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11Y1 -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511Y1
KR200452511Y1 KR2020080015340U KR20080015340U KR200452511Y1 KR 200452511 Y1 KR200452511 Y1 KR 200452511Y1 KR 2020080015340 U KR2020080015340 U KR 2020080015340U KR 20080015340 U KR20080015340 U KR 20080015340U KR 200452511 Y1 KR200452511 Y1 KR 200452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landing
leaf spring
bent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414U (ko
Inventor
김순찬
Original Assignee
김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찬 filed Critical 김순찬
Priority to KR2020080015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51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도보시에 발생되는 착지 충격을 최소화하게 하는 동시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로운 굴림운동이 이루어지고 숙달없이도 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1)의 바닥창(2) 밑에 착용되고 판스프링부재(11)를 이용하는 보행수단(10)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2)에 착용되게 하기 위해 판스프링부재(11) 양단부를 수평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선측착용부(12) 및 후측착용부(13)와; 상기 선측착용부(12)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굴림만곡부(21)와 착지돌륜부(22)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앞굽공간부(23)를 갖는 앞굽착지부(20)와; 상기 후측착용부(13)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착지만곡부(31)와 착지돌륜부(32)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뒷굽공간부(33)를 갖는 뒷굽착지부(30)와; 상기 앞,뒷굽착지부(20,30)의 착지돌륜부(22,32)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게 형성되어 착지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앞,뒷굽공간부(23,33) 크기가 변형되게 하는 오목연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신발, 워킹신발, 도보용 신발

Description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The walking shoes which uses the leaf spring}
본 고안은 워킹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도보시에 발생되는 착지 충격을 최소화하게 하는 동시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로운 굴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을 이용한 수많은 신발들이 개시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점프용 신발들이다.
이러한 점프용 신발들은 점프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도보용 신발로는 매우 부적합한 것들이다.
따라서, 출원인은 스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도보가 용이하도록 한 워킹신발을 연구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1308호로 선등록받은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워킹신발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매우 높고 도보시에 굴림운동 밸런스를 맞추기가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원만한 도보를 위해서는 많은 숙달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20-0441308 Y1 2008.08.05
본 고안은 도보시에 발생되는 착지 충격을 최소화하게 하는 동시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로운 굴림운동이 이루어지고 숙달없이도 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도모되게 함으로써 보다 기능이 월등한 워킹신발을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신발의 바닥창 밑에 착용되고 판스프링부재를 이용하는 보행수단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에 착용되게 하기 위해 판스프링부재 양단부를 수평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선측착용부 및 후측착용부와; 상기 선측착용부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굴림만곡부와 착지돌륜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앞굽공간부를 갖는 앞굽착지부와; 상기 후측착용부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착지만곡부와 착지돌륜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뒷굽공간부를 갖는 뒷굽착지부와; 상기 앞,뒷굽착지부의 착지돌륜부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게 형성되어 착지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앞,뒷굽공간부 크기가 변형되게 하는 오목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지만곡부 중간부에 수평홈부를 형성되게 하는 "⊂"형의 탄성절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후측착용부를 다수의 리벳에 의해 바닥창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후측착용부에 신발에 착용하기 위한 각각의 매직밴드가 고정되어 구비되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보행시에 뒷굽착지부에서 보행 착지충격력을 흡수하여 신체 보호가 도모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보행을 위한 신발 굴림운동시에 뒷굽착지부에서 탄력이 발생되고 앞굽착지부에서 보행 추진력이 발생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로운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넓적한 형태의 보행수단에 의해서 보행되는 것이므로 별다른 숙달이 없이도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행수단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가 수월하고 원가절감이 되므로 기능이 탁월한 워킹신발을 보다 저렴하게 보급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워킹신발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보행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신발(1)의 바닥창(2) 밑에 착용되는 보행수단(10)을 구비한다.
상기 보행수단(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얇은 두께의 판스프링부재(11)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행수단(10)은 신발(1)의 바닥창(2)에 착용되게 하기 위해 판스프링부재(11) 양단부를 수평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선측착용부(12) 및 후측착용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선측착용부(12) 및 후측착용부(13)는 이하에서는 선,후측착용부(12,13)라고도 명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보행수단(10)은 앞쪽에 앞굽착지부(20)를 구비하고 뒷쪽에는 뒷굽착지부(30)를 구비하도록 절곡되게 구성된다.
앞굽착지부(20)는, 선측착용부(12)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굴림만곡부(21)를 형성되게 하고 그 하부쪽으로는 지면(G)과 닿게 되는 착지돌륜부(22)를 갖도록 형성되게 함으로써 내측으로 앞굽공간부(23)를 갖도록 구성된다.
뒷굽착지부(30)는, 후측착용부(13)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착지만곡부(31)를 구비하고 그 하부쪽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착지돌륜부(32)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내측으로 뒷굽공간부(33)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앞굽착지부(20)와 뒷굽착지부(30)는 이하에서 앞,뒷굽착지부(20,30)라고도 명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앞,뒷굽착지부(20,30)의 착지돌륜부(22,32) 사이에는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게 형성되켜서 착지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앞,뒷굽공간부(23,33) 크기가 변형되게 하는 오목연장부(40)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따르면, 보행수단(10)은 선,후측착용부(12,13)가 리벳(14)과 같은 고 정수단을 이용하여 바닥창(2)에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리벳(14)이 아니고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부호 3은 안창을 나타낸 것이며 바닥창(2) 위에 안창(3)이 덮어 씌워짐으로써 리벳(14)이 은폐되고 보행시 지장이 없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보행수단(10)의 선,후측착용부(12,13)에 신발(1)에 착용하기 위한 각각의 매직밴드(50,50')가 고정되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매직밴드(50,50')는 각각 서로 달라 붙고 떨어지는 매직테이프(51)라는 것을 구비하여 도 3과 같이 신발(1)에 착용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매직테이프(51)를 가진 매직밴드(50,50')는 이미 널리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보행시에는 신발 뒷굽부분부터 지면(G)에 닿은 다음 앞쪽방향으로 굴림운동을 하게 되면서 뒷굽부분이 지면(G)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앞굽부분이 지면(G)을 디딪으면서 앞발바닥 부분에 힘을 주어 앞쪽방향으로 이동되는 보행력으로 보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행시에는 뒷굽착지부(30)가 지면(G)에 먼저 닿게 되는 것이며, 이때 체중이 실린 상태의 착지력에 의해서 뒷굽착지부(30)가 압축되게 된다.
이때, 뒷굽착지부(30)의 착지돌륜부(32)가 압축되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착지할 때 생기는 착지충격력을 흡수하게 되어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착지충격 력이 상실되게 함에 따라 발목이나 무릅 관절에 착지충격력이 전달되어 무리가 따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착지돌륜부(32)가 압축되면 뒷굽공간부(33)가 축소되면서 착지돌륜부(32)의 압축력이 오목연장부(40)로 전달되게 되고, 그로 인해 오목연장부(40)는 앞쪽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지면(G)과 닿지 않고 지상에 머물러 있게 되는 앞굽착지부(20)의 착지돌륜부(22) 및 굴림만곡부(21)가 도 5의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상태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앞굽공간부(23)가 넓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보행을 위한 신발(1)의 굴림운동을 하게 되면 도 5의 (b)와 같이 뒷굽착지부(30)가 지면(G)으로부터 들려져서 떨어지게 되고 앞굽착지부(20)는 착지돌륜부(22)가 지면(G)에 닿게 된다.
이때, 뒷굽착지부(30)가 지면(G)으로부터 들려져서 떨어지게 되는 과정에 압축되어 있던 착지돌륜부(32)가 원래의 상태(도1의 상태)로 복귀되려는 탄력이 작용됨으로써 보다 쉽게 들려지게 될 뿐만 아니라 그로인해 앞쪽으로 진행하려는 보행력이 보다 증대되어 수월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앞굽착지부(20)는 지면(G)에 닿은 순간 착지돌륜부(22)에 압축력이 작용됨으로서 오목연장부(40) 쪽으로 압축력이 전달됨에 따라 그 오목연장부(40)는 후미쪽으로 이동되고 그로인해 뒷굽착지부(30)의 착지만곡부(31)와 착지돌륜부(32)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뒷굽착지부(30)의 착지만곡부(31)와 착지돌륜부(32)가 외측방향으 로 벌어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앞굽착지부(20)의 착지돌륜부(22)는 무리없이 압축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보행을 위해 지면(G)으로부터 신발(1)이 들려지게 되면 착지돌륜부(22)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려는 탄력이 작용됨으로써 앞쪽으로 보행하는 보행추진력이 발생됨으로써 수월한 보행이 도모되는 것이다.
이때, 굴림만곡부(21)는 곡면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도 5의 (b)와 같이 앞으로 나아가는 보행에 따른 굴림운동이 될 때 자연스럽게 지면(G)에 닿으면서 굴림되는 운동이 되게 한다.
오목연장부(40)는 뒷굽착지부(30)가 지면(G)에 닿을 때 또는 앞굽착지부(20)가 지면(G)에 닿을 때마다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그들의 착지돌륜부(22,33)가 압축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목연장부(40) 자체도 탄력이 있으므로 뒷굽착지부(30)의 충격흡수력과 보행탄력이 더욱 증대되게 하고 앞굽착지부(20)에 있어서도 보행 추진력을 더욱 증대되게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것으로서, 보행수단(10)의 앞굽착지부(20) 및 뒷굽착지부(30)의 구조와 작용은 앞서 언급되어 설명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 다른 실시예는 뒷굽착지부(30)의 착지만곡부(31) 중간부에 수평홈부(34)를 형성되게 하는 "⊂"형의 탄성절곡부(35)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탄성절곡부(35)는 착지시에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1차적 으로 탄성절곡부(35)가 오무라들게 압축된 다음 연이어서 착지돌륜부(32)가 2차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착지에 따른 착지 충격력을 2중으로 흡수하게 됨으로써 더욱 충격흡수력이 증대되어 발목 및 다리나 무릅관절의 보호를 가일층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앞굽착지부(20)의 착지돌륜부(22)가 지면(G)에 착지시에는 오목연장부(40)에 의해 압축력이 전달될 때 도 7의 (b)와 같이 먼저 탄성절곡부(35)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더욱 신속하게 앞굽착지부(20)가 벌어지게 되고, 그로인해 앞굽착지부(20)가 더욱 빨리 압축되게 되어 신속한 보행이 도모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보행수단(10)이 신발(1)의 바닥창(2)과 같이 넓적한 형태로 형성되어 보행되는 것이므로 별다른 숙달됨이 없이도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보행수단(10) 외부에 비닐지나 또는 방수천과 같은 것으로 외피를 만들어서 씌워지게 함으로써 보행수단(10)이 은폐되게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앞굽착지부(20)와 뒷굽착지부(30)의 착지돌륜부(22,32)에 고무와 같은 별도의 착지접촉부재가 부착되게 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행수단(10)을 구성하게 되는 판스프링부재(11)의 두께를 성인용 신발과 어린이용 신발 종류에 따라 두꺼운 두께나 또는 얇은 두께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보행수단(10)의 높낮이 역시 성인용 신발의 경우 높게 형성하고 어린이용 신발의 경우는 낮은 높이로 제조되게 함으로써 보행에 지 장이 없도록 채용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해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워킹신발의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른 착용상태를 보인 워킹신발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3에 보인 보행수단의 사시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워킹신발의 요부 종단면도,
도 7의 (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발 10 : 보행수단
20 : 앞굽착지부 21 : 굴림만곡부
22,32 : 착지돌륜부 23 : 앞굽공간부
30 : 뒷굽착지부 31 : 착지만곡부
33 : 뒷굽공간부 34 : 수평홈부
35 : 탄성절곡부 40 : 오목연장부

Claims (4)

  1. 신발(1)의 바닥창(2) 밑에 착용되고 판스프링부재(11)를 이용하는 보행수단(10)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2)에 착용되게 하기 위해 판스프링부재(11) 양단부를 수평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선측착용부(12) 및 후측착용부(13)와;
    상기 선측착용부(12)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굴림만곡부(21)와 착지돌륜부(22)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앞굽공간부(23)를 갖는 앞굽착지부(20)와;
    상기 후측착용부(13)와 연장되게 하부방향으로 착지만곡부(31)와 착지돌륜부(32)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뒷굽공간부(33)를 갖는 뒷굽착지부(30)와;
    상기 앞,뒷굽착지부(20,30)의 착지돌륜부(22,32)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게 형성되어 착지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앞,뒷굽공간부(23,33) 크기가 변형되게 하는 오목연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만곡부(31) 중간부에 수평홈부(34)를 형성되게 하는 "⊂"형의 탄성절곡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측착용부(12,13)를 다수의 리벳(14)에 의해 바닥창(2)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측착용부(12,13)에 신발(1)에 착용하기 위한 각각의 매직밴드(50,50')가 고정되어 구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KR2020080015340U 2008-11-18 2008-11-18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KR200452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340U KR200452511Y1 (ko) 2008-11-18 2008-11-18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340U KR200452511Y1 (ko) 2008-11-18 2008-11-18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14U KR20100005414U (ko) 2010-05-27
KR200452511Y1 true KR200452511Y1 (ko) 2011-03-03

Family

ID=4424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340U KR200452511Y1 (ko) 2008-11-18 2008-11-18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5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2316A1 (fr) 2012-08-02 2014-02-05 Paraplan Sprl Dispositif de rééducation pour jambes de longueurs inéga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804U (ko) * 1993-01-12 1994-08-16 유강종 완충식 슈퍼카신발
KR19990009245U (ko) * 1997-08-19 1999-03-15 박래선 신발밑창에 판스프링이 장착된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804U (ko) * 1993-01-12 1994-08-16 유강종 완충식 슈퍼카신발
KR19990009245U (ko) * 1997-08-19 1999-03-15 박래선 신발밑창에 판스프링이 장착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14U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5531B1 (en) Footwear cushioning spring
JP5298130B2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WO2005087030A8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20130160332A1 (en) High heel shoe having foldable heel
WO2010077033A3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200452511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워킹신발
WO2007042971A3 (en) Footwear as mat-socks
KR100825433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CN104605573A (zh) 一种护踝童鞋
KR20090003911U (ko) 신발밑창
JP5761899B2 (ja) 歩行促進効果を有する履物
KR101649101B1 (ko)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CN202335424U (zh) 一种具有高拉伸性能的鞋底
KR100831742B1 (ko) 다이어트용 쿠션 신발
CN209547112U (zh) 一种多功能的鞋底
JP3128304U (ja) 健康促進機能付き靴
CN104305638A (zh) 一种减震制鞋技术
KR102656858B1 (ko) 건강보조 신발
CN205180541U (zh) 一种使足弓部和鞋面更裹脚的鞋子
CN215381830U (zh) 减震助力鞋底
KR101408912B1 (ko)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
KR20050043864A (ko) 점프용 기능신발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JP5257714B2 (ja) 靴底
KR102404544B1 (ko) 추진력 증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