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72Y1 -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72Y1
KR200453872Y1 KR2020110000065U KR20110000065U KR200453872Y1 KR 200453872 Y1 KR200453872 Y1 KR 200453872Y1 KR 2020110000065 U KR2020110000065 U KR 2020110000065U KR 20110000065 U KR20110000065 U KR 20110000065U KR 200453872 Y1 KR200453872 Y1 KR 200453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platform
brake device
lifting
brak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백호
Original Assignee
신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백호 filed Critical 신백호
Priority to KR2020110000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60T1/1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directly on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강력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는 마찰부재가 직접 노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므로,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켜 주행수단을 정지시키는 종래의 브레이크장치와 달리, 눈이나 얼음이 있는 곳이나 모래나 흙이 깔려 있는 곳에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브레이크장치가 구비된 주행수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급제동을 하거나 바퀴가 미끄러져 충분히 제동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제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제동력 부족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장치{brake apparatus}
본 고안은 노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강력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브레이크장치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원할 때 자동차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자동차의 바퀴에 대해 구비되는 브레이크본체와, 운전석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레이크본체에 연결되는 브레이크페달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이에 연동하여 브레이크본체가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바퀴와 노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자동차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장치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자동차의 바퀴는 내구성을 비롯한 다양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므로 그 형태와 재질에 제한이 있으며, 그에 따라 바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키더라도 바퀴가 미끄러져 사고가 야기되는 경우가 발생되곤 한다. 특히, 눈이나 얼음이 있는 곳이나 모래나 흙이 깔려 있는 곳에서는 바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낮아지므로 바퀴가 더욱 쉽게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장치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주행(또는, 운송)수단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장치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브레이크장치가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브레이크장치가 필요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이나 얼음이 있는 곳이나 모래나 흙이 깔려 있는 곳에서도 보다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메인브레이크장치가 구비된 주행수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필요할 때 추가적으로 제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메인브레이크장치의 제동력 부족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선단부가 주행수단의 본체(2)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승강대(10)와, 상기 승강대(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승강대(10)의 하강시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20)와,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승강시켜 상기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장치(30)와, 상기 승강구동장치(30)에 연결되어 승강구동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20)는 상기 승강대(10)의 후단부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20)와 승강대(1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20)의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20)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동장치(30)는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되어 승강대(1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동장치(30)는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하향가압하는 스프링(31)과, 상기 승강대(10)를 상승시키는 상승장치(32)와,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10)를 들어올린 상태로 위치고정하는 고정수단(33)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상승장치(32)와 고정수단(33)을 제어하여 승강대(10)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수납되는 수납부(4)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행수단에는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 또는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작동상태를 감시하여, 추가적으로 제동력이 필요될 경우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작동시켜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는 마찰부재(20)가 직접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므로, 바퀴(3)의 회전을 정지시켜 주행수단을 정지시키는 종래의 브레이크장치와 달리, 눈이나 얼음이 있는 곳이나 모래나 흙이 깔려 있는 곳에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구비된 주행수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급제동을 하거나 바퀴(3)가 미끄러져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강력한 제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제동력 부족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바퀴(3)가 구비된 일반적인 자동차(1)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자동차(1)에는, 바퀴(3)에 대해 구비되는 브레이크본체(5a)와, 운전석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레이크본체(5a)에 연결되는 브레이크페달(5b)로 구성되는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밟으면 이에 연동하여 브레이크본체(5a)가 바퀴(3)의 회전을 정지시켜 자동차(1)가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는 자동차(1)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유압식 또는 기계식 브레이크장치로서 그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이 공지되어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는 상기 자동차(1)의 본체(2) 하측에 구비되는 승강대(10)와, 상기 승강대(10)에 결합되는 마찰부재(20)와,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승강시켜 상기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장치(30)와, 상기 승강구동장치(30)에 연결되어 승강구동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0)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제동력이 부족할 때 추가적으로 제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브레이크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승강대(10)는 전후방향으로 길고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선단부가 자동차(1)의 본체(2)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동차(1)의 본체(2) 하측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수납부(4)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10)는 상기 수납부(4)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대(10)가 상기 수납부(4)의 내부로 수납되어 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찰부재(20)는 하측면이 둥글게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대(10)의 후단부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승강대(10)의 하강시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20)는 마찰력이 높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가 돌출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20)와 승강대(1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20)와 승강대(10)의 사이에 고정되어 마찰부재(20)가 탄성적으로 하강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재(20)가 적절히 승강되어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마찰될 때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마찰부재(20)가 불규칙한 노면(7)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장치(30)는 일단이 상기 본체(2)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는 실린더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유닛(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승강대(10)를 회동시켜 승강대(10)에 구비된 마찰부재(2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작동상태를 감시하여, 사용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정해진 수준 이상 강하게 밟거나 정해진 시간 이상 밟으면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작동시켜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일례로서,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브레이크페달(5b)에 연결되는 각도센서(41)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밟을 때 브레이크페달(5b)이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밟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각도센서(4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브레이크페달(5b)이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이 감지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강하게 밟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30)가 신장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놓아 브레이크페달(5b)이 원상태로 복귀되면 이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장치(30)가 축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1)의 운전중에 운전자가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브레이크페달(5b)을 밟으면, 상기 브레이크본체(5a)가 작동되어 바퀴(3)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바퀴(3)와 노면(7)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자동차(1)가 정지되도록 하는 1차적인 제동기능이 발휘된다.
그리고,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제동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더욱 강하게 밟으면, 상기 제어유닛(40)은 이를 감지하여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신장시켜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하강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강하게 밀착되어 추가적인 제동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에서 발을 떼어 브레이크페달(5b)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제어유닛(40)은 이를 감지하여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축소시켜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브레이크장치는 상기 승강구동장치(30)에 의해 마찰부재(20)가 직접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20)는 자동차(1)의 바퀴(3)와 달리 재질과 형상에 제한이 없으므로, 바퀴(3)에 비해 매우 높은 마찰력을 갖도록 충분히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3)의 회전을 정지시켜 자동차(1)를 정지시키는 종래의 브레이크장치와 달리, 눈이나 얼음이 있는 곳이나 모래나 흙이 깔려 있는 곳에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마찰부재(20)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로 제작되며,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가 돌출 형성되므로, 마찰부재(20)가 노면(7)과 마찰될 때 더욱 강력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찰부재(20)에 의해 노면(7)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20)와 승강대(10)의 사이에 탄성부재(22)가 구비되어 마찰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마찰될 때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마찰부재(20)에 의해 흡수되어 진동이 자동차(1)의 본체(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찰부재(20)가 불규칙한 노면(7)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마찰부재(2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이 자동차(1)에 설치된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작동을 감시하여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제동력이 부족할 때,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매우 강하게 밟을 때만 선택적으로 마찰부재(20)를 노면(7)에 밀착시켜 추가적인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구비된 일반적인 자동차(1)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제동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만 상기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여, 마찰부재(20)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마찰부재(20)의 마모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바퀴(3)와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구비된 일반적인 자동차(1)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자동차(1) 이외에 자동차(1)에 의해 견인되는 트레일러나, 바퀴(3)가 아닌 무한궤도를 이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나 건설장비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주행수단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를 함께 사용하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만을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40)은 스위치 또는 페달형태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스위치를 누르거나 페달을 밟는 등의 방법으로 제어유닛(40)을 직접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10)는 전후방향으로 길고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대(10)의 재질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20)는 일반적인 도로를 주로 주행하는 자동차(1)에 적합하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로 제작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를 얼음이나 눈 위에서 주로 사용하는 설상차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찰부재(20)를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하여, 마찰부재(20)의 돌기(21)가 얼음이나 눈을 파고 들어가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20)는 상기 승강대(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20)와 승강대(1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어 마찰부재(20)를 탄성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부재(22)를 승강대(10)와 승강구동장치(3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브레이크페달(5b)에 연결되는 각도센서(41)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밟는 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페달(5b)의 전방에 터치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유닛(40)이 터치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강하게 밟아 브레이크페달(5b)이 터치스위치를 눌러 온(on)시키면 제어유닛(40)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유압식 브레이크인 경우, 브레이크페달(5b)에 연결된 유압실린더에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40)이 압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밟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자동차(1)에 메인브레이크장치(5)를 제어하는 ABS나 VDC 등의 장치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유닛(40)을 상기 ABS나 VDC의 제어장치에 연결하여, ABS나 VDC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닛(40)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30)가 신장되어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여, 자동차(1)가 미끄러지지 않고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차(1)의 바퀴(3)가 미끄러져 상기 ABS나 VDC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유닛(40)이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작동시켜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제동력을 발휘함으로써, 자동차(1)가 더욱 안정적으로 제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승강구동장치(30)는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하향가압하는 스프링(31)과,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상승시키는 상승장치(32)와, 상기 승강대(10)를 들어올린 상태로 위치고정하는 고정수단(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1)은 양단이 상기 본체(2)와 승강대(10)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대(10)가 하강되도록 가압하는 팽창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승장치(32)는 실린더기구나 와이어윈치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본체(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승강대(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33)은 상기 상승장치(32)에 의해 상승된 승강대(10)와 결합되어 승강대(10)가 하강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승강대(10)가 상기 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승장치(32)는 상기 제어유닛(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대(1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승강대(10)가 상기 고정수단(33)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승강대(10)가 상기 고정수단(33)에 고정된 후에는 상기 승강대(10)에 부하를 가하지 않아서 고정수단(33)의 고정이 해제될 때 승강대(10)가 상기 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자유롭게 하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3)은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10)가 상승되어 상기 고정수단(33)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5b)을 강하게 밟으면,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고정수단(33)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스프링(31)에 의해 상기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하강되어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b)을 놓으면, 상기 상승장치(32)가 승강대(10)를 상승시켜 상기 고정수단(3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31)은 상기 승강대(10)가 하향되도록 가압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승강대(10)가 탄성적으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완충기능을 하므로, 상기 마찰부재(20)는 상기 승강대(10)에 직접 일체로 고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의 탄성부재(22)의 구성은 생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브레이크장치는 상기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상기 스프링(31)에 의해 하강되므로,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실린더기구에 의해 하강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더욱 빠른 속도로 하강되어 노면(7)에 밀착된다. 따라서, 매우 짧은 시간에 제동력을 증가시켜, 자동차(1)가 미끄러지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자동차(1)가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장치(3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승강대(10)를 실린더기구로 대체하여 마찰부재(20)의 인출 정도를 조절하여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는 정도나 세기 등을 2차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강대(10)를 실린더기구로 대체하기만 하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5. 메인브레이크장치 10. 승강대
20. 마찰부재 21. 돌기
22. 탄성부재 30. 승강구동장치
40. 제어유닛

Claims (8)

  1.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선단부가 주행수단의 본체(2)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승강대(10)와,
    상기 승강대(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승강대(10)의 하강시 노면(7)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20)와,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승강시켜 상기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장치(30)와,
    상기 승강구동장치(30)에 연결되어 승강구동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20)는 상기 승강대(10)의 후단부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20)와 승강대(1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20)의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20)는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장치(30)는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되어 승강대(1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장치(30)는 상기 승강대(10)에 연결되어 승강대(10)를 하향가압하는 스프링(31)과, 상기 승강대(10)를 상승시키는 상승장치(32)와,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10)를 들어올린 상태로 위치고정하는 고정수단(33)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상승장치(32)와 고정수단(33)을 제어하여 승강대(10)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대(10)와 마찰부재(20)가 수납되는 수납부(4)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에는 메인브레이크장치(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 또는 상기 메인브레이크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구동장치(30)를 작동시켜 마찰부재(20)가 노면(7)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10)는 실린더기구로 되어 상기 마찰부재(20)의 인출 정도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
KR2020110000065U 2011-01-05 2011-01-05 브레이크장치 KR200453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65U KR200453872Y1 (ko) 2011-01-05 2011-01-05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65U KR200453872Y1 (ko) 2011-01-05 2011-01-05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72Y1 true KR200453872Y1 (ko) 2011-06-01

Family

ID=4448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65U KR200453872Y1 (ko) 2011-01-05 2011-01-05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46B1 (ko) 2020-01-22 2020-03-18 문수민 튜브타입으로 작동되는 급제동장치
CN114523943A (zh) * 2022-03-25 2022-05-24 江苏理工学院 一种车辆辅助制动装置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556A (ja) * 1983-12-08 1985-07-03 Hiroji Takahashi 自動車輛の車輪による以外の制動及び起動方法
JPH02267054A (ja) * 1989-04-05 1990-10-31 Jiro Koike 自動車の非常時制動装置
KR970040406A (ko) * 1995-12-19 1997-07-24 김태구 비상 브레이크장치
KR0140562B1 (ko) * 1995-12-29 1998-07-01 김태구 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556A (ja) * 1983-12-08 1985-07-03 Hiroji Takahashi 自動車輛の車輪による以外の制動及び起動方法
JPH02267054A (ja) * 1989-04-05 1990-10-31 Jiro Koike 自動車の非常時制動装置
KR970040406A (ko) * 1995-12-19 1997-07-24 김태구 비상 브레이크장치
KR0140562B1 (ko) * 1995-12-29 1998-07-01 김태구 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46B1 (ko) 2020-01-22 2020-03-18 문수민 튜브타입으로 작동되는 급제동장치
CN114523943A (zh) * 2022-03-25 2022-05-24 江苏理工学院 一种车辆辅助制动装置及其方法
CN114523943B (zh) * 2022-03-25 2022-12-23 江苏理工学院 一种车辆辅助制动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872Y1 (ko) 브레이크장치
US5439076A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trucks and the like
JP2932043B2 (ja) 自動車用ジャッキ装置
EP0509786A2 (en) Brake mechanism
KR970002203Y1 (ko) 자동차 보조브레이크
JPS62101572A (ja) 自動車の後部油圧式ブレ−キ
KR200276656Y1 (ko) 미끄럼 방지용 급제동 장치
KR100397780B1 (ko) 차량용 보조브레이크장치
JPH06293252A (ja) 自動車における雪路用ブレ−キ装置
KR101425873B1 (ko) 차량의 고임장치
KR100224030B1 (ko) 자동차의 주차 안전장치
KR20170126227A (ko) 차량용 급제동장치
KR20240011053A (ko) (에스디시) 자동차 급제동기 장치
KR100342646B1 (ko) 자동차의 보조제동장치
AU681165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trucks and the like
KR940000193B1 (ko) 자동차의 제동 안전장치
US7506734B2 (en) Vehicle brake system
JPH1191518A (ja) 自動車用ブレ−キ装置
KR100419471B1 (ko) 미끄럼방지용 급제동 장치
KR20040053971A (ko) 차량의 제동장치
JPH08282452A (ja) 自動車のスリップ防止装置
KR101028240B1 (ko) 자동차 공기브레이크의 밀림 방지장치
JPS6144528Y2 (ko)
KR20020051422A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의 파킹장치
KR20200013379A (ko) 자동차의 제동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