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83Y1 - 발광봉 - Google Patents

발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83Y1
KR200453483Y1 KR2020100012663U KR20100012663U KR200453483Y1 KR 200453483 Y1 KR200453483 Y1 KR 200453483Y1 KR 2020100012663 U KR2020100012663 U KR 2020100012663U KR 20100012663 U KR20100012663 U KR 20100012663U KR 200453483 Y1 KR200453483 Y1 KR 200453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board
light emitting
emitting body
switch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김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2020100012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영역이 개방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상의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 광원을 수용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발광본체의 상부영역을 통해 발광본체 내부에 삽입되며 광고문구가 인쇄된 막대형상의 막대광고판과, 상기 막대광고판의 상부영역에 연장되며 상기 발광본체의 상부영역으로 돌출되는 장식광고판을 갖는 광고판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발광본체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광고판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광고판고정관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판부는, 광고문구가 인쇄된 전면광고판과,상기 전면광고판의 배면에 밀착결합된 배면광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봉{LIGHT EMITTING STICK}
본 고안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판면에 인쇄된 광고문구를 보다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봉은 야간 또는 어두운 공간에서 콘서트 등의 행사를 하는 경우,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경우 및 군 또는 행렬에서 지휘봉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종래 발광봉은 별도의 분리막이 형성된 통형상의 튜브내에 각기 다른 물질 즉, 일측에는 플루오레세인, 나트륨 약산성 수용액을 장입하고, 타측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장입하여, 사용할 때는 중간부위에 형성된 분리막이 터질 수 있도록 튜브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구부리면 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분리막이 파열되어 화학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약품의 화학성질을 이용한 종래 발광봉은 광도가 낮으며, 사용시간이 약 2-3시간에 지나지 않으며 반복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발광봉을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 방치하거나 습기에 노출된 경우 광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야광물질이 환경오염물질이므로 사용하고 난 후에 폐기물처리를 하지 않고 버리게 되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LED 광원을 이용한 발광봉이 출원번호 20-2002-0009905로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선출원의 경우 LED 광원에 의해 반복적인 사용은 가능하나, 광고문구가 발광튜브의 외측에 인쇄되므로 광고문구를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형태상의 제약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ED 광원의 불빛을 발광봉 전체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광고문구를 보다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발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광봉은, 상하영역이 개방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상의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 광원을 수용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발광본체의 상부영역을 통해 발광본체 내부에 삽입되며 광고문구가 인쇄된 막대형상의 막대광고판과, 상기 막대광고판의 상부영역에 연장되며 상기 발광본체의 상부영역으로 돌출되는 장식광고판을 갖는 광고판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발광본체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광고판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광고판고정관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판부는, 광고문구가 인쇄된 전면광고판과, 상기 전면광고판의 배면에 밀착결합된 배면광고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광고판은 광을 투과하는 투명 판상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배면광고판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광고판을 통해 투과되는 컬러층이 구비되고, 상기 배면광고판의 배면에는 광의 외부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광고판의 외관 형상은 상기 광고문구의 형상, 사물의 형상, 동물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LED 광원을 수용하는 스위칭본체와;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스위칭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스위칭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은 발광본체 내부에 광고문구가 인쇄된 광고판이 전면판과 배면판의 이중구조로 구비되어 광고문구가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식판이 발광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장식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전면측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스위칭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광고판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100)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전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100)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100)은 광투광성 재질의 봉 형상으로 구비된 발광본체(110)와, 발광본체(110)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며 LED 광원(124)을 수용하는 스위칭부(120)와, 발광본체(110) 내부에 삽입되며 광고문구(A)가 인쇄되는 광고판부(140)과, 광고판부(140)가 발광본체(110) 내부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광고판고정관(130)을 포함한다.
발광본체(110)는 상하 양단부 영역이 개방된 봉 형상의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된다. 발광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인 원통의 형상뿐만 아니라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각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발광본체(110)는 투명재질로 구비되어 내부에 삽입된 광고판부(140)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발광본체(110)의 표면에는 광고문구가 인쇄되거나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발광본체(110)의 개방된 하부영역에는 광고판고정관(130)과 스위칭부(120)가 결합되고, 발광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영역에는 광고판부(140)가 삽입된다.
스위칭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따라 LED 광원(124)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본체(110) 내부로 광을 입사시킨다.
도 4는 스위칭부(12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20)는 발광본체(110)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는 스위칭본체(121)와, 스위칭본체(1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칭커버(126)를 포함한다.
스위칭본체(121)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LED 광원(124)과, LED 광원(124)을 지지하는 기판(123)을 수용한다. 스위칭본체(121)는 발광본체(1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일정 직경 크게 구비된다. 스위칭본체(121)의 상부영역에는 광고판고정관(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삽입관(121a)이 구비되고, 하부영역에는 스위칭커버(126)와의 결합을 위해 판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관(121b)이 구비된다.
삽입관(121a)은 외경이 광고판고정관(130)의 내경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광고판고정관(130) 내에 삽입되어 스위칭부(1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삽입관(121a)은 광고판고정관(130)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되게 결합되어 스위칭부(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나사관(121b)은 스위칭커버(126)와 나사결합되어 사용자가 스위칭커버(126)를 회동시키도록 한다.
스위칭본체(121)는 광고판고정관(130)에 고정되고 스위칭커버(126)는 스위칭본체(121)에 대해 나사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되게 된다. 스위칭본체(121)의 회동여부에 따라 LED 광원(124)에 전원 공급이 단속된다.
스위칭본체(121)의 외측 판면 상에는 스트랩 끈(미도시)이 결합되는 결합고리(127)가 구비된다.
LED 광원(124)은 기판(123) 상에 결합되어 스위칭본체(121) 내부에 수용된다. LED 광원(124)은 스위칭본체(121)가 발광본체(110)에 삽입되었을 때 스위칭본체(121)의 상부영역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LED 광원(124)에서 발생된 광이 발광본체(110)의 내부로 투과될 수 있다.
LED 광원(124)은 한 개가 구비되거나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가 구비될 경우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기판(123)은 스위칭본체(121) 내부에 삽입되며 LED 광원(124)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지한다. 기판(123)의 판면에는 전원단자(125)가 돌출 형성되고, 스위칭커버(126)의 회동 시 스위칭커버(126) 내부의 접촉단자(미도시)에 접촉 또는 이격되며 배터리(122)의 전원이 LED 광원(124)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스위칭커버(126)는 스위칭본체(121)의 나사관(121b)에 나사결합된다. 스위칭커버(126)는 내부에 배터리(122)를 수용한다. 사용자가 스위칭커버(126)를 회동시키면 스위칭커버(126) 내부의 접촉단자(미도시)가 기판(123)의 전원단자(125)와 접촉되어 배터리(122)의 전원을 LED 광원(124)으로 공급하고, 사용자가 스위칭커버(126)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스위칭커버(126)의 접촉단자(미도시)와 전원단자(125)가 이격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100)은 스위칭본체(121)와 스위칭커버(126)의 회동에 의해 LED 광원(124)의 전원공급이 결정되도록 구비되었으나, 이 외에도 전원공급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개의 LED 광원이 구비된 경우 각각의 색상에 대응하는 전원공급버튼이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광고판고정관(130)은 스위칭부(120)와 광고판부(1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광고판고정관(130)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광본체(110) 내부에 삽입된다. 광고판고정관(130)은 외경이 발광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발광본체(110)의 하부영역에 억지 끼워 맞춤된다.
광고판고정관(130)의 상부면에는 광고판부(140)가 삽입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된다. 삽입홈(133)은 광고판부(140)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와 광고판부(140)가 고정될 수 있는 깊이로 구비된다.
광고판부(140)는 발광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LED 광원(124)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투과하여 판면에 형성된 광고문구(A)의 시인성을 높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5는 광고판부(140)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판부(140)는 앞에 배치되는 전면광고판(141)과, 전면광고판(141)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광고판(145)이 밀착결합되어 형성된다.
전면광고판(141)과 배면광고판(145)은 각각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발광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막대광고판(a)과, 막대광고판(a)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발광본체(110)의 상부영역으로 노출되는 장식광고판(b)을 포함한다. 막대광고판(a)과 장식광고판(b)은 일체로 형성된다.
막대광고판(a)은 발광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구비되어 발광본체(110)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발광본체(110)의 내벽면의 양 측면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장식광고판(b)은 발광본체(110)의 상부영역으로 노출된다. 장식광고판(b)은 판면에 인쇄된 광고문구(A)의 외부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구름과 같은 사물형상, 토끼, 돼지와 같은 동물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면광고판(141)과 배면광고판(145)은 일정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전면광고판(141)은 폴리카보네이트판, 아크릴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판 등의 합성수지로 이우어질 수 있다. 이로써, 발광본체(110) 하부영역에 구비된 LED 광원(124)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면광고판(141)과 배면광고판(145)의 내부를 투과하여 광고판부(140) 전면에서 외부 조사될 수 있다.
전면광고판(141)은 배면광고판(145) 표면의 컬러층(145a)의 색상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된다. 그리고, 전면광고판(141)의 전면에는 광고문구(A)가 구비된다. 광고문구(A)는 발광봉(100)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발광봉(100)이 콘서트에 사용되는 경우 콘서트를 하는 가수의 이름일 수 있고, 업체를 홍보하기 위한 수단일 경우 업체명일 수 있다.
광고문구(A)는 전면광고판(141)에 인쇄를 통해 구비되거나, 조각 또는 식각 등의 방법으로 판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인쇄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 광고문구(A)는 UV 디지털프린팅, 실크 스크린인쇄, Air 스프레이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광고문구(A)는 글씨, 그림, 문양 및 숫자들이 조합되어 인쇄될 수 있다.
배면광고판(145)은 전면에 컬러층(145a)이 구비되고, 배면에는 차단층(145b)이 구비된다. 컬러층(145a)은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도포하여 구비되거나, 컬러필름을 코팅하여 구비될 수 있다. 컬러층(145a)은 전면광고판(141)을 통해 외부로 투시되어 LED 광원(124)에 의해 광이 입사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보았을 때 광고문구(A)가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층(145b)은 배면광고판(145)의 내부로 입사된 광이 배면광고판(145)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고 광이 배면광고판(145)의 전면을 향해 입사되도록 반사시킨다. 차단층(145b)은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를 부착하여 구비되거나, 유성백색염료를 도포하거나, 유성실버 스프레이를 코팅하거나, 실크스크린에 의해 반사액을 도포할 수 있다.
차단층(145b)은 LED 광원(124)에서 발생된 광을 배면광고판(145)의 전면을 향해 반사시키므로 작은량의 LED 광원(124) 광량으로도 밝은 조명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100)의 조립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들을 준비한다. 이때, 광고판부(140)의 전면광고판(141)과 배면광고판(145)은 열융착이나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상호 접착시켜 준비한다.
그리고, 중공의 발광본체(110)의 개방된 하부영역에 광고판고정관(130)을 삽입시킨다. 이때, 삽입홈(133)이 형성된 부분이 상부영역을 향하도록 광고판고정관(130)을 삽입시킨다. 광고판고정관(130)은 외경이 발광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게 구비되므로 발광본체(110)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된다.
광고판고정관(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스위칭부(120)를 광고판고정관(130)의 하부영역에 결합시킨다. 스위칭본체(121)의 삽입관(121a)을 광고판고정관(130)의 내경 안으로 삽입시켜 스위칭본체(12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스위칭본체(121) 내부에는 기판(123)과 LED 광원(124)이 수용된다.
스위칭본체(121)의 위치가 고정되면 나사부(121b)에 스위칭커버(126)를 결합시킨다.
경우에 따라 스위칭본체(121)에 스위칭커버(12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스위칭본체(121)를 광고판고정관(13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본체(110)에 광고판고정관(130)과 스위칭부(120)의 고정이 완료되면, 발광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영역으로 광고판부(140)를 삽입시킨다.
광고판부(140)의 막대판(a)을 발광본체(110)의 하부영역까지 삽입하여 막대판(a)의 하단면이 광고판고정관(130)의 삽입홈(133)에 삽입되도록 한다. 광고판고정관(130)에 광고판부(140)가 삽입되면 발광봉(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발광봉(100)의 작동 과정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상태에서 스위칭본체(121)와 스위칭커버(126)는 접촉단자(미도시)와 전원단자(125)가 이격된 상태로 출하된다. 사용자가 발광봉(100)을 구매한 후 사용할 때 스위칭커버(126)를 회동시켜 접촉단자(미도시)와 전원단자(125)를 접촉시키다. 이에 의해 LED 광원(124)으로 배터리(122)의 전원이 공급되면 LED 광원(124)이 점등된다.
LED 광원(124)의 점등에 의해 광이 발광본체(110) 내부로 조사된다. 광은 발광본체(110)의 내부를 조사함과 동시에 전면광고판(141)과 배면광고판(145)의 내부를 투과하여 조사된다. 이때, 배면광고판(145)의 컬러층(145a)이 전면광고판(141)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장식문구(A)는 컬러층(145a)에 의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또한, 차단층에 의해 광이 배면광고판(145)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것이 차단되어 내부로 모두 입사되므로 발광본체(110) 내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따라서, 야간에 발광봉(100)의 장식효과 및 광고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은 발광본체 내부에 광고문구가 인쇄된 광고판이 전면판과 배면판의 이중구조로 구비되어 광고문구가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식판이 발광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장식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발광봉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발광봉 110 : 발광본체
120 : 스위칭부 121 : 스위칭본체
121a : 삽입관 121b : 나사관
122 : 배터리 123 : 기판
124 : LED 125 : 전원단자
126 : 스위칭커버 127 : 결합고리
130 : 광고판고정관 131 : 고정관본체
133 : 삽입홈 140 : 광고판부
141 : 전면광고판 141a : 광고인쇄층
145 : 배면광고판 145a : 컬러층
145b : 차단층

Claims (4)

  1. 발광봉에 있어서,
    상하영역이 개방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상의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 광원을 수용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발광본체의 상부영역을 통해 발광본체 내부에 삽입되며 광고문구가 인쇄된 막대형상의 막대광고판과, 상기 막대광고판의 상부영역에 연장되며 상기 발광본체의 상부영역으로 돌출되는 장식광고판을 갖는 광고판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발광본체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광고판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광고판고정관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판부는,
    광고문구가 인쇄된 전면광고판과,
    상기 전면광고판의 배면에 밀착결합된 배면광고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광고판은 광을 투과하는 투명 판상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배면광고판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광고판을 통해 투과되는 컬러층이 구비되고, 상기 배면광고판의 배면에는 광의 외부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이 구비되며,
    상기 장식광고판의 외관 형상은 상기 광고문구의 형상, 사물의 형상, 동물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LED 광원을 수용하는 스위칭본체와;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스위칭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스위칭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00012663U 2010-12-08 2010-12-08 발광봉 KR200453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63U KR200453483Y1 (ko) 2010-12-08 2010-12-08 발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63U KR200453483Y1 (ko) 2010-12-08 2010-12-08 발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483Y1 true KR200453483Y1 (ko) 2011-05-09

Family

ID=4447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63U KR200453483Y1 (ko) 2010-12-08 2010-12-08 발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25A (ko) * 2015-04-16 2016-10-26 (주)성진전자 스위치가 장착된 led 형광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681A (ko) * 2002-07-24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에너지 이온주입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쉘로우 웰형성방법
KR20040039919A (ko) * 2002-11-05 2004-05-12 노윤근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KR200409681Y1 (ko) * 2005-12-16 2006-03-03 박준형 발광봉
KR200439919Y1 (ko) * 2007-03-05 2008-05-13 김창영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681A (ko) * 2002-07-24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에너지 이온주입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쉘로우 웰형성방법
KR20040039919A (ko) * 2002-11-05 2004-05-12 노윤근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KR200409681Y1 (ko) * 2005-12-16 2006-03-03 박준형 발광봉
KR200439919Y1 (ko) * 2007-03-05 2008-05-13 김창영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25A (ko) * 2015-04-16 2016-10-26 (주)성진전자 스위치가 장착된 led 형광등
KR101724579B1 (ko) 2015-04-16 2017-04-10 (주)성진전자기술 스위치가 장착된 led 형광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50364A1 (ja) 照明装置
TW200503293A (en) Phosphor based light sources having a non-planar long pass reflector
TWM329221U (en) Improved structure of light plate device
CN102696063A (zh) 光导向指示牌基底
US20110271569A1 (en) Display with multi-faceted illumination effect
KR100612474B1 (ko) 광섬유를 이용한 광고장치용 광원유니트
KR101348487B1 (ko) 간판용 엘이디 조명 입체 문자
JP4743927B2 (ja) 発光体
KR200453483Y1 (ko) 발광봉
JP2011065116A (ja) 表示器
JP2010204169A (ja) 電気機器
JP2009080210A (ja) 面発光装置の固定構造
JP2016165460A (ja) うちわ
KR200338085Y1 (ko) 발광광고판
KR200423832Y1 (ko) 아크릴패널을 이용한 광고장치
KR101096625B1 (ko) Led가 부착된 누드사인
KR200227995Y1 (ko) 광섬유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 장치
KR100973068B1 (ko) 채널 사인
CN216733713U (zh) 一种电子光纤灯画
KR101140384B1 (ko) 인테리어 조명기구
CN214948813U (zh) 装饰灯
JP2015022895A (ja) 発光構造体
CN210831534U (zh) 镜电灯
KR200388169Y1 (ko) 광섬유를 이용한 광고장치용 광원유니트
KR200180884Y1 (ko) 스틱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