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34Y1 -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 Google Patents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34Y1
KR200454834Y1 KR2020100012647U KR20100012647U KR200454834Y1 KR 200454834 Y1 KR200454834 Y1 KR 200454834Y1 KR 2020100012647 U KR2020100012647 U KR 2020100012647U KR 20100012647 U KR20100012647 U KR 20100012647U KR 200454834 Y1 KR200454834 Y1 KR 200454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ecorative
decoration
coupl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현
Original Assignee
한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996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483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현 filed Critical 한성현
Priority to KR2020100012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사용자의 손에 끼워 착용하도록 이루어진 반지에 있어서, 반지의 몸체 일측에 연결고리가 구비된 복수개의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장식편들로 이루어진 장식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도록 하여 반지의 다양한 연출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삽지공이 구비된 링형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몸체(110)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한쌍의 단부(121)가 구비된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와, 상기 링반지(100)의 연결고리(122)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로 이루어진 장식부(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부(200)는 링형 몸체(110)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쌍의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연결고리(122)는 단부(121)의 면상에 구비된 결합홈(123)에 의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보조 몸체(120-1)가 일부분이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한쌍의 단부(121-1)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1)와, 상기 링반지(100-1)의 연결고리(122-1)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1)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1)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1)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1)로 이루어진 장식부(200-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 효 과 >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장식부가 유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석 등으로 구성된 장식부재의 색상과 광택이 다채롭게 변화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장신미가 돋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고, 제품의 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행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Floating decoration-part with ring}
본 고안은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에 끼워 착용하도록 이루어진 반지에 있어서, 반지의 몸체 일측에 연결고리가 구비된 복수개의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장식편들로 이루어진 장식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도록 하여 반지의 다양한 연출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사용자의 손에 끼워 착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연출과 장신미를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중공이 구비된 링형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 보석과 같은 아이템을 이용한 장식부가 형성되어 반지의 외적인 화려함과 심미감을 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반지들은 장식부의 형태나 구성이 단조롭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반지들은 장식부가 상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지의 심미감이 획일적으로 형성되고 유행이나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사용자의 손에 끼워 착용하도록 이루어진 반지에 있어서, 반지의 몸체 일측에 연결고리가 구비된 복수개의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장식편들로 이루어진 장식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도록 하여 반지의 다양한 연출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삽지공이 구비된 링형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몸체(110)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한쌍의 단부(121)가 구비된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와; 상기 링반지(100)의 연결고리(122)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로 이루어진 장식부(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부(200)는 링형 몸체(110)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쌍의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아울러, 상기 연결고리(122)는 단부(121)의 면상에 구비된 결합홈(123)에 의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몸체(120-1)가 일부분이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복수개의 단부(121-1)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1)와; 상기 링반지(100-1)의 연결고리(122-1)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1)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1)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1)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1)로 이루어진 장식부(200-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장식부가 유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석 등으로 구성된 장식부재의 색상과 광택이 다채롭게 변화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장신미가 돋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고, 제품의 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행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의 길이가 변형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임.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의 길이가 변형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링반지(100)와 장식부(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링반지(100)는 삽지공이 구비된 링형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몸체(110)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한쌍의 단부(121)가 구비된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형 몸체(110)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장신미를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장식보석들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몸체(120)는 링형 몸체(110)와 일부분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고리(122)가 부설된 단부(121)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식부(200)는 링반지(100)의 연결고리(122)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줄(210)은 다수개의 장식편 또는 소형링이 체인형상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220)는 진주, 다이아몬드, 큐빅, 지르코니아 등의 보석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 나비, 꽃 등의 사물을 디자인한 장식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200)는 링형 몸체(110)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복수개의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식부(200)가 일방향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실시예로써, 복수개의 장식부(200)가 링형 몸체(110)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이내믹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아울러, 상기 연결고리(12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121)의 면상에 구비된 결합홈(123)에 의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의 취향이나 유행에 따라 장식부(200)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반지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몸체(120-1)가 일부분이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복수개의 단부(121-1)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1)와; 상기 링반지(100-1)의 연결고리(122-1)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1)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1)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1)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1)로 이루어진 장식부(200-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부(200-1)는 상기 링반지(100-1)의 원호를 따라 길이가 가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122-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121-1)의 면상에 구비된 결합홈(123-1)에 의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200-1)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장식부가 유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석 등으로 구성된 장식부재의 색상과 광택이 다채롭게 변화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장신미가 돋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고, 제품의 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장식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행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링반지 110 ... 링형 몸체
120 ... 보조 몸체 121 ... 단부
122 ... 연결고리 123 ... 결합홈
200 ... 장식부 210 ... 장식줄
220 ... 장식부재

Claims (5)

  1. 삽지공이 구비된 링형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몸체(110)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한쌍의 단부(121)가 구비된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와;
    상기 링반지(100)의 연결고리(122)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로 이루어진 장식부(200);
    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200)는
    링형 몸체(110)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쌍의 보조 몸체(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3. 삭제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22)는
    단부(121)의 면상에 구비된 결합홈(123)에 의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5.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보조 몸체(120-1)가 일부분이 연접하여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에 한쌍의 단부(121-1)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1)의 면상에는 연결고리(122-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링반지(100-1)와;
    상기 링반지(100-1)의 연결고리(122-1)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고리(122-1)를 기준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장식줄(210-1)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줄(210-1)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20-1)로 이루어진 장식부(200-1);
    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KR2020100012647U 2010-12-08 2010-12-08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KR200454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47U KR200454834Y1 (ko) 2010-12-08 2010-12-08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47U KR200454834Y1 (ko) 2010-12-08 2010-12-08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834Y1 true KR200454834Y1 (ko) 2011-07-29

Family

ID=4929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47U KR200454834Y1 (ko) 2010-12-08 2010-12-08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0386A (zh) 耳饰
CN108201202A (zh) 钟表或珠宝首饰链
CN206964187U (zh) 一种卡扣连接式多宝手镯
CN210492921U (zh) 链珠嵌入式复合玉手镯
KR200454834Y1 (ko) 유동형 장식부가 구비된 반지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20080256980A1 (en) Segmented pendant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0469408Y1 (ko)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CN205233668U (zh) 一种贵金属首饰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CN216416276U (zh) 一种可变化吊坠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KR20140074418A (ko) 반지
CN204969830U (zh) 一种首饰
WO2005077221A1 (ja) 変形自在の装身具
CN209436422U (zh) 饰品组合结构
KR200463726Y1 (ko) 장식부가 가변이 되는 펜던트
KR200456842Y1 (ko) 귀걸이
CN207492223U (zh) 一种戒指结构
KR20110043915A (ko) 반지
ITFI20130226A1 (it) Elemento modulare per articoli di bigiotteria o gioielleria
CN203986450U (zh) 一种一款三用首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23

Effective date: 2013100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19

Effective date: 20131219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19

Effective date: 201404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