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56Y1 - 측량용 배수구 마개 - Google Patents

측량용 배수구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56Y1
KR200454156Y1 KR2020090008508U KR20090008508U KR200454156Y1 KR 200454156 Y1 KR200454156 Y1 KR 200454156Y1 KR 2020090008508 U KR2020090008508 U KR 2020090008508U KR 20090008508 U KR20090008508 U KR 20090008508U KR 200454156 Y1 KR200454156 Y1 KR 200454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urveying
body portion
display member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203U (ko
Inventor
강태삼
Original Assignee
강태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삼 filed Critical 강태삼
Priority to KR2020090008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5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측량용 배수구 마개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건물 옥상의 배수구의 입구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측량용 기준점이 표시된 표시부재; 및 상기 몸체부와 표시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배수구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 측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어 몸체부를 배수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측량, 배수구, 마개, 힌지결합, 기준점

Description

측량용 배수구 마개{Cap of drainage for surveying}
본 고안은 배수구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량용 기준점이 표시된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의 직경에 관계없이 배수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측량용 배수구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량을 바탕으로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함으로써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의 시공 기초자료가 된다.
이러한 측량 작업은, 측량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소정 위치에 반사체를 설치하고, 상기 반사체가 측량기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함으로써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측량하게 된다.
최근, 상기 측량법을 이용하여 측량하고 있으나 측량에 방해되는 도로변의 시설물 등으로 인하여 건물의 옥상에서 측량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건물의 옥상에 측량 기준점을 지정한 후, 측량을 실시하고 있다.
상기 건물의 옥상에서 측량시 정확한 측량을 위하여 건물 옥상의 바닥면에 임의의 측량 기준점을 표시하여야 한다. 상기 측량 기준점의 표시는 정확한 측량을 위하여 반사체의 중심점을 측량 기준점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함이며, 추후 측정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측량 기준점은 열십자(+)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에 반사체를 세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량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옥상의 바닥면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하여야 한다. 예컨대, 측량 기준점이 표시된 말뚝을 박거나, 바닥면에 흠집을 내어 측량용 기준점을 표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건물은 개인 소유의 재산으로서 함부로 파손 및 홈을 파는 등 측량용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옥상에 마련된 배수구의 마개에 반사체를 위치하여 측량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배수구의 마개에 측량용 기준점을 표시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별도의 측량 기준점이 설치된 장비를 배수구에 설치하더라도 배수구에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여 정확한 측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수구 마개에 측량용 기준점을 표시하고, 이 배수구 마개를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배수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측량용 배수구 마개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건물 옥상의 배수구의 입구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측량용 기준점이 표시된 표시부재; 및 상기 몸체부와 표시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배수구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 측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어 몸체부를 배수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재는, 상면에 열십자 형상의 측량용 기준점이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면에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나사봉과 함께 공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어 표시부재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회동부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된 제1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회동바; 및 그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설치된 제2 핀의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제3 핀에 의해 제1 회동바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 회동바;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배수구 마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건물 옥상의 바닥면의 파손 없이 측량을 위한 측량용 기준점을 마련할 수 있다.
둘째, 배수구의 직경에 관계없이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배수구의 직경에 맞게 제품을 개별적으로 생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경제적이며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는 건물 옥상의 배수구(도 4의 '10' 참조)의 입구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표시부재(120) 및, 상기 몸체부(110)와 표시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몸체부(110)를 배수구(1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복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1)은 물이 흘러 배수구(1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배수구(10)의 입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재(120)는 상면에 측량용 기준점(P)이 형성된 머리부(121) 및, 상기 머리부(121)의 하면에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나사봉(122)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시부재(120)는 몸체부(1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머리부(121)는 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되어 회전된다. 즉, 상기 머리부(121)와 나사봉(122)이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측량용 기준점(P)은 열십자 형상의 미세홈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에 반사체(미도시)가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나사봉(1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23)이 형성된다. 나사봉(122)은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몸체부(1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체결부재(130)는 몸체부(110)의 하측에 위치되어 배수구(10)에 삽입된다. 이러한 체결부재(130)는 상기 나사봉(122)과 나사결합된 이동부(132) 및, 상기 이동부(132)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회동부(134)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132)는 그 중심이 관통되어 나사봉(122)의 나사산(123)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부(132)는 표시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부(132)는 표시부재(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이동부(132)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바(134)는 적어도 둘 이상이 마련된다. 예컨대, 두 개의 회동바(134)가 마련될 경우 각 회동바(134)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세 개 이상의 회동바(134)가 마련될 경우 각 회동바(134)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네 개의 회동바(134)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동바(134)가 회동되어 배수구(10)에 몸체부(11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면 그 개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회동바(134)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각 회동바(134)는 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회동바(135) 및, 상기 이동부(13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 회동바(137)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바(135)는 그 일측이 몸체부(110)의 하측에 설치된 제1 핀(13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그 타측이 상기 제2 회동바(137)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제3 핀(13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제1 회동바(135)는 제2 회동바(137)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된다.
상기 제2 회동바(137)는 그 일측이 상기 이동부(132)에 설치된 제2 핀(13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즉, 제2 회동바(137)는 상기 이동부(132)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회동바(137)가 회동됨에 따라 제3 핀(139)에 의해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 제1 회동바(135)가 함께 회동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체결부재(130)가 회동되는 상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10)의 직경보다 큰 몸체부(110)를 갖는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가 배수구(10)의 입구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는 배수구(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배수구(10)의 직경 범위 내에서 이동된다. 즉, 상기 배수구(10)에 삽입된 체결부재(130)와 배수구(10)의 내주면이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정확한 측량을 위해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를 배수구(10)에 고정시켜야 한다.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를 배수구(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재(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120)가 회전됨에 따라 나사봉(122)에 나사결합된 이동부(132)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132)에 힌지결합된 제2 회동바(137)가 배수구(10)의 내주면 측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2 회동바(137)의 회동은 제2 회동바(137)의 타측이 배수구(10)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까지 회동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2 회동바(137)의 타측이 배수구(10)의 내주면을 가압하며 접촉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가 배수구(10)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회동바(137)가 회동됨에 따라 제3 핀(139)에 의해 제2 회동바(137)와 힌지결합된 제1 회동바(135)가 함께 회동된다. 즉, 제1 회동바(135)는 제1 핀(136)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 회동바(137)는 제2 핀(138)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제1 회동바(135)와 제2 회동바(137)는 제3 핀(139)에 의하여 함께 회동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표시부재(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이동부(132)가 몸체부(110) 측으로 이동되고, 제1 회동바(135)와 제2 회동바(137)는 배수구(10)의 중심부측 즉, 나사봉(122) 측으로 회동되어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가 배수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측량용 배수구 마개(100)가 체결부재(130)에 의해 배수구(1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배수구(10)에 직접 결합되도록 배수구(10)의 직경에 맞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배수구(10)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측량용 배수구 마개의 상면에 측량용 기준점(P)만을 마련하여 통상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제품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배수구 마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배수구 마개에 구비된 체결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량용 배수구 마개 110 : 몸체부
120 : 표시부재 130 : 체결부재

Claims (3)

  1.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건물 옥상의 배수구의 입구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측량용 기준점이 표시된 표시부재; 및
    상기 몸체부와 표시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배수구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 측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어 몸체부를 배수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측량용 배수구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상면에 열십자 형상의 측량용 기준점이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면에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나사봉과 함께 공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배수구 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어 표시부재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회동부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된 제1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회동바; 및
    그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설치된 제2 핀의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제3 핀에 의해 제1 회동바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 회동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배수구 마개.
KR2020090008508U 2009-07-01 2009-07-01 측량용 배수구 마개 KR200454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08U KR200454156Y1 (ko) 2009-07-01 2009-07-01 측량용 배수구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08U KR200454156Y1 (ko) 2009-07-01 2009-07-01 측량용 배수구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03U KR20110000203U (ko) 2011-01-07
KR200454156Y1 true KR200454156Y1 (ko) 2011-06-17

Family

ID=4420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508U KR200454156Y1 (ko) 2009-07-01 2009-07-01 측량용 배수구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8430A1 (de) * 2021-07-16 2023-01-19 Karl-Heinz Lange GmbH & Co. KG Rückhalt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Wasserablauf von Flachdächer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74Y1 (ko) 1997-11-08 2000-06-01 정명수 루프 드레인
JP2001200555A (ja) 2000-01-20 2001-07-27 Sekisui Chem Co Ltd 縦樋取水装置
KR20010079274A (ko) * 2001-06-29 2001-08-22 강전택 배수성 아스팔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1287A (ko) * 2002-07-30 2004-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2축 자계검출소자가 집적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3816A (ko) * 2002-08-08 2004-02-14 한국과학기술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11287Y1 (ko) 2005-10-18 2006-03-13 박영주 플랜지형 루프드레인
KR200413816Y1 (ko) 2006-01-19 2006-04-11 고의환 3중식 루프드레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74Y1 (ko) 1997-11-08 2000-06-01 정명수 루프 드레인
JP2001200555A (ja) 2000-01-20 2001-07-27 Sekisui Chem Co Ltd 縦樋取水装置
KR20010079274A (ko) * 2001-06-29 2001-08-22 강전택 배수성 아스팔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1287A (ko) * 2002-07-30 2004-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2축 자계검출소자가 집적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3816A (ko) * 2002-08-08 2004-02-14 한국과학기술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11287Y1 (ko) 2005-10-18 2006-03-13 박영주 플랜지형 루프드레인
KR200413816Y1 (ko) 2006-01-19 2006-04-11 고의환 3중식 루프드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03U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85B1 (ko) 수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수치데이터 업데이트 시스템
CN203769763U (zh) 一种钻孔方位倾角组合测量仪
KR101033230B1 (ko) 수준 측량 함척 수직 수평장치
CN207585620U (zh) 一种建筑用测量仪
KR200454156Y1 (ko) 측량용 배수구 마개
KR100911901B1 (ko)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US9354053B2 (en) Clinometer apparatus
KR20130002826U (ko) 선박의 경사시험용 경사계
CN201152899Y (zh) 激光测云仪多方位俯仰测量装置
CN207300220U (zh) 新型三维激光扫描仪以及开采沉陷测量系统
CN203100745U (zh) 测量仪器基座检定器
CN206643818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定位夹紧机构
KR100413952B1 (ko) 경사도 측량자
CN209310802U (zh) 检测钢结构安装质量的装置
KR200446648Y1 (ko) 측정용 삼각대
US9709398B2 (en) Footer square apparatuses
CN206504729U (zh) 一种教学用水准尺底座以及与其匹配使用的水准尺
JP2006220476A (ja) 測量用ターゲット及び測量方法
CN106918319A (zh) 一种路基空洞尺寸测量装置及方法
CN109866195A (zh) 一种防撞护栏定位尺
CN206410700U (zh) 水平尺
KR200232457Y1 (ko) 경사도 측량자
CN212963224U (zh) 一种立井施工测量装置
CN210768731U (zh) 一种矿山井下井筒和巷道的高精度测量装置
KR20180013049A (ko) 국가지점 지반침하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