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41Y1 -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41Y1
KR200455341Y1 KR2020080004215U KR20080004215U KR200455341Y1 KR 200455341 Y1 KR200455341 Y1 KR 200455341Y1 KR 2020080004215 U KR2020080004215 U KR 2020080004215U KR 20080004215 U KR20080004215 U KR 20080004215U KR 200455341 Y1 KR200455341 Y1 KR 200455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duct
case
lower case
walk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055U (ko
Inventor
김용웅
Original Assignee
케이비오토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오토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오토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4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4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산설비(10)와 이들 사이의 작업자 통로(12)가 생산설비의 라인을 따라 배치된 가공형 워크웨이(14)가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구조물(16)과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직기둥(18)으로 구성되는 것을 이용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워크웨이(14)의 상기 수평구조물(16)이 사각단면의 형태이고 연속하여 연장되는 덕트케이스(22)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자 통로(12)의 위치에서 상기 덕트케이스(22)의 하측으로 저면부(36)와 양측의 경사면(38)(38')을 갖는 하부케이스(34)가 착설되며, 상기 하부케이스(34)의 내부에 상기 작업자 통로(12)를 향하여 하측으로 향하는 팬코일유니트(40)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4)의 상기 저면부(36)에 저면조명기구(42)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34)의 상기 경사면(38)(38')에 측면조명기구(44)가 배치된다. 상기 덕트케이스(22)내에는 냉난방유체의 유입관(24)과 유출관(26), 드레인배관(28), 전기케이블(30) 및 통신케이블(32) 등이 배치된다.
덕트장치, 가공워크웨이.

Description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INTEGRATED DUCT APPARATUS USING OVERHEAD WALKWAY}
본 발명은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가공형(架空形)의 워크웨이(walkway)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쾌적한 냉난방의 공급과 밝은 조명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의 산업시설내에 냉난방, 환기 또는 조명을 위한 덕트장치는 천장에 근접하게 덕트케이스가 착설되고 이를 통하여 냉난방유체의 유입 및 유출관, 환기관, 조명케이블, 구내통신케이블 등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냉난방을 위한 팬코일유니트가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상기 언급된 냉난방유체의 유입 및 유출관이 인출연결되며, 조명기구에 조명케이블로부터 인출된 급전선이 연결되고, 각종 통신단말기 등이 덕트케이스내에 배치된 구내통신케이블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된 덕트케이스는 냉난방유체의 유입 및 유출관, 환기관, 조명케이블, 구내통신케이블 등이 통합되어 배치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러한 통합형 덕트장치는 각종 덕트를 통합하여 배치한다 는 잇점 이외에 달리 이용효율이 높은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냉난방 또는 조명을 위한 덕트장치를 생산설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공형의 워크웨이에 설치함으로서 생산설비 주위의 작업자에 대하여 양호한 냉난방의 조성과 밝은 조명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이 길게 설치되는 생산설비의 경우 작업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이러한 생산설비의 상부에 생산설비의 라인을 따라서 가공형 워크웨이가 설치된다. 이러한 워크웨이는 작업자가 반제품 등의 운반에 어려움이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워크웨이의 하측에 배치된 생산설비 주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비교적 근접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러한 가공형 워크웨이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덕트장치를 제공하고 생산설비 주위의 조명과 냉난방의 조성이 이러한 생산설비와 이에 근접한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양호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생산설비와 이들 사이의 작업자 통로가 생산설비의 라인을 따라 배치된 가공형 워크웨이가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구조물과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직기둥으로 구성되는 것에 구현되는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워크웨이의 상기 수평구조물이 사각단면의 형태이고 연속하여 연장되는 덕트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자 통로의 위치에서 상기 덕트케이스의 하측으로 저면부(36)와 양측의 경사면을 갖는 하부케이스가 착설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작업자 통로를 향하여 하측으로 향하는 팬코일유니트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저면부와 상기 경사면에 저면조명기구와 측면조명기구가 배치된다.
상기 덕트케이스내에는 냉난방유체의 유입관과 유출관, 드레인배관, 전기케이블 및 통신케이블 등이 배치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생산설비(10)와 이들 사이의 작업자 통로(12)가 생산설비의 라인을 따라 배치된 작업장에서 생산설비(10)의 상부측에 가설되는 워크웨이(14)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워크웨이(14)는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구조물(16)과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직기둥(18)으로 구성되며, 수평구조물(16)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휀스(20)가 착설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워크웨이(14)에서 그 하측에는 수직기둥(18) 사이에 생산설비(10)가 배치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생산설비(10) 사이에 작업자 통로(12)가 확보된다. 도 1에서 보인 워크웨이(14)의 구조는 극히 일부만을 보인 것에 지나지 않으나 이를 연장한다고 가정할 때 생산설비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것임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통합형 덕트장치가 이러한 워크웨이(14)를 이용하여 구 성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덕트장치가 워크웨이(14)에 구성됨으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냉난방을 위한 단말기구인 펜코일유니트가 다른 부가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작업자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효율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역시 조명기구의 배치 및 조명효율이 양호하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워크웨이(14)의 수평구조물(16)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연속하여 연장되는 형태인 덕트케이스(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덕트케이스(22)내에는 냉난방유체의 유입관(24)과 유출관(26), 드레인배관(28), 전기케이블(30) 및 통신케이블(3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통로(12)의 상부에 해당하는 워크웨이(14)의 하측에는 그 덕트케이스(22)의 하측으로 하부케이스(34)가 착설된다. 이 하부케이스(34)는 그 저면부(36)의 양측으로 경사면(38)(3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팬코일유니트(40)가 작업자 통로(12)를 향하여 하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팬코일유니트(40)가 작업자 통로(12)를 향하여 하측으로 배치된 위치를 벗어난 저면부(36)에 수직하측으로 향하는 저면조명기구(42)가 배치되어 있고 양측 경사면(38)(38')에는 양측 경사방향으로 광범위한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측면조명기구(44)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34)가 없는 덕트케이스(22)의 부분, 즉 생산설비(10)가 배치된 부분인 덕트케이스(22)의 부분에는 필요에 따라서 수직하측으로 향하는 저면조명기구(46)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덕트장치가 워크웨이(14)의 수평구조물(16)을 구성하는 덕트케이스(22)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에 냉난방, 조명 및 기타 전기 또는 통신을 위한 냉난방유체의 유입관(24)과 유출관(26), 드레인배관(28), 전기케이블(30) 및 통신케이블(32) 등이 배치되며, 작업자 통로(12)에 근접하여 덕트케이스(22)에 부가구성되는 하부케이스(34)에 상기 냉난방유체의 유입관(24), 유출관(26) 및 드레인배관(28)에 연결되는 팬코일유니트(40)가 배치되어 작업자의 작업장에 근접한 위치에서 효율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케이스(34)의 저면부(36)에 매립형태로 배치되는 저면조명기구(42)와 하부케이스(34)의 양측 경사면(38)(38')에 각각 매립형태로 배치되는 측면조명기구(44)는 작업자의 작업장에 광범위하고 밝은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덕트장치가 가공형 워크웨이에 구성되어 있음을 보인 배치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생산설비, 12: 작업자 통로, 14: 워크웨이, 16: 수평구조물, 18: 수직기둥, 34: 하부케이스, 36: 저면부, 38, 38': 경사면, 40: 팬코일유니트, 42: 저면조명기구, 44: 측면조명기구.

Claims (2)

  1. 생산설비(10)와 이들 사이의 작업자 통로(12)가 생산설비의 라인을 따라 배치된 가공형 워크웨이(14)가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구조물(16)과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직기둥(18)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워크웨이(14)의 상기 수평구조물(16)이 사각단면의 형태이고 연속하여 연장되는 덕트케이스(22)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자 통로(12)의 위치에서 상기 덕트케이스(22)의 하측으로 저면부(36)와 양측의 경사면(38)(38')을 갖는 하부케이스(34)가 착설되며, 상기 하부케이스(34)의 내부에 상기 작업자 통로(12)를 향하여 하측으로 향하는 팬코일유니트(40)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4)의 상기 저면부(36)에 저면조명기구(42)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34)의 상기 경사면(38)(38')에 측면조명기구(44)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케이스(22)내에 냉난방유체의 유입관(24)과 유출관(26), 드레인배관(28), 전기케이블(30) 및 통신케이블(32) 등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KR2020080004215U 2008-03-31 2008-03-31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KR200455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15U KR200455341Y1 (ko) 2008-03-31 2008-03-31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15U KR200455341Y1 (ko) 2008-03-31 2008-03-31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55U KR20090010055U (ko) 2009-10-06
KR200455341Y1 true KR200455341Y1 (ko) 2011-08-31

Family

ID=4153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215U KR200455341Y1 (ko) 2008-03-31 2008-03-31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4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295A (ja) 1998-02-06 1999-08-17 Inaba Denki Sangyo Co Ltd 配管ダクト
JP2000018663A (ja) 1998-07-03 2000-01-18 Fuji Denki Sosetsu Co Ltd クリーンルームの局所空調システム
JP2004144434A (ja) 2002-10-28 2004-05-2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295A (ja) 1998-02-06 1999-08-17 Inaba Denki Sangyo Co Ltd 配管ダクト
JP2000018663A (ja) 1998-07-03 2000-01-18 Fuji Denki Sosetsu Co Ltd クリーンルームの局所空調システム
JP2004144434A (ja) 2002-10-28 2004-05-2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55U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9301T3 (es) Banco de trabajo de laboratorio modular
US20170159305A1 (en) Modular processing facility
KR102589654B1 (ko) 진공 펌핑 및/또는 저감 시스템을 위한 모듈
KR200455341Y1 (ko) 가공워크웨이를 이용한 통합형 덕트장치
CN103774869B (zh) 集装箱式控制室
SK1092016U1 (sk) Zariadenie na ventiláciu a/alebo filtráciu vzduchu, najmä v priemyselných halách
CN102767614B (zh) 减速机及其通气装置
US11381068B2 (e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with connection points arranged on side walls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20100005094A (ko) 클린 룸의 임시 그레이팅
CN204084238U (zh) 可调节式荧光灯金属线槽吊装结构
KR20050035216A (ko) 크린룸 천정 설비실의 전선와이어 덕트 설치구조
KR102080275B1 (ko) 건물 내에 기계적 및 전기적 모듈식 조립체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804783B2 (ja) カバー部材
CN210725815U (zh) 一种电动工具散热系统及集成化散热系统
CN210918384U (zh) 一种洁净生产厂房布置结构
CA3015351A1 (en) Modular processing facility
JP2017128932A (ja) 実験室用フレキシブルパーテーションユニット
US10927555B2 (en) Method for improving the ventilation effectiveness of large conditioned air plenum environments including such environments in multilevel raised floor electro-mechanical distribution systems
JP2006125806A (ja) 空調設備、外調機の据付施工方法および空調設備の製造方法
CN204019255U (zh) 数控机床
WO2013006934A3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he fabrication and/or assembly of pipe
CN110461135B (zh) 一种电动工具散热系统及集成化散热系统
JP3211770U (ja) 空調配管用支持具
JP3874710B2 (ja) フロアパネル
CN213020123U (zh) 一种装配式通风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