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961Y1 -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61Y1
KR200454961Y1 KR2020100003010U KR20100003010U KR200454961Y1 KR 200454961 Y1 KR200454961 Y1 KR 200454961Y1 KR 2020100003010 U KR2020100003010 U KR 2020100003010U KR 20100003010 U KR20100003010 U KR 20100003010U KR 200454961 Y1 KR200454961 Y1 KR 200454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ima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이해창
Original Assignee
이해창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창,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이해창
Priority to KR2020100003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는 정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위치하여 평면적으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센서; 상기 스크린 상에 인쇄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프로그램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프로그램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Image output apparauts for outputting video an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image printed on screen}
본 고안은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2개의 평판표시소자가 2차원적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평판표시소자의 위치에 따라 정보의 영상이미지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또는 PDP와 같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평판표시소자 또는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다층 다열로 배치한 멀티비전 영상장치는 평면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벽에 걸어두거나 또는 받침대에 안착시켜 고정하고, 사용자는 평판표시소자의 정면에 위치하여 평판표시소자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를 시청한다. 결국,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의 평판표시소자 및 멀티비전 영상장치는 평판표시소자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만으로 시청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드 방식의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출력장치는 하나의 평판표시소자만 구비되어 평판표시소자가 위치하는 어느 한곳의 영상이미지만 출력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2개의 평판표시소자를 2차원적으로 각각 이동시키고, 상기 평판표시소자가 이동하는 위치좌표에 따라 이미 프로그램된 영상이미지를 각각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평판표시소자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동기화된 영상이미지를 2개의 평판표시소자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정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위치하여 평면적으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센서; 상기 스크린 상에 인쇄된 이미지의 좌표 및 이 좌표에 상응하는 프로그램된 영상 이미지와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프로그램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동기화된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서는 확대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서는 축소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서 확대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서도 확대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서 축소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서도 축소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정보 검색용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또는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를 입력된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위치된 좌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제 1 평판표시소자 또는 제 2 평판표시소자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제 1 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수직빔; 상기 제 1 축에 대해 수직한 제 2 축 방향으로 위치한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수직빔을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수평 구동부 및 상기 제 2 수직빔을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수평 구동부; 및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가 고정되며 제 1 수직빔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를 상기 제 1 수직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수직 구동부 및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가 고정되며 제 2 수직빔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를 상기 제 2 수직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수직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제 1 수평 구동부가 제 1 수평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수평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피니언과, 상기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피니언과 기어 물림된 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 구동부가 상기 제 1 수직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궤도 회전하는 제 1 타이밍 벨트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 중 어느 한 타이밍 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1 수직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가 상기 제 1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제 2 수평 구동부가 제 2 수평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수평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피니언과, 상기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피니언과 기어 물림된 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 구동부가 상기 제 2 수직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궤도 회전하는 제 2 타이밍 벨트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 중 어느 한 타이밍 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2 수직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가 상기 제 2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슬라이드 방식의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는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의 정면에서 2개의 평판표시소자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2개의 평판표시소자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동기화된 영상이미지를 2개의 평판표시소자에 분할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정면에 위치하는 위치좌표에 따라 미리 프로그램된 각각의 영상이미지와 음성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스크린의 이미지와 조화되는 영상이미지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평면적인 광고이미지를 탈피한 다양한 컨텐츠의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출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표시소자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수평 구동부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제 1 평판표시소자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수직구동부의 개략도이고, 5b는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수직구동부의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 및 A'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B 및 B'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출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표시소자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수평 구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5a는 제 1 평판표시소자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수직구동부의 개략도이고, 5b는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수직구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 A'와 B, B'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100)는,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2차원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정면에 관통공(111)이 형성된 패널(110)과, 패널(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관통공(111)을 통해 보이는 배경이 미지가 인쇄된 스크린(120)과, 스크린(12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평판표시소자(130)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 1 수평구동부(140)와, 제 1 평판표시소자(130)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 1 수직구동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스크린(120)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 2 수평구동부(17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 2 수직구동부(1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제 1 수평구동부(140), 제 2 수평구동부(170))와 제 1 수직구동부(150), 제 2 수직구동부(180)에 의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패널(110)의 관통공(111) 내에서 평면적으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수평구동부(140), 제 2 수평구동(170)와 제 1 수직구동부(150), 제 2 수직구동부(180)에 의해 이동하는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그 위치좌표가 위치측정센서(30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200)로 입력되며, 제어부(20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위치좌표에 따라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연결된 제 1 저장부(40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와 연결된 제 2 저장부(500)에 이미 프로그램된 영상이미지를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를 통해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저장부(400) 또는 제 2 저장부(500)에는 스크린(120)에 인쇄된 이미지의 위치좌표 및 이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된 영상 이미지가 저장되고, 이러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 2 저장부(500)에 프로그램된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200)는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앰프(600)를 통해 스피커(70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제 1 평판표시소자(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제 2 평판표시소자(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 중 먼저 이동하여 위치되는 평판표시소자 순으로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앰프(600)는 제 1 저장부(400)에 연결되거나 제 1 저장부(400) 및 제 2 저장부(500)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영상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는 키보드나 입력 단말 등의 입력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부(800)에 입력하면, 제어부(200)는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스크린(120)에 인쇄된 이미지의 좌표를 검색하고, 검색된 좌표로 제 1 평판표시소자(130) 또는 제 2 평판표시소자(160) 중 검색된 좌표에서 수평측 좌표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평판표시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수평구동부(140), 제 1 수직구동부(150), 제 2 수평구동부(170) 또는 제 2 수직구동부(180)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200)는 검색된 좌표가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의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는 경우, 랜덤으로 선택하여 제 1 평판표시소자(130)나 제 2 평판표시소자(160) 중 어느 하나를 검색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 1 평판표시소자(130) 또는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위치하는 경우, 위치된 좌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예를 들면, 제 1 평판표시소자(130)에서는 확대된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 2 평판표시소자(160)에는 축소된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평판표시소자(130)에 축소된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 2 평판표시소자(160)에 확대된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에 모두 확대된 영상 이미지를 각각 출력하거나, 모두 축소된 영상 이미지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00)에서는 동기화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에 분할하여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출력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도, 동기화된 영상이미지를 각 평판표시소자(130, 160)에 분할하여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패널(110)의 정면에는 직사각형의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한쪽 측면은 패널(110)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를 설치할 수 있게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110)의 내부에는 이미지가 인쇄된 스크린(1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20)은 그 이미지가 패널(110)의 관통공(111)을 통해 패널(110) 외측에서도 볼 수 있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12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패널(110)의 정면에 형성된 관통공(111) 내에서 평면적으로, 즉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평판표시소자(1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 1수직 빔(141)과,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 2수직 빔(171)이 패널(110) 정면과 스크린(120)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위치한다. 수직 빔(141, 171)의 상부와 하부에는 레일(112H, 112L)이 패널(11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부 레일(112H)은 제 1 수직 빔(141)의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142)과, 제 1 수직 빔(171)의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172)이 체결되는데, 상부 레일(112H)은 도브테일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레일(112H)에 체결된 브라켓(142, 172)은 상부 레일(112H)을 따라 길이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할 뿐, 상하방향으로는 유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수평구동부(140, 170)에 의해 패널(110)의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제 1 수평구동부(140)와 제 2 수평구동부(17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112L)에는 랙(113)이 형성되고, 제 1 수직 빔(141) 및 제 2 수직 빔(171)의 하단에는 랙(113)과 기어 물림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는 제 1 피니언(143) 및 제 2 피니언(173)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피니언(143) 및 제 2 피니언(173)에는 제 1 수평구동모터(144)의 회전축과 제 2 수평구동모터(174)의 회전축이 각각 연결되어 제 1 수평구동모터(144)와 제 2 수평구동모터(174)의 작동에 의해 제 1 피니언(143) 및 제 2 피니언(173)이 각각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 1 수평구동모터(144)와 제 2 수평구동모터(174)의 작동에 의해 제 1 피니언(143)과 제 2 피니언(173)이 회전하면, 제 1 수직 빔(141) 및 제 2 수직 빔(171)은 하부 레일(112L)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즉, 제 1 수평구동모터(144)와 제 2 수평구동모터(174)의 구동에 의해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패널(11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1 수직 빔(141) 및 제 2 수직 빔(171)에는 수직구동부(150, 180)가 장착되어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킨다.
아래에서는 제 1 수직구동부(150)와 제 2 수직구동부(1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수직 빔(141)의 길이방향으로 제 1 수직구동부(150)의 타이밍 벨트(145)가 장착되고, 제 2 수직 빔(171)의 길이방향으로 제 2 수직구동부(180)의 타이밍 벨트(175)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수직 빔(141, 17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타이밍 풀리(146, 176)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 및 하단부의 타이밍 풀리(146, 176) 중에 어느 하나에는 제 1 수직구동모터(147) 및 제 2 수직구동모터(177)가 각각 연결되어 타이밍 풀리(146, 176)를 각각 회전시킨다. 따라서 수직구동모터(147, 177)의 구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145, 175)는 수직 빔(141, 171)의 길이범위 내에서 궤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궤도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145, 175)의 정면 쪽에는 브라켓(148, 178)이 각각 고정되고, 브라켓(148)에 제 1 평판표시소자(130)가 체결 고정되고, 브라켓(178)에 제 2 평판표시소자(160)가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수직구동모터(147, 177)가 회전하게 되면서,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제 1 수직 빔(141) 및 제 2 수직 빔(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평판표시소자(130)는 제 1 수평구동모터(144)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제 1 수직구동모터(147)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제 2 수평구동모터(174)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제 2 수직구동모터(177)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평구동부(140, 170)와 수직구동부(150, 180)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제 1 평판표시소자(130)와 제 2 평판표시소자(160)는 패널(110)의 정면에 형성된 관통공(111) 내에서 관통공(111)의 대각선 방향으로도 각각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수평구동모터(144, 174)에는 위치측정센서로서 제 1 및 제 2 수평엔코더(148, 178)가 각각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수평구동모터(144, 174)의 회전 수를 측정하고, 제 1 및 제 2 수직구동모터(147, 177)에는 제 1 및 제 2 수직엔코더(149, 179)가 각각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수직구동모터(147, 177)의 회전 수를 측정한다.
상기 본 고안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영상출력장치 110 : 패널
111 : 관통공 120 : 스크린
130 : 제 1 평판표시소자 160 : 제 2 평판표시소자
200 : 제어부 300 : 위치측정센서
400 : 제 1 저장부 500 : 제 2 저장부
600 : 앰프 700 : 스피커
800 : 입력부 141 : 제 1 수직빔
171 : 제 2 수직빔 112H, 112L : 레일
113 : 랙 143 : 제 1 피니언
173 : 제 2 피니언 140 : 제 1 수평구동부
170 : 제 2 수평구동부 150 : 제 1 수직구동부
180 : 제 2 수직구동부

Claims (9)

  1. 정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위치하여 평면적으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센서;
    상기 스크린 상에 인쇄된 이미지의 좌표 및 이 좌표에 상응하는 프로그램된 영상 이미지와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프로그램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및 제 2 평판표시소자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동기화된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서는 확대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서는 축소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서는 확대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서는 확대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에서는 축소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에서는 축소된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정보 검색용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 또는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를 입력된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위치된 좌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제 1 평판표시소자 또는 제 2 평판표시소자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제 1 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수직빔;
    상기 제 1 축에 대해 수직한 제 2 축 방향으로 위치한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수직빔을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수평 구동부 및 상기 제 2 수직빔을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수평 구동부; 및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가 고정되며 제 1 수직빔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를 상기 제 1 수직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수직 구동부 및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가 고정되며 제 2 수직빔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를 상기 제 2 수직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수직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 구동부는 제 1 수평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수평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피니언과, 상기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피니언과 기어 물림된 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 구동부는 상기 제 1 수직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궤도 회전하는 제 1 타이밍 벨트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 중 어느 한 타이밍 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1 수직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평판표시소자는 상기 제 1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 구동부는 제 2 수평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수평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피니언과, 상기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피니언과 기어 물림된 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 구동부는 상기 제 2 수직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궤도 회전하는 제 2 타이밍 벨트와,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 풀리 중 어느 한 타이밍 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2 수직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평판표시소자는 상기 제 2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KR2020100003010U 2010-03-23 2010-03-23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KR200454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10U KR200454961Y1 (ko) 2010-03-23 2010-03-23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10U KR200454961Y1 (ko) 2010-03-23 2010-03-23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961Y1 true KR200454961Y1 (ko) 2011-08-08

Family

ID=4929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010U KR200454961Y1 (ko) 2010-03-23 2010-03-23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53B1 (ko) 2012-03-08 2012-11-01 남한석 비제한적 구동형 프린팅 시스템 및 그 프린팅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035B1 (ko) 2004-12-17 2006-05-12 주식회사 시공테크 슬라이드 방식의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035B1 (ko) 2004-12-17 2006-05-12 주식회사 시공테크 슬라이드 방식의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53B1 (ko) 2012-03-08 2012-11-01 남한석 비제한적 구동형 프린팅 시스템 및 그 프린팅 방법
CN103302977A (zh) * 2012-03-08 2013-09-18 南汉硕 可不受限制移动的印刷系统及其印刷方法
US8679574B2 (en) 2012-03-08 2014-03-25 Han Seok Nam Unlimited movabl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thereof
CN103302977B (zh) * 2012-03-08 2015-04-22 南汉硕 可不受限制移动的印刷系统及其印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6674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panel
KR20180018941A (ko)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51779B (zh) 柔性显示设备
KR102390738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9209B1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219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RU2012113318A (ru) Способ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списков и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даптированное для этого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862275A (zh) 定位系统
US20150109010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test apparatus
KR20200079736A (ko) 영상 정합을 이용한 3d 실내공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454961Y1 (ko)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KR20130090588A (ko) 전자기기
KR101164483B1 (ko)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
JP3883194B2 (ja) 表示装置
US10606110B2 (en) Display panel bracket
US11576270B2 (en) Display apparatus
JP3160260U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CN209729464U (zh) 一种历史信息多元综合辅助展台
US20180033353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shift driving mode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KR100579035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평판표시소자를 구비한 영상출력장치
KR202100284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5184506A (ja) テレビスタンド
US20220189351A1 (en) Display apparatus
CN111720709B (zh) 移动电子显示装置的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