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21Y1 - 여성용 속옷 - Google Patents

여성용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21Y1
KR200454121Y1 KR2020090008299U KR20090008299U KR200454121Y1 KR 200454121 Y1 KR200454121 Y1 KR 200454121Y1 KR 2020090008299 U KR2020090008299 U KR 2020090008299U KR 20090008299 U KR20090008299 U KR 20090008299U KR 200454121 Y1 KR200454121 Y1 KR 200454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ear
bra
women
ches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042U (ko
Inventor
이강문
Original Assignee
이십일세기훠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십일세기훠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십일세기훠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8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2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브래지어 컵이 형성된 여성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 양측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가 내측에 구비되어 신축성 재질의 여성용 속옷의 가슴부분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여성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상부는 양측 브래지어 컵을 연결하는 봉제점이 형성되고, 상기 봉제점 아래쪽에 양측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여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는 여성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브래지어 컵을 내측에서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외형에는 변화가 없고 가슴 아래 부분의 신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슴 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올인원, 기능성 속옷, 브래지어, 신축, 보강밴드, 여성용 속옷

Description

여성용 속옷{Underwear for woman}
본 고안은 상부에 브래지어 컵이 형성된 여성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 양측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가 내측에 구비되어 신축성 재질의 여성용 속옷의 가슴 부분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여성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여성용 속옷은 여성의 몸매 관리, 체형의 보정을 위한 것으로, 올인원(브래지어, 니퍼, 거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속옷), 니퍼, 거들, 브래지어 등이 있다.
상기 여성용 속옷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곡선미가 잘 드러나도록 함과 동시에 체형을 보정해 주기 위하여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특히 정면의 중심선을 따라 상하로 고신축성 신축부가 형성된 여성용 속옷이 일반화되어 있다.
올인원은 착용자의 상체에서부터 하체까지 하나로 연결되고 고탄력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어, 착용자가 올인원을 착용하였을 경우 체형의 결점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올인원은 강한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공기 및 바람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도록 하고 신체에 압박을 가하여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올인원은 허리 위쪽의 상체와 허리 아래쪽의 하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체와 하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부에 형성된 브래지어 컵이 본래의 위치를 이탈하여 가슴을 압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846호「올인원」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846호는, 브래지어 컵, 니퍼 및 거들이 일체로 형성된 올인원에 있어서, 브래지어 컵의 하단부에 스판메쉬(span-mesh) 소재의 신축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신축부가 올인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올인원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신축부는 브래지어 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신축함으로써, 가슴을 받쳐주는 브래지어 컵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가슴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가 자유로운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스판매쉬 소재로 공기를 통하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켜준다.
그러나 상기 올인원의 신축부는 망으로 형성된 테이프로 브래지어 컵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래지어 컵을 지지하는 힘이 약하고 신축부가 소정의 넓이를 가진다고 하여도 신축성이 제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291호 「기능성 속옷」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291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 컵부(4), 니퍼부(6) 및 거들부(6)가 일체로 형성된 기능성 속옷(1)에 있어서, 전면에 스판덱스, 폴리에스터 브랜드와 같이 형상복귀가 가능한 원단을 이용하여 브래지어 컵부(4)의 하단절반부를 둘러싸고 니퍼(6)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시트구획부(2)와, 상기 시트구획부(2)와 함께 브래지어 컵부(4)의 하단절반부로부터 니퍼(6)의 상단까지 연장하여 시트구획부(2)를 덮는 상태로 되고 하부로 개방되어 연장되어 있는 전면덮개부(미도시)와, 상기 시트구획부(2)의 하단부와 전면덮개부의 내측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면덮개부가 위치고정되게 하는 벨트로 패스너와 같은 고정부(3)들로 이루어진 기능성 속옷(1)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브래지어 컵을 감싸는 신축성의 시트구획부를 가지는 기능성 속옷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수축과 신장이 반복되어 기능이 떨어져 속옷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브래지어 컵이 양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착용자의 신체동작에 따라서 벌어지는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상기와 같이 속옷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브래지어 컵에 의해 착용자의 양측 가슴 부분이 과도하게 압착되고 브래지어 컵의 와이어 밖으로 가슴의 일부가 밀려나와 쳐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여성용 속옷의 양측 브래지어 컵 부분은 상단부에서 봉제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속옷이 양측으로 벌어질 경우 상기 봉제점 부분은 벌어지지 않고, 상기 봉제점을 회전 기점으로 하부로 갈수록 더욱 크게 벌어져서 브래지어 컵과 착용자의 가슴 부분이 어긋나는 현상이 심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착용자가 상기 속옷을 착용하고 그 위에 겉옷을 착용하였을 경우 체형의 결점이 그대로 드러나 보이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브래지어가 형성되는 여성용 속옷으로서, 양측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여 가슴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구비한 여성용 속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보강부를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하고 신축성 재질의 여성용 속옷의 내측에 분리 구성하여, 외부에서 보강부가 보이지 않고 상기 여성용 속옷의 외형에는 변화가 없도록 하는 보강부가 구비된 여성용 속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에 브래지어가 형성된 여성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상부는 양측 브래지어 컵을 연결하는 봉제점이 형성되고, 상기 봉제점 아래쪽에 양측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여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는 여성용 속옷을 제안한다.
상기 보강부는 비신축성 재질이고, 속옷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밴드의 형상인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보강부의 양단은 브래지어 컵의 재봉선에 고정되고, 중앙 부분은 신축성 재질의 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양측 브래지어 컵에 고정된 양 단부 사이의 길이가, 신축성 재질의 본체의 대응부분의 정상 상태의 길이에 비해서는 길고, 최대 신장 상태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를 사용하여, 상부에 브래지어가 형성되는 여성용 속옷이 가지는 신축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상기 여성용 속옷의 신축성 소재가 늘어나 브래지어 컵이 양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브래지어 컵이 가슴을 감싸서 가슴을 지지하고 가운데로 모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래지어 컵을 내측에서 상호 연결하는 보강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외형에 변화가 없고 가슴 아래 부분의 신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슴 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 상하좌우 등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하며,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여성용 속옷(1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 어부(110)와 여성용 속옷 본체(18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성용 속옷(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여성용 속옷 본체(180)의 상부에는 브래지어부(110)가 구비되며 중앙 상부의 정면 중심선 부분에 상기 브래지어부(110)의 양측 브래지어 컵(112)을 연결하는 봉제점(120)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지어부(110)는 가슴을 지지하여 체형의 결점을 보정하여 주는 브래지어 컵(112)과, 상기 브래지어 컵(112)을 여성용 속옷 본체(180)와 연결하는 재봉선(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봉선(114)은 가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가슴이 쳐지지 않도록 하고 가운데로 모아주기 위한 와이어가 포함된다.
상기 양측 브래지어 컵(112)의 상부는 상기 봉제점(12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하단부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봉선(113)을 통해 여성용 속옷 본체(180)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밴드가 구비된 여성용 속옷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도 2]에서는 보이지 않는 보강밴드(13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강밴드(130)는 상기 봉제점(12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양측 브래지어 컵(112)의 재봉선(113)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여성용 속옷 본체(180)의 신축성 소재가 늘어나게 되어 가슴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밴드(130)는 상기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여성용 속옷 본체(180)와 분리되어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여성용 속옷 본체(180)와 상기 보강밴드(130)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재질의 여성용 속옷 본체(180)의 가슴 부분이 신장되어도 상기 브래지어 컵(112)을 연결하는 보강밴드(130)는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양측 브래지어 컵(112)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강밴드(130)는 비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여성용 속옷(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밴드(130)를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양측 브래지어 컵(112) 사이가 상기 보강밴드(130)의 길이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강밴드(130)는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브래지어 컵(112)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폭을 가지는 밴드의 형상인 것이 이상적이며, 상기 밴드의 폭은 상기 봉제점(120)으로부터 상기 브래지어 컵(112)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강밴드(130)는 상기 양측 브래지어 컵(112)에 고정되는 양 단부 사이의 길이가, 상기 신축성 재질을 가지는 여성용 속옷 본체(180)의 상기 양측 브래지어 컵(112) 사이의 정상 상태의 길이에 비해서는 길고, 상기 양측 브래지어 컵(112) 사이가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권리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 라 결정된다. 또한 해당 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예들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
도 1은 종래의 브래지어 컵을 둘러싸는 시트구획부를 가지는 기능성 속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밴드가 구비된 여성용 속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밴드가 구비된 여성용 속옷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여성용 속옷 120 : 봉제점
112 : 브래지어 컵 114 : 재봉선
130 : 보강밴드 180 : 여성용 속옷 본체

Claims (5)

  1. 상부에 브래지어가 형성된 여성용 속옷에 있어서,
    중앙 상부는 양측 브래지어 컵을 연결하는 봉제점이 형성되고,
    상기 봉제점 아래쪽에 양측 브래지어 컵을 상호 연결하여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속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비신축성 재질이고, 속옷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속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밴드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속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양단은 양측 브래지어 컵의 재봉선에 고정되고, 중앙 부분은 신축성 재질의 본체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속옷.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양측 브래지어 컵에 고정된 양 단부 사이의 길이가, 신축성 재질의 본체의 대응부분의 정상 상태의 길이에 비해서는 길고, 최대 신장 상태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속옷.
KR2020090008299U 2009-06-26 2009-06-26 여성용 속옷 KR200454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299U KR200454121Y1 (ko) 2009-06-26 2009-06-26 여성용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299U KR200454121Y1 (ko) 2009-06-26 2009-06-26 여성용 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42U KR20110000042U (ko) 2011-01-03
KR200454121Y1 true KR200454121Y1 (ko) 2011-06-16

Family

ID=4420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299U KR200454121Y1 (ko) 2009-06-26 2009-06-26 여성용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2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77A (ko) * 1998-07-28 2000-02-15 이태진 체형에 따라 착용감을 조절하는 올인원
KR200270911Y1 (ko) 2001-12-24 2002-04-06 김진교 브레지어
KR20020070911A (ko) * 2002-07-12 2002-09-11 주식회사 디엠케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끌림 현상 방지 방법
KR20050035819A (ko) * 2003-12-29 2005-04-19 이명수 브래지어
JP2007297740A (ja) 2006-04-28 2007-11-15 Kadoriile Nishida:Kk テープ付ブラジャ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77A (ko) * 1998-07-28 2000-02-15 이태진 체형에 따라 착용감을 조절하는 올인원
KR200270911Y1 (ko) 2001-12-24 2002-04-06 김진교 브레지어
KR20020070911A (ko) * 2002-07-12 2002-09-11 주식회사 디엠케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끌림 현상 방지 방법
KR20050035819A (ko) * 2003-12-29 2005-04-19 이명수 브래지어
JP2007297740A (ja) 2006-04-28 2007-11-15 Kadoriile Nishida:Kk テープ付ブラジャ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42U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593B2 (en) Open front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88178B1 (ko) 브래지어 일체형 여성용 속옷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US9717284B2 (en) Brassiere
KR200430682Y1 (ko) 기능성 팬티
KR101242469B1 (ko) 기능성 보정 브래지어
KR200474107Y1 (ko) 원피스형 보정속옷
KR200471570Y1 (ko) 착용감이 우수한 브래지어
KR200454121Y1 (ko) 여성용 속옷
KR101973084B1 (ko) 통기성을 갖는 브래지어
KR200409298Y1 (ko) 후면시트의 상하 분리형 올인원
KR101460215B1 (ko) 밴드자국이 남지 않는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73901Y1 (ko) 보정속옷
KR20120003776U (ko) 기능성 브래지어
JP3207099B2 (ja) 体形補整機能を有する被服
KR200484289Y1 (ko) 여성용 브래지어
JP4408130B2 (ja) 多機能下着
JP3167827U (ja) ブラジャー
KR101796624B1 (ko) 보정용 브래지어
JPH07300703A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衣類
KR101235299B1 (ko) 브래지어 및 그 브래지어가 포함된 올인원
KR200326291Y1 (ko) 기능성 속옷
JPH0661907U (ja) ブラジャー
JP3150497U (ja) 補整機能を有するハーフトップ
KR200326346Y1 (ko)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