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26Y1 -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26Y1
KR200453526Y1 KR2020080017002U KR20080017002U KR200453526Y1 KR 200453526 Y1 KR200453526 Y1 KR 200453526Y1 KR 2020080017002 U KR2020080017002 U KR 2020080017002U KR 20080017002 U KR20080017002 U KR 20080017002U KR 200453526 Y1 KR200453526 Y1 KR 200453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gripping
fixed
support
scree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321U (ko
Inventor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이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진 filed Critical 이명진
Priority to KR2020080017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2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7Mounting of guiding devices to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2Means to increase gliss, light, sound or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지부재와; 고정부재, 진공흡착부재 또는 양면접착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스크린봉을 파지부재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스크린 및 스크린봉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린봉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그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구의 착탈이 간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는 스크린봉(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11)과, 상기 파지암(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14)와, 상기 스크린봉(52)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11)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15)이 형성된 파지부재(10)와; 창틀(62)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부재(20), 유리(61)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압력차이에 의해 흡착하는 진공흡착부재(30) 또는 유리(61)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양면접착테이프(44)에 의해 부착하는 양면접착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롤스크린, 파지부재, 스크린봉, 바람, 유리, 창틀, 요동, 소음

Description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The shake prevention device for roll screen}
본 고안은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지부재와; 고정부재, 진공흡착부재 또는 양면접착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스크린봉을 파지부재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스크린 및 스크린봉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린봉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그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구의 착탈이 간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스크린은 유리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외부의 시선을 막기 위해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내의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 놓는 경우,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하는 바람에 의해 스크린 및 스크린봉이 흔들리게 된다. 그로 인해, 스크린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이 창문틀이나 유리 등에 부딪쳐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2706호인 "실
Figure 112008088093167-utm00001
내외 겸용 다목적 롤블라인드"에는 양측부에 블라인드가 상
Figure 112008088093167-utm00002
하강 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와; 하부의 지지봉에 체결되는 처마형상의 날개판과; 상기 지지봉의 양측에 체결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양측 레일부의 일측 상단에는 블라인드가 상부 롤샤프트에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조정줄이 도르래식으로 연결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조정부재가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롤블라인드의 레일부는 그 부피와 면적이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974호인 "롤 스크린"에서는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도 사용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벽체가 있는 판형상의 몸체의 좌우측에 끼워 고정되고, 고정판에 구비된 자석과 받침대에 구비된 자석이 대응하여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용 고안의 롤 스크린은 상기 고정판 및 가이드 부재에 대한 그 부피와 면적이 크므로, 원자재의 양이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린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재와; 창틀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부재,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압력차이에 의해 흡착하는 진공흡착부재 또는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하는 양면접착부재로 구성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며,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구의 착탈이 간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봉을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파지부재와; 창틀이나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진공흡착부재 또는 양면접착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스크린봉을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여 파지부재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환기 및 통풍을 위해 창문을 열어 놓을 경우,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하는 바람에 의해 스크린 및 스크린봉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봉이 창문틀 또는 유리 등에 부딪쳐서 발생하는 소음을 사전에 방지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크린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과, 상기 파지암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와, 상기 스크린봉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이 형성된 파지부재와;
창틀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한 변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재와 고정부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과, 상기 파지암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와, 상기 스크린봉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이 형성된 파지부재와;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압력차이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된 진공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판에는 떨어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과, 상기 파지암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와, 상기 스크린봉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이 형성된 파지부재와;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된 양면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는 스크린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재와; 창틀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부재,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압력차이에 의해 흡착하는 진공흡착부재 또는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하는 양면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구의 착탈이 간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봉을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파지부재와; 창틀이나 유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진공흡착부재 또는 양면접착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스크린봉을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여 파지부재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환기 및 통풍을 위해 창문을 열어 놓을 경우,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하는 바람에 의해 스크린 및 스크린봉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봉이 창문틀 또는 유리 등에 부딪쳐서 발생하는 소음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를 창틀 및 스크린봉에 설치시킨 상태의 확대 결합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확대 결합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확대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는 스크린봉(52)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봉(52)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재(10)와; 창틀(62)의 좌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재(10)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20)로 구비되어 진다.
상기 파지부재(10)는 스크린봉(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 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11)과, 상기 파지암(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14)와, 상기 스크린봉(52)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11)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암(11)은 C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의 일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슬롯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슬롯부(12)에는 롤스크린(50)의 스크린봉(52)이 탄성적으로 삽입 또는 이탈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13)는 상기 파지암(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슬롯부(12)와 대항하는 영역에 상기 파지암(1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20)를 향한 지지대(13)의 단부에는 고정부재(2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14)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고정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23)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지부재(10)가 고정부재(20)와 결합하여 진다.
상기 스크린봉 수용홈(15)은 스크린(51)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52)을 수용하며, 상기 스크린봉(52)의 지름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파지부재(10)는 탄력성 및 마찰력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합성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1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마, EPDM, TP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암(11)은 외형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원통형, 타원형, 구형, 다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관상의 측면에서 장식성 및 심미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파지부재(10)는 나비, 개구리, 강아지, 돼지, 송아지 등의 동물 형상, 사람의 손 모양 등과 같은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창틀(62)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탄성부(21)와, 상기 탄성부(21)의 한 변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의 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21) 및 지지부(22)는 일체로 형성되어 갈고리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C자 형태이거나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창틀(62)의 좌우측 끝단의 전면과 후면에 끼워 가압되어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창틀(62)의 두께에 대한 다양한 크기에 따라 상기 탄성부(21)의 끝단부와 상기 지지부(22)의 일측면 사이의 크기를 상기 탄성부(21)로 사용자가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21)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그 두께를 일정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여 창틀(62)에 끼워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체결홈(23)이 상기 지지부(22)의 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T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와 끼워져 결합하여 진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10)와 고정부재(20)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는 탄력성 및 마찰력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합성고무 등과 같은 연질 고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마, EPDM, TP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는 스크린봉(52)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봉(52)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재(10)와; 유리(61)의 좌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재 (10)와 결합하기 위한 진공흡착부재(30)로 구비되어 진다.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전 실시예의 파지부재(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부재(30)는 유리(61)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압력차이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판(31)과, 상기 흡착판(31)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판(31)은 상기 지지부(32)와 일체로 형성되며,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유리(61)의 좌우측 전면에 흡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유리(61)의 표면과 흡착판(31) 사이에 공간부(80)가 형성된다. 압착시, 유리(61)의 표면과 흡착판(31) 사이의 공간부(80)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이로 인한 압력차이에 의해 진공흡착부재(30)를 압박하게 되어 진공흡착부재(30)가 유리(61)의 표면에 흡착되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흡착판(31)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재(1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33)은 상기 지지부(32)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T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와 끼워져 결합하여 진다.
또한, 상기 흡착판(31)에는 떨어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손잡이부(34)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진공흡착부재(3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는 스크린봉(52)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봉(52)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재(10)와; 창틀(62)이나 유리(61)의 좌우측에 접착하여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재(10)와 결합하기 위한 양면접착부재(40)로 구비되어 진다.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전 실시예의 파지부재(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생략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면접착부재(40)는 유리(61)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양면접착테이프(44)에 의해 부착하는 결합판(41)과, 상기 결합판(41)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4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41)은 상기 지지부(42)와 일체로 형성되며 창틀(62)이나 유리(61)의 좌우측 전면에 접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판(41)은 창틀(62)이나 유리(61)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의 형상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원, 타원, 사각형, 다각형의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41)의 지지부(42)에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접착되어 있는 양면접착테이프(44)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에 손쉽고 간편하게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결합판(41)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재(1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43)은 상기 지지부(42)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T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와 끼워져 결 합하여 진다.
한편, 상기 양면접착부재(4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플라스틱 성형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면접착부재(40)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ABS,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스크린봉(52)은 단면의 형상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진다. 즉,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봉(52)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C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파지암(11)을 적용할 수 있고,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파지암(11)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삼각형인 경우에는 C자 형태 또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파지암(11)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스크린봉(52)의 다양한 단면의 형상에 따라,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상기 파지암(11)의 단면 형상을 다양한 변형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리(61)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외부의 시선을 막기 위해서 천정이나 벽체 등에 롤스크린 의 설치대(53)를 장착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50)의 지지대(54) 양측에 장착되며, 스크린(51)이 감겨있는 롤축(55)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줄(56)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51)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52)을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높이까지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실내의 환기 및 통풍을 위해서 창문을 열어두는 경우, 외부로부터 바람(70)이 유입한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50)의 스크린(51) 및 무게중심을 잡기 위한 상기 스크린(51)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52)이 흔들리는데, 상기 스크린봉(52)이 창문틀(60) 또는 유리(61)에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20)의 탄성부(21) 및 지지부(22)를 창틀(62)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하나씩 끼워 고정시키고,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를 고정부재(20)의 체결홈(23)에 각각 하나씩 끼워 결합시킨 후, 스크린(51)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52)을 파지부재(10)의 파지암(11)에 눌러서 끼워 고정하여 장착한다.
이때, 스크린봉(52)이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70)에 의한 스크린봉(52)의 요동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유해한 작용인 소음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롤스크린의 설치 및 작동관계와 소음의 발생에 관한 메커니즘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생략한다.
다음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공흡착부재(30)의 흡착판(31)을 유리(61)의 좌우측 전면에 각각 하나씩 압착하여 고정시키고,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를 진공흡착부재(30)의 체결홈(33)에 각각 하나씩 끼워 결합시킨 후, 스크린(51)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52)을 파지부재(10)의 파지암(11)에 눌러서 끼워 고정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높이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떨어지게 하는 다수개의 손잡이부(34)는 흡착판(31)의 외주면 일부분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롤스크린의 설치 및 작동관계와 소음의 발생에 관한 메커니즘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생략한다.
다음으로, 양면접착테이프(44)가 부착된 양면접착부재(40)의 결합판(41)을 창틀(62)이나 유리(61)의 좌우측 전면에 각각 하나씩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를 양면접착부재(40)의 체결홈(43)에 각각 하나씩 끼워 결합시킨 후, 스크린(51)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린봉(52)을 파지부재(10)의 파지암(11)에 눌러서 끼워 고정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높이에 손쉽고 간편하게 접착하여 사용하도록 양면접착테이프(44)는 결합판(41)에 일체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지지부(42)의 형성된 면에 반대되는 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를 창틀 및 스크린봉에 설치시킨 상태의 확대 결합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확대 결합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확대 결합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지부재 11 : 파지암
12 : 절개슬롯부 13 : 지지대
14 : 체결돌기 15 : 스크린봉 수용홈
20 : 고정부재 21 : 탄성부
22, 32, 42 : 지지부 23, 33, 43 : 체결홈
30 : 진공흡착부재 31 : 흡착판
34 : 손잡이부 40 : 양면접착부재
41 : 결합판 44 : 양면접착테이프
50 : 롤스크린 51 : 스크린
52 : 스크린봉 60 : 창문틀
61 : 유리 62 : 창틀
70 : 바람 80 : 공간부

Claims (5)

  1. 스크린봉(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11)과, 상기 파지암(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14)와, 상기 스크린봉(52)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11)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15)이 형성된 파지부재(10)와;
    창틀(62)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탄성부(21)와, 상기 탄성부(21)의 한 변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의 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23)이 형성된 고정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는 상기 고정부재(20)의 체결홈(23)에 끼워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봉(52)과 창틀(62)이 상호 결합되어진 상기 파지부재(10)와 고정부재(20)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20)의 탄성부(21) 및 지지부(22)는 상기 창틀(62)의 좌우측 끝단에 끼워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봉(52)은 상기 파지부재(10)의 파지암(11)에 눌러서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10)와 고정부재(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3. 스크린봉(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11)과, 상기 파지암(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14)와, 상기 스크린봉(52)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11)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15)이 형성된 파지부재(10)와;
    유리(61)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압력차이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판(31)과, 상기 흡착판(31)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33)이 형성된 진공흡착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는 상기 진공흡착부재(30)의 체결홈(33)에 끼워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봉(52)과 유리(61)가 상호 결합되어진 상기 파지부재(10)와 진공흡착부재(30)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흡착부재(30)의 흡착판(31)은 상기 유리(61)의 좌우측 전면에 압착하여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봉(52)은 상기 파지부재(10)의 파지암(11)에 눌러서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31)에는 떨어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손잡이부(3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5. 스크린봉(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파지암(11)과, 상기 파지암(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14)와, 상기 스크린봉(52)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파지암(11)의 전면 중앙부가 개방된 스크린봉 수용홈(15)이 형성된 파지부재(10)와;
    유리(61)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양면접착테이프(44)에 의해 부착하는 결합판(41)과, 상기 결합판(41)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의 상단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43)이 형성된 양면접착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10)의 체결돌기(14)는 상기 양면접착부재(40)의 체결홈(43)에 끼워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봉(52)과 유리(61)가 상호 결합되어진 상기 파지부재(10)와 양면접착부재(40)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양면접착부재(40)의 결합판(41)은 상기 유리(61)의 좌우측 전면에 접착하여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봉(52)은 상기 파지부재(10)의 파지암(11)에 눌러서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KR2020080017002U 2008-12-22 2008-12-22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KR200453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02U KR200453526Y1 (ko) 2008-12-22 2008-12-22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02U KR200453526Y1 (ko) 2008-12-22 2008-12-22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21U KR20090000321U (ko) 2009-01-12
KR200453526Y1 true KR200453526Y1 (ko) 2011-05-11

Family

ID=4128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002U KR200453526Y1 (ko) 2008-12-22 2008-12-22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47B1 (ko) * 2012-10-23 2013-01-02 유상원 블라인드 하단 바 충격 및 소음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958A (ja) * 1996-04-17 1997-10-28 Sumimoto Seisakusho:Kk シャッタ用座板カバー
KR20030022706A (ko) * 2001-09-10 2003-03-17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궤도 차량용 전기 공압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22706Y1 (ko) 2003-05-26 2003-08-14 정태철 실ㆍ내외 겸용 다목적 롤블라인드
KR20040039974A (ko) * 2002-11-05 2004-05-12 주식회사 한서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제조 방법
KR200439974Y1 (ko) 2007-10-31 2008-05-19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롤 스크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958A (ja) * 1996-04-17 1997-10-28 Sumimoto Seisakusho:Kk シャッタ用座板カバー
KR20030022706A (ko) * 2001-09-10 2003-03-17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궤도 차량용 전기 공압 브레이크 시스템
KR20040039974A (ko) * 2002-11-05 2004-05-12 주식회사 한서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제조 방법
KR200322706Y1 (ko) 2003-05-26 2003-08-14 정태철 실ㆍ내외 겸용 다목적 롤블라인드
KR200439974Y1 (ko) 2007-10-31 2008-05-19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롤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21U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4025C (en) Door hook
US20080307604A1 (en) Fastening-free door stopper
US20010045191A1 (en) Kitty corner scratching apparatus
US9803797B2 (en) Hurricane resistant fabric clamps
KR200453526Y1 (ko) 롤스크린용 요동방지기구
KR200397158Y1 (ko) 방충창용 모서리 고정구
KR20140019014A (ko) 건축물의 롤스크린
WO2015003350A1 (zh) 一种微型风扇
CN211714862U (zh) 一种极窄淋浴屏的下滑轮
AU2016100134A4 (en) A blind system
KR101479854B1 (ko) 지팡이 걸이
US20120285364A1 (en) Flag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vent visor
CN206113134U (zh) 空调器
KR200312111Y1 (ko) 출입문용 문풍대
KR101562776B1 (ko) 무소음 스크린 창문
CN211341375U (zh) 吊顶检修口盖板及吊顶检修口装置
CN210768549U (zh) 一种简装自吸式纱门
KR200478475Y1 (ko) 장력 풀림을 방지하는 안전핀 장치
KR101132655B1 (ko) 돌기를 구비한 창호
JPS597985Y2 (ja) 窓の内装木口仕上げ装置
KR101813944B1 (ko) 블라인드용 줄 체인
CN202483304U (zh) 一种马蹄门挡
CN205604939U (zh) 一种淋浴房用缓冲夹持机构
JP3012667U (ja) 円形出窓用のカーテン
GB2480808A (en) A blind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