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377Y1 -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377Y1
KR200451377Y1 KR2020080016285U KR20080016285U KR200451377Y1 KR 200451377 Y1 KR200451377 Y1 KR 200451377Y1 KR 2020080016285 U KR2020080016285 U KR 2020080016285U KR 20080016285 U KR20080016285 U KR 20080016285U KR 200451377 Y1 KR200451377 Y1 KR 200451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itting body
fitting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21U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희 filed Critical 이윤희
Priority to KR202008001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7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관(T)에 끼어지는 원통형의 끼움몸체(10); 끼움몸체(10)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배수관(T)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외측커버(20); 끼움몸체(1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개수대와 연결되는 주름관(F)이 끼어지는 끼움돌부(30); 및 끼움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배수관(T)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 악취차단장치{An apparatus for blocking offensive odor from waste pipe drain}
본 고안은 싱크대의 개수대와 연결된 주름관과 하수관과 연결된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그 배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수관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설거지를 하기 위한 개수대와, 개수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오물찌꺼기를 걸러주는 걸름부와, 걸름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주름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주름관은, 하수관과 연결된 후 싱크대 바닥을 통하여 돌출되는 배수관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개수대에서 설거지등에 의하여 발생된 오수는 걸름부를 거쳐 주름관을 경유한 후 배수관을 통하여 하구구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주름관은 배수관에 끼어질 수 있도록 주름관의 직경이 배수관의 직경보다 작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주름관의 직경이 배수관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배수관과 주름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배수관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주름관과 배수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역류되었고, 따라서 악취는 주택 내 부로 배출되어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주름관과 배수관 사이를 테이프로 테이핑하기도 하였으나, 테이핑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음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지저분한 상태가 되고, 또한 테이핑할 경우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취가 테이프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개수대와 연결된 주름관과 하수관과 연결된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배수관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악취제거장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T)에 끼어지는 원통형의 끼움몸체(10); 상기 끼움몸체(10)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T)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외측커버(20); 상기 끼움몸체(1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개수대와 연결되는 주름관(F)이 끼어지는 끼움돌부(30); 및 상기 끼움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T)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20)는 끼움몸체(10)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관(T)의 외주면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요성재질로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끼움몸체(10)의 하단에는, 그 끼움몸체(10)를 상기 배수관(T)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하여 외경이 작아지는 끼움단(11)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30)의 상단에는, 상기 주름관(F)이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끼움단(31)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악취제거장치에 따르면, 배수관(T)에 끼어지는 원통형의 끼움몸체와, 끼움몸체의 상단측과 연결되어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외측커버와, 끼움몸체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개수대와 연결되는 주름관(F)이 끼어지는 끼움돌부와, 끼움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배수관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오링을 포함함으로써, 끼움몸체를 배수관에 끼워넣고 주름관을 끼움돌부에 끼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주름관과 배수관 사이의 공간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수관을 통하여 역류되는 악취가 주택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는 항상 쾌적한 주거환경을 영위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악취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악취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주름관 및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는 도 1의 배수관 악취차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악취제거장치는, 하수관(미도시)와 연결되는 배수관(T)에 끼어지는 원통형의 끼움몸체(10)와; 끼움몸체(10)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배수관(T)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외측커버(20)와; 끼움몸체(1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개수대와 연결되는 주름관(F)이 끼어지는 끼움돌부(30)와; 끼움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배수관(T)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한다.
배수관(T)는 땅속에 매설된 하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주택을 건축할 때 바닥에서 돌출된다. 즉, 배수관(T)은 주택을 건축할 때 만들어지는 것이다.
끼움몸체(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몸체(10)의 외주면에는 오링(40)이 끼어질 수 있도록 오링홈이 다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오링홈(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끼움몸체(10)의 하단에는 외경이 작아지는 끼움단(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끼움단(11)을 형성함으로써 끼움몸체(10)를 배수관(T)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것이다.
외측커버(20)는 끼움몸체(10)의 상단과 연결되며, 끼움몸체(1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커버(20)는 배수관(T)의 외주면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드러운 가요성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요성 재질로는 고무나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끼움돌부(30)는 끼움몸체(10)의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끼움돌부(30)의 상단에는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끼움단(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끼움단(31)을 형성함으로써 주름관(F)이 끼움돌부(30)에 용이하게 끼어질 수 있다.
오링(40)은 끼움몸체(10)와 배수관(T) 사이를 완전히 기밀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개수를 채용할 수 있으며,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오링(40)을 채용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여기서, 끼움몸체(10) 및 외측커버(20)는 동일 재질로 하여 한번의 성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외측커버(20)를 끼움몸체(10)에 비하여 부드러운 가요성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끼움몸체(10)를 배수관(T)에 끼우면 배수관(T)은 끼움몸체(10)와 외측커버(20)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끼움몸체(10)의 오링(40)은 끼움몸체(10)와 배수관(T) 사이를 1차로 기밀하고, 외측커버(20)는 배수관(T)의 외주면을 감쌈으로써 2차로 기밀한다. 이 상태에서, 개수대와 연결되는 주름관(F)을 끼움돌부(30)에 연결함으로써, 본원의 배수관 악취제거장치를 설치를 완료한다.
이 상태에서, 개수대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주름관(H)을 거친 후 끼움돌부(30)를 경유한 후 끼움몸체(10)를 통하여 배수관으로 배수되고, 이때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오링(40)과 외측커버(2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악취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주름관 및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는 도 1의 배수관 악취차단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끼움몸체 11 ... 끼움단
20 ... 외측커버 30 ... 끼움돌부
31 ... 끼움단 40 ... 오링
F ... 주름관 T ... 배수관

Claims (4)

  1.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T)에 끼어지는 원통형의 끼움몸체(10);
    상기 끼움몸체(10)의 상단측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T)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외측커버(20);
    상기 끼움몸체(1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개수대와 연결되는 주름관(F)이 끼어지는 끼움돌부(30); 및
    상기 끼움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T)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20)는 끼움몸체(10)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관(T)의 외주면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요성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몸체(10)의 하단에는, 그 끼움몸체(10)를 상기 배수관(T)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하여 외경이 작아지는 끼움단(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30)의 상단에는, 상기 주름관(F)이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끼움단(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KR2020080016285U 2008-12-09 2008-12-09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KR200451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85U KR200451377Y1 (ko) 2008-12-09 2008-12-09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85U KR200451377Y1 (ko) 2008-12-09 2008-12-09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21U KR20100006121U (ko) 2010-06-17
KR200451377Y1 true KR200451377Y1 (ko) 2010-12-10

Family

ID=4445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285U KR200451377Y1 (ko) 2008-12-09 2008-12-09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06U (ko) * 2017-06-05 2017-09-13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43Y1 (ko) 2003-09-25 2003-12-18 주식회사 베스트 배수 용도의 주름관용 연결구
KR200395202Y1 (ko) 2005-06-24 2005-09-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장치
KR100834736B1 (ko) 2007-01-10 2008-06-05 주식회사 파세코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43Y1 (ko) 2003-09-25 2003-12-18 주식회사 베스트 배수 용도의 주름관용 연결구
KR200395202Y1 (ko) 2005-06-24 2005-09-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장치
KR100834736B1 (ko) 2007-01-10 2008-06-05 주식회사 파세코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06U (ko) * 2017-06-05 2017-09-13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21U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8292B (zh) 磁吸式下水管道防臭装置
TW200902805A (en) Floor drain
JP2011117229A (ja) オーバーフロー装置
JP2008163634A (ja) 空気待避装置
KR200451377Y1 (ko) 배수관 악취차단장치
CN204370528U (zh) 磁吸式下水管道防臭装置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2011137330A (ja) 槽体の配管構造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JP5060451B2 (ja) トラップ封水筒
KR100834736B1 (ko)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JP5793747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110045600A (ko) 배수트랩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047010B1 (ko) 빗물 배수구 덮개
KR20110117438A (ko) 배수 트랩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KR200408173Y1 (ko) 배수트랩
KR200480792Y1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JP6019287B2 (ja) 排水トラップ
JP4099574B2 (ja) 排水装置
KR100809283B1 (ko) 배수구체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200388665Y1 (ko)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