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972Y1 -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972Y1
KR200451972Y1 KR2020080012018U KR20080012018U KR200451972Y1 KR 200451972 Y1 KR200451972 Y1 KR 200451972Y1 KR 2020080012018 U KR2020080012018 U KR 2020080012018U KR 20080012018 U KR20080012018 U KR 20080012018U KR 200451972 Y1 KR200451972 Y1 KR 200451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hopper
tractor
unit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02U (ko
Inventor
김창곤
Original Assignee
김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곤 filed Critical 김창곤
Priority to KR202008001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eans for pushing out the fertiliser, e.g. by a 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랙터의 기계식 및 유압식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비료공급부와 비료살포부의 회전동력이 서로 다르도록 한 구성으로 비료투입량 조절이 용이하고 트랙터에 의한 비료살포기의 이송수단을 다변화시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비료가 저장되고 바닥부의 중앙에 반구형의 이송홈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후방측에 유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컨베이어가 내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비료를 중앙으로 낙하시켜 공급되게 한 비료공급부와; 상기 비료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호퍼 바닥부의 이송홈 내부에 횡설되어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호퍼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 및 호퍼의 유출구 일측에 설치되어 비료를 분산살포하는 살포팬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와 살포팬이 동시에 구동되게 한 비료살포부와; 상기 호퍼와 비료살포부를 지지하고 전면에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후레임과; 상기 비료공급부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제1구동축부는 유압모터와 연결되어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게 한 구성과; 상기 비료살포부의 이송스크류 및 살포팬을 구동하는 제2구동축부는 트랙터의 원동축과 조인트 연결되어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료살포기를 특징으로 한다.
비료살포기, 비료공급부, 비료살포부, 구동수단, 탑재, 견인

Description

비료살포기 {FERTILIZER DISTRIBUTOR}
본 고안은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랙터의 기계식 및 유압식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비료공급부와 비료살포부의 회전동력이 서로 다르도록 한 구성으로 비료투입량 조절이 용이하고 트랙터에 의한 비료살포기의 이송수단을 다변화시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료살포기란 트랙터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호퍼형상의 저장탱크에 비료를 공급한 후, 적정량의 비료(퇴비를 포함)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살포장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비료를 일정한 범위 내에 골고루 살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비료살포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등록특허 제10-0776591호로 다목적 비료살포기가 개시된바 있는바, 그 구성은 비료가 저장되고 바닥부의 중앙에 반구형의 이송홈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후방측에 유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컨베이어가 내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비료를 중 앙으로 낙하시켜 공급되게 한 비료공급부와, 상기 비료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호퍼 바닥부의 이송홈에 횡설되어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호퍼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 및 호퍼의 유출구 일측에 설치되어 비료를 분산살포하는 살포팬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와 살포팬이 동시에 구동되게 한 비료살포부로 크게 나뉘어져 있고, 비료살포기의 전면 지지후레임에 3점연결하는 방식으로 트랙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설치되어 트랙터에 의해 탑재되어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호퍼는 상광 하협상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호퍼에 담긴 비료를 호퍼 하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료살포기의 구성에 의해 호퍼내에 저장된 비료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출구로 쉽게 배출하는 효과를 갖게 되고, 트랙터의 원동축에 의해 비료공급부와 비료살포부는 트랙터로 부터 공급되는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비료살포를 할 수 있게 되었는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개량하여 비료살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비료살포기의 이송을 다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호퍼의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컨베이어가 내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비료를 중앙으로 낙하시켜 공급되게 한 비료공급부의 제1구동수단은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로 구동되고, 상기 비료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호퍼 바닥부의 이송홈에 횡설되어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호퍼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 및 호퍼의 유출구 일측에 설치되어 비료를 분산살포하는 살포팬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와 살포팬이 동시에 구동되게 한 비료살포부의 제2구동수단은 트랙터의 원동축으로 조인트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에 의해 구동이 되게 하여 비료의 종류나 농작물의 특성에 따른 비료의 공급량 및 분산살포속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료살포기의 전면 지지후레임에 3점연결하는 방식으로 트랙터에 의해 들어올려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재와 함께 전면 지지후레임의 하부 중앙에 인출식으로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장착대를 설치하여 트랙터의 용량에 따라 비료살포기를 탑승 및 견인하는 형태로 이송하여 비료살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 호퍼의 내벽면은 상하 수직선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호퍼에 담긴 비료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한 비료살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비료가 저장되고 바닥부의 중앙에 반구형의 이송홈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후방측에 유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컨베이어가 내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비료를 중앙으로 낙하시켜 공급되게 한 비료공급부와; 상기 비료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호퍼 바닥부의 이송홈 내부에 횡설되어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호퍼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 및 호퍼의 유출구 일측에 설치되어 비료를 분산살포하는 살포팬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와 살포팬이 동시에 구동되게 한 비료살포부와; 상기 호퍼와 비료살포부를 지지하고 전면에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후레임과; 상기 비료공급부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제1구동축부는 유압모터와 연결되어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게 한 구성과; 상기 비료살포부의 이송스크류 및 살포팬을 구동하는 제2구동축부는 트랙터의 원동축과 조인트 연결되어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비료공급부의 제1구동수단은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로 구동되고, 비료살포부의 제2구동수단은 트랙터의 원동축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이 되는 구성으로 비료공급부와 비료살포부가 각기 다른 독립된 구동수단을 갖고 있으므로 비료의 종류나 농작물의 특성에 따른 비료의 공급량 및 분산살포속도 등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지지후레임의 전면에 3점 링크 연결형태로 된 탑재형 결합부재와 전면 중앙 하부에 인출형으로 구비된 견인형 장착대가 구비되어 트랙터의 용량이나 작업조건 등에 따라 비료살포기를 선택적으로 탑재 또는 견인하는 형태로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호퍼의 내벽면 상,하단부가 수직선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비료가 쉽게 낙하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쉽게 뭉쳐질 수 있는 퇴비와 같은 비료를 공급하게 될 때에도 내벽면에 비료가 붙지않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비료가 저장되는 호퍼(100)와, 상기 호퍼(100) 하부에 설치되어 비료를 일정량 공급하기 위한 비료공급부(200)와, 상기 비료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비료를 이송하여 분산 살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료살포부(300)와, 상기 호퍼(100)와 비료살포부(300)를 지지하며 트랙터와 연결되어 탑재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410)가 구비된 지지후레임(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비료는 화학비료 및 유기질비료 등을 모두 포함하고 특히 퇴비와 같이 거친 재료로 이루어진 것도 포함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호퍼(100)는, 비료가 저장되고 바닥부의 중앙에 반구형의 이송홈(120)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후방측에 유출구(130)를 갖되 호퍼(100)를 구성하는 내벽면(110)은 상,하단부가 수직선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비료가 쉽게 낙하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상광하협상으로 된 호퍼를 이용하여 쉽게 뭉쳐질 수 있는 퇴비 등을 공급하게 될 때 종래에는 퇴비가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내벽면에 붙어서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비료공급부(200)는, 호퍼(100)의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컨베이어(210)가 내측으로 회전되게 회동롤러(212)에 각각 설치되어 비료를 중앙으로 낙하시켜 공급되게 한다.
상기 컨베이어(210)는, 표면에 비료가 안정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부(214)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비료를 중앙으로 공급시켜 이송시 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회동롤러(212)의 마주보는 회동축에 한상의 톱니형 기어(220)가 치합된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의 제1구동축부(230)에 의해 회동되게 한 수단으로 양측 컨베이어(210) 사이의 이송홈(120)에 비료를 낙하시키게 되며, 상기 제1구동축부(230)는 유압모터(240)와 연결되어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비료공급부(200)의 비료공급이 독립된 회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비료살포부(300)는, 비료공급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호퍼(100) 바닥부의 이송홈(120) 내부에 횡설되어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호퍼(100)의 유출구(130)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310) 및 호퍼(100)의 유출구(130) 일측에 설치되어 비료를 분산살포하는 살포팬(32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10)와 살포팬(320)이 동시에 구동되게 한 비료살포부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310)는, 호퍼(100)의 바닥부에 형성된 이송홈(120)에 횡설되어 일방향 나선운동하는 수단으로 비료공급부(200)로 부터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유출구(130) 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살포팬(320)은, 이송스크류(310)에 의해 이송되어 유출구(130) 방향으로 배출되는 비료를 분산살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퍼(100)의 유출구(130) 하부에 설치되고 원판 형상의 회전판(322)에 다수의 블레이드(324)가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한 분산 살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310)의 회동축과 살포팬(320)의 회동축은 풀리에 벨트(330)로 연결되어 일측의 제2구동축부(340)에 의해 동시 구동이 되며, 제2구동축부(340)는 트랙터의 원동축(A)과 조인트 연결되어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비료살포부(300)의 비료 이송 및 분산살포 작용이 독립된 회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후레임(400)은, 호퍼(100)와 비료살포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고 전면에 3점 링크 연결형태로 된 탑재형 결합부재(410)와 전면 중앙 하부에 인출형으로 구비된 견인형 장착대(4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탑재형 결합부재(410)는, 트랙터에 의해 비료살포기가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져서 운반할 수 있도록 상부 중앙과 하부 양측에 고정봉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견인형 장착대(420)는, 비료살포기를 탑재가 용이하지 않은 비교적 소형의 트랙터에 의해 운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지지후레임(400)의 전면 중앙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결합관(430)과, 상기 결합관(430)에 끼워져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 장착대(420)와, 상기 장착대(420)의 선단은 연결부(422)가 형성되고 후단은 걸림단턱(424)이 형성된 구성과, 상기 결합관(430)에서 장착 대(4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결합구멍(442)과 고정핀(444) 등으로 된 고정수단(440)이 구비되어 비료살포기를 견인할 때에만 장착대(420)를 전방으로 인출시켜 트랙터에 연결사용하고 비료살포기의 탑재시에는 후방으로 인입시켜 탑재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장착대(420)의 고정수단의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관(430)의 선단부 일측에 결합구멍(442)이 형성된 연결편(450)이 형성되어 이와 대향된 위치의 장착대(420)의 선단부 일측에 결합구멍(442)이 형성된 연결편(450')이 형성되어 고정핀(444)을 끼워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대(420)가 후진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고, 장착대(420)가 전진된 상태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결합관(430)과 장착대(420)에 상하관통시킨 결합구멍(442)에 고정핀(444)을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안의 비료살포기는 트랙터에 의해 이송되면서 호퍼(100)에 담긴 비료를 비료공급부(200)의 컨베이어(210)에 의해 일정량을 이송홈(120)에 공급하여 비료살포부(300)의 이송스크류(310)를 통해 유출구(130) 방향으로 이송 배출시켜 살포팬(320)에 의해 분산살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비료공급부(200)의 제1구동수단은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240)로 구동되고, 비료살포부(300)의 제2구동수단은 트랙터의 원동축(A)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이 되는 구성으로 비료공급부(200)와 비료살포 부(300)가 각기 다른 독립된 구동수단을 갖고 있으므로 비료의 종류나 농작물의 특성에 따른 비료의 공급량 및 분산살포속도 등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어 비료공급부(200)에 구동속도는 저속으로 하고 비료살포부(300)의 구동속도는 고속으로 하는 경우에는 비료공급부(200)에 의한 비료 공급량은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비료살포부(300)의 분산살포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되며, 이와 반대로 비료공급부(200)의 구동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비료살포부(300)의 구동속도는 저속으로 작동하는 것과 같은 독립된 구동속도 조절방법에 의해 비료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는 통상적으로 전면 지지후레임(400)에 3점연결하는 방식으로 트랙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410)에 의해 트랙터에 탑재되는 형태로 운반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소형의 트랙터와 같이 탑재용량이 적거나 살포장소의 특성에 따라 비료살포기를 견인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 지지후레임(400)의 하부 중앙에 길이를 신축할 수 있게 설치된 장착대(420)를 인출하여 전방으로 돌출시킨 장착대(420) 선단의 연결부(422)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견인하는 형태로 간편하게 운반하여 비료살포를 하게 되며, 상기 장착대(420)는 견인 운반시에만 인출사용하고 비료살포기의 탑재 운반시에는 탑재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내측으로 인입시키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호퍼(100)는 내벽면(110)의 상,하단부가 수직선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비료가 쉽게 낙하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쉽게 뭉쳐질 수 있는 퇴비와 같은 비료를 공급하게 될 때에도 내벽면에 비료가 붙지않고 원활하게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료살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료살포기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의(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대가 결합관에서 후방으로 인입된 사시도.
도 5의(나)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대가 결합관에서 전방으로 인출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퍼 110 : 내벽면
120 : 이송홈 130 : 유출구
200 : 비료공급부 210 : 컨베이어
212 : 회동롤러 214 : 걸림돌부
220 : 기어 230 : 제1구동축부
240 : 유압모터 300 : 비료살포부
310 : 스크류 320 : 살포팬
322 : 회전판 324 : 블레이드
330 : 벨트 340 : 제2구동축부
400 : 지지후레임 410 : 결합부재
420 : 장착대 422 : 연결부
424 : 걸림단턱 430 : 결합관
440 : 고정수단 442 : 결합구멍
444 : 고정핀 450,450' : 연결편
A : 원동축

Claims (3)

  1. 비료가 저장되고 바닥부의 중앙에 반구형의 이송홈(120)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후방측에 유출구(130)를 갖는 호퍼(100)와;
    상기 호퍼(100)의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컨베이어(210)가 내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비료를 중앙으로 낙하시켜 공급되게 한 비료공급부(200)와;
    상기 비료공급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호퍼(100) 바닥부의 이송홈(120) 내부에 횡설되어 낙하 공급되는 비료를 호퍼(100)의 유출구(130)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310) 및 호퍼(100)의 유출구(130) 일측에 설치되어 비료를 분산살포하는 살포팬(32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10)와 살포팬(320)이 동시에 구동되게 한 비료살포부(300)와;
    상기 호퍼(100)와 비료살포부(300)를 지지하고 전면에 결합부재(410)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후레임(400)과;
    상기 비료공급부(200)의 컨베이어(210)를 구동하는 제1구동축부(230)는 유압모터(240)와 연결되어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게 한 구성과;
    상기 비료살포부(300)의 이송스크류(310) 및 살포팬(320)을 구동하는 제2구동축부(340)는 트랙터의 원동축(A)과 조인트 연결되어 작동되게 한 구성;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후레임(400)의 전면 중앙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결합관(430)과, 상기 결합관(430)에 끼워져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 장착대(420)와, 상기 장착대(420)의 선단은 연결부(422)가 형성되고 후단은 걸림단턱(424)이 형성된 구성과, 상기 결합관(430)에서 장착대(4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4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를 구성하는 내벽면(110)은 상,하단부가 수직선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기.
KR2020080012018U 2008-09-03 2008-09-03 비료살포기 KR200451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18U KR200451972Y1 (ko) 2008-09-03 2008-09-03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18U KR200451972Y1 (ko) 2008-09-03 2008-09-03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02U KR20100002902U (ko) 2010-03-11
KR200451972Y1 true KR200451972Y1 (ko) 2011-01-21

Family

ID=4419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018U KR200451972Y1 (ko) 2008-09-03 2008-09-03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7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309Y1 (ko) 1997-07-31 2000-02-01 김완수 트랙터 탑재형 유기질 비료 살포기
KR20010070309A (ko) * 1999-12-21 2001-07-25 히라이 가쯔히꼬 혈액 처리용 투석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90597A (ko) * 2006-03-03 2007-09-06 김완수 다목적 비료 살포기
KR100865969B1 (ko) 2007-03-21 2008-11-10 김영석 유기질 퇴비 살포장치
KR20090014912A (ko) * 2007-08-07 2009-02-11 김완수 다목적 비료살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309Y1 (ko) 1997-07-31 2000-02-01 김완수 트랙터 탑재형 유기질 비료 살포기
KR20010070309A (ko) * 1999-12-21 2001-07-25 히라이 가쯔히꼬 혈액 처리용 투석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90597A (ko) * 2006-03-03 2007-09-06 김완수 다목적 비료 살포기
KR100865969B1 (ko) 2007-03-21 2008-11-10 김영석 유기질 퇴비 살포장치
KR20090014912A (ko) * 2007-08-07 2009-02-11 김완수 다목적 비료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02U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849Y1 (ko)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JP6830425B2 (ja) 乗用田植機
CN105493900B (zh) 一种用于食用菌培养基的制备装置
US4283014A (en) Mobile spreader apparatus drive system
KR101940600B1 (ko) 수동식 입제 살포기
KR200451972Y1 (ko) 비료살포기
KR100899870B1 (ko) 비료·농약 살포기
CN214166665U (zh) 一种有机肥原料的送料装置
CN201905031U (zh) 肥量可调节的撒肥机
JP2011167138A (ja) 播種プラント
CN205511012U (zh) 一种混料线
US3290046A (en) Fertilizer spreader
CN209806441U (zh) 一种履带自走式撒肥机
KR101260865B1 (ko) 상토 이송기
AU2013356787B2 (en) We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423699Y1 (ko) 차량 장착형 비료 살포장치
CN208434314U (zh) 一种农用均匀施肥机
CN111345144A (zh) 一种多用式油菜播种设备
CN220235427U (zh) 一种农业施肥装置
JP2015123021A (ja) 苗移植機
KR200274135Y1 (ko) 용토의 산포장치
KR200249489Y1 (ko) 다기능 퇴비트레일러
KR200186271Y1 (ko) 마늘 파종기
KR101749182B1 (ko) 살포 위치 조절이 가능한 퇴비 살포기
KR200453523Y1 (ko) 퇴비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