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29Y1 -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29Y1
KR200454529Y1 KR2020090017180U KR20090017180U KR200454529Y1 KR 200454529 Y1 KR200454529 Y1 KR 200454529Y1 KR 2020090017180 U KR2020090017180 U KR 2020090017180U KR 20090017180 U KR20090017180 U KR 20090017180U KR 200454529 Y1 KR200454529 Y1 KR 200454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rared receiver
mounter
remote controll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02U (ko
Inventor
윤영관
신석호
Original Assignee
신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호 filed Critical 신석호
Priority to KR2020090017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2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TV용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TV와 일체가 되어 상기 TV를 이동시키는 TV 마운터의 제어신호로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키 지정을 위해 적외선 수신기를 초기설정 모드로 셋팅을 하는 스위치; 상기 적외선 수신기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 상기 초기설정 모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TV 마운터의 대응되는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초기설정 모드가 종료된 일반동작모드에서 상기 적외선 수신부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TV 마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리모트 컨트롤러, TV 마운터, 적외선 수신기, 리미트 스위치

Description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Apparatus for Motor rotation control with an IR receiver}
본 고안은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나 TV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를 사용하는 TV 마운팅 장치와 같은 TV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에 적용되어 사용된 것은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수시로 기기의 동작 제어가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하다. 일례로 가정에서 사용자는 더 이상 TV 채널이나 볼륨의 조정을 위해 TV 수상기까지 다녀와야 하는 수고를 기울일 필요가 없어졌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제 TV 뿐 아니라 VCR, DVD, 컴퓨터, 오디오기기, 선풍기, 에어콘 등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해당하는 기기는 거의 모두 채용되기에 이르렀다. 이제 가정에서 여러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 되었다.
리모트 컨트롤러가 여러 개가 사용되어야 하는 환경은 종종 사용자에게 혼동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 보통 TV 시청을 하는 사용자는 TV와 연결된 케이블용이나 디지털 위성 셋톱 박스용 리모트 컨트롤러, DVD나 게임기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혼재되어 사용 상 혼란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에 이러한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도 등장하였다.
현재 이른바 CRT라 불리우는 TV는 점점 LCD나 플라즈마 TV라 할 수 있는 고화질의 평면 TV로 빠르게 대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평면 TV는 깨끗한 화질과 콤팩트한 외관이 장점이지만, 때로는 보는 이의 각도에 따라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면 TV의 콤팩트성 - 즉, CRT TV보다 훨씬 경쟁력 있게 얇은 두께 - 에 착안하여 평면 TV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TV 마운팅 장치 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TV 마운팅 장치 제품은 크게 위 아래 경사를 조정하는 틸트(tilt)형과 옆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swing) 방식이 있고, 두가지 모두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형도 출시되고 있다.
TV 마운팅 장치를 먼저 평면 TV를 걸게 될 벽면에 미리 부착하고 평면 TV를 TV 마운팅 장치에 탑재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TV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TV 마운팅 장치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자동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더욱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TV 마운팅 장치에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각도를 조절하기 보다는 그 때 그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무선으로 TV 마운팅 장치의 틸트나 각도 조절이 된다면 사용자에 더욱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는 TV 마운팅 장치를 위한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될 수 밖에 없을 것이고, 이는 비용 증가와 함께 사용자에 복수의 리모트 컨트롤러 사용에 따른 혼동을 가중시킬 것이다.
TV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TV 마운팅 장치의 제어를 위해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및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가 요구되는데, 별도의 TV 마운팅 장치용 리모트 컨트롤러 없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TV 리모트 컨트롤러나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 및 이 신호를 이용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TV 마운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TV용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TV와 일체가 되어 상기 TV를 이동시키는 TV 마운터의 제어신호로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키 지정을 위해 적외선 수신기를 초기설정 모드로 셋팅을 하는 스위치; 상기 적외선 수신기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 상기 초기설정 모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 1, ..., n(n은 1 이상의 정수) 신호를 상기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TV 마운터의 대응되는 제 1, ..., n(n은 1 이상의 정수)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초기설정 모드가 종료된 일반동작모드에서 상기 적외선 수신부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 1, ..., n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TV 마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TV 마운터의 모터 회전방향 신호, TV 마운터의 모터 정지 신호, TV 마운터의 지정위치 신호, TV 마운터의 현위치 저장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나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 없이 적외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주변기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모터 회전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가정 내 AV 기기를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간략한 도면이다.
보통 가정에는 TV(100), 셋톱 박스(110), DVD 플레이어(120), 오디오 플레이 어(130) 등이 한 곳에 같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전사들은 이러한 홈 AV 제품들을 판매하면서 각각의 제품들에 별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고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는 3~4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가지고 사용하나, 실제적으로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200) 하나 내지는 TV와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러만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만일 이러한 홈 AV 제품 외에 TV 주변에 TV 제품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사용되는 컨트롤 대상 장치가 있을 경우 이러한 장치의 제어를 위해 또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된다면 비용적으로도 바람직스럽지도 않고 사용자는 넘쳐나는 리모트 컨트롤러들 때문에 오히려 혼동과 불편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이러한 컨트롤 대상 장치가 아주 간단한 2~4개의 신호만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간단한 2~4개의 신호 컨트롤 제공을 위해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나 TV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빌려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기기 관리 면에서도 수월할 것이다.
이러한 편리성과 비용 절감 가능성에 착안하여 본 고안은 소형이면서 TV와 같은 홈 AV 제품에 부착하기에도 간편한 적외선 수신기를 채용한다. 적외선 수신기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감지하여 별도의 제어가 필요한 TV 마운터와 같은 주변 장치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기본적으로 전원버튼(210)과 볼륨조절버튼(220), 채널조 정버튼(230) 및 일반 숫자버튼(240)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경우 위의 전원버튼(210), 볼륨조절버튼(220)과 채널조정버튼(230) 외에는 사용 빈도 수가 크지 않다. 이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잘 쓰지 않는 버튼을 TV 마운터를 제어하는 신호용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300)의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300)는 스위치부(310), 적외선 수신부(320), 저장부(330), 제어신호 출력부(340), 모드 표시부(350)로 구성되어 있다. 적외선 수신기(300)는 TV 마운터 장치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TV 마운터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TV 마운터 장치에 포함될 경우 제어신호 출력부(340)는 TV 마운터 장치의 제어신호 출력부로 대체될 수 있다.
스위치부(310)는 사전에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나 TV용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초기 신호를 받기 위해 적외선 수신기(300)를 초기설정모드로 셋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위치부(310)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부(310)의 스위치를 누르면 리모트 컨트롤러부터 신호를 받아서 저장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 때 초기설정모드임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모드 표시부(350)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드 표시부(350)는 예를 들면, LED와 같은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초기설정모드일 때에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아니면, 초기설정모드일 때는 적색으로 발광하고, 일반동작모드일 때는 녹색 을 발광하도록 구별시킬 수도 있다. LED의 발광색을 통해서도 두 가지 모드를 구별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면 발광 인터벌을 다르게 하여 두 가지 모드를 구별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30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b를 참조하여 초기설정을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제 1 스위치(311)와 제 2 스위치(313) 두 개가 있다. 모드 표시부(351)는 청색과 적색을 표시하는 LED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적외선 수신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제 1 스위치(311)와 제 2 스위치(313)를 동시에 2초 정도 누르고 있으면 초기설정모드가 된다. 이제 모드 표시부(351)의 LED에서 적색이 점멸하면서 초기설정모드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초기 설정모드에서 제 1 스위치(311)를 한번 누르면 모드 표시부(351)의 청색 LED가 점등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적색 LED가 점등된다. 제 1 스위치(311)를 한번 눌러서 청색 LED가 점등할 때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LEFT Key(250)를 눌러서 LEFT Key 값을 EEPROM과 같이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 정보를 유지하는 저장부에 저장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이 값은 TV 마운터의 모터 제 1 방향 회전 제어신호가 되고 따라서 설정모드를 벗어나 일반동작모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LEFT Key(250)를 누르면 TV 마운터 동작에 따라 TV가 앞으로 기울어지거나 좌측으로 각도를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하게 될 것이다.
초기설정모드에서 이제 제 1 스위치(311)를 누르면 모드 표시부(351)에서 적 색 LED가 점등하게 되고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RIGHT Key(도 2의 260)를 누르면 RIGHT Key 값이 저장부에 저장된다. 이 값은 TV 마운터의 모터 제 2 방향 회전 제어신호가 되고, 일반동작모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RIGHT Key(260)를 누르면 TV 마운터의 동작에 따라 TV가 다시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뒤로 복귀하거나 우측으로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하게 될 것이다.
몇 가지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해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Key를 더 저장하도록 한다. 적외선 수신기의 초기설정모드는 아직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고 제 2 스위치(313)를 한번 누르면 청색 LED가 점등하고 이 때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PRESET Key(270)를 누르면 적외선 수신부의 저장부에 PRESET Key(270) 값이 저장된다. 일반동작모드에서 PRESET Key(270)를 누르면 미리 기억된 위치로 TV 마운터는 TV를 이동시킨다. 이 기능은 바로 이어서 설명할 MEMORY Key와의 연동에 의해 더욱 이해가 쉬워질 것이다.
적외선 수신기의 초기설정모드에서 청색 LED가 점등하고 있는 상태이고 제 2 스위치(313)를 한번 더 누르면 적색 LED가 점등한다. 이 때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MEMORY Key(280)를 누르면 적외선 수신부의 메모리부에 MEMORY Key(280) 값이 저장된다. 일반동작모드에서 MEMORY Key(280)를 누르면 TV의 현재 위치를 기억하여 적외선 수신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이렇게 기억된 TV의 현재 위치는 동작모드에서 PRESET Key(270)가 눌려질 때 TV 마운터가 TV를 기억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을 한다. PRESET Key(270)와 MEMORY Key(280)는 TV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최적의 시청 위치를 손쉽게 셋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초기설정모드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적외선 수신기(300)에서 송출하기 원하는 제어신호 수 만큼의 스위치를 스위치부(310)에 구비한다. 만일 2개의 제어신호를 송출할 경우 마찬가지로 도 3b와 같이 2개의 스위치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치(311)는 제 1 제어신호를 위한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제 1 스위치(311)를 누르거나 누른 상태를 유지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 1 신호를 받기 위해 대기한다. 적외선 수신기에서는 따로 복잡한 내부 프로그램없이 하드웨어적으로 제 1 스위치(311)가 눌려졌으므로 리모트 컨트롤러부터 받는 신호가 제 1 제어신호를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신호는 제 1 제어신호로 사용되기 위해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제 2 제어신호도 마찬가지 방식에 의해 저장부(330)에 저장될 것이다. 제 2 스위치(313)를 누르거나 누른 상태를 유지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 2 신호를 받기 위해 대기한다. 신호가 입력되면 제 2 제어신호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위 두 실시예에서 스위치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초기설정모드로 인식하게 하거나 스위치의 토글(toggle) 방식에 의해 초기설정모드와 일반동작모드 전환을 꾀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모드표시부(350)를 통해 사용자는 적외선 수신기(300)가 어떤 모드에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일단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초기설정모드로 셋 팅한다(410). 예를 들어 적외선 수신기의 스위치 두 개를 동시에 눌러서 설정모드임을 적외선 수신기 장치에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초기설정모드가 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적외선 수신기로 입력(420)하면 적외선 수신기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제어신호로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430)한다.
만일 제어신호를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적외선 수신기에 입력하여 적외선 수신기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초기설정모드를 통해 필요한 제어신호 셋팅이 완료되었다면 적외선 수신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초기설정모드를 해제(450)한다. 이제 적외선 수신기는 일반동작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적외선 수신기에서 초기설정모드, 일반동작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은 적외선 수신기와 함께 발광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발광소자의 발광색 또는 발광 인터벌을 사용하여 초기설정모드, 일반동작모드를 사용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동작모드에서 적외선 수신기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받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초기설정모드에서 셋팅한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적외선 수신기에 입력(460)되면 적외선 수신기는 신호를 확인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서 TV를 제어하기 위해 TV 마운터 제어신호를 송출(470)한다.
지금까지는 TV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적외선 수신기로부터 송출되어온 신호 를 TV 마운터에 이용하여 각종 제어기기의 제어신호로서 사용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지만 리모트 컨트롤러와 적외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TV 마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어신호로서의 응용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제어, 홈 오토메이션 기기제어, 각종 AV기기제어 등 다양한 전기기기의 제어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기가 ON 되어 있는 한 적외선 수신기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받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계속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할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TV 마운팅 장치(TV 마운터)를 제어하는 일실시예이다.
최근 TV는 CRT TV에서 LC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와 같은 상대적으로 얇은 평판을 채용한 TV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TV의 화면 크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많은 가정들이 평면 TV를 벽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화면의 크기가 대형인 평면 TV를 벽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TV를 시청하는 시청자 입장에서도 쾌적한 느낌을 받는 것이 사실이지만, 평면 TV의 특성상 정면이 아닌 각도에서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CRT TV의 경우 TV가 놓인 선반이 회전식이어서 시청자의 시청 각도에 맞게 TV를 돌려 놓을 수 있었지만, 벽면에 부착된 평면 TV의 경우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TV를 벽면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TV 마운팅 장 치(TV 마운터)에 부착한 후 TV 마운팅 장치를 벽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TV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TV 리모트 컨트롤러가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면, 이러한 TV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를 TV 마운팅 장치 제어신호로 사용하면 유용할 것이다.
즉, TV 마운팅 장치의 경우 대부분 마운팅된 TV의 각도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모터 제어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TV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TV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한다면 별도의 추가적인 TV 마운팅 장치 제어장치 없이 편리하게 TV의 각도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를 살펴보면, 기준면(1)인 벽면에 대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장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TV 마운팅 장치(500)에 장착되어 있다. 즉, 벽면에 베이스플레이트(510)가 체결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510) 좌우에 위치하여 베이스브래킷(520)이 결합되며 이 베이스브래킷(520)에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된 패널탑재브래킷(530)에 디스플레이패널(2)이 탑재되면,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40)는 미동작 상태이고 디스플레이패널(2)의 중량에 의해 벽면의 기준면(1)에 대해서 패널탑재브래킷(530)이 15~20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2)이 기울여진 상태로 초기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제 자신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2)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생겼다. 즉, 기울여진 상태를 수직으로 세워서 멀리서도 디스플레이패널(2)을 제대로 볼 필요가 생겼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약속된 키를 누른다.
이 때 도 3과 같은 적외선 수신기(300)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370)가 입력된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입력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370)에 상응하며 내부에 저장된 신호(360)를 제어신호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신호(360)는 적외선 수신기의 제어신호 출력부(340)와 연결된 TV 마운팅 장치(500)의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전달된다. 프로세서는 시야각 조절을 위한 기울기 축소를 위해 구동모터(550)를 구동시키면,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50)에 연결된 액추에이터(540)의 스크류(545)가 회전하고 액추에이터(540)가 디스플레이패널(2)의 하부를 밀어올려 디스플레이패널(2)은 기준면(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사용자가 만일 도 5b 상태에서 도 5a와 같은 상태로 디스플레이패널(2)을 되돌리고 싶으면 다시금 리모트 컨트롤러의 또 다른 약속된 키를 누른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신호(360)는 적외선 수신기의 제어신호 출력부(340)와 연결된 TV 마운팅 장치(500)의 프로세서에 전달된다.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550)에 연결된 액추에이터(540)의 스크류(545)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디스플레이패널(2)은 기준면(1)에 대해 다시 기울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반드시 벽면에 부착된 평면 TV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탠드 형 TV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스탠드 형 TV도 스탠드 부분이 TV 마운터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 전환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을 응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시 리미트 스 위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만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 RIGHT Key를 누를 때 TV 마운터의 모터가 회전하고 TV의 위치가 변동된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TV의 위치에 관계없이 모터가 계속 회전하면 TV가 한쪽 방향으로 제한없이 움직이게 되므로 적절하게 리미트를 걸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TV 마운터에 예를 들어 가변 저항을 통해 TV의 각도 제한을 걸어주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TV 위치 변화에 리미트를 걸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리미트 스위치는 예를 들어, 4단 슬라이드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1단에 고정시키면 TV의 위치 변화 제한은 20도가 된다. 2단은 30도, 3단은 45도, 4단은 60도로 고정될 수 있다.
만일 2단에 슬라이드 방식의 스위치를 맞추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RIGHT Key가 눌려졌을 때(620) TV 마운터는 움직이기 시작하고 리미트 스위치에 따라 제한 각도를 판단한다(630). 예를 들어 만일 리미트 스위치가 2단에 고정되어 있으면 제한 각도는 30도가 된다(633). TV 위치와 제한 각도를 계속 비교하고(640) TV 위치가 제한 각도 이내이면 모토를 동작시켜 TV를 이동(650)시키고 만일 TV가 30도에 다다르면 모터를 정지(660)시켜 TV가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제 TV 마운터는 스탠드-바이 상태에서 후속적인 리모트 컨트롤러 동작을 기다린다(670).
이상과 같이 보통은 사용자가 TV 리모트 컨트롤러를 많이 사용하므로 이에 TV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2)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을 조정 하는 TV 마운팅 장치를 리모트 컨트롤러 및 적외선 수신기와 연동하여 제어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300)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제어신호로 입력받아 이러한 제어신호를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방식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가정 내 AV 기기를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 제어기의 블럭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30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a와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TV 마운팅 장치기를 제어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시 리미트 스위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Claims (7)

  1. TV용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TV와 일체가 되어 상기 TV를 이동시키는 TV 마운터의 제어신호로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키 지정을 위해 적외선 수신기를 초기설정 모드로 셋팅을 하는 스위치;
    상기 적외선 수신기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
    상기 초기설정 모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 1, ..., n(n은 1 이상의 정수) 신호를 상기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TV 마운터의 대응되는 제 1, ..., n(n은 1 이상의 정수)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초기설정 모드가 종료된 일반동작모드에서 상기 적외선 수신부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 1, ..., n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TV 마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TV 마운터의 모터 회전방향 신호, TV 마운터의 모터 정지 신호, TV 마운터의 지정위치 신호, TV 마운터의 현위치 저장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수신기의 초기설정모드와 일반동작모드는 상기 스위치를 토글하여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수신기가 상기 초기설정 모드인지 상기 일반동작모드인지 여부를 상기 스위치 신호를 판단하여 표시하기 위한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수신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어신호의 수(n, n은 1 이상의 정수) 만큼의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 각각은 상기 제어스위치 각각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V 마운터는 TV의 회전각도 최대치를 제한하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TV의 회전각도 최대치가 서로 다른 값이 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각도 설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TV 마운터의 현위치 저장 신호이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제 1, ..., n(n은 1 이상의 정수) 신호를 받아 상기 TV 마운터의 현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 n(n은 1 이상의 정수)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신호가 TV 마운터의 지정위치 신호이면 상기 TV 마운터는 소정의 지정된 위치로 상기 TV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리모트 컨트롤러 송출 신호로 TV 마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기 장치.
KR2020090017180U 2009-12-31 2009-12-31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KR200454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80U KR200454529Y1 (ko) 2009-12-31 2009-12-31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80U KR200454529Y1 (ko) 2009-12-31 2009-12-31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259 Division 2009-04-10 200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02U KR20100010302U (ko) 2010-10-20
KR200454529Y1 true KR200454529Y1 (ko) 2011-07-11

Family

ID=4420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180U KR200454529Y1 (ko) 2009-12-31 2009-12-31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65A1 (ko) * 2014-03-19 2015-09-24 이정용 회전이 가능한 tv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52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키 입력 방법
KR20080087314A (ko) * 2007-03-26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및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52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키 입력 방법
KR20080087314A (ko) * 2007-03-26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및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02U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6769B2 (en) Attached device control on television event
US8370879B2 (en) Connection interface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with a television
US2010011819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 device
US2005014963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user interface to a pluralty of devices
US8724025B2 (en) Video signal select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20090300620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hereof
JP2003067073A (ja) 情報処理装置
US201401461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view display
KR200454529Y1 (ko) 적외선 수신기에 의한 tv 마운터 제어 장치
US8760587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3D video system
GB2389980A (en) Video display using wireless to transmit video whilst retaining remote control of the video source
US20030214604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339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or rotation control with an ir receiver
KR101011031B1 (ko)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CN2645378Y (zh) 具有显示屏幕的遥控器
US83052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KR200294566Y1 (ko) 오디오 비주얼 기기용 통합 컨트롤 장치
KR20100102857A (ko) Osd 메뉴 제어방법
KR200329870Y1 (ko) 멀티 제어장치
KR100812643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9594B1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tv 시스템
KR2015012540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8258950A (ja) 映像投影装置が付属し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230152418A (ko) 영상표시장치
KR101555566B1 (ko) 순환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시스템의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