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48Y1 -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548Y1
KR200452548Y1 KR2020090000119U KR20090000119U KR200452548Y1 KR 200452548 Y1 KR200452548 Y1 KR 200452548Y1 KR 2020090000119 U KR2020090000119 U KR 2020090000119U KR 20090000119 U KR20090000119 U KR 20090000119U KR 200452548 Y1 KR200452548 Y1 KR 200452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bolt
vinyl hous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234U (ko
Inventor
이현순
Original Assignee
이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순 filed Critical 이현순
Priority to KR2020090000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54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5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을 통해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를 보다 견고히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설, 폭우, 강풍으로 인한 비닐하우스 천장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는,
비닐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지면과 접하도록 된 십자형의 받침대(12)가 마련되고, 상단의 둘레에 원형의 플랜지(11)가 마련된 하부관체(10)와;
상기 하부관체(10)의 플랜지(11)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 일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단홈(21a)이 형성되고 상단부 타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장홈(21b)이 형성되며 상단에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서 중앙부에 통공(21c')이 형성되고 통공(21c') 일측에 볼트삽입공(21c")이 형성된 덮개(21c)가 마련된 원형관 형태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되 중앙부에 통공(22a)이 형성되고 통공(22a) 일측에 볼트삽입공(22b)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몸체(21)의 단홈(21a)상에 걸치도록 된 돌출편(22c)이 형성되고 돌출편(22c)과 대향되는 가장자리 타측에 몸체(21)의 장홈(21b)상에 걸치도록 된 누름쇠(22d)가 형성된 조임링(22)과, 상기 몸체(21)의 볼트삽입공(21c")과 조임링(22)의 볼트삽입공(22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23)와, 상기 볼트(23)상에 결합되는 스프링(24)으로 된 높이조절구(20)와;
상기 높이조절구(20)를 관통하여 하부관체(10)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하부관체(10)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이되 상단에 'U'자형 걸림편(31)이 마련된 상부관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비닐하우스, 받침 지주, 하부관체, 받침대, 상부관체, 걸림편, 높이조절구, 몸체, 단홈, 장홈, 덮개, 통공, 볼트삽입공, 조임링, 돌출편, 누름쇠, 볼트, 스프링, 높낮이조절, 천장부, 처짐, 방지

Description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 ceiling pipe supporting post for vinyl house }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을 통해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를 보다 견고히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설, 폭우, 강풍으로 인한 비닐하우스 천장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에 관한 것이다.
작물의 재배 또는 가축의 사육을 위한 목적으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아치형으로 된 천장 지지관체의 양측 하단에 측면 지지관체를 결합한 후 비닐을 덮음으로써 완성되는 것이어서 일반 건축물 시공에 비해 단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비닐하우스는 단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장점을 갖는 반면 구조적 특성상 그 내구성이 취약한 것이어서 폭설, 폭우, 강풍 등의 상황에서 특히, 천장부가 쉽게 처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의 천장부 처짐은 구조물 손상에만 그치지 않고 작물 재배의 손실 또는 가축 사육의 손실로 이어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소유주에게 막대한 금전적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 천장부 처짐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비닐하우스 관리인들은 천장 지지관체 중앙부에 막대를 세워 막대를 통해 천장 지지관체를 받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막대를 통해 천장 지지관체를 받치도록 하는 것은 비닐하우스 천장부의 처짐을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일반 막대를 천장 지지관체에 결합하는 작업은 결속 작업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관계인들은 설치가 용이하고 천장 지지관체를 견고히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는 여전히 상기와 같은 관계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을 통해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를 보다 견고히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설, 폭우, 강풍으로 인한 비닐하우스 천장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는,
비닐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지면과 접하도록 된 십자형의 받침대가 마련되고, 상단의 둘레에 원형의 플랜지가 마련된 하부관체와;
상기 하부관체의 플랜지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 일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단홈이 형성되고 상단부 타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장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일측에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덮개가 마련된 원형관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되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일측에 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몸체의 단홈상에 걸치도록 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돌출편과 대향되는 가장자리 타측에 몸체의 장홈상에 걸치도록 된 누름쇠가 형성된 조임링과, 상기 몸체의 볼트삽입공과 조임링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상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된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를 관통하여 하부관체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하부관체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이되 상단에 'U'자형 걸림편이 마련된 상부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는, 하부관체에 받침대가 마련되고 상부관체에 걸림편이 마련된 것인 바, 하부관체의 받침대를 지면에 접하도록 하고 상부관체에 걸림편에 천장 지지관체 중앙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하부관체와 상부관체 사이의 높이조절구를 관통하는 상부관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누름으로써 간단히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높이 조절을 통해 비닐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를 보다 견고하게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높이 상승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높이 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를 다른 용도로 활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설치용 높낮이 조절 지주(A)는 하부관체(10)와, 높이조절구(20)와, 상부관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관체(10)는 비닐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40)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지면과 접하도록 된 십자형의 받침대(12)가 마련된 것이고, 상단의 둘레에 원형의 플랜지(1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관체(10)에서 플랜지(11)는 높이조절구(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그 직경이 높이조절구(20)의 몸체(21)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관체(10)의 플랜지(11) 직경이 높이조절구(20)의 몸체(21) 직경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부관체(10)와 높이조절구(20)가 결합될 때 하부관체(10)의 플랜지(11)와 높이조절구(20)의 몸체(21)를 용접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관체(10) 하단의 받침대((12)는 지면상에의 고정을 위한 것인 바, 지면상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도시된 십자형태 외에 다른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높이조절구(20)는 하부관체(10)의 플랜지(11)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 일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단홈(21a)이 형성되고 상단부 타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장홈(21b)이 형성되며 상단에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서 중앙부에 통공(21c')이 형성되고 통공(21c') 일측에 볼트삽입공(21c")이 형성된 덮개(21c)가 마련된 원형관 형태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되 중앙부에 통공(22a)이 형성되고 통공(22a) 일측에 볼트삽입공(22b)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몸체(21)의 단홈(21a)상에 걸치도록 된 돌출편(22c)이 형성되고 돌출편(22c)과 대향되는 가장자리 타측에 몸체(21)의 장홈(21b)상에 걸치도록 된 누름쇠(22d)가 형성된 조임링(22)과, 상기 몸체(21)의 볼트삽입공(21c")과 조임링(22)의 볼트삽입공(22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23)와, 상기 볼트(23)상에 결합되는 스프링(24)으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구(20)에서 조임링(22)의 볼트삽입공(22b) 직경은 볼트(23)의 몸체 직경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링(22)의 볼트삽입공(22b) 직경이 볼트(23)의 몸체 직경 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조임링(22)이 볼트(23)상에서 유동적일 수 있게 되므로 누름쇠(22d)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누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관체(30)는 높이조절구(20)를 관통하여 하부관체(10)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하부관체(10)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이되 상단에 'U'자형 걸림편(31)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관체(30)에서 'U'자형 걸림편(31)의 폭은 천장 지지관체(40)의 직경 이상으로 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부관체(30)에서 'U'자형 걸림편(31)의 폭이 천장 지지관체(40)의 직경 이상으로 됨으로써 천장 지지관체(40)가 'U'자형 걸림편(31) 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지지관체(40) 중앙부가 상부관체(30)의 'U'자형 걸림편(31)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하부관체(10)의 받침대(12)가 지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 중앙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에서의 높낮이 조절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원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높이조절구(20)를 관통하여 하부관체(10)로 수용되는 상부관체(30)를 높이조절구(20)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지주(A)의 높이는 높아지게 된다.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기 이전 상태에서 상부관체(30)는 높이조절구(20)에 내장된 조임링(22)의 통공(22a) 양단에 물려 그 높이가 고정된다.
그러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부관체(30)를 들어올리는 순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링(22)의 경사가 완화되며 통공(22a)이 상부관체(30)를 물고 있는 힘이 약해지므로 상부관체(30)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데, 상부관체(30)를 들어올리는 것이 멈추는 순간부터 조임링(22)은 볼트(23)상에 결합된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이전의 경사로 전환되며 통공(22a)이 상부관체(30)를 물게 되므로 상부관체(30)는 들어올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바, 이로써 지주(A)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원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의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 누름쇠(22d)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높이조절구(20)를 관통하여 하부관체(10)로 수용되는 상부관체(30)를 높이조절구(20)로 내리누른 후 누름쇠(22d)를 풀어줌으로써 지주(A)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기 이전 상태에서 상부관체(30)는 높이조절구(20)에 내장된 조임링(22)의 통공(22a) 양단에 물려 그 높이가 고정된다.
그러나 누름쇠(22d)를 들어올리는 순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링(22)의 경사가 완화되며 통공(22a)이 상부관체(30)를 물고 있는 힘이 약해지게 되므로 상부관체(30)를 내리누를 수 있게 되는데, 상부관체(30)를 내리누른 상태에서 누름쇠(22d)를 풀어주게 되면 조임링(22)은 볼트(23)상에 결합된 스프링(24) 탄성에 의해 이전의 경사로 전환되며 통공(22a)이 상부관체(30)를 물게 되므로 상부관체(30)는 내리눌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바, 이로써 지주(A)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는 상기의 방법으로써 간편하게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 바, 높이 조절을 통해 천장 지지관체(40)를 보다 견고하게 받칠 수 있게 되므로 폭설, 폭우, 강풍 등으로 인한 비닐하우스 천장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A)는 비닐 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40)를 받치는 것 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체(30)의 'U'자형 걸림편(31)으로 과수 가지를 받치도록 함으로써 과수 가지의 처짐 방지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높이 상승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높이 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를 다른 용도로 활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관체 11 : 플랜지
12 : 받침대 20 : 높이조절구
21 : 몸체 21a : 단홈
21b : 단홈 21c : 덮개
21c' : 통공 21c" : 볼트삽입공
22 : 조임링 22a : 통공
22b : 볼트삽입공 22c : 돌출편
22d : 누름쇠 23 : 볼트
24 : 스프링 30 : 상부관체
31 : 걸림편 40 : 천장 지지관체
A : 높낮이 조절 지주

Claims (3)

  1. 비닐하우스의 천장 지지관체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지면과 접하도록 된 십자형의 받침대가 마련되고, 상단의 둘레에 원형의 플랜지가 마련된 하부관체와;
    상기 하부관체의 플랜지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 일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단홈이 형성되고 상단부 타측에 세로로 이어지는 장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일측에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덮개가 마련된 원형관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되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일측에 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몸체의 단홈상에 걸치도록 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돌출편과 대향되는 가장자리 타측에 몸체의 장홈상에 걸치도록 된 누름쇠가 형성된 조임링과, 상기 몸체의 볼트삽입공과 조임링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상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된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를 관통하여 하부관체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하부관체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이되 상단에 'U'자형 걸림편이 마련된 상부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의 플랜지는 그 직경이 높이조절구의 몸체 직경으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의 조임링에 형성되는 볼트삽입공 직경은 볼트의 몸체 직경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KR2020090000119U 2009-01-06 2009-01-06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KR200452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119U KR200452548Y1 (ko) 2009-01-06 2009-01-06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119U KR200452548Y1 (ko) 2009-01-06 2009-01-06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34U KR20100007234U (ko) 2010-07-15
KR200452548Y1 true KR200452548Y1 (ko) 2011-03-04

Family

ID=4424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119U KR200452548Y1 (ko) 2009-01-06 2009-01-06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5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85B1 (ko) * 2011-06-03 2012-03-22 (주)씨에스엘쏠라 진공챔버의 처짐방지수단이 구비된 승화정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497U (ko) * 1989-08-25 1991-04-15
JPH063055U (ja) * 1992-06-18 1994-01-18 紀雄 佐藤 伸縮ポール
JPH11178446A (ja) 1997-12-19 1999-07-06 Mikado Ikushu Nojo:Kk 簡易な高さ調節機構を備えた支柱
KR100656533B1 (ko) 2006-01-12 2006-12-11 김후일 농축산물 재배용 시설물의 절첩식 지지대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497U (ko) * 1989-08-25 1991-04-15
JPH063055U (ja) * 1992-06-18 1994-01-18 紀雄 佐藤 伸縮ポール
JPH11178446A (ja) 1997-12-19 1999-07-06 Mikado Ikushu Nojo:Kk 簡易な高さ調節機構を備えた支柱
KR100656533B1 (ko) 2006-01-12 2006-12-11 김후일 농축산물 재배용 시설물의 절첩식 지지대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85B1 (ko) * 2011-06-03 2012-03-22 (주)씨에스엘쏠라 진공챔버의 처짐방지수단이 구비된 승화정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34U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229B1 (ko) 고추작물용 지지대
JP3795804B2 (ja) 高設栽培装置用架台
CN100998303A (zh) 树木保护支架
KR200392441Y1 (ko) 포도재배용 비닐하우스용 지주대 구조
KR200439508Y1 (ko) 인삼밭용 지주대
KR200452548Y1 (ko)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CN204466457U (zh) 一种可自动调节的树木种植支架
KR101753841B1 (ko) 로프가 결합된 비닐하우스
KR200448816Y1 (ko) 천창 개폐식 비닐하우스의 천창용 고정 클램프
JP2000245272A (ja) 移植装置
KR200460418Y1 (ko)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KR20130025917A (ko) 인삼재배를 위한 해가림막용 지주대 결속장치
CN210959653U (zh) 一种高强度温室大棚构造
KR200465587Y1 (ko) 다층 비닐하우스 설치구
KR200233774Y1 (ko) 비닐 하우스의 보강 파이프 지지대
CN203057973U (zh) 一种用于土球底部的六角形树木固定装置
JP3995648B2 (ja) 樹木の転倒防止装置
CN205071798U (zh) 一种园林护树支架
KR200429607Y1 (ko) 포도 재배용 비닐 하우스 지지대 연결구
CN201422301Y (zh) 树木保护支架
JP3207504U (ja) 農業用ハウスの補強部材
KR200255422Y1 (ko) 포도재배용 철선유인구
KR200413233Y1 (ko) 비닐하우스용 형강 프레임
CN104127073A (zh) 窗台可遮阳竖式花盆支架
KR101813021B1 (ko) 나무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