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04Y1 -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04Y1
KR200451004Y1 KR2020100008274U KR20100008274U KR200451004Y1 KR 200451004 Y1 KR200451004 Y1 KR 200451004Y1 KR 2020100008274 U KR2020100008274 U KR 2020100008274U KR 20100008274 U KR20100008274 U KR 20100008274U KR 200451004 Y1 KR200451004 Y1 KR 200451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nion
dehydration
laundry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찬
Original Assignee
윤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782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100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홍찬 filed Critical 윤홍찬
Priority to KR2020100008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를 개선하여 페달의 답력을 이용하여 회전형 걸레의 세탁 헹굼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별도의 페달 조작 없이도 신축 가능한 봉만을 이용하여 회전형 걸레의 세탁 헹굼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축 가능한 봉(110)과, 상기 봉(110)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저면에 결합홈(121)이 형성된 원판(120)과, 상기 원판(120)에 마련된 마포(130)로 이루어진 걸레부(100)와; 페달(211)이 마련된 용기형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 내부 일측에 위치하여 원심력을 통해 상기 마포(130)를 탈수시키는 탈수조(220)와, 상기 본체(210) 내부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결합홈(121)에 대응하는 세탁봉(230)과, 상기 페달(211)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기 본체(210)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래크(240)와,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251)을 포함하여 상기 탈수조(220)를 가속 회전시키는 탈수동력 전달기구(250)와,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261)을 포함하여 상기 세탁봉(230)을 회전시키는 세탁동력 전달기구(260)로 이루어진 몸체부(200)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과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청소용구{Cleaning equipment}
본 고안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를 개선하여 페달의 답력을 이용하여 회전형 걸레의 세탁 헹굼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별도의 페달 조작 없이도 신축 가능한 봉만을 이용하여 회전형 걸레의 세탁 헹굼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과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걸레(mop)란 바닥을 물청소하기 위한 밀대, 즉 봉이 달린 걸레로서, 이 밀대의 하단에 마포가 마련되어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일반적인 밀대걸레의 탈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형 걸레 및 그 탈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걸레 및 그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걸레 및 그 탈수장치는 마포(1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걸레(10)와; 페달(21)이 마련된 용기형 본체(22)와, 상기 본체(22) 내부에 상기 걸레(10)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한 탈수조(23)를 포함하는 몸체부(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형 걸레 및 그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레(10)의 하단에 마련된 마포(11)를 이용하여 바닥 청소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마포(11)가 오염될 경우, 상기 몸체부(20)의 본체(22) 내에 물을 받아 상기 걸레(10)의 마포(11)를 상하로 움직여 세탁 헹굼을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걸레(10)의 마포(11)를 상기 탈수조(23)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페달(21)을 밟으면, 이 답력에 의해 상기 탈수조(23)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걸레(10)의 탈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는 오직 걸레의 탈수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걸레의 세탁 헹굼을 위해서는 직접 사용자가 걸레를 물 속에 담근 후 상하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종래에는 회전형 걸레의 봉 길이 조절이 비교적 불편하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페달을 밟아 세탁봉에 결합된 회전형 걸레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 헹굼을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페달 조작 없이도 회전형 걸레의 봉을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회전형 걸레를 회전시켜 세탁 헹굼을 실시할 수 있고, 특히 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과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신축 가능한 봉과, 상기 봉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저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에 마련된 마포로 이루어진 걸레부와; 페달이 마련된 용기형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위치하여 원심력을 통해 상기 마포를 탈수시키는 탈수조와,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세탁봉과,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을 포함하여 상기 탈수조를 가속 회전시키는 탈수동력 전달기구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을 포함하여 상기 세탁봉을 회전시키는 세탁동력 전달기구로 이루어진 몸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탈수 피니언과 상기 세탁 피니언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의 2단 기어로 이루어진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탈수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과, 상기 탈수 피니언에 직각방향으로 치합하여 상기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원웨이 연결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과, 상기 세탁 피니언에 나란하게 치합하여 상기 세탁봉을 회전시키는 원웨이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래크는 상기 탈수 피니언에 치합하도록 상부에 치형이 형성된 제1래크와, 상기 세탁 피니언에 치합하도록 측면에 치형이 형성된 제2래크로 이분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뿐 아니라, 상기 걸레부의 봉은 내부에 나선형 가이드레일이 축방향으로 고정된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파이프와; 내주에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방향 경사돌기가 형성된 가이드와; 축방향의 소정 유격을 갖도록 상기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경사돌기에 대응하는 경사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에 고정되는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의 말단에는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며, 그 중단에는 코일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외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외측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다수개의 가지로 분할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조여주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주에 위치하여 일측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입구를 가지며, 측면에 장방형의 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유동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홀 내에 위치하는 조절돌기가 편심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유동체를 고정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조절레버로 이루어진 그리퍼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페달을 밟아 세탁봉에 결합된 회전형 걸레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 헹굼을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페달 조작 없이도 회전형 걸레의 봉을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회전형 걸레를 회전시켜 세탁 헹굼을 실시할 수 있고, 특히 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과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걸레 및 그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청소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걸레부와 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페달에 의한 작동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봉의 일부절결도,
도 6은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그리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그리퍼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고안의 청소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걸레부와 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페달에 의한 작동 요부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4의 (a)는 그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봉의 일부절결도로서, 도 5의 (a)는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가이드(113)와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그리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그리퍼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로서, 도 7의 (a)는 내측 파이프(112)를 고정시킨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그 저면도이며, (c)는 내측 파이프(112)가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d)는 그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청소용구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걸레부(100)와 몸체부(200)로 이루어져 페달(211)을 밟아주는 동작으로 상기 몸체부(200)에 마련된 탈수조(220)와 세탁봉(230)이 일체로 고속 회전하게 됨으로써, 걸레부(100)의 탈수 또는 세탁 헹굼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걸레부(100)를 누르는 동작으로도 마포(130)가 마련된 원판(120)이 회전하게 되어 세탁 헹굼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그 중단에 마련된 그리퍼(140)를 통해 손쉽게 길이조절 또한 가능한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청소용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레부(100)와 몸체부(200)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걸레부(100)는 다수의 봉(110)과, 마포(130)가 마련되어 회전 가능한 원판(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봉(110)은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파이프로서, 서로 각기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큰 직경의 파이프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봉(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봉(110)의 상단에는 손잡이(110a)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 봉(110)의 하단에는 원판(1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원판(120)의 저면에는 도 3과 같이 대략 십자형상의 결합홈(121)이 음각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홈(121)은 이후에 설명할 세탁봉(230)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원판(12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121)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마포(1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포(130)는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면 등의 소재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봉(110)을 잡고 마포(130)를 이용하여 바닥 등을 걸레질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몸체부(200)는 용기 형상의 본체(210)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200) 내부에는 탈수조(220)와 세탁봉(23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본체(210)의 외주 저면에는 페달(211)의 답력에 의하여 연동하는 래크(240), 탈수동력 전달기구(250), 그리고 세탁동력 전달기구(260)가 마련된다.
우선 상기 본체(210)는 그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장방형의 양동이와 같은 형상으로 그 일측에 탈수조(220)가 위치하고 그 타측에 세탁봉(230)이 위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210)에는 운반손잡이(212)나 운반고리(213)를 마련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탈수조(220)는 다수의 유통공(222)이 형성된 그물망 용기로서 그 저면에 샤프트(221)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본체(2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샤프트(221)가 관통하는 고무패킹을 마련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탈수조(220) 주위에는 별도의 일체형 커버(223)를 두어 탈수되는 물이 본체(210)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걸레부(100)의 탈수 시 상기 탈수조(220) 내부에 마포(130)를 넣고 탈수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봉(230)은 상술한 상기 걸레부(100)의 원판(120)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대응하는 것으로, 십자형상이 양각되어 있어 세탁 헹굼 시 상기 걸레부(100)의 원판(120)을 이 세탁봉(23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탁봉(230)의 저면에도 샤프트(231)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본체(2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샤프트(231)가 관통하도록 고무패킹을 두어 누수가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외부 저면에는 사용자의 답력을 입력받기 위한 페달(2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페달(211)에 가해진 답력을 이용하여 상술한 탈수조(220)나 세탁봉(2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페달(211)은 그 일측이 별도의 프레임(27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270)과 상기 페달(211) 사이에는 탄성체(271)가 마련되어 답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페달(211)을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페달(211)에는 래크(240)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페달(211)의 회동에 따라 상기 래크(240)가 상기 프레임(270) 상에서 도면상 좌우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래크(240)에 의해 탈수동력 전달기구(250)는 샤프트(221)를 회전시켜 상술한 탈수조(220)를 회전시키게 되며, 세탁동력 전달기구(260)는 샤프트(231)를 회전시켜 상술한 세탁봉(23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탈수동력 전달기구(250)는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251)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탁동력 전달기구(260)는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261)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페달(211)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래크(240)를 통해 탈수동력 전달기구(250) 및 세탁동력 전달기구(260)가 연동하여 각각 상기 탈수조(220) 및 세탁봉(230)을 회전시킴으로써, 걸레부(100)에 대한 탈수 또는 세탁 헹굼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탈수 피니언(251)과 상기 세탁 피니언(261)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의 2단 기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페달(211)에 가해지는 답력을 이용하여 상기 탈수조(220) 또는 세탁봉(230)을 비교적 빠르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탈수 피니언(251)과 상기 세탁 피니언(261)을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의 2단 기어로 형성하고, 작은 직경의 기어가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레부(100)의 세탁 헹굼을 위한 상기 세탁봉(230)의 회전은 탈수를 위한 상기 탈수조(220)의 회전 보다 느린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탈수 피니언(251)의 직경 차이를 상기 세탁 피니언(261)의 직경 차이에 비해 크게 설계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탈수동력 전달기구(250)는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251)과, 상기 탈수 피니언(251)에 직각방향으로 치합하여 상기 탈수조(220)를 회전시키는 원웨이 연결기어(252)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260)는 상기 래크(240)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261)과, 상기 세탁 피니언(261)에 나란하게 치합하여 상기 세탁봉(230)을 회전시키는 원웨이 연결기어(26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211)에 연동하여 래크(240)가 직선 왕복하게 되면, 이 래크(240)에 치합한 2단의 탈수 피니언(251)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탈수 피니언(251)에 치합한 원웨이 연결기어(252)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기어(252)의 중심에는 상기 탈수조(220)의 샤프트(221)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52)와 상기 탈수조(22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52)는 탈수 피니언(251)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탈수조(220)의 샤프트(221)에 전달하는 반면, 상기 탈수조(220)로부터의 역방향 회전력은 상기 탈수 피니언(251)에 전달되지 않도록 겉돌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답력이 가해진 페달(211)이 최초 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52)는 그 내주면에 다수의 핀이 소정의 유격을 두고 마련되고 탄성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52)의 일방향 회전 시 다수의 핀이 상기 탈수조(220)의 샤프트 외주면에 맞물려 함께 회전하는 반면, 상기 샤프트의 역회전 시 다수의 핀들이 유격에 의해 이동하여 아이들 상태로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래크(240)가 직선 왕복하게 될 때, 이 래크(240)에는 세탁 피니언(261)도 치합하여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세탁 피니언(261)에 치합한 원웨이 연결기어(262)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탁동력 전달기구(260)에 마련된 원웨이 연결기어(262) 또한 상술한 탈수동력 전달기구(250)에 마련된 원웨이 연결기어(25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62)의 중심에는 상기 세탁봉(230)의 샤프트(231)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62)와 상기 세탁봉(23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웨이 연결기어(2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피니언(261)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세탁봉(230)의 샤프트(231)에 전달하는 반면, 상기 세탁봉(230)으로부터의 역방향 회전력은 상기 탈수 피니언(251)에 전달되지 않도록 겉돌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상기 탈수 피니언(251)과 상기 세탁 피니언(261)이 가속을 위한 2단의 구조라 단순히 설명하였으나, 높은 가속비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탈수 피니언(251)과 상기 세탁 피니언(261) 각각에 대해 큰 직경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상기 탈수 피니언(251)과 상기 세탁 피니언(261)은 모두 본체(210) 저면에 모두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 즉 직경이나 방향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설계상의 이유로 본 고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큰 가속비를 얻기 위한 상기 탈수 피니언(251)을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배열하고, 상기 탈수 피니언(251)에 비해 작은 가속비를 얻기 위한 상기 세탁 피니언(261)을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래크(240)는 상기 탈수 피니언(251)에 치합하도록 상부에 치형이 형성된 제1래크(241)와, 상기 세탁 피니언(261)에 치합하도록 측면에 치형이 형성된 제2래크(242)로 이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는 사용자가 오직 페달(211)에 답력을 가하여 걸레부(100)의 원판(120)을 회전시켜 탈수하거나 혹은 세탁 헹굼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페달(211) 조작 없이 오직 상기 걸레부(100)의 봉(110)을 이용하여 원판(120)을 회전시켜 탈수하거나 세탁 헹굼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레부(100)의 봉(1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이 축방향으로 고정된 외측 파이프(111)와; 상기 외측 파이프(111)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파이프(112)와; 내주에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에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돌기(113a)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방향 경사돌기(113b)가 형성된 가이드(113)와; 축방향의 소정 유격을 갖도록 상기 가이드(113)를 수용하며, 상기 경사돌기(113b)에 대응하는 경사턱(114a)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112)에 고정되는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레부(100)의 봉(110)은 다수 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봉(110)은 걸레부(100)의 사용 시 그 길이를 신장시키고, 미사용 시 보관을 위해 그 길이를 단축시킬 수도 있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이를 위해, 통상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큰 직경의 파이프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이와 같이 조절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봉(110)의 단순한 길이 조절 뿐 아니라, 봉(110)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이 봉(110)의 하단에 마련된 원판(12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큰 직경의 외측 파이프(111)와 작은 직경의 내측 파이프(112)를 두고, 상기 외측 파이프(111)의 내부에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을 축방향으로 마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개(111c)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 마개(111c)의 상단에는 다른 파이프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산(111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내측 파이프(112) 내부에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에 안내되어 회전하는 가이드(113)와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을 두어,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 내부로 들어갈 때, 즉 봉(110)의 길이가 짧아질 때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111)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회전하고,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로부터 빠져 나올 때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그대로 나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11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을 따라 축방향 이동시 회전하도록 나선형 가이드돌기(113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인 축방향 하측면에는 등간격을 두고 일방향 경사돌기(11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은 상기 가이드(113)를 수용하고 있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이드(113)가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 내부에서 축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유격을 갖고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 내부로 들어갈 때에는 상기 가이드(113)의 저면이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 내부에서 접촉하게 되며,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 외부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113)의 상면이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 내부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113)의 일방향 경사돌기(113b)에 대응하는 경사턱(11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일방향 경사돌기(113b)와 상기 경사턱(114a)이 서로 맞물릴 경우 일방향 회전이 제한되며, 그 역방향 회전은 상호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외측 파이프(111)의 내부로 내측 파이프(112)를 밀어 넣어 봉(110) 전체의 길이를 단축시킬 때에는 상기 가이드(113)가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의 내부에서 아래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113)의 일방향 경사돌기(113b)가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의 경사턱(114a)에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에 안내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113)에 의해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도 회전함은 물론, 이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이 고정된 내측 파이프(112)가 모두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외측 파이프(111)의 내부로부터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인출되어 상기 봉(110) 전체의 길이가 신장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113)가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113)의 일방향 경사돌기(113b)가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의 경사턱(114a)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에 안내되는 상기 가이드(113)만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 내부에서 회전할 뿐,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과 내측 파이프(112)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상기 외측 파이프(11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걸레부(100)의 마포(130)를 탈수조(220)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원판(120)을 세탁봉(230)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봉(110)을 잡고 아래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 안으로 들어가면서 회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봉(110)의 전체 길이가 단축되면서 원판(120)이 회전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탈수 또는 세탁 헹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로부터 빠져 나올 때에는 회전 없이 상기 봉(110)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의 말단에는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토퍼(115)가 마련되며, 그 중단에는 코일스프링(116)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의 말단에 별도의 스토퍼(115)를 고정시켜 상기 가이드(113)를 수용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이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111a)의 외주에 코일스프링(116)을 마련하되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114)과 상기 내측 파이프(112)의 마개(111c)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에서는 걸레부(100)의 봉(110)을 아래로 미는 동작만으로 원판(120)을 회전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걸레부(100)의 봉(110) 길이를 조절한 후, 조절된 길이로 고정시키는 그리퍼(140)에 대해 설명한다.
즉, 위에서와 같이 봉(110)을 이용하여 탈수 또는 세탁 헹굼을 할 때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로부터 자유롭게 삽입 또는 인출되어야 한다.
하지만, 걸레부(100)의 미사용 시 보관을 하거나 또는 걸레질을 할 때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상기 외측 파이프(111)에 고정되어 길이가 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111)와 상기 내측 파이프(112) 사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외측 파이프(111)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다수개의 가지(141a)로 분할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112)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조여주는 고정체(141)와; 상기 고정체(141)의 외주에 위치하여 일측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입구(142a)를 가지며, 측면에 장방형의 조절홀(142b)이 관통 형성된 유동체(142)와; 상기 고정체(1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홀(142b) 내에 위치하는 조절돌기(143a)가 편심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유동체(142)를 고정체(141)로부터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조절레버(143)로 이루어진 그리퍼(14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별도의 기구를 돌려서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길이조절이 난해했던 반면(도 1 참조), 본 고안에 있어서는 조절레버(143)의 회동에 따라 조절돌기(143a)가 상기 유동체(142)의 조절홀(142b) 내에서 움직이게 되어 보다 손쉽게 봉(110)의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체(142)는 상기 고정체(141)의 외주에서 승강하게 되며, 상기 유동체(142)가 상승할 경우 도 7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41)에 마련된 가지(141a)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유동체(142)가 하강할 경우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지(141a)들은 입구(142a)에 의하여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지(141a)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지(141a)가 조여질 경우 상기 외측 파이프(111)로부터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가지(141a)가 벌어질 경우 상기 외측 파이프(111)로부터 상기 내측 파이프(112)가 해제되어 자유롭게 상기 봉(11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탈수나 세탁 헹굼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청소용구는 기본적으로 걸레부(100)의 원판(120)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마포(130)를 탈수조(220)에 올려놓고 페달(211)을 밟아 탈수를 할 수도 있고, 원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121)을 세탁봉(230)에 결합시킨 후 페달(211)을 밟아 세탁 헹굼 또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페달(211)을 밟지 않고도 걸레부(100)의 봉(110)을 아래로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외측 파이프(111)를 기준으로 내측 파이프(112)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걸레부(100)의 탈수나 세탁 헹굼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소용구는 기본적인 탈수 기능 이외에 세탁봉(230)을 이용하여 세탁 헹굼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치형이 이분 형성된 래크(240)를 통해 높은 가속비를 얻는 동시에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걸레부(100)의 봉(110)을 잡고 누름에 따라 페달(211)의 조작 없이 탈수나 세탁 헹굼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개선된 그리퍼(140)를 통해 봉(110)의 길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걸레부 110 : 봉
111 : 외측 파이프 111a : 나선형 가이드레일
112 : 내측 파이프 113 : 가이드
113a : 나선형 가이드돌기 113b : 경사돌기
114 :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 114a : 경사턱
115 : 스토퍼 116 : 코일스프링
120 : 원판 121 : 결합홈
130 : 마포 140 : 그리퍼
141 : 고정체 141a : 가지
142 : 유동체 142a : 입구
142b : 조절홀 143 : 조절레버
143a : 조절돌기 200 : 몸체부
210 : 본체 211 : 페달
220 : 탈수조 230 : 세탁봉
240 : 래크 241 : 제1래크
242 : 제2래크 250 : 탈수동력 전달기구
251 : 탈수 피니언 252, 262 : 원웨이 연결 기어
260 : 세탁동력 전달기구 261 : 세탁 피니언

Claims (7)

  1. 신축 가능한 봉과, 상기 봉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저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에 마련된 마포로 이루어진 걸레부와;
    페달이 마련된 용기형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위치하여 원심력을 통해 상기 마포를 탈수시키는 탈수조와,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세탁봉과,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을 포함하여 상기 탈수조를 가속 회전시키는 탈수동력 전달기구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을 포함하여 상기 세탁봉을 회전시키는 세탁동력 전달기구로 이루어진 몸체부로 구성된 청소용구에 있어서;
    상기 걸레부의 봉은
    내부에 나선형 가이드레일이 축방향으로 고정된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파이프와;
    내주에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방향 경사돌기가 형성된 가이드와;
    축방향의 소정 유격을 갖도록 상기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경사돌기에 대응하는 경사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에 고정되는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피니언과 상기 세탁 피니언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의 2단 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탈수 피니언과, 상기 탈수 피니언에 직각방향으로 치합하여 상기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원웨이 연결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래크에 치합하는 세탁 피니언과, 상기 세탁 피니언에 나란하게 치합하여 상기 세탁봉을 회전시키는 원웨이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탈수 피니언에 치합하도록 상부에 치형이 형성된 제1래크와, 상기 세탁 피니언에 치합하도록 측면에 치형이 형성된 제2래크로 이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가이드레일의 말단에는 상기 일방향 회전 제한 모듈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며, 그 중단에는 코일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외측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다수개의 가지로 분할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조여주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주에 위치하여 일측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입구를 가지며, 측면에 장방형의 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유동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홀 내에 위치하는 조절돌기가 편심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유동체를 고정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조절레버로 이루어진 그리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2020100008274U 2010-08-09 2010-08-09 청소용구 KR200451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74U KR200451004Y1 (ko) 2010-08-09 2010-08-09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74U KR200451004Y1 (ko) 2010-08-09 2010-08-09 청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004Y1 true KR200451004Y1 (ko) 2010-11-16

Family

ID=4447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274U KR200451004Y1 (ko) 2010-08-09 2010-08-09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03B1 (ko) 2011-04-29 2011-10-18 김은정 청소용구
CN103027646A (zh) * 2011-10-08 2013-04-10 3M创新有限公司 手压式旋转驱动装置及旋转脱水拖把
CN103462573A (zh) * 2013-09-17 2013-12-25 慈溪市博生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清洗装置的拖把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81Y1 (ko) 2001-01-22 2001-09-25 이기성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US20090307856A1 (en) 2005-04-26 2009-12-17 Leifheit Ag Rotatably driven mopping device
KR200449155Y1 (ko) * 2009-10-20 2010-06-17 박준규 몹과 탈수통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81Y1 (ko) 2001-01-22 2001-09-25 이기성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US20090307856A1 (en) 2005-04-26 2009-12-17 Leifheit Ag Rotatably driven mopping device
KR200449155Y1 (ko) * 2009-10-20 2010-06-17 박준규 몹과 탈수통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03B1 (ko) 2011-04-29 2011-10-18 김은정 청소용구
CN103027646A (zh) * 2011-10-08 2013-04-10 3M创新有限公司 手压式旋转驱动装置及旋转脱水拖把
WO2013052439A2 (en) * 2011-10-08 2013-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nual rotation driving unit and spin dehydrating mop
WO2013052439A3 (en) * 2011-10-08 2013-06-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nual rotation driving unit and spin dehydrating mop
CN103462573A (zh) * 2013-09-17 2013-12-25 慈溪市博生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清洗装置的拖把桶
CN103462573B (zh) * 2013-09-17 2016-04-13 慈溪市博生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洗装置的拖把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528B2 (en) Dehydrating device
KR20150001331U (ko) 페달식 밀대걸레 통과 밀대걸레 어셈블리
JP3179177U (ja) 螺旋駆動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スピンモップ
CN201806661U (zh) 一种旋转拖把杆
KR200451004Y1 (ko) 청소용구
CN102319048A (zh) 清洁工具
US20110000043A1 (en) Disc rota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a mop
KR100990174B1 (ko)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CN102178496B (zh) 拖把洗涤脱水桶和自旋拖把组件
CN104939776B (zh) 拖把的清洗方法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CN104083134B (zh) 一种清洁工具
WO2018109814A1 (ja) 手動洗濯機
KR100990177B1 (ko) 세척 및 탈수 장치
CN201879632U (zh)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CN205251455U (zh) 一种升降桶平板拖把清洁工具的清洗、脱水机构
CN205458482U (zh) 一种平板拖把清洁工具
CN205458512U (zh) 一种平板拖把清洁工具的清洗机构
KR20140051008A (ko) 감속장치를 구비한 회전걸레청소기
CN106491057A (zh) 转动拧干省力的拖把
CN202458253U (zh) 一种拖把头助力清洗脱水桶
KR101246757B1 (ko) 회전걸레세척기의 걸레판 홀더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KR101073803B1 (ko) 청소용구
CN201537070U (zh) 一种旋转式拖把的脱水装置
KR101096783B1 (ko)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601

Effective date: 201110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