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16Y1 -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116Y1 KR200451116Y1 KR2020080008561U KR20080008561U KR200451116Y1 KR 200451116 Y1 KR200451116 Y1 KR 200451116Y1 KR 2020080008561 U KR2020080008561 U KR 2020080008561U KR 20080008561 U KR20080008561 U KR 20080008561U KR 200451116 Y1 KR200451116 Y1 KR 2004511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garbage
- leachate
- box
- bo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47—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located undergrou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의 배출시간에 대한 자유로움과 보관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쓰레기 보관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적절히 처리하여 토양오염 및 위생환경 저해 요인을 사전에 제거토록 하며, 보관된 쓰레기의 수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내부 공간의 개폐를 위한 출입문이 설치된 박스 형태의 부스체; 지면의 저부에 매몰 설치되며, 내부의 바닥면에는 쓰레기로부터 유출된 침출수를 오수관로로 배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부스체와는 상하 연통되도록 형성된 박스 형태의 매몰체; 상기 매몰체 및 상기 부스체 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가 상기 매몰체 내로 유출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쓰레기 보관함; 그리고, 상기 매몰체 내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쓰레기 보관함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가 제공된다.
쓰레기 위생 보관, 부스체, 토양오염 방지, 매몰체, 쓰레기 보관함
Description
본 고안은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쓰레기의 배출시간에 대한 자유로움과 보관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쓰레기 보관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적절히 처리하여 토양오염 및 위생환경 저해 요인을 사전에 제거토록 하며, 보관된 쓰레기의 수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종량제봉투에 포장된 상태로 지정된 공간에 배출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렇게 배출된 쓰레기는 주기적인 시간대에 쓰레기 수거차의 방문 수거를 통해 수거된다.
이때, 상기 지정된 공간이라 함은 통상의 주택일 경우 도로 중의 특정 공간이 되고,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일 경우 별도의 쓰레기 수거함이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쓰레기 배출 형태 중 도로에 배출되는 쓰레기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그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의 불법 무단 쓰레기 투기로 인해 주변이 상당히 지저분해 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개나 고양이 등에 의해 상기 배출된 쓰레기가 파헤쳐지는 경우도 발생될 뿐 아니라 상기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침출수로 인해 토양오염 등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문제점 역시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쓰레기 배출 형태 중 쓰레기 수거함에 배출되는 쓰레기는 상기 수거함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많은 양의 쓰레기를 수거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상기 쓰레기 수거함은 다수 대를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상기 쓰레기 수거함은 수거된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 등의 물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고여있음에 따라 심한 악취가 발생됨과 더불어 누수된 침출수로 인해 주변 오염이 심각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 역시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침출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세척 역시 곤란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쓰레기 수거함은 통상의 높이가 대략 성인 키의 가슴정도 높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쓰레기 수거함 내의 저부에 수납된 쓰레기는 배출하기가 작업자에게는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498호 및 제20-0419064호 등과 같이 쓰레기 수거함을 매몰식으로 구성하는 형태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술한 매몰식 구조 역시 수거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침출수가 보관함에 고이거나 직접 지면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상기한 침출수로 인한 악취 및 토양 오염의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그 수거 용량 역시 쓰레기 수거함의 크기로만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매몰식 구조 기존의 일반적인 쓰레기 수거함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쓰레기 수거함이 가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과, 지면에 설치된 뚜껑으로 인한 소음, 우천시 지하수의 유입, 뚜껑 개폐로 인한 안전 사고의 우려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 수거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상기 수거 공간의 외부 환경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며, 상기 수거된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또한, 상기 수거된 쓰레기로부터 배출된 침출수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져 항시 청결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따르면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내부 공간의 개폐를 위한 출입문이 설치된 박스 형태의 부스체; 지면의 저부에 매몰 설치되며, 내부의 바닥면에는 쓰레기로부터 유출된 침출수를 오수관로로 배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부스체와는 상하 연통되도록 형성된 박스 형태의 매몰체; 상기 매몰체 및 상기 부스체 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가 상기 매몰체 내로 유출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쓰레기 보관함; 그리고, 상기 매몰체 내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쓰레기 보관함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스체의 상면에는 상기 부스체 내부의 냄새 배출을 위한 송풍팬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체에는 수도관이 연결된 수도수 제공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체와 상기 매몰체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 보관함의 둘레면에는 높이별로 쓰레기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쓰레기 보관함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취출도어가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양단이 상기 매몰체 내의 바닥면 및 쓰레기 보관함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를 상향 혹은, 하향 회전되도록 플런저가 상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부스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는 매몰식과 지상 보관 방식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서 최대한 많은 양의 쓰레기 보관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부스체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지상에 보관되는 쓰레기의 외부 노출에 따른 악취나 불쾌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매몰체는 지면의 토양과 폐쇄된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쓰레기로부터 흘러내린 침출수가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방지되고, 특히 상기 침출수는 오수관로로 배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침출수로 인한 오염 및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쓰레기 수거함은 높이별로 취출도어를 각각 설치하여 쓰레기를 취출하는 작업자의 키 및 보관된 쓰레기의 양에 따라 각 취출도어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쓰레기 보관함의 개방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보관 쓰레기의 원치않는 흘러 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부스체에는 수도 시설이 구비됨으로써 매몰체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는 크게 부스체(100)와, 매몰체(200)와, 쓰레기 보관함(300) 및 리프팅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부스체(100)는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로써, 쓰레기의 투척, 수거작업 및 위생 보관을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부스체(10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체(100)의 둘레면(예컨대, 전면)에는 내부 공간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출입문(11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출입문(110)은 터치형이나 여닫이형, 미닫이형 혹은, 바코드 인식형(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적용)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부스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부스체(100) 내부의 냄새 배출을 위한 송풍팬(12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부스체(100) 내의 쓰레기로 인한 악취 잔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부스체(100) 내에는 야간의 시야 확보를 위한 전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부스체(100)는 도시 미관을 위해 예컨대, 전화 부스나 ATM기 부스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매몰체(200)는 지면의 저부에 매몰 설치되는 부위로써,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둘레 벽면 및 바닥면은 폐쇄된 박스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에는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구(210)가 형성되며, 상기한 침출수 배출구(210)는 지하에 매설되는 오수관로(예컨대, 하수도)(2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침출수 배출구(210)는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부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을 상기 침출수 배출구(210)가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경사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매몰체(200)의 구성은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곧장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으로 모인 다음 상기 침출수 배출구(210)를 통해 오수관로(211)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침출수가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은 쓰레기가 포장된 쓰레기봉투를 보관하는 박스체로써, 상기 매몰체(200) 및 상기 부스체(100) 내를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쓰레기 보관함(300)이 상기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가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망(mesh) 형태(바람직하게는 철망)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한 쓰레기 보관함(300)은 둘레면 및 저면 모두를 망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저면 만을 망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망이 아닌 다수의 개구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완전 폐쇄된 상태이되 저면의 일부에 침출수가 유출 가능하게 개구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쓰레기 보관함(300)의 둘레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취출도어(310,320,330)가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한 취출도어(310,320,330)는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에 보관된 쓰레기를 높이별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취출도어(310,320,330)가 상기 쓰레기 보관함의 상측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측 취출도어(310)와, 중간측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중간 취출도어(320)와, 하측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하측 취출도어(330)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쓰레기를 취출하는 작업자의 키 및 보관된 쓰레기의 양에 따라 각 취출도어(310,320,330)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의 개방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보관 쓰레기의 원치않는 흘러 내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자가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의 전 부위에 보관된 쓰레기를 편리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각 취출도어(310,320,330)는 원치 않게 개방됨을 방지하는 고리부재(311,321,331)가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팅부(400)는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매몰체(200) 내의 저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매몰체(200) 내의 저부에는 상기한 리프팅부(400)를 고정함과 더불어 침출수에 의한 상기 리프팅부(400)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 돌출된 상태의 받침대(220)가 설치된다.
상기한 리프팅부(400)는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410)와 복수의 유압 실린더(420) 및 조작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링크(410)는 양 끝단이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과 쓰레기 보관함(300)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간은 교차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420)는 상기 링크(410)를 상향 혹은, 하향 회전되도록 플런저(421)가 상기 링크(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매몰체(200) 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430)는 상기 유압 실린더(42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컨트롤러로써, 상기 부스체(100)에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의 각 구성 중 부스체(100)와 매몰체(200)는 필요에 따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매몰체(200)의 내부에 대한 청소 혹은, 매몰체(200) 내의 쓰레기 보관함(300)에 대한 청소시 작업자에 의한 청소 작업의 편리함을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부스체(100)와 매몰체(200)는 적용 장소나 형태에 따라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한 부스체(100) 만을 필요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예컨대, 부스체의 저면에 바퀴를 설치하는 구조의 적용 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체(100)에 수도관이 연결된 수도수 제공부(1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매몰체(200) 내부에 대한 청소 수행시 상기 수도수 제공부(130)를 이용하여 수돗물로 청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를 이용한 쓰레기의 보관 및 수거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과 같이 통상의 쓰레기 보관 상태에서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를 이루는 쓰레기 보관함(300)은 매몰체(200) 내의 공간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의 상태에서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포장된 상태의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부스체(100)의 출입문(110)을 개방한 다음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 내에 상기 쓰레기를 투입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쓰레기 보관함(300) 내에 수납되는 쓰레기의 양이 점차적으로 늘어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의 허용 수납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한 쓰레기는 부스체(100) 내에도 위치된다.
이때, 상기한 쓰레기는 비록 소각 가능한 쓰레기만을 배출하도록 지정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쓰레기에는 먹다 버린 팩 내의 음료수나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침출수가 함유될 수 있다.
즉,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 내에 수납되는 쓰레기로부터 침출수가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보관함(300)은 망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쓰레기로부터 유출된 침출수는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을 통과하여 매몰체(200) 내의 공간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침출수는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210)를 통해 오수관로(211)로 배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 보관함(300) 내에 수납된 쓰레기는 실질적으로 부스체(10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개나 고양이 등에 의한 침입이 방지될 뿐 아니라, 상기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사람들이 지나는 인도를 향해 배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악취로 인한 주변 시민들의 불만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부스체(100) 내에 존재하는 악취는 휘발성 가스 성분이 됨을 고려할 때 무심코 버려지는 담배 꽁초(꺼지지 않은 담배 꽁초)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부스체(100) 상면에는 송풍팬(1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송풍팬(120)에 의해 상기 휘발성 가스는 대기로 배출되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은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휘발성 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은 부스체(100)의 상부임을 고려할 때 상기 휘발성 가스의 악취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주변을 지나는 시민에게 직접 제공되지 않고 대기 중에 희석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해 보관된 쓰레기는 쓰레기 수거차의 방문에 의해 수거된다.
이때, 상기 매몰체(200) 내에 위치된 쓰레기 보관함(300)은 쓰레기 수거자에 의한 리프팅부(400)의 제어에 의해 부스체(100) 내로 상승된다.
즉, 리프팅부(400)를 구성하는 조작부(430)가 쓰레기 수거자에 의해 조작되면 각 유압 실린더(42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각 링크(410)가 동작되고, 상기한 링크(410)의 동작에 의해 쓰레기 수거함(300)은 매몰체(200) 내에서 부스체(100) 내를 향해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2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쓰레거 수거함(300)의 승강 조작이 완료되면 부스체(100)의 출입문(110)을 개방함과 더불어 상기 쓰레기 수거함(300)의 각 취출도어(310,320,33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킨다.
즉, 상기 쓰레기 수거함(300)에 쓰레기가 가득 담겨져 있다면 상측 취출도어(310)부터 순차적으로 개방시켜 상기 담겨진 쓰레기를 쌓여진 순서대로 취출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쓰레기 수거함(300) 내의 저부에만 쓰레기가 담겨져 있을 경우에는 각 취출도어(310,320,330) 모두를 개방하거나 혹은, 하측 취출도어(330) 만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쓰레기를 취출하면 된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거자는 키에 상관없이 쓰레기 수거함(300) 내의 저부에 위치된 쓰레기도 간단히 취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쓰레기의 취출이 완료되면 상기 쓰레기를 취출하기 위한 동작의 역순으로 쓰레기 보관함(3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쓰레기 보관함(300)의 각 취출도어(310,320,330)를 닫고 리프팅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쓰레기 보관함(300)이 매몰체(200) 내로 수용되도록 하강시킴으로써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매몰체(200) 내부는 비록 침출수 배출구(210)에 의해 쓰레기로부터 유출된 침출수가 오수관로(211)로 배출된다 하더라도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고여 있는 침출수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고이는 침출수로 인해 주변 오염이나 악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혹은, 필요에 따라 상기한 매몰체(200) 내부의 청소가 진행되어야 하며, 상기한 청소는 단순히 수도수 제공부(130)를 통해 수돗물을 상기 매몰체(200) 내로 제공하는 과정에 의해 간단히 수행된다.
즉, 상기 매몰체(200) 내로 수돗물이 제공되면 상기 수돗물은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바닥면에 고여 있는 침출수와 함께 침출수 배출구(210)를 통해 오수관로(211)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매몰체(200)는 사방이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수돗물이나 침출수가 지면으로 스며들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으로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몰체(200) 내부 상태 혹은, 매몰체(200) 내의 리프팅부(400)에 대한 점검이나 수리 등을 위해 상기 매몰체(200)의 어느 한 측부 공간에 토양과는 폐쇄된 상태이면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점검 공간(500)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점검 공간(500)으로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510)는 지면에 형성되고, 상기한 출입구(510)에는 덮개(520)가 구비되며, 상기 점검 공간의 내벽면에는 계단(530)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적인 출입이 가능토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점검 공간 내부로의 오물 투입은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점검 공간(500)은 매몰체(200) 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점검 공간(500)의 바닥면에는 혹여나 상기 점검 공간(500)으로 유입된 빗물 등이 상기 매몰체(200) 내의 바닥면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연통된 유출구(540)가 형성된다.
이렇듯, 본 고안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의 쓰레기 보관시 상태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의 쓰레기 수거시 상태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에 대한 다른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부스체 110. 출입문
120. 송풍팬 130. 수도수 제공부
200. 매몰체 210. 침출수 배출구
211. 오수관로 220. 받침대
300. 쓰레기 보관함 310. 상측 취출도어
320. 중간 취출도어 330. 하측 취출도어
311,321,331. 고리부재 400. 리프팅부
410. 링크 420. 유압 실린더
430. 조작부 500. 점검 공간
510. 출입구 520. 덮개
530. 계단 540. 유출구
Claims (7)
-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내부 공간의 개폐를 위한 출입문이 설치된 박스 형태의 부스체;지면의 저부에 매몰 설치되며, 내부의 바닥면에는 쓰레기로부터 유출된 침출수를 오수관로로 배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부스체와는 상하 연통되도록 형성된 박스 형태의 매몰체;상기 매몰체 및 상기 부스체 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가 상기 매몰체 내로 유출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쓰레기 보관함; 그리고,상기 매몰체 내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쓰레기 보관함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고,상기 리프팅부는, 양단이 상기 매몰체 내의 바닥면 및 쓰레기 보관함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를 상향 혹은, 하향 회전되도록 플런저가 상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부스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부스체의 상면에는 상기 부스체 내부의 냄새 배출을 위한 송풍팬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부스체에는 수도관이 연결된 수도수 제공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쓰레기 보관함의 둘레면에는 높이별로 쓰레기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쓰레기 보관함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취출도어가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매몰체의 어느 한 측부에는 토양과는 폐쇄된 상태이면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점검 공간을 추가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8561U KR200451116Y1 (ko) | 2008-06-26 | 2008-06-26 |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8561U KR200451116Y1 (ko) | 2008-06-26 | 2008-06-26 |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121U KR20100000121U (ko) | 2010-01-06 |
KR200451116Y1 true KR200451116Y1 (ko) | 2010-11-25 |
Family
ID=4419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8561U KR200451116Y1 (ko) | 2008-06-26 | 2008-06-26 |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11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63785A (zh) * | 2018-01-16 | 2018-07-10 | 湖南望隆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 一种地埋式环保垃圾桶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10090A (zh) * | 2020-09-18 | 2020-12-22 | 徐州徐工环境技术有限公司 | 具有失电应急举升功能的智能垃圾贮存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41729A1 (en) | 1993-09-07 | 1995-03-08 | Giancarlo Galeazzi | Waste collection device |
EP0928755A1 (de) * | 1997-12-20 | 1999-07-14 | Ulrich Lötzsch | Vorrichtung zur Unterflureinlagerung von Müll |
WO2003093143A1 (en) | 2002-05-03 | 2003-11-13 | Antonio Saverio Oscar Nuzzo | Underground ecological island with garbage collection containers |
KR200376498Y1 (ko) | 2004-09-14 | 2005-03-10 | (주)오토코리아 | 매몰식 쓰레기통 보관장치 |
-
2008
- 2008-06-26 KR KR2020080008561U patent/KR2004511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41729A1 (en) | 1993-09-07 | 1995-03-08 | Giancarlo Galeazzi | Waste collection device |
EP0928755A1 (de) * | 1997-12-20 | 1999-07-14 | Ulrich Lötzsch | Vorrichtung zur Unterflureinlagerung von Müll |
WO2003093143A1 (en) | 2002-05-03 | 2003-11-13 | Antonio Saverio Oscar Nuzzo | Underground ecological island with garbage collection containers |
KR200376498Y1 (ko) | 2004-09-14 | 2005-03-10 | (주)오토코리아 | 매몰식 쓰레기통 보관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63785A (zh) * | 2018-01-16 | 2018-07-10 | 湖南望隆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 一种地埋式环保垃圾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121U (ko)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122567A1 (en) | Trash Storage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 | |
WO2020087030A1 (en) | Trash storage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 | |
NO180082B (no) | Kompostbeholder med gjennomluftingssystem for innfylt avfall | |
CN104401630B (zh) | 一种智能信息化立体环保垃圾站 | |
US6158926A (en) | Suction system for urban wastes and for recyclable materials | |
CN105905480B (zh) | 一种倾倒便捷的分类垃圾桶 | |
CN212798123U (zh) | 一种垃圾分类储放箱 | |
CN106005808A (zh) | 一种垃圾收集储存器 | |
KR200451116Y1 (ko) | 쓰레기 위생 보관장치 | |
JP4383967B2 (ja) | 地上設置型のゴミ収納装置 | |
CN204250730U (zh) | 一种智能信息化立体环保垃圾站 | |
KR100958817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
KR100842176B1 (ko) | 차량용 쓰레기 적재함 | |
EP0816259A1 (en) | Process and container for collecting urban solid waste materials | |
KR101654506B1 (ko) | 가정용 쓰레기 배출방법 및 장치 | |
CN206142266U (zh) | 一种水平复式压缩垃圾转运站 | |
WO1998054072A1 (es) | Colector ecologico oculto de residuos solidos urbanos | |
CN110485516B (zh) | 一种基于大数据处理分析的智能公共服务方法及其系统 | |
RU2739439C1 (ru) | Система подземного хранения мусора | |
KR100958105B1 (ko) | 쓰레기 수거장치 | |
AU2018101955A4 (en) | Litter bin and gross pollution collection and disposal container arrangement | |
DE19524629C1 (de) | Stationäre Bioabfallsammelanlage | |
KR100441034B1 (ko) | 화장실의 인체 배설물 자동 소각장치 | |
JPH0333604B2 (ko) | ||
CN210681934U (zh) | 一种光伏云智能垃圾分类收集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