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35Y1 -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35Y1
KR200453435Y1 KR2020080012449U KR20080012449U KR200453435Y1 KR 200453435 Y1 KR200453435 Y1 KR 200453435Y1 KR 2020080012449 U KR2020080012449 U KR 2020080012449U KR 20080012449 U KR20080012449 U KR 20080012449U KR 200453435 Y1 KR200453435 Y1 KR 200453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ion
container body
black
spout
powd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246U (ko
Inventor
김문희
Original Assignee
김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희 filed Critical 김문희
Priority to KR2020080012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2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공기압에 의해 용기 내에 저장된 분말형 증모제, 예들 들면 흑채가 분출되도록 하고, 흑채가 분출되는 주둥이부의 분출구 면적을 최소화하여 흑채가 원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적절한 량으로 뿌려지도록 할 수 있고,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흑채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흑채를 공기압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용기몸체를 누르는 가압력의 조절만으로 흑채의 분출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량으로 분출하는 것이 가능한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는, 작은 출입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주둥이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분말형 증모제가 저장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통형상의 용기몸체; 상기 주둥이부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분말형 증모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미세분출통로를 가지는 분출부로 이루어진 분출캡; 상기 미세분출통로의 분출입구측에 설치된 제1 메쉬필터; 상기 용기몸체의 주둥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출캡을 덮는 뚜껑; 및 상기 분출캡의 원통부 끝단측에 설치된 제2 메쉬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몸체의 양측면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시켜 구성된다.

Description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STORAGE VESSEL OF HAIR INCREASING POWDER}
본 고안은 분말형 증모제(增毛劑)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내에 저장된 분말형 증모제, 예들 들면 흑채(黑彩)를 머리에 뿌리는 작업이 간단한 구조의 공기압 분사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원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겨냥하여 적정한 량의 흑채를 뿌릴 수 있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형 증모제인 흑채는 머리카락이 없는 사람 또는 머리숱이 없는 사람에게 가발보다는 간편하게 머리에 뿌리는 검은색 고체 가루형태의 물질로 알려져 있고, 최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탈모가 심한 사용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흑채는 대부분 화이바나 숯으로 만들어진 고운 가루로 인체에 무해하고, 정수리 부위에 머리카락이 없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며, 머리카락이 전혀 없거나 너무 짧은 스타일보다 5~10센티미터의 머리카락을 소유하였으나 머리숱이 부족한 사람들이 주로 사용한다.
통상, 흑채를 이용한 증모제 헤어 제품은,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필터를 이 용한 배출형과 스프레이 분사형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필터를 이용한 배출형의 흑채 저장용기 및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흑채 저장용기는 적당량의 흑채를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몸체(1)와, 이 용기몸체(1)의 주둥이부(1a)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으로 구성되며, 용기몸체(1)의 주둥이부(1a)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뚜껑(2) 안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부를 이용하여 용기몸체(1)의 주둥이부(1a)를 뚜껑(2)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기몸체(1)의 주둥이부(1a)는 메쉬(Mesh) 형태의 메쉬필터(3)로 막혀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필터(3)를 통해 용기몸체(1) 내의 흑채(A)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흑채(A)가 뭉치지 않고 분산 배출되어 원하는 곳에 균일하게 뿌릴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1)를 거꾸로 세우고 화살표방향과 같이 흔들어 용기몸체(1) 내의 흑채(A)를 머리에 뿌리는 것이므로 사용이 다소 불편하다. 또한 흑채(A)가 배출되는 주둥이부(1a)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이므로 흑채(A)가 필요 이상으로 넓게 분산되어 배출된다. 이로 인해 원하는 부분에 적절한 량으로 흑채(A)를 정확하게 뿌리기 곤란하고, 원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불필요한 주변부분까지 과잉 배출되므로 흑채(A)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얼굴, 어깨, 옷 또는 세면대에 시꺼멓게 내려 앉아 위생적으로나 시각적으로 불쾌함을 주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용기몸체(1)의 주둥이부(1a) 면적이 큼에 따라 뚜껑(2)을 닫은 상태에서도 용기몸체(1)를 흔들거나 용기 보관시 쓰러지게 되면, 흑 채(A)가 메쉬필터(3)를 통과하여 뚜껑(2)과 메쉬필터(3) 사이로 누출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2)을 여는 경우, 흑채(A)가 쏟아져 흑채(A)의 손실뿐만 아니라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스프레이 분사형은 흑채를 저장하는 용기의 내부 공기를 압축시켜 두고, 버튼을 누를 때마다 압축공기와 함께 흑채가 분출되도록 한 것으로, 메쉬필터를 이용한 배출형에 비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은 있지만, 용기의 내부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폐구성 및 스프레이 분사기구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용기의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증모제 제품 자체의 판매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흑채의 분사량이 용기의 내부 공기압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 공기압의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버튼을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는 시간으로 흑채의 사용량을 결정하였던 것으로 이러한 조작에 의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량을 자유롭게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몸체를 살짝 가압하여 발생된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용기 내에 저장된 분말형 증모제, 예들 들면 흑채가 용기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도록 하고, 흑채가 분출되는 주둥이부의 분출구 면적을 최소화하여 흑채가 원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적절한 량으로 뿌려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흑채가 불필요한 부분에 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흑채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흑채를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흑채를 공기압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용기몸체를 누르는 가압력의 조절만으로 흑채의 분출량이 결정되므로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량으로 분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흑채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은 출입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주둥이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분말형 증모제가 저장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통형상의 용기몸체; 상기 주둥이부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분말형 증모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미세분출통로를 가지는 분출부로 이루어진 분출캡; 상기 미세분출통로의 분출입구측에 설치 된 제1 메쉬필터; 및 상기 용기몸체의 주둥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출캡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출캡의 원통부 끝단측에 설치된 제2 메쉬필터를 더욱 구비하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출캡의 원통부 안둘레면에 고정통체를 밀착시켜 끼워넣고, 미세분출통로의 분출입구측인 고정통체의 상부에 제1 메쉬필터를 고정하고, 원통부의 끝단측인 고정통체의 하부에 제2 메쉬필터를 고정한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용기몸체의 양측면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용기몸체의 양측면을 눌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기몸체 내부에 공기압을 발생시키고 이 공기압에 의해 용기몸체 내에 저장된 흑채가 작은 미세분출통로를 통해 분출됨에 따라 미세분출통로의 출구측을 머리의 원하는 부분으로 겨냥하게 되면, 흑채를 원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분출시켜 뿌릴 수 있고, 용기몸체의 양측면을 누르는 힘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내부의 공기압을 변화시켜 분출되는 흑채의 사용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적소에 적량 사용이 가능하므로 흑채가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흑채가 용기몸체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분출통로의 단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용기몸체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내부에 공기압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작은 미세분출통로를 통해 흑채가 누출되는 일이 없어 뚜껑을 닫은 상태 또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흑채가 불필요하게 누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흑채를 공기압으로 효율적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한 용기몸체와, 미세분출통로를 가지는 분출캡과, 제1 및 제2 메쉬필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적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이로써 증모제 제품 자체의 판매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는, 분말형 증모제 예를 들면 흑채(A)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몸체(10)를 구비한다.
용기몸체(10)는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한 주둥이부(11)를 제외한 전면이 막혀 있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몸체(10)를 외부에서 가압할 때 눌림변형되고 가압해제할 때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또한 용기몸체(10)의 적어도 한쪽의 양측면(10a,10b)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하여 용기몸체(10)의 가압시 눌림변형이 용이하고, 가압력 제거시 원상태로의 복귀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둥이부(11)는 용 기몸체(10)의 상면 중앙에 작은 출입구(11a)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0)의 주둥이부(11)에는 분출캡(20)이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 분출캡(20)은 원통부(21)와 분출부(22)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원통부(21)는 주둥이부(11)의 출입구(11a)에 끼워맞춤되어 조립되고, 분출부(22)는 중심에 상기 원통부(21)의 내부와 연통되어 분말형 증모제인 흑채(A)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작은 미세분출통로(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부(22)의 바깥둘레면은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상부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통부(21)와 분출부(22)의 경계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3)를 형성하여 원통부(21)를 주둥이부(11)의 출입구(11a)에 끼워 넣을 때 플랜지부(23)가 주둥이부(11)의 끝단면에 걸림유지되어 분출캡(20)이 주둥이부(11) 내부로 깊이 삽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분출캡(20)을 주둥이부(11)로부터 분리할 때, 플랜지부(23)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분출캡(20)의 내부에는 흑채(A)가 분출될 때, 뭉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제1 메쉬필터(31)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제1 메쉬필터(31)는 미세분출통로(22a)의 분출입구측에 설치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출캡(20)의 원통부(21) 끝단측에 제2 메쉬필터(32)를 더욱 구비하여 용기몸체(10) 내의 흑채(A)가 주둥이부(11)의 출입구(11a)를 통과할 때, 1차적으로 흑채(A)가 뭉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고, 이어서 1차적으로 분산된 흑채(A)를 제1 메쉬필터(31)를 통과시켜 흑채(A)가 더욱 고르게 분산되어 분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메쉬필터(32)의 설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출캡(20)의 원통부(21) 안둘레면에 고정통체(50)를 밀착시켜 끼워넣고, 미세분출통로(22a)의 분출입구측인 고정통체(50)의 상부에 제1 메쉬필터(31)를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으로 고정하고, 원통부(21)의 끝단측인 고정통체(50)의 하부에 제2 메쉬필터(32)를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10)의 주둥이부(11)는 뚜껑(40)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분출캡(20)을 덮도록 되어 있고, 주둥이부(11)와 뚜껑(40)의 결합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나사맞춤식 구조로 구성하였으나, 마찰식 끼워맞춤식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을 열고, 분출캡(20)의 분출부(22)를 원하는 부분으로 겨냥하여 근접시킨 상태에서 용기몸체(10)의 양측면(10a,10b)을 살짝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용기몸체(10)의 내부에 공기압이 발생하고, 이 공기압에 의해 내부의 흑채(A)가 분출부(22)의 미세분출통로(22a)를 통해 분출되어 원하는 부분에 뿌려지게 된다.
이때, 용기몸체(10) 내의 흑채(A)는 분출과정에서 먼저 제2 메쉬필터(32)를 통과하게 되므로 흑채(A)가 뭉치지 않고 분산되어 주둥이부(11)의 출입구(11a) 내로 진입하게 되고, 이어서 제1 메쉬필터(31)를 통과하여 더욱더 고르게 분산된 상태에서 미세분출통로(22a)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따라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흑채(A)를 뿌릴 수 있고, 흑채(A)가 작은 미세분출통로(22a)를 통해 분출되는 것이므로, 원하는 부위에 세밀하고 균일하게 흑채(A)를 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기몸체(10)의 양측면(10a,10b)을 누르는 가압력을 크게 하면, 내부의 공기압이 커져 그만큼 분출되는 흑채(A)의 양이 증가하고, 반대로 가압력을 작게 하면, 내부 공기압이 작아져 그만큼 분출되는 흑채(A)의 양이 감소되므로, 사용자는 용기몸체(10)의 양측면(10a,10b)을 누르는 힘을 조절하여 흑채(A)의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원하는 부위에 원하는 적정한 량으로 흑채(A)를 뿌림으로써 흑채(A)가 과잉분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증모상태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용기몸체(10)가 탄성이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양측면(10a,10b)이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이므로, 용기몸체(10)의 누름조작이 탄력적으로 눌림변형하고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누름조작감이 좋아 사용이 편리하며, 이러한 공기압 분출식의 구성이 용기몸체(10), 작은 미세분출통로(22a)를 가지는 분출캡(20), 제1 및 제2 메쉬필터(31,32)로서 간단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흑채(A)가 용기몸체(1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분출통로(22a)의 단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용기몸체(10)의 양측면(10a,10b)을 가압하여 내부에 공기압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작은 미세분출통로(22a)를 통해 흑채(A)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뚜껑(40)을 닫은 상태에서는 용기몸체(10)의 내부가 밀폐되어지므로 더 더욱 미세분출통로(22a)를 통해 흑채(A)가 누출되는 일은 없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몸체 10a,10b : 양측면
11 : 주둥이부 11a : 출입구
12 : 상면 20 : 분출캡
21 : 분출부 22 : 원통부
22a : 미세분출통로 31,32 : 제1 및 제2 메쉬필터
40 : 뚜껑 50 : 고정통체
A : 흑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작은 출입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주둥이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분말형 증모제가 저장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통형상의 용기몸체;
    상기 주둥이부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분말형 증모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미세분출통로를 가지는 분출부로 이루어진 분출캡;
    상기 미세분출통로의 분출입구측에 설치된 제1 메쉬필터;
    상기 분출캡의 원통부 끝단측에 설치된 제2 메쉬필터; 및
    상기 용기몸체의 주둥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출캡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분출캡의 원통부 안둘레면에 고정통체를 밀착시켜 끼워넣고, 미세분출통로의 분출입구측인 고정통체의 상부에 상기 제1 메쉬필터를 고정하고, 원통부의 끝단측인 고정통체의 하부에 상기 제2 메쉬필터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4. 삭제
KR2020080012449U 2008-09-12 2008-09-12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KR200453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449U KR200453435Y1 (ko) 2008-09-12 2008-09-12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449U KR200453435Y1 (ko) 2008-09-12 2008-09-12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246U KR20100003246U (ko) 2010-03-22
KR200453435Y1 true KR200453435Y1 (ko) 2011-05-02

Family

ID=4419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449U KR200453435Y1 (ko) 2008-09-12 2008-09-12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14Y1 (ko) 2012-06-18 2013-12-31 김문희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WO2015023104A1 (ko) * 2013-08-13 2015-02-19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511766B1 (ko) 2014-10-21 2015-04-14 (주) 송학 배출 및 리필이 가능한 흑채분말 보관용기
KR200493736Y1 (ko) * 2020-04-22 2021-05-27 이상민 용액 및 분말 분사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724B1 (ko) * 2022-01-28 2023-07-26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공기펌핑부 및 공기배출부를 구비한 파우더 배출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39Y1 (ko) * 1990-01-23 1992-03-28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튜브체 화장품용기
JP2002360337A (ja) 2001-06-04 2002-12-17 Kanebo Ltd ルーズパウダー容器
KR20040008907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 소둔로의 롤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454385B1 (ko) 2002-02-25 2004-11-05 이용구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KR200408907Y1 (ko) 2005-12-06 2006-02-14 (주)이노진 두피에 액상의 영양제 및 스케일링제를 공급하기 위한도포용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39Y1 (ko) * 1990-01-23 1992-03-28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튜브체 화장품용기
JP2002360337A (ja) 2001-06-04 2002-12-17 Kanebo Ltd ルーズパウダー容器
KR100454385B1 (ko) 2002-02-25 2004-11-05 이용구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KR20040008907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 소둔로의 롤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408907Y1 (ko) 2005-12-06 2006-02-14 (주)이노진 두피에 액상의 영양제 및 스케일링제를 공급하기 위한도포용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14Y1 (ko) 2012-06-18 2013-12-31 김문희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WO2015023104A1 (ko) * 2013-08-13 2015-02-19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511766B1 (ko) 2014-10-21 2015-04-14 (주) 송학 배출 및 리필이 가능한 흑채분말 보관용기
KR200493736Y1 (ko) * 2020-04-22 2021-05-27 이상민 용액 및 분말 분사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246U (ko) 201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435Y1 (ko)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US10244844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CN205053159U (zh) 一种多功能护发梳
CN207308159U (zh) 液体雾化装置
JP2017508503A (ja) パウダー吐出容器
KR101268869B1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KR100781747B1 (ko) 파우더 펌핑부재를 구비한 화장용기
JP2011072943A (ja) 押下ヘッド及び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KR101790033B1 (ko)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KR102100784B1 (ko) 폴리케톤 재질의 부품을 갖는 펌프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101645421B1 (ko) 두피 마사지용 스프레이 용기
KR20043368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05124902B (zh) 一种多功能护发梳
JPH0541798Y2 (ko)
KR20160149356A (ko) 비드형 화장품을 포함한 액상 화장품 펌프용기
KR200425444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3204733U (ja) マッサージ具
CN205851166U (zh) 一种化妆品用喷雾瓶
CN210618967U (zh) 一种瓶用液体泵头
KR102332138B1 (ko) 두피 분사형 헤어토닉 용기
KR200470614Y1 (ko)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KR101709745B1 (ko) 복수개의 분출구를 가지는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KR20180002306U (ko) 화장품용기에 수납되는 알갱이형 화장품의 분쇄장치
KR200475635Y1 (ko) 화장품용기에 수납되는 알갱이형 화장품의 분쇄장치
KR102054877B1 (ko)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