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87Y1 - 뽕잎세절장치 - Google Patents

뽕잎세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87Y1
KR200451487Y1 KR2020090007582U KR20090007582U KR200451487Y1 KR 200451487 Y1 KR200451487 Y1 KR 200451487Y1 KR 2020090007582 U KR2020090007582 U KR 2020090007582U KR 20090007582 U KR20090007582 U KR 20090007582U KR 200451487 Y1 KR200451487 Y1 KR 200451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ransfer drum
spur gear
fram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29U (ko
Inventor
지윤길
Original Assignee
지윤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윤길 filed Critical 지윤길
Priority to KR2020090007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8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8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eciprocating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095Mounting or adjusting of knives

Abstract

본 고안은 뽕잎세절장치로 커팅폭 조절은 물론 폭방향으로 커팅된 뽕잎을 수등분으로 동시 세절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틀 구조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된 컨베이어로라와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로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벨트상에 일정 이격된체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요철이송드럼이 일정간격배치된 벨트컨베이어프레임과, 상기 벨트컨베이어프레임 전반부에 설치된체, 프레임 저부에 설치된 모터에 연동된 편심축에 조립된 편심캠에 의해 상하 반복되는 칼날부와, 상기 편심축에 연동된 크랭크판의 캠동작이 클러치베어링으로 전환된 일방향회전력이 컨베이어로라의 스퍼기어와 이송드럼의 스퍼기어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세절장치로, 특히 칼날반은 활주판과 칼날반레일 사이에서 사면상태로 좌우 유격 없이 안정된 상하 왕복운동되어 잎의 두께가 고르지 않더라도 상·하사점이 정밀해 세절면이 거칠지 않고 정형적인 가공작업을 진행해 뽕잎차 가공용으로도 전용해 부가성이 다양하도록 한 것이다.
뽕잎,세절,칼날,장치

Description

뽕잎세절장치{the mulberry leaves cutting system}
본 고안은 뽕잎세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뽕잎의 커팅폭 조절은 물론 폭방향으로 커팅된 뽕잎을 수등분으로 동시 세절시키는 뽕잎세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뽕잎썰기는 잎뽕이나 순뽕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야 뽕을 고르게 빨리 줄 수 있고, 누에가 뽕을 먹기 쉽도록 정사각형 썰기와, 직사각형썰기 및 막썰기가 있다.
정사각형 썰기는 뽕을 썰고 뽕을 주는 데도 편리하며, 뽕이 더디게 시든다. 그러나 뽕잎이 들러붙어 누에가 뽕을 먹는 데 다소 불편하고, 직사각형 썰기는 뽕잎을 고르게 썰기 어렵지만, 뽕이 빨리 시들기 때문에 누에가 잠들 무렵에는 대개 장방형으로 뽕을 썬다.
막썰기는 뽕 모양이 바르지 않게 막 써는 방법으로, 뽕을 고르게 주기 어렵지만, 누에가 뽕을 먹는 데 편리하며, 특히 뽕을 썰기 쉽다. 따라서, 3령 누에밥은 막썰기를 하는 것이 좋다.
잎뽕이나 순뽕을 썰 때에는 보통 양잠용 큰 칼을 사용하지만, 대량으로 뽕을 썰 경우에는 작두형태의 좌상기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뽕잎썰기는 양잠일에서 차지하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실정으로 소규모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근에는 동력에 의한 뽕잎절단기가 제공되고 있다.
KR 1991-0003068 Y1 1991.5.10 '동력뽕잎절단기'에 따르면, 크랭크휘일에 의하여 상부컷터의 양연부의 하부에 안내편을 하부커터와 밀접되게 형성하여 상하컷터의 칼날의 맞물림으로 뽕잎을 절단하되, 공급밸트의 구동용라쳇트기어를 작동시키는 크랭크의 지축을 가변하여 뽕잎의 절단폭을 임의조절하면서 절단하는 방식의 기술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전기술에서 채택하고 있는 뽕잎절단기에서는 직사각 써는 방식으로 상부커터와 일체로 좌우 양연부에 마련된 안내편이 하부커터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운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커터가 지지판에 탄착되어 장시간의 사용으로 양연부만의 편마모가 예상되며, 또한 상부커터의 양단이 수직으로 절개된 가이더에 내재된 구조로 가이더의 마찰 및 마모율이 높으며, 특히 상하로 배치된 공급벨트의 하단부와 하부칼날사이 공극부에 끝잎부분의 적체현상으로 인해 절단된 모양이 고르지 않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부칼날과 하부칼날의 맞물림에 의한 절단방식을 지양해 상하 동작되는 상부칼날과 접지면에 교체가 용이한 고탄력의 우레탄패드를 수용해 칼날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송벨트면의 말단부와 근접된 받침대 역활로 작용해 끝잎인 짜투리뽕잎이라도 공극에 적체되지 않고 양잠시기에 맞춰 칼날의 적용에 따라 일정폭 또는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가로썰기, 또는 정사각이나 직사각형의 뽕잎 절단과 같이 다양하게 모양으로 뽕잎을 절단하도록 하는 세절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직사각형틀 구조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된 컨베이어로라(24a)와 스퍼기어가 부착된 2개의 컨베이어로라(24b;24c)로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21)와, 상기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벨트상에 일정 이격된체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4개의 이송드럼(60;61;62;63)이 일정간격배치된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과, 상기 벨트컨베이어프레임 전반부에 설치된체, 프레임 저부 모터베이스(11a)에 설치된 모터(11)에 연동된 편심축(38b)에 조립된 편심캠(38a)에 의해 상하 반복되는 칼날반(30)과, 상기 편심축에 연동된 크랭크판(37)의 캠동작이 클러치베어링(36)으로 전환된 일방향회전력이 컨베이어로라(24b;24c)의 스퍼기어와 이송드럼(61;63)의 스퍼기어에 동시에 전달되게 구성한 뽕잎세절장치로 양잠시기에 맞춰 칼날의 적용에 따라 일정폭의 가로썰기 전용 또는 정사각이나 직사각형의 뽕잎 절단과 같이 다양하게 모양으로 뽕잎을 절단하도록 하는 세절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뽕잎세절장치는 뽕잎의 커팅폭 조절은 물론 폭방향으로 커팅 된 뽕잎을 수등분으로 동시 세절시키는 뽕잎세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동작되는 칼날반을 마련하고 그 접지면에 교체가 용이한 고탄력의 우레탄패드를 수용해 칼날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송벨트면의 말단부와 근접된 받침대 역활로 작용해 끝잎인 짜투리 뽕잎이라도 공극에 적체되지 않도록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양잠 시기에 맞춰 칼날의 적용에 따라 일정폭이나 폭조절이 가능한 가로썰기나, 정사각이나 직사각형의 뽕잎 절단과 같이 다양하게 모양으로 뽕잎을 고속으로 세절하는데 유용하도록 하였다.
세절장치의 수명을 결정하는 칼날반(30)은 활주판(30b)과 칼날반레일(30a) 사이에서 사면상태로 좌우 유격 없이 안정된 상하 왕복운동되어 잎의 두께가 고르지 않더라도 상·하사점이 정밀해 세절면이 거칠지 않고 정형적인 가공작업을 진행해 뽕잎차 가공용으로도 전용해 부가성이 다양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은 하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뽕잎세절장치는,
직사각형틀 구조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된 컨베이어로라와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로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벨트상에 일정 이격된체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요철이송드럼이 일정간격배치된 벨트컨베이어프레임과, 상기 벨트컨베이어프레임 전반부에 설치된체, 프레임 저부에 설치된 모터에 연동된 편심축에 조립된 편심캠에 의해 상하 반복되는 칼날부와, 상기 편심축에 연동된 크랭크판 의 캠동작이 클러치베어링으로 전환된 일방향회전력이 컨베이어로라의 스퍼기어와 이송드럼의 스퍼기어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되는 뽕잎세절장치는 직사각형틀 구조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된 컨베이어로라(24a)와 스퍼기어가 부착된 2개의 컨베이어로라(24b;24c)로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21)와, 상기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벨트상에 일정 이격된체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4개의 이송드럼(60;61;62;63)이 일정간격배치된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과, 상기 벨트컨베이어프레임 전반부에 설치된체, 프레임 저부모터베이스(11a)에 설치된 모터(11)에 연동된 편심축(38b)에 조립된 편심캠(38a)에 의해 상하 반복되는 칼날반(30)과, 상기 편심축에 연동된 크랭크판(37)의 캠동작이 클러치베어링(36)으로 전환된 일방향회전력이 컨베이어로라(24b;24c)의 스퍼기어와 이송드럼(61;63)의 스퍼기어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 전반부에 조립된 칼날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인 도3과, 본 고안에 따른 칼날반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4의 도시와 같이,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의 양편 전반부에 직교되게 수직 용접한 레일고정 판(30c)과 레일고정판의 외측으로 직교된체 연접되게 수직으로 레일측판(30d)을 용접시켜, 레일측판(30d) 좌우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1)면 아래로 배출선반(15)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칼날반(30)은 레일고정판(30c)의 맨 하단 양편에 우레탄재의 칼날보호패드(50a)를 표면에 매입한 평면도시'
Figure 112009035495166-utm00001
' 형상으로 요부저면이 예리한 칼날보호패드받침대(50)를 조립하되, 조립된 상기 패드받침대 상부의 레일고정판(30c)에는 청동재 활주판(30b)을 접시머리볼트로 부착하고, 양변이 사면(斜面)이고 상면은 요부가 형성되며 장방면(長方面)에 마련된 요홈부에는 직사각판재상의 가로칼날(31)을 착설한 칼날반(30)의 가로칼날면에 다수개의 세로칼날(32)이 직교되게 하단이 사면인 세로칼날지그(33)를 볼트로 일체 조립하고, 상기 칼날반(30)의 장방면 양단이 활주판에 밀착되도록 일측면이 사면인 칼날반레일(30a)을 볼트로 조립한 것이다.
상기 세로칼날지그(33)는 가로칼날(31)에 면착되며, 각 세로칼날(31) 사이에 내재되게 요홈이 형성된 직사각판상의 칼날스크린(34)이 레일고정판(30c) 양편중간높이에 부착된다.
상기 칼날반(30)의 상단에 마련된 요부 양편에 캠로드고정대조립볼트(35c)로 조립한 캠로드고정대(35a) 중간은 일정높이의 캠로드(35a)를 정착해 상기 캠(38a)에 착설된 캠베어링(38) 외곽에 돌출된 볼트체결부 잠금너트(35b)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칼날반(30)의 구동체계로는 벨트컨베이 어프레임(20) 전반부 양단에 각 마련된 레일고정판(30c)와 레일측판(30d)상에 정착한 베어링베이스(23)에 볼트 조립한 지구베어링(39)양단에 상기 칼날반(30)의 캠로드와 조립되는 캠베어링(38)에 내재된 캠(38a)에 관통고정된 캠축(38b)의 일단에는 모터(11)로부터 연동된 동력입력플리(16)를; 이단에는 크랭크로드(37a)가 외주연에 돌출된 크랭크판(37)을 조립하고, 상기 크랭크로드는 장공이 형성된 클러치베어링(36) 외주연에 돌출된 가변크랭크아암(36a)의 장공에 힌지 조립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이송드럼의 동력전달체계로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5에 의해 제시되고, 본 고안에 따른 크랭크로드부의 기어배치도인 도 6과, 본 고안에 따른 동력입력플리부의 기어배치도인 도 7과 전술한 도 2와, 도 3,에 의해 보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이송드럼은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의 전반부에 컨베이어로라(24b;24c)가 권취된 컨베이어벨트(21)에 근접된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 양축에 이송드럼축부싱(6)을 끼워 벨트컨베이어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송드럼a(60),이송드럼b(61),이송드럼c(62),이송드럼d(63)을 순차배치하되, 동력입력플리(16)쪽의 이송드럼b,d(61;63)축에는 이송드럼b스퍼기어(62a)와 이송드럼d스퍼기어(63a)를 조립하며; 클러치베어링(36)쪽의 이송드럼a,c(60;62)축에는 이송드럼a스퍼기어(61a)와 클러치베어링전달스퍼기어(36d)를 조립시키며,
상기 이송드럼의 상단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 양측에 조립된 동력전달축베어링(41a)을 통해 돌출된 동력전달축(41) 일축단은 사각키(5)로 클러치베어링대스퍼기어(36b)와 연접된 클러치베어링소스퍼기어(36c)를 조립해, 클러치베어링(36)에 조립하고, 상기 동력전달축(41) 이축단은 밴드브레이크(40)를 조립후 상기 이송드럼b스퍼기어(62a)와 이송드럼d스퍼기어(63a)와 연동되게 치합된 이송드럼동력전달스퍼기어(42)를 조립하되, 상기 클러치베어링소스퍼기어(36c)는 클러치베어링전달스퍼기어(36d)와, 클러치베어링대스퍼기어(36b)는 이송드럼a스퍼기어(61a)와 상호 치합된체 연동 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모터(11)에 도입되는 전원 및 동작스위치의 도시는 생략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별 동작 및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3의 도시와 같이, 모터(11)을 운전시키면, 브이벨트(13)에 의해 원동플리(12)와 연동된 동력입력플리(16)가 회동하여,벨트컨베이어프레임(20)의 전반부의 베어링베이스(23)상에 조립된 지구베어링(39)에 설치된 캠축(38b)을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캠축(38b)에 조립된 캠(38a)의 편심동작에 의하여, 캠을 내설한 캠베어링(38)에 조립되는 캠로드(35a)를 정착한 캠로드고정대(35)가 조립된 칼날반(30)은 활주판(30b)과 칼날반레일(30a) 사이에서 사면상태로 좌우 유격 없이 안정된 상하왕복운동되어 이송된 뽕잎의 두께가 고르지 않더라도 상·하사점이 일정한 세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칼날반(30) 이면요홈부에 조립된 가로칼날(31)과 세로칼날지그(33)에 조립된 다수개의 세로칼날(32)은 상기 캠(38a)이 하사점에 이르렀을 때마다 칼 날보호받침대(50)에 매입된 칼날보호패드(50a)면에 이송된 뽕잎을 가로와 세로로 세절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칼날반(30)에서 세로칼날지그(33)를 제거하고 가로칼날(31)만을 부착한체 가동시키면, 진행방향으로 일정폭으로 뽕잎을 가로로 세절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의 칼날보호패드(50a)는 탄력이 좋은 우레탄수지를 채택해 칼날의 손상을 방지하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칼날보호패드받침대(50)의 요홈부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의 레일고정판(30c)하부 양단에 설치된 칼날스크린(34)에 각 형성된 틈새로는 세로칼날지그(33)의 각 세로칼날(32)이 도입되는 것으로, 세절과정에서 칼날반(30)의 커팅동작이후에 가로칼날(31)이나 세로칼날(32)을 따라 뽕잎이 상방으로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칼날보호대받침대(50)의 평면도시'
Figure 112009035495166-utm00002
' 형상의 요부저면이 예리한 칼날보호패드받침대(50)로 이루어져 컨베이어로라(24c)의 컨베이어벨트(21)면에 근접설치되므로 칼날반(30)의 과정에서 끝잎인 짜투리뽕잎이라도 공극에 적체되지 않도록 하여 뽕잎이 세절작업이 신속하고 균등한 작업이 진행되게 하였다.
한편, 칼날반(30)의 깊이 조정은 잠금너트(35b)로 캠로드(35a)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사점과 하사점의 미세거리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또 한편, 상기 동력전달축(41)에 설치된 밴드브레이크(40)는 클러치베어 링(36)의 정착된 가변크랭크아암(36a)의 요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클러치베어링(36)이 프리휠방향으로 동작때 동력전달축(41)에 백래쉬가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한 부하상태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된 컨베이어벨트(21)는 캠축(38b)에 조립된 크랭판(37)의 캠동작이 크랭크로드(37a)에 힌지결합된 가변크랭크아암(36a)을 통해 클러치베어링(36)에 제공하는 요동에 따른 일방향으로만 회동됨에 따라, 클러치베어링(36)쪽에 조립된 동력전달축(41)에 설치된 클러치베어링대스퍼기어(36b)와 클러치베어링소스퍼기어(36c)에 각각 치합된 이송드럼a스퍼기어(61a)및 클러치베어링전달스퍼기어(36d)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동시켜 순차적으로 설치된 이송드럼중 이송드럼b(61)사이에 배치된 이송드럼a(60)와 이송드럼c(62)을 일정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클러치베어링(36)이 조립된 대향부쪽 동력전달축(41)에 조립된 이송드럼동력전달스퍼기어(42)에 의해 이송드럼c(62)상에 배치된 이송드럼b스퍼기어(62a)와 이송드럼d스퍼기어(63a)를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체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이송드럼을 회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변크랭크아암(36a)에 형성된 장공은 일정한 편심거리로 작동되는 크랭크판(37)의 캠운동으로부터 가변크랭크아암(36a)에 마련된 장공에 조립된 크랭크로드(37a)의 위치에 따라 클러치베어링(36)의 일방향의 요동거리를 조정하도록 하여, 컨베이어벨트(21)의 간헐적인 이동거리를 조정함으로서 세절되는 뽕잎의 가로폭을 임의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이송드럼 하방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2개의 컨베 이어로라(24b;24c)에 치합된 컨베이어로라스퍼기어b(24b)와 컨베이어로라스퍼기어a(24a)에 각각 이송드럼d스퍼기어(63a)와 이송드럼b스퍼기어(62a) 치합되어 연동됨에 따라 이송드럼과 벨트컨베이어의 회동방향이 상호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뽕잎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칼날반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드럼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크랭크로드부의 기어배치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입력플리부의 기어배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립볼트 2:평와셔
3:스프링와셔
5:사각키 6:이송드럼축부싱
7:접시머리나사
10:프레임
11:모터 11a:모터베이스
12:원동플리 13:브이플리
14:벨트커버 15:배출선반
16:동력입력플리
20:벨트컨베이어프레임 21:컨베이어벨트
22:벨트장력조절나사 22a:장력조절나사브라켓
22b:컨베이어로라축 22c:로라슬라이더
23:베어링베이스 24a;24b;24c:컨베이어로라
25:컨베이어간격유지로드
30:칼날반 30a:칼날반레일
30b:활주판 30c:레일고정판
30d:레일측판 31:가로칼날
32:세로칼날 33:세로칼날지그
34:칼날스크린 35:캠로드고정대
35a:캠로드 35b:잠금너트
35c:캠로드고정대조립볼트 36:클러치베어링
36a:가변크랭크아암 36b:클러치베어링대스퍼기어
36c:클러치베어링소스퍼기어 36d:클러치베어링전달스퍼기어
37:크랭크판
37a:크랭크로드 38:캠베어링
38a:캠 38b:캠축
39:지구베어링 40:밴드브레이크
41:동력전달축 41a:동력전달축베어링
42:이송드럼동력전달스퍼기어
50:칼날보호패드받침대 50a:칼날보호패드
60:이송드럼a 61:이송드럼b
61a:이송드럼a스퍼기어 62:이송드럼c
62a:이송드럼b스퍼기어 63:이송드럼d
63a:이송드럼d스퍼기어

Claims (5)

  1. 직사각형틀 구조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된 컨베이어로라(24a)와 스퍼기어가 부착된 2개의 컨베이어로라(24b;24c)로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21)와, 상기 스퍼기어가 부착된 컨베이어벨트상에 일정 이격된체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4개의 이송드럼(60;61;62;63)이 일정간격배치된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과,
    상기 이송드럼은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의 전반부에 컨베이어로라(24b;24c)가 권취된 컨베이어벨트(21)에 근접된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 양축에 이송드럼축부싱(6)을 끼워 벨트컨베이어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송드럼a(60),이송드럼b(61),이송드럼c(62),이송드럼d(63)을 순차배치하되, 동력입력플리(16)쪽의 이송드럼b,d(61;63)축에는 이송드럼b스퍼기어(62a)와 이송드럼d스퍼기어(63a)를 조립하며; 클러치베어링(36)쪽의 이송드럼a,c(60;62)축에는 이송드럼a스퍼기어(61a)와 클러치베어링전달스퍼기어(36d)를 조립시키며, 상기 이송드럼의 상단 벨트컨베이어프레임(20) 양측에 조립된 동력전달축베어링(41a)을 통해 돌출된 동력전달축(41) 일축단은 사각키(5)로 클러치베어링대스퍼기어(36b)와 연접된 클러치베어링소스퍼기어(36c)를 조립해, 클러치베어링(36)에 조립하고, 상기 동력전달축(41) 이축단은 밴드브레이크(40)를 조립후 상기 이송드럼b스퍼기어(62a)와 이송드럼d스퍼기어(63a)와 연동되게 치합된 이송드럼동력전달스퍼기어(42)를 조립하되, 상기 클러치베어링소스퍼기어(36c)는 클러치베어링전달스퍼기어(36d)와, 클러치베어링대스퍼기어(36b)는 이송드럼a스퍼기어(61a)와 상호 치합된체 연동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프레임 전반부에 설치된체, 프레임 저부 모터베이스(11a)에 설치된 모터(11)에 연동된 편심축(38b)에 조립된 편심캠(38a)에 의해 상하 반복되는 칼날반(30)과, 상기 편심축에 연동된 크랭크판(37)의 캠동작이 클러치베어링(36)으로 전환된 일방향회전력이 컨베이어로라(24b;24c)의 스퍼기어와 이송드럼(61;63)의 스퍼기어에 동시에 전달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세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벨트컨베이어프레임(20)의 양편 전반부에는 벨트컨베이어프레임과 직교되게 수직 용접한 레일고정판(30c)과 레일고정판의 외측테에 수직으로 레일측판(30d)을 용접시켜, 레일측판(30d) 좌우로 배출선반(15)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세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칼날반(30)은 레일고정판(30c)의 맨 하단 양편에 우레탄재의 칼날보호패드(50a)를 표면에 매입한 평면도시'
    Figure 112009035495166-utm00003
    ' 형상으로 요부저면이 예리한 칼날보호패드받침대(50)를 조립하되, 조립된 상기 칼날보호패드받침대 상부의 레일고정판(30c)에는 청동재 활주판(30b)을 접시머리볼트로 부착하고, 양변이 사면(斜面)이고 상면은 요부가 형성되며, 장방면(長方面)에 마련된 요홈부에는 직사 각판재상의 가로칼날(31)을 착설한 칼날반(30)의 가로칼날면에 다수개의 세로칼날(32)이 직교되게 하단이 사면부인 세로칼날지그(33)를 볼트로 일체 조립하고, 상기 칼날반(30)의 장방면 양단이 활주판에 밀착되도록 일측면이 사면인 칼날반레일(30a)을 볼트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세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레일고정판(30c) 양편 중간높이에는 세로칼날(31) 사이에 내재되게 요홈이 형성된 직사각판상의 칼날스크린(34)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세절장치.
KR2020090007582U 2009-06-12 2009-06-12 뽕잎세절장치 KR200451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582U KR200451487Y1 (ko) 2009-06-12 2009-06-12 뽕잎세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582U KR200451487Y1 (ko) 2009-06-12 2009-06-12 뽕잎세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29U KR20090006629U (ko) 2009-07-01
KR200451487Y1 true KR200451487Y1 (ko) 2010-12-16

Family

ID=4132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582U KR200451487Y1 (ko) 2009-06-12 2009-06-12 뽕잎세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083A (ko) * 2021-09-15 2023-03-22 하현제 이동식 퇴비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7771A (zh) * 2014-09-17 2014-12-24 丹阳市云阳镇田园圣树专业合作社 一种桑叶切割机
CN107241978B (zh) * 2017-07-26 2019-05-03 广州市南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用草料切割装置
CN108243718B (zh) * 2018-01-31 2023-07-18 广西师范大学 一种滚筒式桑叶采摘机
CN109874517B (zh) * 2019-03-18 2021-11-05 黑龙江省农业科学院畜牧研究所 用于秸秆绿色化回收并粉碎冲压成块的方法
CN112005744A (zh) * 2020-08-27 2020-12-01 王磊 一种农业用秸秆粉粹还田装置
CN113493945B (zh) * 2021-08-24 2022-12-23 晋江市众拓服装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用苎麻纤维切断方法
CN114698473B (zh) * 2022-04-14 2023-07-25 中国农业大学 一种基于对称式盘形凸轮传动的秸秆粉碎单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887Y1 (ko) * 2005-03-15 2005-08-17 최순복 퇴비 살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887Y1 (ko) * 2005-03-15 2005-08-17 최순복 퇴비 살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083A (ko) * 2021-09-15 2023-03-22 하현제 이동식 퇴비 투입장치
KR102629190B1 (ko) 2021-09-15 2024-01-29 하현제 이동식 퇴비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29U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487Y1 (ko) 뽕잎세절장치
EP2393638B1 (en) Knife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slicing fish meat
CN101628429A (zh) 一种大枣自动定向输送切片机
KR101911532B1 (ko) 횡절 슬라이서
KR102107467B1 (ko)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커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슬라이스 절단기
CN106863418A (zh) 大枣全自动输送定向切片机
KR20070077054A (ko) 식육 슬라이서
KR20170001252A (ko) 냉동육 절단장치
CN110616558B (zh) 一种复膜机主动修边刀装置
CN107627355B (zh) 食品切割、拉花、穿串一体机
CN201970341U (zh) 酸菜切丝机
CN205630735U (zh) 一种直线往复式切药机
US1255013A (en) Vegetable slicing and shredding machine.
CN106387927A (zh) 山楂去核切片一体机
KR101163296B1 (ko) 직도형 칼날이 구비된 무 절단기
KR100761751B1 (ko) 스티로폼 평면 절삭장치
JP5020266B2 (ja) フードスライサー
US1384742A (en) And one-half to clark cutter
CN111993483A (zh) 一种切纸机
CN211194238U (zh) 一种竹篾加工用竹丝裁切机
CN204278078U (zh) 一种红薯切片机
US2263855A (en) Meat-slitting machine
CN210678935U (zh) 一种横环刀数控裁切设备用裁切平台
CN209394818U (zh) 一种通用型切割滑动座
CN210791178U (zh) 一种v型皮带切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