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29Y1 - 농작물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29Y1
KR200454129Y1 KR2020080006251U KR20080006251U KR200454129Y1 KR 200454129 Y1 KR200454129 Y1 KR 200454129Y1 KR 2020080006251 U KR2020080006251 U KR 2020080006251U KR 20080006251 U KR20080006251 U KR 20080006251U KR 200454129 Y1 KR200454129 Y1 KR 200454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itting hole
horizontal
ground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676U (ko
Inventor
배영태
Original Assignee
배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태 filed Critical 배영태
Priority to KR2020080006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2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농작물을 지면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한 줄기 받침대로서 농작물용 받침장치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끼움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끼움공의 하부에 격자형상의 리브가 형성된 받침대,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끼움공에 삽입되는 수평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은 농작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농작물이 지면에서 이격되게 함으로써 땅과 열매의 접촉에 의한 열매의 오염을 방지하고, 열매가 맺힌 줄기 축의 꺽임을 방지하여 작물축의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열매의 크기증대 및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열매, 줄기, 잎 등이 30cm 정도 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곰팡이류의 병해를 방지하여 상품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받침대, 리브, 수평대, 연결판, 걸림돌기

Description

농작물용 받침장치{AGRICULTURAL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농작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작물의 줄기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받쳐 놓는 농작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 재배 시에 밀식재배를 하는데 있어서 신초를 받침대에서 장기 재배 시에 농작물 줄기가 성장함에 따라 신초 끝 부분이 일정한 높이까지 자라면 내림작업을 하여 신초가 수직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지상부 공간을 만들어 주는 줄기내림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농작물 줄기 하단부에 결실된 송이와 열매가 지면에 닿게 되는데, 열매가 지면에 닿으면 그 열매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토마토, 오이나 메론 등과 같은 농작물의 장기 재배 시 줄기 내림 재배를 할 시에 농작물의 하부가 무성하여 통기가 불량하면 바닥에 습기가 발생하여 곰팡이류가 발생되고, 내림 재배 시에 열매와 줄기가 땅에 닿아서 오염이 되고, 열매의 송이 축이 꺾이어 부러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농작물의 줄기, 잎, 열매 등을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받쳐 놓는 상태로 고정하여 땅에 닿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땅과 열매의 접촉에 의한 열매의 오염을 방지하고, 열매가 맺힌 줄기 축의 꺽임을 방지하고 지면부위의 통기성을 좋게 하여 작물축의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열매의 크기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줄기와 열매가 맺힌 부분이 지면과 30cm 정도 떨어진 높이에 있으므로 농작물의 관리작업이 용이한 받침구조를 제공하는 농작물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구성은 끼움공이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에 삽입되어 복수의 상기 받침대를 연결하는 수평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의 하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에 결합된 상기 수평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이 형성된 양측 부분에는 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수평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수평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결합로가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하부보다 부피가 커서 충격을 받기 쉽고, 상기 끼움공이 형성된 머리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은 사각형이고, 상기 수평대는 I빔 형상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의 하부에는 격자형상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받침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리브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리브를 연결하는 수직리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는 지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다른 구성은 복수의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가 양 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지면과 30cm정도 높이의 지상부에 농작물의 줄기가 고정되게 견고하게 지지하여 땅과 열매의 접촉에 의한 열매의 오염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줄기가 받침대에서 수평대 위 측으로 뻗어나가게 됨으로써 열매 송이 측의 꺽임이 방지되어 작물축의 스트레스가 적어짐으로써 열매의 크기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줄기와 열매가 있는 측으로 공간이 확보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곰팡이 및 병해를 감소시키고,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작업이 용이한 받침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는 끼움공(102)이 상부에 형성되고, 끼움공(102)의 하부에 격자형상의 리브(110)가 형성된 받침대(100),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에 삽입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받침대(100)를 연결하는 수평대(120), 및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100)에 결합된 수평대(12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대(100)는 하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세워지며, 끼움공(102)이 대면하게 세워진 받침대(100)는 수평대(12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도립성이 향상된 다. 즉, 받침대(100)와 수평대(120)는 "
Figure 112008033970846-utm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지면에 설치된다.
받침대(100)는 "
Figure 112008033970846-utm00002
"형상의 수직부분이고 수평대(120)는 수평부분이다. 또한,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은 수평대(120)에 맞게 형성됨으로써 받침대(100)에서 수평대(120)는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의 하측에는 수평대(12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22)가 형성됨으로써 수평대(120)는 끼움공(102)에만 끼워져 있을 때에 비해 보다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100)의 상부에는 하부보다 부피가 커서 충격을 받는 면적을 제공하고, 끼움공(102)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115)가 형성된다. 머리부(115)는 받침대(100)가 지면에 박혀질 때 외부충격을 받는 부분으로서, 받침대(100)를 땅속에 박는데 사용하는 망치에 의한 충격을 받아야 하므로 강성이 좋게 부피가 있는 뭉치로 형성되며, 끼움공(102)이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끼움공(102)이 다른 부분에 형성될 때에 비해 단면이 커져 끼움공(102)이 형성된 부분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더불어, 받침대(100)는 머리부(115)의 하부로 리브(110)가 형성되어 리브(110)의 내측이 모두 채워져 있을 때에 비해 구조적으로 부피대비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다 가볍게 형성되므로 운반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은 사각형이고, 수평대(120)는 I빔 형상으로서,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은 수평대(120)의 I빔 형상에 맞게 형 성된다. 수평대(120)도 사각으로 단면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 비해 부피대비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농작물의 줄기를 받칠 수 있는 강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100)의 리브(110)는 받침대(100)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받침대(10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리브(112) 및 받침대(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수평리브(112)를 연결하는 수직리브(113)를 포함한다. 수평리브(112)와 수직리브(113)가 받침대(100)의 양측부에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격자구조가 아니더라도 받침대(100)는 일정한 수준의 강성을 가지게 되며, 무게는 리브(110) 사이가 채워진 상태보다 경량이며, 사출성형에 의해 대량제작이 가능한 형상을 제공한다.
또한, 받침대(100)의 하부에는 지층으로 삽입되어 지층에서 받침대(1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25, 126)가 단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25, 126)의 위치가 받침대(100)에서 다르므로 받침대(100)의 삽입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받침대(100)의 높이를 일관되게 맞출 수 있으며, 농작물에 따른 받침높이에 맞게 삽입깊이의 단계를 결정하여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의 받침장치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받침대(100)가 지층에 삽입되어 받침대(100)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대(120)와 함께 농작물을 "
Figure 112008033970846-utm00003
"형상으로 받치고 있다. 농작물은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받침대 및 수평대 위를 따라 뻗어 나가게 되며, 열매는 지면에서 닿지 않게 되고, 지면과 줄기 사이에는 통풍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농작물은 토마토를 예시한 것으로서, 열매(132)가 주로 수평대(120)의 하부로 배치되게 농작물을 성장 시에 관리하면 열매(132)는 지면에서 30cm 정도 높이의 지상부에 송이 축과 줄기 하단부가 안정되게 고정되고, 곰팡이나 병해로부터 안전하며, 지면에 닿지 않아 지면과 닿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오염이 방지된다.
그리고, 농작물의 줄기(130)가 지면에서 복수개의 간격이 있는 수평대(120) 상으로 뻗어나가게 됨으로써 줄기(130)의 꺽임이 감소되고, 자연스럽게 열매(132)가 수평대(120)의 하측에 맺게 되어 열매(132) 축이 꺽이지 않아서 양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햇볕을 전방위로부터 받아서 열매(132)의 크기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농작물의 줄기(130)와 열매(132)가 있는 측으로부터 지면과 30cm 정도 수직 높이에 줄기가 고정되어 지면과 줄기부분의 공간이 확보되어 통풍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수평대가 접힘상태에서 회전되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5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받침장치는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이 형성된 양측 부분에 연결판(105)이 형성되고, 연결판(105)에 수평대(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판(105)에는 수평대(12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106)이 구비되고, 회전축(106)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결합로(107)가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106)은 볼트(106a)와 너트(106b)의 체결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평대(120)의 양측에 받침대(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받침대(100)는 수평대(120)에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되어 지면에 삽입가능하게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또한, 받침대(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을 수평대(120)의 단부(121) 측으로 이동시켜 수평대(120)의 단부(121)를 끼움공(102)에 고정하여 수평대(120)에서 받침대(1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대(120)에는 단부(121)가 끼움공(102)에 삽입된 후, 끼움공(102) 측으로 더 이상 진행을 방지하는 턱(122)이 형성된다.
이때, 받침대(100)의 연결판(105)에 형성된 결합로(1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06)은 받침대(100)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결합로(107)를 따라 이동하여 끼움공(10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수평대(12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대(100)를 접힘상태에서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고, 받침대(100)의 하부를 지면에 삽입하여 토마토, 오이, 포도 등과 같은 넝쿨식물의 줄기(130)를 받칠 수 있으며,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지면에 설치하여 수평대(120) 상에서 뻗어 나가는 줄기(130)를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받쳐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는 받침대(100)가 수평대(12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구조만 다를 뿐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농작물에 대한 작용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토마토를 예로서, 도시한 도 5 및 도 9에서 토마토를 받치는 설치구조가 대동소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중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개시된 도면부호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100)가 회전한 후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대(120)의 단부(121)가 받침대(100)의 끼움공(102)에 삽입됨으로써 받침대(100)의 회전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받침대(100)의 회전에 대한 고정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받침대(100)가 수평대(120)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후 받침대(100)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태로도 수평대(120)에서 받침대(100)는 일정수준의 외력을 견디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수평대(120)에서 받침대(100)의 회전을 고정하는 구조가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또한, 수평대(120)에서 받침대(100)의 회전을 고정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안출될 수 있으며, 회전구조를 고정하기 위한 간단한 기구적인 구성의 고정구조가 대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용 받침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도.
도 7은 도 5의 수평대가 접힘상태에서 회전되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5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받침대 102: 끼움공
105: 연결판 106: 회전축
107: 결합로 110: 리브
112: 수평리브 113: 수직리브
115: 머리부 120: 수평대
122: 지지돌기 125: 걸림돌기
130: 줄기 132: 열매

Claims (9)

  1. 막대 형상을 하면서 상부 일측에 연결판이 형성되고 하부 끝 부분은 지표 매설시의 용이성을 위해 뾰족하게 형성된 수직 방향의 복수의 받침대; 및
    양측 단부가 상기 복수의 받침대에 구비된 각 연결판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이 형성된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수평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결합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대는 상기 연결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로를 통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받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하부보다 충격에 잘 견디고 부피가 더 큰 머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받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는 I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받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끼움공의 하부에는 격자형상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받침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리브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리브를 연결하는 수직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받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는 지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받침장치.
  9. 삭제
KR2020080006251U 2008-05-14 2008-05-14 농작물용 받침장치 KR200454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51U KR200454129Y1 (ko) 2008-05-14 2008-05-14 농작물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51U KR200454129Y1 (ko) 2008-05-14 2008-05-14 농작물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76U KR20090011676U (ko) 2009-11-18
KR200454129Y1 true KR200454129Y1 (ko) 2011-06-16

Family

ID=4448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251U KR200454129Y1 (ko) 2008-05-14 2008-05-14 농작물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2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645U (ko) * 1990-12-20 1992-08-10
US6000172A (en) 1997-02-10 1999-12-14 Ballarino; Ottavio Plant holder
JP2003061480A (ja) * 2001-08-27 2003-03-04 Hakubun:Kk 植木鉢の支柱構造
JP2003088251A (ja) 2001-09-19 2003-03-25 Toshiki Yoshida 野菜栽培用支柱支持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645U (ko) * 1990-12-20 1992-08-10
US6000172A (en) 1997-02-10 1999-12-14 Ballarino; Ottavio Plant holder
JP2003061480A (ja) * 2001-08-27 2003-03-04 Hakubun:Kk 植木鉢の支柱構造
JP2003088251A (ja) 2001-09-19 2003-03-25 Toshiki Yoshida 野菜栽培用支柱支持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76U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9873B2 (ja) プランター支持枠装置
CN204409131U (zh) 果树结果期防断枝撑架
US20130145686A1 (en) Expandable Plant Support Cage
US20160135386A1 (en) Plant growth support pot
US20080263944A1 (en) Support for potted plants
KR200454129Y1 (ko) 농작물용 받침장치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US6408569B1 (en) Plant support assembly
CN219183287U (zh) 一种园林绿植种植架
CN205865051U (zh) 紫花三叉白芨种植用移苗装置
KR102003548B1 (ko) 나무지지대
CN207322036U (zh) 隧道式栽培架
KR20100115405A (ko) 농작물 지지대
KR101247568B1 (ko) 준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CN207322051U (zh) 一种移动式景观台
KR20130068894A (ko) 석가산 구조체의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석가산 구조체
KR101015636B1 (ko) 매설형 수목 지지대
JP4465896B2 (ja) 緑化装置
CN206354088U (zh) 一种土袋花房
KR101024397B1 (ko)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CN217904991U (zh) 一种景观园林施工用的翻土装置
KR101366845B1 (ko) 법면녹화 구조물
CN221152186U (zh) 农作物种植辅助支撑架
CN215819485U (zh) 一种西瓜种植架
CN218417658U (zh) 一种定植沟内种植葡萄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