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23Y1 -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23Y1
KR200452923Y1 KR2020080014408U KR20080014408U KR200452923Y1 KR 200452923 Y1 KR200452923 Y1 KR 200452923Y1 KR 2020080014408 U KR2020080014408 U KR 2020080014408U KR 20080014408 U KR20080014408 U KR 20080014408U KR 200452923 Y1 KR200452923 Y1 KR 200452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chucking
automatic lathe
p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713U (ko
Inventor
조용주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4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2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글을 이용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글의 회동으로 푸쉬파이프에 콜릿슬리브를 밀어줄 수 있는 힘을 전달하되 상기 토글의 일측은 토글서포트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어 토글의 위치가 좌우로 뒤틀리지 않고 항상 일정하므로 척킹력을 균일하게 가져갈 수 있으며, 토글의 파손 및 이상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선반의 척킹장치{Chucking apparatus of the Automatic Lathe}
본 고안은 토글을 이용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글의 회동으로 푸쉬파이프에 콜릿슬리브를 밀어줄 수 있는 힘을 전달하되 상기 토글의 일측은 토글서포트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어 토글의 위치가 좌우로 뒤틀리지 않고 항상 일정하므로 척킹력을 균일하게 가져갈 수 있으며, 토글의 파손 및 이상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이다.
토글을 이용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등록한 실용신안 제20-0371991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가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에서 토글의 회동으로 푸쉬파이프를 밀어주는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에어실린더(19)의 실린더로드(21)가 에어실린더(19) 쪽으로 들어가게 되면 힌지점(18)을 중심으로 시프타피스(17) 및 슬라이드슬리 브(13)가 플랜지(15)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토글(9)의 일측을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고(도 2의 C 상태), 이로 인해 토글(9)은 토글서포트(10)와 접해 있는 점인 B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후방푸쉬파이프(7) 및 전방푸쉬파이프(6)를 밀게 되므로, 결국 전방푸쉬파이프(6)가 콜릿슬리브(4)를 밀어주게 되어 콜릿척(1)의 내경이 축소되고 척킹상태가 된다.
척킹해제 동작은 에어실린더(19)의 실린더로드(21)의 길이가 확장되게 되면 힌지점(18)을 중심으로 시프타피스(17) 및 슬라이드슬리브(13)가 콜릿척(1)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토글(9)을 누르던 상태가 해제되고(도 2의 D 상태), 이로 인해 토글(9)은 토글서포트(10)와 접해있는 점인 B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푸쉬파이프(6, 7)를 미는 힘을 해제하게 되어 결국 압축스프링(2)에 의해 콜릿슬리브(4) 역시 플랜지(15) 쪽으로 원위치되어 콜릿척(1)의 내경이 확장되는 척킹해제상태가 된다.
이런 종래의 척킹장치는 토글(9)의 볼록부와 토글서포트(10)의 오목부가 서로 고정되지 않고 단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토글(9)이 회동되므로 토글(9)의 회전량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는 척킹력이 미세하게나마 가변적이고 이로 인해 소재의 척킹력이 변하게 되어 결국 가공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고속회전시 토글(9)과 토글서포트(10)가 맞닿는 부분 중 일부분이 먼저 닿을 수밖에 없어 일측의 마모가 심하게 생기게 되고, 심할 경우 토글(9)이 토글서포트(10)의 홈에 끼여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토글의 홈에 토글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토글의 회동으로 척킹/언척킹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토글의 일측을 토글서포트에 핀으로 고정함으로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토글이 위치할 수 있어 척킹력을 안정시킬 수 있고, 토글이 좌우로 뒤틀리는 현상이 없으며, 토글과 토글서포트가 맞닿는 부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함으로써 토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토글이 토글서포트의 홈에 끼임으로써 발생되는 토글의 파손을 방지하고 토글로 인해 발생되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는 토글의 홈에 토글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토글의 회동으로 척킹/언척킹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토글의 일측을 토글서포트에 고정함으로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토글이 위치할 수 있어 척킹력을 안정시킬 수 있고, 좌우로 뒤틀리는 현상이 없으며, 토글과 토글서포트가 맞닿는 부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함으로써 토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토글이 토글서포트의 홈에 끼임으로써 발생되는 토글의 파손을 방지하고 토글로 인해 발생되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토글을 이용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글의 회동으로 푸쉬파이프에 콜릿슬리브를 밀어줄 수 있는 힘을 전달하되 상기 토글의 일측은 토글서포트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어 토글의 위치가 좌우로 뒤틀리지 않고 항상 일정하므로 척킹력을 균일하게 가져갈 수 있으며, 토글의 파손 및 이상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구성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예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는 토글(9)의 회동으로 척킹력을 푸쉬파이프(6)에 전달하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글(9)의 일측에는 핀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는 핀(22)이 관통하여 토글서포트(10)에 결합됨으로써, 토글(9)이 핀(22)을 중심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회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토글(9)의 일측은 토글서포트(10)에 핀(22)으로 고정되어 있고, 타 측은 자유로운 상태에 있되 상기 토글(9)의 타측은 슬라이드슬리브(13)에 의해 도 4의 화살표(토글 옆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토글(9)이 핀(22)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된다.
먼저, 토글(9)의 회동으로 푸쉬파이프(6)를 밀어주는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에어실린더(19)의 동작으로 슬라이드슬리브(13)가 플랜지(15) 쪽으로 이동하여 토글(10)의 꼬리부를 누르게 되면 토글(10)은 핀(2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푸쉬파이프(6)를 밀어주게 된다.
이와 반대로, 에어실린더(19)의 동작으로 슬라이드슬리브(13)가 콜릿척(1)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면 토글(10)의 꼬리부를 누르는 상태가 해제되고 푸쉬파이프(6)를 미는 힘 또한 해제되게 되어 압축스프링(2)의 동작으로 콜릿슬리브(4) 및 푸쉬파이프(6)는 플랜지(15)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토글(10)의 일측이 토글서포트(10)에 고정 결합됨으로 인해 척킹과 언척킹을 행하는 동작 즉, 슬라이드슬리브(13)에 의해 작동되는 토글(10)의 회동동작이 수없이 반복되게 되어도 토글(10)은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파이프(6)를 미는 양 또한 일정하게 되고, 푸쉬파이프(6)가 밀리는 양이 일정하게 된다는 것은 콜릿슬리브(4)에 의해 콜릿척 내경의 축소량이 일정함을 의미하므로 결국 소재를 척킹하는 척킹력 또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의 척킹력이 일정하므로 인해 정밀한 제품의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자동선반 척킹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콜릿척 2. 압축스프링 3. 스핀들
4. 콜릿슬리브 5. 주축대 6. 전방푸쉬파이프
7. 후방푸쉬파이프 8a, 8b, 8c. 볼베어링
9. 토글 10. 토글서포트 11. 너트
12. 볼베어링 13. 슬라이드슬리브 14. 너트
15. 플랜지 16. 레바 17. 시프타피스
18. 힌지점 19. 에어실린더 20. 캡
21. 실린더로드 22. 핀

Claims (2)

  1. 토글(9)의 회동으로 척킹력을 푸쉬파이프(6)에 전달하는 자동선반의 척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글(9)의 일측에는 핀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는 핀(22)이 관통하여 토글서포트(10)에 결합됨으로써, 토글(9)이 핀(22)을 중심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회동되며,
    상기 토글(9)의 일측은 토글서포트(10)에 핀(22)으로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자유로운 상태에 있되 상기 토글(9)의 타측은 슬라이드슬리브(13)에 의해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토글(9)이 핀(2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 특징인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2. 삭제
KR2020080014408U 2008-10-29 2008-10-29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KR200452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408U KR200452923Y1 (ko) 2008-10-29 2008-10-29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408U KR200452923Y1 (ko) 2008-10-29 2008-10-29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13U KR20100004713U (ko) 2010-05-10
KR200452923Y1 true KR200452923Y1 (ko) 2011-03-28

Family

ID=4424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408U KR200452923Y1 (ko) 2008-10-29 2008-10-29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2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991Y1 (ko) * 2004-08-11 2005-01-10 한화기계주식회사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KR20070084603A (ko) * 2004-11-30 2007-08-24 시티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소재 파지 장치, 소재 가이드 장치 및 자동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991Y1 (ko) * 2004-08-11 2005-01-10 한화기계주식회사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KR20070084603A (ko) * 2004-11-30 2007-08-24 시티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소재 파지 장치, 소재 가이드 장치 및 자동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13U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319B1 (ko) 선반용 자동배출식 척
JPS59142037A (ja) スピンドルヘツドにおける工具クランプ装置
CN104858694A (zh) 薄壁零件自定心夹具
US6409182B1 (en) Lathe chuck with two sets of jaws
KR102184191B1 (ko) 척킹력 조정 기능을 갖춘 선반의 주축대
KR200452923Y1 (ko)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CN101108406A (zh) 强力旋压机退料装置
US2477773A (en) Chuck
KR101025091B1 (ko) 초고속 스핀들의 척킹장치
CN204545479U (zh) 一种用于套类零件加工的推式毛坯孔涨紧装置
US6394467B1 (en) Retract type chuck
CN207414861U (zh) 一种长轴工装夹具
JP4921782B2 (ja) 旋盤用コレット式チャック装置
CN216065595U (zh) 一种气动膨胀卡盘装置
CN202097589U (zh) 精密车床卸荷式杠杆夹紧机构
KR101157320B1 (ko) 에어를 이용한 자동선반의 가이드부쉬 장치
CN101362217A (zh) 一种下料机夹头
CN201316923Y (zh) 一种轴承套圈下料机床的夹紧机构
KR200438502Y1 (ko) 디스크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선반의 척킹장치
CN210387628U (zh) 一种管状工件装夹工装
JP2017177317A (ja) チャック開閉装置
JPH0819906A (ja) 工具ホルダのクランプ装置
JPH07308840A (ja) 旋盤の被加工物保持装置
KR200401336Y1 (ko) 자동선반의 내경척킹장치
TWI295945B (en) Clipping device of machine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