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384B1 - 인테리어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84B1
KR101140384B1 KR1020110105831A KR20110105831A KR101140384B1 KR 101140384 B1 KR101140384 B1 KR 101140384B1 KR 1020110105831 A KR1020110105831 A KR 1020110105831A KR 20110105831 A KR20110105831 A KR 20110105831A KR 101140384 B1 KR101140384 B1 KR 10114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eable membrane
light source
housing
light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진
Original Assignee
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진 filed Critical 박현진
Priority to KR102011010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9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in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인테리어 조명기구는, 빛을 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PCB기판,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을 일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경,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이 투과되며, 특정한 형상만 투과될 수 있는 필름이 부착된 투과막, 상기 투과막을 통과하여 특정한 형상의 빛이 외부로 투영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상기 광원, PCB기판, 반사경, 투과막 및 상기 렌즈를 내포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탄성에 의해 플렉서블한 넥 및 상기 넥의 하단에 결합되며 평탄한 형상의 받침대를 포함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테리어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조명기구{INTERIOR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장식이나 광고, 이벤트 등을 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는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광원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또는 어두운 야외를 밝게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전통적으로는 실내나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미관을 위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고, 또한 광고용이나 이벤트를 위해서도 적극 이용되고 있다.
즉, 외관 디자인과 설치상의 독특함을 이용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게 하거나, 이벤트나 광고를 위해 특정한 색이나 모양으로 빛을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광고용으로 특정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특2003-0012696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1723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이 있다.
종래기술1 및 2는 문자, 그림, 기호, 도형 등의 특정한 모양을 표시함으로써 광고 및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표시하려는 모양으로 제조가공하여 이를 투과하는 빛이 굴절, 반사되는 것을 이용하여 이 같은 효과를 발휘시킨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보다 입체적이고 고급스러운 형상을 구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부재를 표시하려는 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이 같은 조명기구는 비용이 많이 들고 대형 기구이므로 대형 구조물에 적합한 점이 있고, 부재를 깎아서 만드는 것이므로 하나의 정해진 형상만이 구현될 뿐이어서 구현에 한계가 있어 활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고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는, 빛을 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PCB기판,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을 일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경,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이 투과되며, 특정한 형상만 투과될 수 있는 필름이 부착된 투과막, 상기 투과막을 통과하여 특정한 형상의 빛이 외부로 투영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상기 광원, PCB기판, 반사경, 투과막 및 상기 렌즈를 내포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탄성에 의해 플렉서블한 넥 및 상기 넥의 하단에 결합되며 평탄한 형상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과막은 상기 투과막의 외주에 맞게 형성된 투과막 가드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투과막 가드와 결합된 투과막이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투과막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체적인 특징으로 하고,
상기 투과막 삽입홀과 상기 투과막 가드의 외주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의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고, 상기 투과막 가드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하우징의 외주와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투과막 가드의 양 끝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삽입되는 삽입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다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인테리어 조명기구는 상기 투과막과 상기 렌즈 사이의 경로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며, 빛이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웨이브가이드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PCB기판의 후면에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 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방열판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플라스틱 부재를 깎아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다.
둘째, 투과막을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광고 효과나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이벤트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이벤트용으로 이용하더라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투과막을 교체함으로써 계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넷째, 투과막을 복수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의 일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의 일 구성의 결합 및 교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의 일 구성인 투과막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의 일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100)는 하우징(110), 광원, PCB기판(120), 방열판(130), 반사경(140), 투과막(150), 웨이브가이드(160), 렌즈(170), 넥(180) 및 받침대(190)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외관을 형성하며,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여, 하우징(110) 내부에는 광원, PCB기판(120), 반사경(130), 투과막(140), 투과막 가드(150), 웨이브가이드(160), 렌즈(170)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발생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외부와 통기를 위한 에어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할 투과막 가드(150)와 결합된 투과막(140)이 삽입, 교체될 수 있는 투과막 삽입홀(112)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아래에는 넥(180)이 결합되고, 넥(180)의 끝단에 받침대대(190)가 형성되어 거치하고자 하는 곳에 거치할 수 있게 마련된다.
받침대(190)에는 전원의 ON/OFF를 위한 전원스위치(S)가 노출되어 있고, 전기코드(C)가 받침대(190) 후면과 넥(180)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받침대(190) 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효과를 위해 벽면고정수단이 채용되어 상단 또는 측면 벽에도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넥(180)은 내부의 전기코드(C)를 보호하고, 하우징(110)을 지지함은 물론, 탄성을 지녀 플렉서블하게 구성되는데, 이는 렌즈(170)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광고나 인테리어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하우징(110) 내부에 구성되는 광원(미도시)은 반사경(130)에 의해 둘러싸여 외관상 드러나지 않고, 엘이디(LED) 소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PCB기판(120)이 광원과 접해 있으며, 반사경(130)은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렌즈(170) 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광원을 둘러싸는 원뿔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된다.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제거를 위해 PCB기판(120)의 후면에는 방열판(130)이 구성되고, 방열판(130)에 의해 열이 감소된 후, 하우징(110)의 에어홀(111)을 통해 외부로 열이 방출되도록 한다.
반사경(130)에 의해 집중된 빛은 투과막(150)을 통과하게 되는데, 투과막(150)은 플라스틱 등의 부재에 나타내고자 하는 모양이 프린트된 필름지가 부착된 것이어서, 필름지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서만 빛이 투과하게 되어 투과막(150)을 투과하는 빛은 원하는 모양대로 발산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렌즈(170)를 거쳐 외부로 빛을 투영시킨다.
투과막(150)과 렌즈(170)의 사이에는 웨이브 가이드(160)가 하우징(110)의 외관형상에 따라 원통으로 구비되는데, 이는 하우징(110)을 디자인적인 특징으로 어느 정도 투명하게 구성하는 경우에 빛이 하우징(110) 외부로 퍼져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기구(100)의 일 구성인 투과막(150)과 투과막 가드(151)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이들의 하우징(110) 내부에의 결합 및 교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투과막(150)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반사경에 의해 모아져 렌즈(170)로 직진되기 이전에 투과될 수 있도록 하여 프린트된 필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이나 글씨만 투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투과막(150)의 제작은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 등에 의해서 원하는 모양만이 투과되도록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 등에 의해 투과막(150)에 부착되는 필름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그러한 예시를 도5에 나타내었다. 다양한 문구나 형상을 쉽게 제작하여 투과막(150)을 제조할 수 있으며, 교체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도5의 좌상단에 예시된 일명 스크래치 투과막을 긁어서 표현도 가능해진다.
스크래치 투과막은 사용자가 직접 표면을 긁어 메시지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제작되는 일명 복권잉크라 불리는 'Rub Removable 잉크(RR 잉크)'이다.
RR잉크는 복권 등에 이용되는 임착잉크(Scratch Off)로 미리 옵셋 인쇄된 인쇄물의 특정 부분을 스크린 인쇄로 완전히 은폐하고, 동전 등으로 벗겨내어 은폐되었던 부분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잉크로, 이와 같은 스크래치 투과막에 의해 소비자에 보다 흥미로운 재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구현하기에 따라서는 이중 삼중으로 투과막을 겹쳐서 효과를 창출할 수도 있으며, 색상이 있는 투과막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표출이 가능하다.
투과막(150)은 도4와 같이 투과막 가드(151)에 끼워져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다.
투과막(150)과 투과막 가드(151)의 결합을 위해, 그리고, 정확한 방향에 맞는 조명을 위해서 투과막(150)에는 결합홈(h)이 형성되고, 투과막 가드(151)의 중앙 내측에는 결합홈(h)에 대응되는 돌기가 마련되어 정확한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투과막 가드(151)는 하우징(110)의 투과막 삽입홀(112)을 통해 하우징에 쉽게 끼워지고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투과막 삽입홀(112)은 하우징(110)의 반원면에 틈의 형태로 구성되고, 투과막 가드(151)도 그에 대응되게 반원상으로 마련되어 끼워진 후 하우징(110)의 외면과 동일한 곡면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투과막 가드(151)의 양 끝단에는 삽입단(151a)과 끼움돌기(151b)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된다.
결합됨으로써 삽입단(151a)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외부로 드러나는 교체돌기(151c)는 외관상 드러나게 되어 투과막 가드(151) 및 투과막(150)을 쉽게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고 응용가능한 투과막에 의해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광고 효과나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이벤트용으로도 기발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인테리어 조명기구
110 : 하우징
120 : PCB 기판
130 : 방열판
140 : 반사경
150 : 투과막 151 : 투과막 가드
160 : 웨이브 가이드
170 : 렌즈
180 : 넥
190 : 받침대

Claims (5)

  1. 빛을 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PCB기판;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을 일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경;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이 투과되며, 특정한 문양이나 모양만 투명하게 프린팅 처리된 필름이 부착된 투과막;
    상기 투과막을 통과한 빛이 외부로 투영되도록, 빛의 경로 상 상기 투과막의 전단에 구비되는 렌즈; 및
    상기 광원, PCB기판, 반사경, 투과막 및 상기 렌즈를 내포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조명기구.
  2. 빛을 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PCB기판;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을 일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경;
    상기 광원에서 발한 빛이 투과되되, RR잉크(Removable Rub Ink)가 도포되어 도포된 도막 중 임의의 부분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과막;
    상기 투과막을 통과한 빛이 외부로 투영되도록, 빛의 경로 상 상기 투과막의 전단에 구비되는 렌즈; 및
    상기 광원, PCB기판, 반사경, 투과막 및 상기 렌즈를 내포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조명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은 상기 투과막의 외주에 맞게 형성된 투과막 가드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투과막 가드와 결합된 투과막이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투과막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 삽입홀과 상기 투과막 가드의 외주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의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고,
    상기 투과막 가드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하우징의 외주와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투과막 가드의 양 끝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삽입되는 삽입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투과막과 상기 렌즈 사이의 경로 상에는 빛이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원통형상의 웨이브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기구.
KR1020110105831A 2011-10-17 2011-10-17 인테리어 조명기구 KR10114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831A KR101140384B1 (ko) 2011-10-17 2011-10-17 인테리어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831A KR101140384B1 (ko) 2011-10-17 2011-10-17 인테리어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384B1 true KR101140384B1 (ko) 2012-05-03

Family

ID=4627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831A KR101140384B1 (ko) 2011-10-17 2011-10-17 인테리어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09B1 (ko) * 2012-11-19 2014-12-31 박현진 조명장치 및 그 조명장치용 필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재불비 해소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09B1 (ko) * 2012-11-19 2014-12-31 박현진 조명장치 및 그 조명장치용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672B2 (en) Multiple display-units LED light device has special light effects
CA2406557A1 (en) Electric fire assembly
US20110271569A1 (en) Display with multi-faceted illumination effect
US9194551B1 (en) Rotary image projector
KR101140384B1 (ko) 인테리어 조명기구
US20090190334A1 (en) Animated light with dynamic ornamental effect
US7472506B2 (en) Lighted sign
JP3113085U (ja) ソーラ式表示器具
KR20150115155A (ko) 입체 로고 식별 모듈
KR101757864B1 (ko) 광고용 입체 다면발광 채널
CN205109032U (zh) 一种投影气球杆装置
KR101834039B1 (ko) 조명 장치
KR101453257B1 (ko) Led를 이용한 감성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성적인 시각 효과의 구현 방법
KR20170001886U (ko) 옥외 광고를 위한 채널간판장치
US10274179B1 (en) Flashing ornament apparatus
KR20100011230A (ko) 수족관용 조명등
CN108540739B (zh) 电视显示器的logo显示装置
KR200311613Y1 (ko) 광고장치
TWM500966U (zh) 廣告燈箱結構
CN214222776U (zh) 一种灯泡及灯具
CN220061576U (zh) 一种快速更换光学配件的灯具
KR200285385Y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액자
CN220691632U (zh) 设有灯带的显示装置
KR101369247B1 (ko) Led를 이용한 촛불
KR200464484Y1 (ko) 절곡형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