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66Y1 -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66Y1
KR200451666Y1 KR2020080006673U KR20080006673U KR200451666Y1 KR 200451666 Y1 KR200451666 Y1 KR 200451666Y1 KR 2020080006673 U KR2020080006673 U KR 2020080006673U KR 20080006673 U KR20080006673 U KR 20080006673U KR 200451666 Y1 KR200451666 Y1 KR 200451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member
road
lamp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12U (ko
Inventor
김규종
Original Assignee
(주)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우 filed Critical (주)시우
Priority to KR2020080006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6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고안은 휀스나 교량의 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이디램프의 빛을 비추는 도광부재가 도로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는 수용되고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도로시설물에 도광부재의 설치시 도시 미관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도광부재의 설치도 매우 용이하도록 된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있어서, 도로에 수직하게 지주(110)가 세워져 설치되고, 지주의 상부에 상부캡(120)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21)의 내측에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쏠라셀수용부재(130)가 끼워져 고정되고, 쏠라셀수용부재의 내부에 내측 상부로부터 쏠라셀(141)과 제어부(142a)를 갖춘 인쇄회로기판(142) 및 충전지(143)를 포함하는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140)이 장착되며, 제어부의 신호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된 램프(150)가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에 연결되고, 램프의 불빛을 축방향으로 받도록 연결되는 도광부재(160)가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는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시설물, 쏠라셀, 도광부재, 램프

Description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A ILLUMINATION STRUCTURE OF STREET FACILITIESAND}
본 고안은 휀스나 교량의 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서 점등되는 엘이디램프의 빛을 비추는 도광부재가 도로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는 수용되고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도로시설물에 도광부재의 설치시 도시 미관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도광부재의 설치도 매우 용이하도록 된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또는 교량에 설치되어 있는 휀스나 교량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은 도로의 주위에 수직으로 설치된 시설물 설치용 기둥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에 안전이나 조망을 위해 램프를 설치할 때에는 램프선을 돌출시켜서 끈으로 군데군데 묶어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에 램프가 돌출되어 지저분하게 고정되므로 햇볕이 있는 경우 돌출되고 정렬되지 않은 램프선에 의해 도시의 미관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별도의 구비되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의 기둥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점등되는 램프의 빛을 도광부재인 광화이버가 비추면서 하부는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의 기둥에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일부 돌출되어, 도로시설물에서 도광부재가 깨끗하게 정렬되어 설치되므로 햇볕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어두운 밤에도 도시의 미관이 좋게 되는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전원선을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어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램프가 도광부재인 광화이버에 의해 빛이 전달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기판지지대에 의해 램프와 도광부재가 간단하게 연결되는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를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의 기둥에 끼워지는 고무패드를 이 용하여 도광부재인 광화이버가 하부를 함몰되고 상부는 돌출되어 고무패드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미적 감각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광부재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된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를 제공함에 제 4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도로나 교량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휀스나 볼라드 및 교량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는, 도로에 수직하게 지주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상부캡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측에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쏠라셀수용부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쏠라셀수용부재의 내부에 내측 상부로부터 쏠라셀과 제어부를 갖춘 인쇄회로기판 및 충전지를 포함하는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된 램프가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의 불빛을 축방향으로 받도록 연결되는 도광부재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는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는, 상기 지주의 도광부재가 안착되는 곳에는 걸림턱을 갖춘 T자형상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도광부재가 안착되는 도광부재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띠부재패드가 상기 요홈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며,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도광부재수용홈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각각의 상기 램프와 도광부재가 동일한 축상으로 끼워져 안내하도록 기판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도로나 교량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휀스나 볼라드 및 교량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는, 도로에 수직하게 지주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상부캡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측에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쏠라셀수용부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쏠라셀수용부재의 내부에 내측 상부로부터 쏠라셀과 제어부를 갖춘 인쇄회로기판 및 충전지를 포함하는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된 램프가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의 불빛을 축방향으로 받도록 연결되는 도광부재가 상기 지주에 수직하게 설치된 휀스나 교량난간의 횡방향으로 하부는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의하면,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의 기둥에 도광부재가 깨끗하게 정렬되어 설치되므로 햇볕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어두운 밤에도 도시의 미관이 좋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의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본 고안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의하면, 램프가 도광부재인 광화이버에 의해 빛이 전달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기판지지대에 의해 램프와 도광부재가 간단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에 의하면, 도로시설물인 휀스나 교량난간의 기둥에 끼워지는 고무패드를 이용하여 도광부재인 광화이버가 하부는 함몰되고 상부는 돌출되어 고정되므로 광화이버가 고무패드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미적 감각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광부재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라 휀스에 도광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변형된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주에 끼워지는 상부캡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캡에 끼워지는 쏠라셀수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지 주의 상부에 도광부재가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이다.
본 고안은 도로나 교량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휀스나 볼라드 및 교량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에 조명구조를 구비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에 수직하게 지주(110)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상부캡(120)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21)의 내측에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쏠라셀수용부재(130)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쏠라셀수용부재의 내부에 내측 상부로부터 쏠라셀(141)과 제어부(142a)를 갖춘 인쇄회로기판(142) 및 충전지(143)를 포함하는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140)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된 램프(150)가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의 불빛을 축방향으로 받도록 연결되는 도광부재(160)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는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110)는 본 고안에서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4각 또는 원형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지주(110)의 도광부재(160)가 안착되는 곳에는 걸림턱을 갖춘 T자형상 요홈(1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휀스(190)을 결합하기 위해 휀스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주(110)가 상기 상부캡(120)에 끼워질 때 상기 도광부재(160)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와서 안착되도록 도광부재도피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부재도피홈(113)은 U자 형 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관통구멍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주(110)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된 것으로, 상부에는 상기 쏠라셀수용부재(130)가 돌출되어 끼워지도록 관통구멍(121)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하부에는 상기 지주(110)가 일정깊이 끼워지도록 타원형상의 지주끼움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쏠라셀수용부재(130)는 투명한 아크릴이나 유리로 제조되되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캡(120)의 지주끼움홈(122)으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원통형상의 외주면(131)과, 이 외주면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플랜지(132)와, 상기 외주면(131)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원통형상으로 홈(13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외주면(131)의 상부가 상기 관통구멍(121)으로 끼워져 상기 상부캡(120)의 상부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140)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42)에는 일정한 시간이나 또는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150)를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142a)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50)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한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 복수개로 구성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42)에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램프(150)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색깔을 나타내어 조망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도광부재(160)는 본 실시예에서는 광화이버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도광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램프와 도광부재는 상기 지주(110)의 중심축과 평행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지주(110)의 중심축과 수직한 상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주(110)의 요홈(111)에 끼워지도록 띠부재패드(170)가 결합될 수 있고, 이 띠부재패드(170)는 각각의 색깔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상기 도광부재(160)가 안착되는 도광부재수용홈(17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광부재(160)는 상기 도광부재수용홈(171)에 끼워져 안착되거나 접착재로 부착되어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42)의 하부에 각각의 상기 램프(150)와 도광부재(160)가 동일한 축상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기판지지대(1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기판지지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상태로 상기 램프와 도광부재가 동일한 축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교량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에 있어서, 도로에 수직하게 지주(110)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상부캡(120)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21)의 내측에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쏠라셀수용부재(130)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쏠라셀수용부재의 내부에 내측 상부로부터 쏠라셀(141)과 제어부(142a)를 갖춘 인쇄회로기판(142) 및 충전지(143)를 포함하는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140)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된 램프(150)가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의 불빛을 축방향으로 받도록 연결되는 도광부재(160)가 도 1에 도시 된 것과 같이 상기 지주에 수직하게 설치된 휀스(190)나 교량난간의 횡방향으로 하부는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각각의 구성과 조합하여 상기 도광부재(160)가 휀스(190)나 교량난간의 횡방향으로 일부만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미관상도 우수하고, 설치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라 휀스에 도광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변형된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주에 끼워지는 상부캡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캡에 끼워지는 쏠라셀수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지주의 상부에 도광부재가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지주 111 : 요홈
120 : 상부캡 121 : 관통구멍
130 : 쏠라셀수용부재 140 :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수단
141 : 쏠라셀 142 : 인쇄회로기판
142a : 제어부 143 : 충전지
150 : 램프(고휘도발광다이오드) 160 : 도광부재(광화이버)
170 : 띠부재패드 171 : 도광부재수용홈
180 : 기판지지대 190 : 휀스

Claims (4)

  1. 도로나 교량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휀스나 볼라드 및 교량난간과 같은 도로시설물에 있어서,
    도로에 수직하게 지주(110)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상부캡(120)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21)의 내측에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쏠라셀수용부재(130)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쏠라셀수용부재의 내부에 내측 상부로부터 쏠라셀(141)과 제어부(142a)를 갖춘 인쇄회로기판(142) 및 충전지(143)를 포함하는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140)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된 램프(150)가 태양광에너지 발생 및 충전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의 불빛을 축방향으로 받도록 연결되는 도광부재(160)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는 함몰되어 수용되고 상부는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되되,
    상기 지주(110)의 도광부재(160)가 안착되는 곳에는 걸림턱을 갖춘 T자형상 요홈(1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도광부재(160)가 안착되는 도광부재수용홈(17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띠부재패드(170)가 상기 요홈(111)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며, 상기 도광부재(160)는 상기 도광부재수용홈(171)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42)의 하부에 각각의 상기 램프(150)와 도광부재(160)가 동일한 축상으로 끼워져 안내하도록 기판지지대(1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4. 삭제
KR2020080006673U 2008-05-22 2008-05-22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KR200451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73U KR200451666Y1 (ko) 2008-05-22 2008-05-22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73U KR200451666Y1 (ko) 2008-05-22 2008-05-22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12U KR20090012012U (ko) 2009-11-26
KR200451666Y1 true KR200451666Y1 (ko) 2010-12-30

Family

ID=4424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673U KR200451666Y1 (ko) 2008-05-22 2008-05-22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6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15A (ja) * 1996-07-18 1998-02-03 Nippon Mektron Ltd 視線誘導道路標識柱
KR200336597Y1 (ko) 2003-09-15 2003-12-18 송영한 태양광 경광등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KR200439258Y1 (ko) 2007-10-17 2008-03-28 (주)무진기업 안전휀스용 발광포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15A (ja) * 1996-07-18 1998-02-03 Nippon Mektron Ltd 視線誘導道路標識柱
KR200336597Y1 (ko) 2003-09-15 2003-12-18 송영한 태양광 경광등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KR200439258Y1 (ko) 2007-10-17 2008-03-28 (주)무진기업 안전휀스용 발광포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12U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440A (ko)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분리대의 유도장치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0986177B1 (ko) 보도 조명 장치
KR200451666Y1 (ko) 도로시설물의 조명구조
KR200391900Y1 (ko) 태양광을 이용한 표지등
KR20080084546A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KR102255974B1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도로용 조명장치
KR101049149B1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발광파이프
KR20100000567U (ko) Led발광체가 구비된 트래픽콘
KR20110003871U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KR101273368B1 (ko) 난간대 지주 장착용 태양전지 경관등
KR101150705B1 (ko) 태양광집광판을 구비한 표지병
KR200213230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실외용 조명기구
KR10130685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판
KR200365473Y1 (ko) 태양열을 이용한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200272030Y1 (ko) 도로 안전표지 및 가로등 조명장치
KR20120096319A (ko) 태양발전조명겸용 볼라드
KR20120008696A (ko) 안전 난간 기둥
KR20200001358U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CN206093878U (zh) 一种太阳能草坪灯
KR20080005771U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KR101170927B1 (ko) 이중 광원 조명기기
KR101377606B1 (ko) 노상에 설치되는 기둥형 구조물
KR200465845Y1 (ko) 볼라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