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71Y1 -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71Y1
KR200452971Y1 KR2020090003849U KR20090003849U KR200452971Y1 KR 200452971 Y1 KR200452971 Y1 KR 200452971Y1 KR 2020090003849 U KR2020090003849 U KR 2020090003849U KR 20090003849 U KR20090003849 U KR 20090003849U KR 200452971 Y1 KR200452971 Y1 KR 200452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le
snap
fix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000U (ko
Inventor
이성규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인스텍
Priority to KR2020090003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7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8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liquid level or of liquid density, e.g. float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2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movement of a float carrying a 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는, 챔버 내의 플로트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챔버의 상부로 수직하는 스템의 내부에 있는 자성체 코어로 구성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심부에 통공을 가지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 상에 세워지는 측면판 및 전면판으로 이루어지되, 한쪽의 상기 측면판에 인장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바디 프레임; 상부면에 힌지 결합된 레버의 동작에 따라 눌러지는 누름버튼과 상기 양쪽 측면판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되는 절연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통공과 수직선상 바깥쪽에 있도록 자석이 아래쪽에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이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양끝단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와 접면하는 날개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스냅 구동체; 상기 차단판의 통공과 수직상태로 마주보는 스템 결착면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에 고정된 홀더;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면판에 부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90003849
수직플로트, 레벨 스위치, 스냅 스위치, 자석, 스템

Description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snap switch assemble for vertical float level switch}
본 고안은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에 적용하는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챔버의 내부에 위치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상부로 수직하는 스템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성체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에 적용하는 것으로, 상기 스템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플로트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 상기 코어가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템쪽으로 자석이 끌어당겨지면서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을 출력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감지를 위한 레벨 스위치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는 자성체 코어와 자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계기로서 수위의 변화에 따라 플로트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 코어가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자석을 빠르게 끌어당기어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는 고온/고압형 보일러탱크, 하수 및 정수 탱크, 화학탱크, 연료 및 기름탱크 등에 적용되어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여 탱크 외부에 설치된 해당하는 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다.
상기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챔버의 내부에 위치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상부로 수직하는 스템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성체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템의 외측면에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플로트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 상기 코어가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템쪽으로 자석이 끌어당겨지면서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을 출력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 구성되어 있는 마아크로 스위치는 케이스 내부에 있는 스프링에 의해서 레버 및 누름버튼의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프링은 사용하면 할수록 고유한 탄성력이 저하되어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서 외부 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터미널 블럭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고온 보일러 탱크, 화학 탱크, 기름 탱크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고온이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터미널 블럭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속편과 연결된 리드선이 결손되어 작동 오류가 발생되었으며, 이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스냅 구동체가 원래의 상태로 원할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기능이 저하되어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도 모두 발휘할 수 있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고온 보일러 탱크, 화학 탱크, 기름 탱크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 고온이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우수한 내열성, 내약품성, 내산화성, 절연성을 가지는 터미널 블럭이 구비된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제조회사별로 각기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챔버 내의 플로트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챔버의 상부로 수직하는 스템의 내부에 있는 자성체 코어로 구성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심부에 통공을 가지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 상에 세워지는 한 쌍의 측면판 및 전면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한쪽의 측면판에 인장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바디 프레임; 상부면에 힌지 결합된 레버의 동작에 따라 눌러지는 누름버튼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되는 절연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통공과 수직선상 바깥쪽에 있도록 자석이 아래쪽에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이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양끝단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와 접면하는 날개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스냅 구동체; 상기 차단판의 통공과 수직상태로 마주보는 스템 결착면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에 고정된 홀더;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면판에 부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터미널 블럭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기능을 보조하게 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그 제조회사별로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들 중 선택하여 상기 측면판에 고정할 수 있되, 상기 양쪽 측면판의 외측면에는 나사공을 가지는 스페이서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측면에 관통된 관통공과 일치되게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관통공을 통해 나사를 결합하여 상기 스페이서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 접촉구는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냅 구동체의 날개편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체결부재가 고정되어 있되, 상기 레버 접촉구를 체결부재에 나사결합함에 있어, 상기 레버 접촉구의 선단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와 접면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쪽 측면판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공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의 수축된 상태의 길이에 따라 인장스프링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스냅 구동체가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원할하게 복귀함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기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외부 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터미널 블럭이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우수한 내열성, 내약품성, 내산화성, 절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을 고온 보일러 탱크, 화학 탱크, 기름 탱크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 고온이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터미널 블럭이 변형되면서 케이블 접속편을 비롯하여 연결된 리드선의 결손되어 작동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냅 구동체가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를 작동시키고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스냅 구동체가 원래의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인장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제조회사별로 각기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그 크기와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연결공이, 바디 프레임의 측면판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3개 정도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 인장스프링의 수축된 상태의 길이에 따라 일단을 적합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고, 인장스프링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도면으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구성요소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구성된 스냅 구동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바디 프레임(10), 마이크로 스위치(20), 스냅 구동체(30), 홀더(40), 터미널 블럭(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10)은 평판으로 된 차단판(11)의 중심부에 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11)의 상면에서 상기 통공(12)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측면판(13)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 사이의 앞쪽에 배치된 전면판(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판(11)에 형성된 통공(12)은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스템(4; STEM)에 삽입되는 부위이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에는 외측으로 각각 마이크로 스위치(20)를 배치시켜 부착되고, 상기 전면판(16)의 외측에 터미널 블럭(50)이 부착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의 뒤쪽면 상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공(1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공을 가지는 스페이서(17)가 2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 중 한쪽 측면판(13)의 앞쪽 상단부에는 스프링 연결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연결공(15)은 코일로 이루어진 인장스프링(34)의 일단을 고정하는 부위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스프링 연결공(15)은 일정간격을 두고 3개 정도 형성시켜, 인장스프링(34)의 일단을 적합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장스프링(34)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6)에는 상기 터미널 블럭(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는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스냅(snap) 동작하는 레버(21)가 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레 버(21)의 동작에 따라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누름버튼(22)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3개의 접속단자(2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3개의 접속단자(23)에는 리드선(26)이 접속되어 상기 터미널 블럭(50)과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측면에는 관통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측면판(13)에 있는 스페이서(17)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나사(25)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측면판(13)의 스페이서(17)에 고정할 수 있는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양측면에 절연판(24)을 부착하여 금속재인 측면판(13)과 접속단자(23)와 리드선(26)이 접촉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스페이서(17)는 후술하는 힌지축(38)을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에 있는 힌지공(14)에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의 외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의 외측으로 돌출된 너트와 마이크로 스위치(20) 사이의 간격을 두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냅 구동체(30)는 아래쪽에 자석(31)이 고정되고, 그 위에서 양편으로 힌지공(32a)을 가지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의 위쪽에서 날개편(33)이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측 날개편(33)과 우측 날개편(33)의 끝부위에는 각각 레버 접촉구(3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2)에서 상기 힌지공(32a)의 위쪽 위치에는 스프링 걸이(35)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걸이(35)는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인장스프링(34)의 타단이 걸리는 부위이다.
상기 스냅 구동체(30)는 힌지축(38)에 의해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측면판(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레버 접촉구(36)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상부면에 있는 레버(21)와 접면되어 있는다.(도 1에서 레버(21)가 레버 접촉구(36)와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상기 두개의 구성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그렇게 표현하였을 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스냅 구동체(30)는, 상기 인장스프링(34)의 일단이 측면판(13)의 스프링 연결공(15)에서 연결되어 인장스프링(34)의 타단이 상기 스냅 구동체(30)의 스프링 걸이(35)에 연결되어 측면판(13)에 힌지축(38)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상태에서는 스냅 구동체(30)의 자석(31)은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차단판(11)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2)의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뒤쪽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며, 인장스프링(34)은 원래의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다.
한편, 상기 홀더(40)는 도 4에서 도면부호 (4)로 표기된 스템에 상기 차단판(11)의 통공(12)을 통해서 본 고안을 설치하였을 때, 본 고안이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차단판(11)의 통공(12)과 수직상태에서 마주보면서 스템(4)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서 밀착되도록 스템 결착면(41)을 가지고 있다.
상기 홀더(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2개 부재의 앞쪽부위가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전면판(16)의 내측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미널 블럭(5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52)에 의해서 터 미널 블럭(50)과 함께 상기 전면판(16)에 고정된다. 도 2에서 보여지듯이, 홀더(40)는 2개 부재의 뒤쪽 상호간을 나사(42)에 의해 고정해 둘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블럭(50)은 부속되는 다양한 외부 장치(예: 펌프)와 연결되는 케이블(도면 미도시)을 접속할 수 있는 케이블 접속편(51)이 전면부에서 좌,우 양쪽에 각각 3개씩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접속편(51)들과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20) 사이에 각각 리드선(26)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블럭(50)은 세라믹(ceramics)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세라믹은 내열성, 내약품성, 내산화성, 절연성 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고안을 고온 보일러 탱크, 화학 탱크, 기름 탱크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 고온에 대한 내열성을 가져서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고온이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터미널 블럭(50)이 변형되면서 케이블 접속편(52)을 비롯하여 연결된 리드선(26)의 결손되어 작동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스냅 구동체(30)에 구비된 레버 접촉구(36)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레버 접촉구(36)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냅 구동체(30)의 날개편(33)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체결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버 접촉구(36)를 체결부재(37)에 나사결합함에 있어, 상기 레버 접촉구(36)의 선단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상부면에 있는 레버(21)와의 접면 상태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 접촉구(36)의 선단부가 체결부재(37)에서 살짝만 빠져 나오게 결합하여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레버(21)를 누르지 않고 접촉만 하고 있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22)이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케이스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최초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로 셋팅해 둘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의 일부 절개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챔버(1), 상기 챔버(1) 내부에 위치되어 챔버(1) 내부에 찬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뜨거나 가라앉는 플로트(2)와, 상기 플로트(2)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3), 상기 챔버(1)의 상부로 수직하는 스템(4), 상기 로드(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4)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성체 코어(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1)의 상측과 하측의 중심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1)의 상측 개구부위에는 헤드(6)가 결합되고, 상기 로드(3)는 플로트(2)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챔버(1)와 헤드(6)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템(4)의 내부에서 수직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에 구성된 스템(4)에 본 고안(100)이 장착되는데, 본 고안에 구성된 바디 프레임의 통공 및 홀더의 스템 결착면을 상기 스 템(4)에 삽입시켜 본 고안에 구성된 바디 프레임은 헤드(6)의 상면에 받쳐져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스템(4)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챔버(1) 내부의 수위 변화로 플로트(2)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 상기 코어(5)가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템(4)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던 자석이 끌어당겨지면서 이와 연동하여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접점을 출력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7)은 헤드(6)의 상부에 결합된 '헤드 커버'이며, 상기 스템(4)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비자성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4와 같이 설치한 본 고안의 작동원리 및 동작순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본 고안에 구성된 스냅 구동체(30)의 힌지축(도면 미도시)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자석(31)의 자기장이 스테인리스 비자성체인 스템(4) 내부를 통과하고 있는데, 도 4에 나타나 있는 플로트(2)와 로드(3)에 의해서 연결된 자성체 코어(5)가 스템(4) 내부에서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수직 상승하는 자성체 코어(5)가 자기장이 통과하고 있는 스템(4)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자석(31)이 스텝(4)쪽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상기 자성체 코어(5)는 스템(4)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탱크 내부의 압력 또는 고온이 챔버(1)의 상측 개구부를 통하여 올라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템(4)은 자성체 코어(5)가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하, 동작순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챔버(1) 내부의 수위가 올라가는 경우, 플로트(2)가 부력에 의하여 뜨게 되면서 스템(4) 내부에 위치한 자성체 코어(5)가 상승하게 되면서 자석(31)의 자기장 안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자석(31)이 스템(4)쪽으로 끌어당겨지면서 스냅 구동체(30)가 힌지축(도면 미도시)을 원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레버(21)에 접촉하고 있던 레버 접촉구(36)가 레버(21)를 눌러주게 됨에 따라 동시에 누름버튼(22)이 눌러지게 되어 마이크로 스위치(20)는 ON상태가 되며, 마이크로 스위치(20)와 리드선으로 연결되어 터미널 블럭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을 통해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스냅 구동체(30)의 회동시, 스냅 구동체(30)와 바디 프레임의 측면판 사이에 연결되어 원래의 상태인 수축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인장스프링(34)은 자석(31)이 스템(4)쪽으로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신장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려고 하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다.
본 고안이 설치된 탱크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여 챔버 내부의 수위를 따라 플로트가 내려갈 때에는 자성체 코어(5)는 스템(4) 내부에서 하강하여 자석(31)의 자기장 밖으로 벗어나게 되고, 스냅 구동체(30)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인장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최초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즉,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34)은 스냅 구동체(3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케이스 내부에서 누름버튼(22)에 위치된 스프링의 텐션동작을 보조하는데, 즉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기능이 저하되어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을 하는 인장스프링(34)을 구비하지 않는 상태를 가정해 보면,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레버(21)가 벌어지는 힘이 작용하면서 어느 정도 무게를 갖는 자석(31)이 스템(4)쪽에서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사용하면 할수록 마이크로 스위치(20)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오동작이 발생하게 될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인장스프링(34)의 또 다른 효과로는, 제조회사별로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20)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조회사별로 각각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케이스 크기에 차이가 있고, 최소형의 마이크로 스위치인 경우에는 케이스 내부에 있는 스프링도 마찬가지로 작아질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도 다소 약한 것이더라도 인장스프링(34)에 작용에 의해서 마이크로 스위치(20)는 그 크기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구성된 스냅 구동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프레임 11 : 차단판
12 : 통공 13 : 측면판
14 : 힌지공 15 : 스프링 연결공
16 : 전면판 17 : 스페이서
20 : 마이크로 스위치 21 : 레버
22 : 누름버튼 23 : 접속단자
24 : 절연판 25 : 나사
26 : 리드선 30 : 스냅 구동체
31 : 자석 32 : 지지대
32a : 힌지공 33 : 날개편
34 : 인장 스프링 35 : 스프링 걸이
36 : 레버 접촉구 37 : 체결부재
38 : 힌지축 39 : 자석 고정편
40 : 홀더 41 : 스템 결착면
50 : 터미널 블럭 51 : 케이블 접속편
1 : 챔버 2 : 플로트
3 : 로드 4 : 스템
5 : 자성체 코어 6 : 헤드
7 : 헤드 커버

Claims (5)

  1. 챔버(1) 내의 플로트(2)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3)에 결합되고, 상기 챔버(1)의 상부로 수직하는 스템(4)의 내부에 있는 자성체 코어(5)로 구성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중심부에 통공(12)을 가지는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 상에 세워지는 한 쌍의 측면판(13) 및 전면판(1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 중 한쪽의 측면판(13)에 인장스프링(34)의 일단이 고정되는 바디 프레임(10);
    상부면에 힌지 결합된 레버(21)의 동작에 따라 눌러지는 누름버튼(22)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되는 절연판(24)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20);
    상기 통공(12)과 수직선상 바깥쪽에 있도록 자석(31)이 아래쪽에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4)의 타단이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에 부착되어 양끝단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레버(21)와 접면하는 날개편(33)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32)에 결합된 힌지축(38)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스냅 구동체(30);
    상기 차단판(11)의 통공(12)과 수직상태로 마주보는 스템 결착면(41)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10)에 고정된 홀더(40); 및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전면판(16)에 부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블럭(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50)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기능을 보조하게 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는 그 제조회사별로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들 중 선택하여 상기 측면판(13)에 고정할 수 있되,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의 외측면에는 나사공을 가지는 스페이서(17)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측면에 관통된 관통공과 일치되게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관통공을 통해 나사(25)를 결합하여 상기 스페이서(17)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편(33)과 우측 날개편(33)의 끝부위에는 각각 레버 접촉구(36)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 접촉구(36)는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냅 구동체(30)의 날개편(33)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체결부재(37)가 고정되어 있되,
    상기 레버 접촉구(36)를 체결부재(37)에 나사결합함에 있어, 상기 레버 접촉구(36)의 선단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의 레버(21)와 접면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 중 한쪽 측면판(13)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공(15)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인장스프링(34)의 수축된 상태의 길이에 따라 인장스프링(34)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090003849U 2009-04-02 2009-04-02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52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849U KR200452971Y1 (ko) 2009-04-02 2009-04-02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849U KR200452971Y1 (ko) 2009-04-02 2009-04-02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00U KR20100010000U (ko) 2010-10-12
KR200452971Y1 true KR200452971Y1 (ko) 2011-04-04

Family

ID=4420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849U KR200452971Y1 (ko) 2009-04-02 2009-04-02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337B1 (ko) * 2017-05-26 2018-01-02 김종호 플로트 타입의 유체 레벨 측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167A (ja) * 1993-05-20 1994-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KR200181636Y1 (ko) 1999-12-11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스배관의 수봉변 수위 검출 장치
KR200222265Y1 (ko) 2000-11-24 2001-05-02 주식회사삼진에너지 워터레벨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167A (ja) * 1993-05-20 1994-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KR200181636Y1 (ko) 1999-12-11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스배관의 수봉변 수위 검출 장치
KR200222265Y1 (ko) 2000-11-24 2001-05-02 주식회사삼진에너지 워터레벨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337B1 (ko) * 2017-05-26 2018-01-02 김종호 플로트 타입의 유체 레벨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00U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8426B (en) Door opening device for storage apparatus
JP6191794B1 (ja)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US8430641B2 (en) Multiple switch float switch apparatus
US20050275981A1 (en) GFCI wiring device with integral relay module
US20190368623A1 (en) Pressure relief device for power transformers
US8653915B2 (en) Electrical contactor
US6513378B1 (en) Liquid level float switch with manual reset
KR200452971Y1 (ko) 수직플로트식 레벨 스위치용 스냅 스위치 어셈블리
TW201411100A (zh) 水位檢測裝置
KR200461496Y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100329889A1 (en) Switch and float assembly for a pump
CN203118862U (zh) 一种水位检测开关
US20040233063A1 (en) Float switch with protective boot
US9121398B1 (en) Float-operated pump switch
KR101037777B1 (ko) 테스트 버튼이 형성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CN114158911A (zh) 饮水机水箱及饮水机
KR20090124636A (ko) 수중펌프용 플로우트 스위칭장치
JP2009289498A (ja) リモコンリレー
KR200478315Y1 (ko) 배선용차단기의 단자 기구
JP6597328B2 (ja)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215959394U (zh) 饮水机水箱及饮水机
CN212874349U (zh) 一种小型大电流温控器
KR20100030518A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56667Y1 (ko) 전자 접촉기
JP4232569B2 (ja) 漏電遮断器の漏電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