸브(11)와 연결 커넥터(12)를 거쳐 수중 형광등(13)을 감싸는 에어 분사 원통체(14)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 원통체(14)의 상부에는 냉각 통풍기(16)가 형성되고 이 에어분사 원통체(14)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공급관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2. 삭제
KR2020090004688U 2009-04-20 2009-04-20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KR200455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88U KR200455464Y1 (ko) 2009-04-20 2009-04-20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88U KR200455464Y1 (ko) 2009-04-20 2009-04-20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89U KR20100010589U (ko) 2010-10-28
KR200455464Y1 true KR200455464Y1 (ko) 2011-09-06

Family

ID=4420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688U KR200455464Y1 (ko) 2009-04-20 2009-04-20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8732A1 (en) * 2021-06-22 2022-12-29 Pure Algae Denmark Aps A method for growing algae and underwater plants and bioreactors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710B1 (ko) * 2015-09-01 2016-06-29 주식회사 아썸 플랑크톤 배양장치
KR101655064B1 (ko) * 2015-10-20 2016-09-07 대한민국 Led의 모듈식 교체가 가능한 미세조류 고밀도 대량배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833A (ja) 1999-02-15 2000-08-29 Ebara Jitsugyo Co Ltd 動物プランクトンの培養装置及び培養方法
JP2006014627A (ja) * 2004-06-30 2006-01-19 Koito Ind Ltd 培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833A (ja) 1999-02-15 2000-08-29 Ebara Jitsugyo Co Ltd 動物プランクトンの培養装置及び培養方法
JP2006014627A (ja) * 2004-06-30 2006-01-19 Koito Ind Ltd 培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8732A1 (en) * 2021-06-22 2022-12-29 Pure Algae Denmark Aps A method for growing algae and underwater plants and bioreactor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89U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6352B2 (en) 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rocess fluid
JP5756482B2 (ja) 微生物を培養しガスを軽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FI115060B (fi) Analyysi- ja kasvatuslaitteisto
CN210193886U (zh) 一种高效封闭式海洋微藻培养光生物反应器
US20120021505A1 (en) Circulatory photobioreactor
KR200455464Y1 (ko)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수조
WO2021088128A1 (zh) 一种藻类养殖光生物反应釜及含其的连续培养反应系统
CN114606103B (zh) 一种杂合式光生物反应器
CN102031225B (zh) 一种在线刷洗的微藻培养装置
KR101655064B1 (ko) Led의 모듈식 교체가 가능한 미세조류 고밀도 대량배양 장치
KR101223414B1 (ko) 가축분뇨의 혐기소화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제조장치의 발효조 및 그 제조방법.
JP7412098B2 (ja) 藻類培養装置
KR100729393B1 (ko) 토양미생물 배양기
CN104770316A (zh) 农业综合养殖系统
US20140256023A1 (en) Biomass-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ed in said method
CN201395597Y (zh) 一种快速养殖微藻的装置
CN209017604U (zh) 一种植物培养基
WO2008111643A1 (ja) 有機汚水処理装置
KR102189633B1 (ko) 배양기
CN203748462U (zh) 新型水族缸
CN102344888A (zh) 循环式光生物反应器
KR101889410B1 (ko) 에어포켓 순환기를 이용한 미세조류 광배양기
CN205389586U (zh) 灵芝培养装置
CN206502810U (zh) 螺旋藻养殖系统
CN101297636A (zh) 液相植物无糖快速生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