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73Y1 - 고·액 분리기 - Google Patents

고·액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73Y1
KR200452473Y1 KR2020090006499U KR20090006499U KR200452473Y1 KR 200452473 Y1 KR200452473 Y1 KR 200452473Y1 KR 2020090006499 U KR2020090006499 U KR 2020090006499U KR 20090006499 U KR20090006499 U KR 20090006499U KR 200452473 Y1 KR200452473 Y1 KR 200452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chain
shaft
rotatio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81U (ko
Inventor
정정호
이강옥
Original Assignee
이강옥
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옥, 정정호 filed Critical 이강옥
Priority to KR2020090006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73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폐수(예를들면, 공장폐수, 음식물 폐수, 가축분뇨 또는 하수)에 함유된 수분이나 슬러지를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분리하여 여과액을 여과액 저장탱크에 수집하고 고형물(탈수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형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고·액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슬러지, 고·액 분리기, 고형물, 회수율

Description

고·액 분리기{SOLID-LIQUID SEPARATOR}
본 고안은 고·액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수(예를들면, 공장폐수, 음식물 폐수, 가축분뇨 또는 하수)에 함유된 수분이나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분리하여 여과액을 여과액 저장탱크로 수집되고 고형물(탈수가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뿐 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관리비를 감소시키고 고형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고·액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진흙상태의 산업폐기물 또는 폐수처리 침전물등에 대한 일반적인 호칭으로 오니(汚泥)라고도 하는데, 특히 축산분뇨의 슬러지에서 일정한 양의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물을 생산하며 이러한 고형물은 비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축산 농가에서 가축들이 배설하는 축산분뇨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므로 재처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축산분뇨 재처리장치는 침전지를 이용한 침전방식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침전방식에는 침전지에서 침전물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므로 상기 침전물을 별도 처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침전방식에는 입자가 큰 고체 상태의 침전물은 침전효율을 저하시키고 관리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축분뇨 고·액 분리기를 이용하여 입자가 큰 고체분뇨를 분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 널리 이용되는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방식에는 원심력을 이용한 방식, 롤러를 이용한 압착방식 등을 사용하여 고·액을 분리하는 여러 가지의 고·액 분리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고·액 분리기는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보수/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수(예를들면, 공장폐수, 음식물 폐수, 가축분뇨 또는 하수)에 함유된 수분이나 슬러지를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분리하여 여과액을 여과액 저장탱크에 수집하고 고형물(탈수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액 분리기(고체??액체 분리기라고도 한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형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액 분리 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를 절할 수 있는 고·액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고·액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고·액 분리실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액분리실의 양측에 제1 및 제2 기계실이 각각 형성된 박스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제1 기계실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와, 상기 기어드 모터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의 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켓 및 제1 체인을 통해서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종동스프라켓와,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양단이 제1 및 제2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베어링에 인접해서 상기 제1 샤프트에 설치된 제2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제2 종동스프라켓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체인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체인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체인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응집된 폐수나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과 슬러지를 분리하는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고·액분리실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수에 함유된 수분과 슬러지의 분리에 따라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하부로 떨어지는 여과액을 받아 저장하는 여과액 저장탱크와, 상기 하우징의 고·액분리실의 폭방향에 설치된 지지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에서 분리되어 통과하는 슬러지를 압압해서 수분을 탈수하는 압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의하면, 폐수(예를들면, 공장폐수, 음식물 폐수, 가축분뇨 또는 하수)에 함유된 수분이나 고형물을 연속적으로 분리하여 여과액을 여과액 저장탱크로 수집되고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구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뿐 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관리비를 감소시키고 고형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의 제1 기계실을 개략적으로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좌측벽을 제거한 후에 종동 스프라켓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의 고액 분리실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동작설명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압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고·액 분리실(1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액분리실(11)의 양측에 제1 및 제2 기계실(12,13)이 각각 형성된 박스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제1 기계실(12)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시에 반시계방향(도 4에서 봤을 경우)으로 회전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20)와, 상기 기어드 모터(20)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20)의 축(20a)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켓(22) 및 제1 체인(24)을 통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종동스프라켓(30)와,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3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양단이 제1 및 제2 베어링(32,34)에 의해 지지된 제1 샤프트(40)와, 상기 제1 샤프트(4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베어링(34)에 인접해서 상기 제1 샤프트(40)에 설치된 제2 종동스프라켓(42)과, 상기 제2 종동스프라켓(4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체인(43)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라켓(44)과, 상기 제2 체인(4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스프라켓(46,48)과, 상기 제2 체인(43)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응집된 폐수나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과 슬러지(찌꺼기)를 분리하는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와, 상기 하우징(10)의 고·액분리실(11)의 투입구(11a)를 통해 투입되는 폐수(예를들면, 공장폐수, 음식물 폐수, 가축분뇨 또는 하수)에 함유된 수분과 슬러지(찌꺼기)의 분리에 따라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의 하부로 떨어지는 여과액(수분이라고도 한다)을 받아 저장하는 여과액 저장탱크(60)와, 상기 하우징(10)의 고·액분리실(11)의 폭방향에 설치된 지지축(7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에서 분리되어 통과하는 슬러지를 압압해서 수분을 탈수하는 압압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벽체(10a)와 후면벽체(10b)에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의 슬릿 플레이트(52)와, 상기 기계실(12)의 내벽(12a)과 상기 제2 기계실(13) 내벽(13a)에 각각 베어링(54a,55a)을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교호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릿 플레이트(52)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다각형 형상의 제1 및 제2 회전축(54,55)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54,55)의 제2 기계실(13)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인(43)과 맞물려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54,5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54,55)의 제2 기계실(13) 측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스프라켓(56,57)과, 상기 제3 스프라켓(5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삽입되어 간섭없이 회전되면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면서 고형물(탈수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1 회전축(54)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원형 판체(58)와, 상기 제3 및 제4스프라켓(56,57)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삽입설치되어 간섭없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회전축(54)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ㆍ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원형판(58)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면서 고형물(탈수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2 회전축(55)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5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축(54)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원형 판체(58)와 상기 제2 회전축(55)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59)는 다수의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슬릿 플레이트(52) 사이의 슬릿) 내에 삽입설치해도 되며, 상기 원형 판체(58)와 상기 타원형 판체(59)는 회전시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을 하나 걸러서 서로 교호(서로 엇갈리게)로 삽입설치해도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에는 상기 제2 체인(43)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제2 종동스프라켓(42)과 제1 가이드 스프라켓(46) 또는 제2 가이드 스프라켓(48) 사이에 상기 제2 체인(43)에 맞물려 있는 텐션유지부재(8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텐션유지부재(8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2 기계실(13) 내벽(13a)에 설치된 지지축(82)과, 상기 지지축(82)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된 레버(84)와, 상기 레버(8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인(43)과 맞물리는 텐션 조정스프라켓(86)과, 상기 레버(84)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인(43)의 장력이 느슨할 경우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상기 제2 체인(43)을 밀어 올리는 아이들러(8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7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체(72)와, 상기 판체(72)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고리(74)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60a는 상기 여과액 저장탱크(60)에 수집된 여과액을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구이고, 12b는 상기 기어드 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넥터이고, 10d는 폐수를 상기 하우징(10)의 고·액분리실(11)에 투입하는 투입구이고, 13b는 상기 제2 기계실(13)을 덮는 덮개이고, 13c는 상기 덮개(13b)에 형성된 상기 제2 기계실(13)의 동작을 관찰하는 투시창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적용되는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적용되는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90)는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벽체(10a)와 후면벽체(10b)에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의 슬릿 플레이트(92)와, 상기 제1 기계실(12)의 내벽(12a)과 상기 제2 기계실(13) 내벽(13a)에 각각 베어링(95a)을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릿 플레이트(92)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다각형 형상의 제3 회전축(95)과, 상기 제2 체인(43)과 맞물려서 상기 제3 회전축(9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기계실(13) 측의 상기 제3 회전축(95)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96)과, 상기 제3 스프라켓(9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슬릿 플레이트(9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교호로 삽입되어 간섭없이 회전되면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면서 고형물(탈수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3 회전축(95)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9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회전축(95)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97)와 또 다른 제3 회전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97)는 회전시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 플레이트(92)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을 하나 걸러서 서로 교호로 삽입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거나 또는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접속하면 제1 기계실(12)에 설치된 컨넥터(12b)를 통해서 기어드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20)가 시계방향(도 3에서 봤을 경우)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2 종동스프라켓(42), 지지 스프라켓(44), 제1 및 제2 가이드 스프라켓(46,48)에 맞물려 있는 제2 체인(43)이 도 4에서 봤을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 체인(4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및 제2 회전축(54,55)에 베어링(54a,55a)을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교호로 설치된 제1 및 제2 회전축(54,55)에 설치된 제3 및 제4 스프라켓(56,57)이 상기 제2 체인(43)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3 및 제4 스프라켓(56,5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회전축(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원형 판체(58)와 상기 제2 회전축(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타원형 판체(59)가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끼워져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덮개(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형성된 투입구(10d)를 통해 도입되는 폐수에 함유된 수분은 하부로 떨어져서 여과액 수집탱크(60) 내에 수집되어 여과수 배출구(60a)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되면서 수분이 다시 여과되어 하부로 떨어지고, 수분이 여과된 슬러지, 즉 고형물은 상기 여과수 배출구(60a)를 향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폐수에 함유된 수분이 잘 여과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고·액분리실(11)의 폭방향에 설치된 지지축(7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압압부재(70) 상에 무거운 물체(도시하지 않음)를 재치하여 수분을 함유하는 슬러지를 압착하면서 고형물 배출구(10c)로의 이송을 지연시키면서 수분을 높은 효율로 더욱 탈수시켜서 수분이 탈수된 슬러지, 즉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킨다.
한편,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의 슬릿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질려고 하는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는 다음의 제1 회전축(54)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원형 판체(58) 또는 제2 회전축(55)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타원형 판체(5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슬러지 함유된 수분을 여과하면서 상기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의하면, 폐수에 함유된 수분이나 슬러지를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분리하여 여과액을 여과액 저장탱크에 수집하고 고형물(탈수된 슬러지)을 고형물 배출구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형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설계변경한 기술 사상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의 제1 기계실을 개략적으로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좌측벽을 제거한 후에 종동 스프라켓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의 고액 분리실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동작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압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고·액 분리기에 적용되는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0a : 전면벽체
10b : 후면벽체 10c : 고형물 배출구
11 : 고·액 분리실 11a : 투입구
12 : 제1 기계실 12a : 내벽
13 : 제2 기계실 13a : 내벽
13b : 덮개 13c : 투시창
20 : 기어드 모터 20a : 축
22 : 구동 스프라켓 24 : 제1 체인
30 : 제1 종동스프라켓 32 : 제1 베어링
34 : 제2 베어링 40 : 제1 샤프트
42 : 제2 종동스프라켓 43 : 제2 체인
44 : 지지 스프라켓 46 : 제1 가이드 스프라켓
48 : 제2 가이드 스프라켓 50 :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
52 : 슬릿 플레이트 54a,55a : 베어링
54 : 제1 회전축 55 : 제2 회전축
56:제3 스프라켓 57 : 제4 스프라켓
58 : 원형 판체 59 : 타원형 판체
60 : 여과액 저장탱크 70 : 압압부재
70a : 지지축 72 : 판체
74 : 고리 80 : 텐션유지부재
82 : 지지축 84 : 레버
86 : 텐션 조정스프라켓 88 : 아이들러
90 :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 92 : 슬릿 플레이트
95a : 베어링 95 : 제3 회전축
96 : 제3 스프라켓 97 : 타원형 판체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고·액 분리실(1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액분리실(11)의 양측에 제1 및 제2 기계실(12,13)이 각각 형성된 박스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제1 기계실(12)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20)와,
    상기 기어드 모터(20)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20)의 축(20a)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켓(22) 및 제1 체인(24)을 통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종동스프라켓(30)와,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3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양단이 제1 및 제2 베어링(32,34)에 의해 지지된 제1 샤프트(40)와,
    상기 제1 샤프트(4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베어링(34)에 인접해서 상기 제1 샤프트(40)에 설치된 제2 종동스프라켓(42)과,
    상기 제2 종동스프라켓(4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체인(43)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라켓(44)과,
    상기 제2 체인(4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스프라켓(46,48)과,
    상기 제2 체인(43)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응집된 폐수나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과 슬러지를 분리하는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90)와,
    상기 하우징(10)의 고·액분리실(11)의 투입구(11a)를 통해 투입되는 폐수에 함유된 수분과 슬러지의 분리에 따라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의 하부로 떨어지는 여과액을 받아 저장하는 여과액 저장탱크(60)와,
    상기 하우징(10)의 고·액분리실(11)의 폭방향에 설치된 지지축(7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에서 분리되어 통과하는 슬러지를 압압해서 수분을 탈수하는 압압부재(7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5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벽체(10a)와 후면벽체(10b)에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의 슬릿 플레이트(52)와, 상기 기계실(12)의 내벽(12a)과 상기 제2 기계실(13) 내벽(13a)에 각각 베어링(54a,55a)을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교호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릿 플레이트(52)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다각형 형상의 제1 및 제2 회전축(54,55)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54,55)의 제2 기계실(13)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인(43)과 맞물려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54,5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54,55)의 제2 기계실(13) 측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스프라켓(56,57)과, 상기 제3 스프라켓(56,57)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삽입되어 간섭없이 회전되면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면서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1 회전축(54)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원형 판체(58)와, 상기 제3 및 제4스프라켓(56,57)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설치되어 간섭없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회전축(54)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ㆍ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원형판(58)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면서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2 회전축(55)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5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인(43)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제2 종동스프라켓(42)과 제1 가이드 스프라켓(46) 또는 제2 가이드 스프라켓(48) 사이에 상기 제2 체인(43)에 맞물려 있는 텐션유지부재(80)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유지부재(8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2 기계실(13) 내벽(13a)에 설치된 지지축(82)과, 상기 지지축(82)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된 레버(84)와, 상기 레버(8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인(43)과 맞물리는 텐션 조정스프라켓(86)과, 상기 레버(84)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인(43)의 장력이 느슨할 경우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상기 제2 체인(43)을 밀어 올리는 아이들러(8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고형물 분리유니트(90)는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벽체(10a)와 후면벽체(10b)에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의 슬릿 플레이트(92)와, 상기 제1 기계실(12)의 내벽(12a)과 상기 제2 기계실(13) 내벽(13a)에 각각 베어링(95a)을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릿 플레이트(92)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다각형 형상의 제3 회전축(95)과, 상기 제2 체인(43)과 맞물려서 상기 제3 회전축(9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기계실(13) 측의 상기 제3 회전축(95)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96)과, 상기 제3 스프라켓(9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슬릿 플레이트(92)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 내에 교호로 삽입되어 간섭없이 회전되 면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면서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구(10c)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3 회전축(95)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9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축(95)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97)와 또 다른 제3 회전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타원형 판체(97)는 회전시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 플레이트(92)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을 하나 걸러서 서로 교호로 삽입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기.
KR2020090006499U 2009-05-28 2009-05-28 고·액 분리기 KR200452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99U KR200452473Y1 (ko) 2009-05-28 2009-05-28 고·액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99U KR200452473Y1 (ko) 2009-05-28 2009-05-28 고·액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81U KR20100011881U (ko) 2010-12-08
KR200452473Y1 true KR200452473Y1 (ko) 2011-03-03

Family

ID=4420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99U KR200452473Y1 (ko) 2009-05-28 2009-05-28 고·액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7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587A (ko) * 2005-10-25 2005-11-23 동 석 강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20070010459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대흥기계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용 여과 스크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459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대흥기계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용 여과 스크린
KR20050110587A (ko) * 2005-10-25 2005-11-23 동 석 강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81U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681B1 (ko)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US4368125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liquid from a suspension
KR100672218B1 (ko) 스크류식 고체ㆍ액체분리장치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101217741B1 (ko) 고액분리기용 드럼스크린을 갖춘 오니농축장치
KR101276389B1 (ko) 저속 원심 탈수장치
JP2010172784A (ja) 固液分離装置
US10029195B2 (en) Compartmentally expandable rotating belt filter for energy use reduction
KR100934959B1 (ko) 고액분리기
KR200452473Y1 (ko) 고·액 분리기
KR100729952B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용 여과 스크린
JP2007029930A (ja) 固液分離装置
KR100887938B1 (ko) 슬러지 응집 겸 농축장치
KR20090007104U (ko) 정수 처리용 슬러지 탈수장치
CN210048571U (zh) 一种工业废水过滤装置
KR101108072B1 (ko) 슬러지이송가이드를 갖춘 인라인 농축기
KR100710824B1 (ko) 슬러지 농축 탈수기
KR20020088205A (ko) 원심분리형 슬러지 탈수장치
KR100667902B1 (ko) 하수 처리용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057389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020072764A (ko) 하수 및 오폐수 전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18573052U (zh) 一种矿坑废水快速过滤装置
JP2004243185A (ja) 固液分離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140615B1 (ko) 협잡물 처리용 탈수기
KR20120105651A (ko) 슬러리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