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35Y1 -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35Y1
KR200451735Y1 KR2020080006727U KR20080006727U KR200451735Y1 KR 200451735 Y1 KR200451735 Y1 KR 200451735Y1 KR 2020080006727 U KR2020080006727 U KR 2020080006727U KR 20080006727 U KR20080006727 U KR 20080006727U KR 200451735 Y1 KR200451735 Y1 KR 200451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nhole
odor
filter cloth
ultraviol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56U (ko
Inventor
김경숙
이용표
Original Assignee
(주)와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와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80006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3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균 기능이 더해지면서 유닛으로 제작되어 맨홀에 설치가 용이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와 관련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는 상면에는 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맨홀 벽면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와, 출구에 대응되게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판이 구비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내부에는, 출구와 입구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롤러에 감기는 여과포와, 어느 한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구동부와, 롤러에 감긴 여과포를 살균할 수 있도록 롤러 측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되는 여과부가 구비되되, 제어모듈은 모터를 제어하여 롤러를 비연속적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롤러가 회전할 때에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악취, 제거, 맨홀

Description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rotation type apparatus for reducing odor of manhole}
본 고안은 맨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균 기능이 더해지면서 유닛으로 제작되어 맨홀에 설치가 용이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와 관련된다.
인구 밀집 지역에 구비되는 하수도관에는 각종 생활하수와, 공장 지대의 산업 폐수가 혼합되어 오수가 흐르고, 이러한 오수는 하수도관이 복잡하게 설키면서 군데군데 정체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여 생활 환경이 악화된다.
또한, 생활하수에 포함된 다량의 유기물로 인하여 병원성 세균이 증식하고, 이러한 병원성 세균은 맨홀을 거쳐 공기 중으로 유포됨에 따라 거주자의 건강이 위협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수도관의 악취가 맨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활성탄을 함유하는 필터를 설치하여, 맨홀에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악취제거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활성탄이 악취를 포집할 수 있는 기간에 제한이 있어, 장기간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병원성 세균의 유출을 방지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존을 이용하거나, 자외선 소독을 이용하는 악취제거장치가 다수 있으나, 오존을 생성하는 장치는 고가이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경쟁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고, 자외선 소독을 이용하는 장치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맨홀의 단면적 전체를 살균하기에는 다수의 자외선 발생 램프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과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단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최소량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악취제거와 병원균의 살균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악취 및 세균 제거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도 작동 불량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작동 신뢰도를 증대시키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상면에는 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맨홀 벽면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출구에 대응되게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판이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출구와 입구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기는 여과포와, 어느 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롤러에 감긴 여과포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측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되는 여과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를 비연속적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상기 롤러가 회전할 때에 상기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출구와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함몰된 턱이 형성되고, 상기 출구와 입구의 턱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보조필터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여과포는 가는 철사가 얽혀져 망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망사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직물에는 연속되는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는 상기 노치에 맞물리는 톱니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에 따르면, 자외선 램프는 롤러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롤러에 의하여 회전하는 여과포 전체를 가까이에서 악취 및 세균을 제거하게 되므로, 다수의 자외선 램프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작비용과 유지비용이 저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조필터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맨홀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종류를 달리하는 복수의 필터를 더 거치게 됨으로써, 악취 및 유해 세균의 제거 효과가 상승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여과포가 가는 철사로 이루어지는 망사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도가 증가되어 오랜 사용에도 통기성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악취제거장치의 수명이 증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여과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노치가 롤러의 톱니바퀴에 물려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여과포가 롤러와 함께 회전될 수 있어, 작동 신뢰도가 증대되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걸림편은 상부 케이스의 측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다양한 길이를 가지게 구비하여 다양한 직경의 맨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인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1)에는 맨홀의 벽면(W)의 상단에 걸리는 몸체부(100)와, 이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맨홀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및 세균을 제거하는 여과부(200)가 구비된다.
이때, 몸체부(100)는 상면과 측면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10)와, 이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판(120)으로 형성된다. 이때, 측면에는 맨홀의 벽면 상단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악취제거장치(1)를 맨홀에 설치되게 하는 걸림편(111)이 형성된다. 이 걸림편(111)은 측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악취제거장치(1)가 다양한 직경의 맨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걸림 편(111)은 다양한 길이를 가지게 다수 구비되어, 상부 케이스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케이스(110)의 상면과, 하판(120)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대략 사각형의 출구(112)와 입구(122)가 형성된다. 즉, 맨홀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악취 또는 세균을 포함하는 공기는 하판(120)의 입구(122)를 통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된 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에 채용된 여과부의 사시도이다.
여과부(20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이 여과부(200)에는 입구(122)와 출구(112)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및 세균을 포집 또는 살균함으로써 제거하기 위하여, 출구(112)와 입구(122)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210)와, 이 롤러(210)에 감기는 여과포(220)와, 어느 한 상기 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구동기(230)와, 롤러(210)에 감긴 여과포(220)를 살균할 수 있도록 롤러(210) 측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램프(240)가 포함된다.
즉, 입구(122)와 출구(112)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 끝단면 부분에는 한 쌍의 롤러(210)가 구비된다. 이때, 롤러(210)는 하판(120)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걸이편(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11)과, 이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통몸체(212)로 구성된다. 이때, 걸이편(121)과 회전축(211)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롤러(2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롤러(210)에는 여과포(220)가 감겨, 롤러(210)의 회전에 의하여 이 여과포(220)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여과포(220)는 공기가 통과하되,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를 포집하고, 세균이 들어붙을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여과포(220)는 두꺼운 직물, 고운 망사, 부직포 등을 이루어진다.
나아가, 여과포(220)는 장시간 사용함에도 통기성과 세균 포집성이 크게 저하되지 아니하도록, 가는 철사가 얽혀져 압착된 망사면(221)으로 이루어지고, 이 망사면(221)의 가장자리에는 롤러(210)에 의한 회전으로 가장자리 부근의 가는 철사가 풀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직물(222)이 감싸 마감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직물(222)은 계속적인 사용 중에 마모가 적게 일어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222)과 망사면(221)은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바늘질 또는 리벳 등에 의하여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 습기를 함유한 공기를 여과하는 과정에 물이끼가 끼는 경우, 롤러(210)에서 여과포(220)가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망사면(221)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직물(222)에는 일정 간격으로 노치(notch, 222a)가 연속적으로 형 성되고, 롤러(210)(보다 정확하게는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노치(222a)가 끼워지는 톱니(213)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치(222a)의 가장자리가 마찰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멍이 형성된 리벳(222b)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직물(222)과 망사면(221)의 결속과, 노치(222a)의 생성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외선 램프(240)는 어느 한 롤러(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자외선 램프(240)의 점등으로 발생하는 자외선이 롤러(210)에 감겨 지나는 여과포(220)에 쏘여져, 여과포(220)에 흡착된 악취를 이루는 고분자와, 세균을 파괴할 수 있게 된다. 즉, 자외선에서 전해지는 고에너지를 이용하여 악취를 발생하는 냄새 분자와, 대부분의 병원성 세균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자외선 램프(240)는 여과포(220) 가까이에 설치됨으로써 여과포(220)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에너지 손실을 줄여, 여과포(220)에 흡착된 냄새와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롤러(2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240)에 의하여 회전되는 여과포(220) 전체에 대한 냄새 및 세균 제거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종래 다수의 자외선 램프(240)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제작비용 및 운영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한편, 구동기(230)는 어느 한 롤러(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 구동기(230)에는 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 및 자외선 램프(240)의 점등시기를 조정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다.
이때, 모터와 회전축(211) 사이에는 회전축(211)을 모터의 회전속도보다 낮추게 하며, 작은 모터의 힘에서 회전축(211)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크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어 박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에는 모터와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전선이 구비된다.
또한, 제어모듈은 모터를 제어하여 롤러(210)를 비연속적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롤러(210)가 회전할 때에 자외선 램프(240)를 작동시킨다. 즉, 롤러(210)의 회전과, 자외선 램프(240)의 작동은 항상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하루에 1, 2회 정도 여과포(220)를 천천히 회전시키고, 이러한 여과포(220)의 회전이 있는 경우 때 자외선 램프(240)가 작동되므로 전력의 소모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저속 회전에 의하여 여과포(220)에 자외선이 쐬어지는 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악취 제거 및 살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시간의 설정은 맨홀에서 상승되는 공기의 악취와 이에 포함되는 세균의 양 등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제어모듈의 세팅에 의하여 롤러(210)의 작동시간, 작동속도 및 자외선 램프(240)의 점등시간의 설 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출구(112)와 입구(122)의 가장자리에는 함몰된 턱(113,123)이 형성되고, 이 출구(112)와 입구(122)의 턱(113,123)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보조필터(300)가 각각 더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맨홀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공기는 입구(122)에 구비된 보조필터(300)와, 롤러(210)에 의하여 감김으로써 이중으로 형성되는 여과포(220)와, 출구(112)에 구비된 보조필터(30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여과됨에 따라 악취와 세균을 매우 효과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필터(300)는 각 턱(113,123)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필터(300)의 구체적인 종류와 공기 중에 함유된 악취의 세기와 세균의 수에 따라서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교체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필터(300)는 흡착성능이 뛰어난 활성탄 알갱이로 분포된 부직포 등 기존의 활성탄을 함유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1)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맨홀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M)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맨홀의 하부에서 상승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와 세균을 포집 또는 살균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저전력이 소비되어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에 채용된 여과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악취제거장치 100 : 몸체부
110 : 상부케이스 111 : 걸림편
112 : 출구 113 : 턱
120 : 하판 122 : 입구
121 : 걸이편 123 : 턱
200 : 여과부 210 : 롤러
211 : 회전축 212 : 원통몸체
213 : 톱니 220 : 여과포
221 : 망사면 222 : 직물
222a : 노치 222b : 리벳
230 : 구동기 240 : 자외선 램프
300 : 보조필터

Claims (3)

  1. 상면에는 출구(1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맨홀 벽면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걸림편(111)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가장자리에 함몰된 턱(113)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출구(112)에 대응되게 입구(122)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함몰된 턱(11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판(120)이 구비되는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출구(112)와 입구(122)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가장자리에 톱니(213)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210)와, 가는 철사가 얽혀져 형성되어 상기 롤러(210)에 감기는 망사면(2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사면(221)의 가장자리에 노치(222a)가 형성되어 상기 롤러(210)의 톱니(210)에 맞물리도록 된 여과포(220)와, 어느 한 상기 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제어모듈이 구비되는 구동기(230)와, 상기 롤러(210)에 감긴 여과포(220)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210) 측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램프(240)가 구비되는 여과부(200);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함몰된 턱(113)과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함몰된 턱에 각각 결합되는 활성탄이 함유된 보조필터(300);를 구비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210)를 비연속적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상기 롤러(210)가 회전할 때에 상기 자외선 램프(24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080006727U 2008-05-23 2008-05-23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KR200451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27U KR200451735Y1 (ko) 2008-05-23 2008-05-23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27U KR200451735Y1 (ko) 2008-05-23 2008-05-23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56U KR20090012056U (ko) 2009-11-26
KR200451735Y1 true KR200451735Y1 (ko) 2011-01-10

Family

ID=4424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727U KR200451735Y1 (ko) 2008-05-23 2008-05-23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428A (ko) * 2002-02-06 2003-08-14 정진욱 무(無) 가열(加熱) 연성(軟性) 입자사료(粒子飼料)와 이의제조방법
KR200367428Y1 (ko) * 2004-08-30 2004-11-10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살균 탈취 맨홀 덮개
KR100775076B1 (ko) 2005-04-14 2007-11-08 (주)상원이티씨 맨홀
KR20080013629A (ko) * 2006-08-09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428A (ko) * 2002-02-06 2003-08-14 정진욱 무(無) 가열(加熱) 연성(軟性) 입자사료(粒子飼料)와 이의제조방법
KR200367428Y1 (ko) * 2004-08-30 2004-11-10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살균 탈취 맨홀 덮개
KR100775076B1 (ko) 2005-04-14 2007-11-08 (주)상원이티씨 맨홀
KR20080013629A (ko) * 2006-08-09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56U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CN112704945B (zh) 一种便于滤网进行拆卸的化肥加工用废水处理设备
CN204815877U (zh) 一种防堵塞的环保除臭污水处理装置
KR200451735Y1 (ko) 맨홀용 회전식 악취제거장치
KR10181384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20020031371A (ko)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JP2007326014A (ja) 排水油脂分解浄化器
KR100680310B1 (ko) 공기 정화기
KR101828221B1 (ko) 하수슬러지 처리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200181889Y1 (ko) 오존을 이용한 정수기
CN210505618U (zh) 一种用于生活废水预处理的杂物分离装置
CN208166767U (zh) 一种高效污水处理回收装置
KR200452694Y1 (ko) 공기 정화장치
CN112551785A (zh) 一种海绵城市雨水处理装置
CN207699408U (zh) 一种药品检测用废水处理设备
KR101056839B1 (ko) 악취제거장치
KR101172837B1 (ko)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282510Y1 (ko)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CN111646594B (zh) 一种可实现废絮清除的多级式分层污水处理装置
CN210103649U (zh) 一种污水处理用异味处理装置
CN219409507U (zh) 一种泳池污水处理装置
CN207760134U (zh) 一种医疗废水处理设备
CN215386220U (zh) 一种救护车用负压杀菌净化机
CN115403238B (zh) 一种便于快速摊平的污泥处理用烘干设备
CN211301329U (zh) 一种净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