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03B1 -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03B1
KR101073803B1 KR1020110040658A KR20110040658A KR101073803B1 KR 101073803 B1 KR101073803 B1 KR 101073803B1 KR 1020110040658 A KR1020110040658 A KR 1020110040658A KR 20110040658 A KR20110040658 A KR 20110040658A KR 101073803 B1 KR101073803 B1 KR 10107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isc
laundry
main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정 filed Critical 김은정
Priority to KR102011004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걸레의 세탁 및 탈수장치를 개선하여 페달에 답력을 가하거나 또는 단순히 회전형 걸레의 회전에 의하여 치합회전부와 세탁원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세탁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형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 일 측에 위치하여 원심력을 통해 그 내부에 담긴 회전형 걸레(10)를 탈수시키는 탈수조(200)와; 상기 본체(100) 내부 타 측에 위치하여 세탁용 치합돌기(310)를 통해 회전형 걸레(10)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치합회전부(300)와; 다수의 세탁돌기(4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치합회전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세탁원판(400)과; 상기 치합회전부(300) 및 상기 세탁원판(400)에 연결되어 상기 치합회전부(300)와 상기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세탁동력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사용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페달 없이도 회전형 걸레의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페달에 답력을 가하는 조작으로 치합회전부와 회전형 걸레가 함께 정방향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포에 접촉하는 세탁원판이 그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청소용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걸레의 세탁 및 탈수장치를 개선하여 페달에 답력을 가하거나 또는 단순히 회전형 걸레의 회전에 의하여 치합회전부와 세탁원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세탁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사용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페달 없이도 회전형 걸레의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페달에 답력을 가하는 조작으로 치합회전부와 회전형 걸레가 함께 정방향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포에 접촉하는 세탁원판이 그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걸레(mop)란 바닥을 물청소하기 위한 밀대, 즉 봉이 달린 걸레로서, 이 밀대의 하단에 마포가 마련되어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일반적인 밀대걸레의 탈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6290호(선행기술 1)에는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걸레(10)와 탈수통(20)으로 이루어져, 상기 탈수통(20)에 마련된 페달(21)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탈수조(22)가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탈수조(22) 내에 회전형 걸레(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페달(21)을 밟아 탈수조(2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형 걸레(10)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를 통해, 회전형 걸레(10)의 탈수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었으나, 소비자들로부터 상기 회전형 걸레(10)의 세탁 기능까지도 요구되었다.
도 2는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세탁 및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1004호(선행기술 2)에는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세탁 및 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세탁 및 탈수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걸레(30)와 본체(40)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40)에 마련된 페달(41)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탈수조(42)와 치합회전부(43)가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탈수조(42) 내에 회전형 걸레(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페달(41)을 밟아 탈수조(4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형 걸레(30)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치합회전부(43)에 회전형 걸레(30)를 치합시킨 상태에서 페달(41)을 밟아 치합회전부(43)를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형 걸레(30)의 세탁 또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선행기술 2에는 페달(41)에 답력을 가하여 탈수조(42) 및 치합회전부(43)를 회전시키는 기술 뿐 아니라, 회전형 걸레(30)를 개선하여 별도의 페달(41) 조작 없이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 회전형 걸레(30)의 마포가 회전하는 기술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페달(41)에 답력을 가하거나 회전형 걸레(3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탈수조(42) 내에서 회전형 걸레(30)를 회전시켜 탈수를 실시하거나, 치합회전부(43)에 치합된 회전형 걸레(30)를 회전시켜 세탁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 1로 개시된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는 물론, 선행기술 2로 개시된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세탁 및 탈수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기어 구조를 채택하여 장기간 사용 시 내구성이 떨어지며, 탈수조 내에서 세탁 및 탈수 이후 더러워진 물의 배출이 어렵거나 바닥면에서 완전히 배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혹은 탈수조 내에서 회전형 걸레가 헛도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특히, 회전형 걸레의 세탁 효율을 보다 높여달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가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46290호 선행기술 2 :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5100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형 걸레의 세탁 및 탈수장치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사용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페달 없이도 회전형 걸레의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페달에 답력을 가하는 조작으로 치합회전부와 회전형 걸레가 함께 정방향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포에 접촉하는 세탁원판이 그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형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일 측에 위치하여 원심력을 통해 그 내부에 담긴 회전형 걸레를 탈수시키는 탈수조와; 상기 본체 내부 타 측에 위치하여 세탁용 치합돌기를 통해 회전형 걸레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치합회전부와; 다수의 세탁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치합회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세탁원판과; 상기 치합회전부 및 상기 세탁원판에 연결되어 상기 치합회전부와 상기 세탁원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세탁동력 전달기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 상기 탈수조에는 회전형 걸레와의 치합을 위한 탈수용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은 경사각을 이루어 배수효율이 높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마련되며, 이 배수구에는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기구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는 세탁돌부가 형성되어 세탁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본체의 외측 저부는 그 단면적이 확장되어 수평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의 일 예로는, 상기 치합회전부에 연결된 세탁기어와; 상기 세탁원판에 연결된 세탁원판기어와; 상기 세탁기어와 상기 세탁원판기어 사이에 맞물려 아이들상태로 회전하여 그 회전방향을 반전시키는 아이들기어 및 역전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와는 다르게,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의 다른 예로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된 페달과;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되, 서로 마주보도록 치형이 형성된 정방향래크 및 역방향래크와; 상기 정방향래크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정방향 피니언과; 상기 역방향래크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세탁원판을 회전시키는 역방향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하로 승강하며, 그 내주면에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탈수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탈수동력 전달기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함께, 상기 정방향 피니언은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치합회전부에 연결된 치합회전부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역방향 피니언은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세탁원판에 연결된 세탁원판 회전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바에는 대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대기어에 맞물리되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탈수조에 연결된 탈수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소기어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회전형 걸레의 세탁 및 탈수장치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사용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페달 없이도 회전형 걸레의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페달에 답력을 가하는 조작으로 치합회전부와 회전형 걸레가 함께 정방향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포에 접촉하는 세탁원판이 그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그 세탁 및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청소용구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형 본체(100) 내에 마련된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회전형 걸레(10)는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치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상기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에 접촉하는 세탁원판(400)은 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형 걸레(10)에 대한 세탁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청소용구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의 일 측에 탈수조(200)가 마련되고 그 타 측에 치합회전부(300) 및 세탁원판(400)이 마련되되, 상기 치합회전부(300)와 상기 세탁원판(400)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세탁동력 전달기구가 상기 본체(100) 내에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몸체를 이루는 상기 본체(100)는 그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을 위한 손잡이(140)가 마련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일 측에 위치하는 탈수조(20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바구니 형상으로 그 바닥면이 회전형 걸레(10)를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갖으며, 별도의 탈수조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탈수조(200)는 그 내부에 회전형 걸레(10)가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에 흡수된 물을 탈수하게 된다.
다음으로, 치합회전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탈수조(200)가 위치한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세탁용 치합돌기(310)가 형성되어 있어, 이 세탁용 치합돌기(310)를 통해 회전형 걸레(10)와 치합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형 걸레(10)의 저면에는 상기 세탁용 치합돌기(310)에 대응하는 치합홈(미도시)이 종래의 회전형 걸레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합회전부(300)의 하부에는 원호형 단면을 갖으며 그 표면에 다수의 세탁돌기(410)가 돌출 형성된 세탁원판(400)이 위치하게 된다.
이 세탁원판(400)은 상기 치합회전부(30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 세탁원판(400)은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치합회전부(300)와 상기 세탁원판(400)에 기어기구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원판(400)을 연동시키거나(이하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1실시예), 혹은 별도의 경로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작용력에 의하여(이하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 상기 치합회전부(300)와 상기 세탁원판(40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치합회전부(300)와 상기 세탁원판(40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1실시예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신축에 따라 자체적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는 회전형 걸레(10)를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치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형 걸레(10)를 누르는 조작만으로, 상기 치합회전부(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세탁동력 전달기구에 의해 연동하여 세탁원판(400)이 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세탁원판(400)에 형성된 세탁돌기(410)가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회전형 걸레(10)에 대한 세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대한 제 2실시예는 신축에 따라 자체적으로 회전력이 발생치 않는 회전형 걸레(10)에 대해서는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를 설계 변경하여, 도 5와 같이 상기 회전형 걸레(10)를 치합회전부(300)에 치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페달(610) 등을 조작하는 것으로 그 조작력이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에 전달되되, 그 회전방향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형 걸레(10)에 대한 세탁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탁동력 전달기구의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의 공통적인 사항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탈수조(200)에는 회전형 걸레(10)와의 치합을 위한 탈수용 치합돌기(2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 저면은 경사각을 이루어 배수효율이 높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100)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구(110)가 마련되며, 이 배수구(110)에는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기구(1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청소용구에 있어서는 탈수조(200)와 회전형 걸레(10) 상호 간의 결합이 없이 단순히 마찰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었으나, 때때로 상기 탈수조(200)와 회전형 걸레(10)가 서로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조(200) 바닥면 중앙에 상기 회전형 걸레(10)와의 치합을 위한 탈수용 치합돌기(21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탈수조(200)와 회전형 걸레(10)가 항상 치합한 상태로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상호간에 헛도는 현상을 예방하게 된다.
이뿐 아니라, 종래에 있어서는 본체(100)의 내부 저면이 단순히 수평면을 이루도록 성형되어 있어 물의 배수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저면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배수효율이 높다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110)가 마련되고, 이 배수구(110)의 개폐하는 밸브기구(12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들어서 기울여 물을 배출할 필요 없이, 단순히 상기 밸브기구(120)를 조작하는 것으로 손쉽게 물을 배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기구(120)는 다양한 조작으로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 및 도 5에는 손잡이를 직각으로 돌림에 따라 개폐가 단속되는 밸브기구(120)가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벽면에는 세탁돌부(130)가 형성되어 세탁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본체(100)의 외측 저부는 그 단면적이 확장되어 수평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본체(100)의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위치하는 내주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볼록한 세탁돌부(130)를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치합하여 회전하는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가 상기 세탁돌부(130)에 접촉하도록 하여 세탁 효율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청소용구는 회전형 걸레(10)를 회전시켜 세탁 혹은 탈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움직임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특성이 있으나, 종래에 있어서는 도 1과 같이 본체의 형상이 윗부분은 넓고 아랫부분이 좁게 되어있어, 특히 페달이 적용된 청소용구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답력이 가해짐에 따라 본체가 움직이거나 쓰러져 버리는 현상이 종종 발생했었다.
이를 개선하여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 저부는 그 단면적이 확장되어 수평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크게 두 가지 실시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제 1실시예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체(100)에 별도의 페달(610)이 적용되지 않아 신축에 따라 회전력이 작용하는 회전형 걸레(10)를 이용하여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있고, 제 2실시예로는 도 5 내지 도 10과 같이 본체(100)에 마련된 페달(610)을 사용자가 밟음에 따라 이러한 답력을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에 전달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1실시예의 세탁동력 전달기구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3과 같이 본체(100)에 별도의 페달이 적용되지 않아 신축에 따라 회전력이 작용하는 회전형 걸레(10)를 이용하여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연결된 세탁기어(510)와; 상기 세탁원판(400)에 연결된 세탁원판기어(520)와; 상기 세탁기어(510)와 상기 세탁원판기어(520) 사이에 맞물려 아이들상태로 회전하여 그 회전방향을 반전시키는 아이들기어(540) 및 역전기어(5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치합회전부(300)의 회전축인 치합회전부 회전축(320)에 세탁기어(510)가 고정되어 있고, 세탁원판(400)의 회전축인 세탁원판 회전파이프(420)에 세탁원판기어(5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세탁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세탁원판기어(520)가 연동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아이들기어(540)와 역전기어(530)를 마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세탁기어(510)의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아이들기어(540)와 역전기어(530)를 통해 상기 세탁원판기어(520)를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회전형 걸레(10)가 치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형 걸레(10)를 누를 때 상기 회전형 걸레(10)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치합회전부(300) 및 치합회전부 회전축(320), 세탁기어(510), 아이들기어(540), 역전기어(53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세탁원판 회전파이프(420)를 통해 상기 세탁원판(400)을 회전시키되, 상기 치합회전부(3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세탁원판(40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형 걸레(10)가 치합회전부(300)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세탁돌기(410)가 형성된 세탁원판(40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세탁돌기(410)가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에 접촉하여 보다 높은 세탁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경우, 도 4와 같이 상기 탈수조(200)는 탈수조 회전축(220)이 상기 본체(100)에 단순히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신축에 따라 회전력이 발생하는 회전형 걸레(10)를 이용하여 탈수를 행하게 되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구가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세탁동력 전달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체(100)에 마련된 페달(610)을 사용자가 밟음에 따라 이러한 답력을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에 전달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본체(100)의 일 측에 마련된 페달(610)과; 상기 페달(610)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되, 서로 마주보도록 치형이 형성된 정방향래크(620) 및 역방향래크(630)와; 상기 정방향래크(620)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300)를 회전시키는 정방향 피니언(640)과; 상기 역방향래크(630)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3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세탁원판(400)을 회전시키는 역방향 피니언(65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페달(610)은 사용자가 발로 답력을 가하는 구성요소로, 그 일 측이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페달(610)은 그 하부가 좌우로 양분되어 그 일 측에는 정방향래크(620)가 연결되고 그 타 측에는 역방향래크(630)가 연결된다.
이러한 정방향래크(620) 및 역방향래크(6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상에서 페달(610)을 밟음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되며,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621은 정방향래크(62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브래킷이며, 도면부호 631은 역방향래크(63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브래킷이다.
다만, 상기 정방향래크(620)에 형성된 치형과 상기 역방향래크(630)에 형성된 치형은 서로 높이 차가 있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정방향래크(620)에 형성된 치형은 낮은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역방향래크(630)에 형성된 치형은 높은 부위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정방향래크(620)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300)를 회전시키는 정방향 피니언(640)은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역방향래크(630)에 치합하여 상기 세탁원판(400)을 회전시키는 역방향 피니언(650)은 상기 정방향 피니언(6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페달(610)을 밟으면 상기 페달(610)에 의해 정방향래크(620) 및 역방향래크(630)가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되며, 이러한 정방향래크(620)에 맞물린 정방향 피니언(640)과 역방향래크(630)에 맞물린 역방향 피니언(650)이 모두 연동하여 회전하되, 상기 정방향 피니언(640)과 상기 역방향 피니언(65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피니언(640)은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치합회전부(300)에 연결된 치합회전부 회전축(320)과 연결되고; 상기 역방향 피니언(650)은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세탁원판(400)에 연결된 세탁원판 회전파이프(4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방향래크(620)에 의해 회전하는 정방향 피니언(640)이 상기 정방향래크(620)의 복귀 시에 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정방향 피니언(640)의 회전중심에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 원웨이 클러치에 치합회전부 회전축(320)이 연결되도록 하여 일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공회전 하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역방향래크(630)에 의해 회전하는 역방향 피니언(650) 또한 상기 역방향래크(630)의 복귀 시 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역방향 피니언(650)의 회전중심에 또 다른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 원웨이 클러치에 세탁원판 회전파이프(420)가 연결되도록 하여, 이 또한 일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공회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방향래크(620)와 상기 역방향래크(630)의 일 방향 이동시에만 회전력을 치합회전부(300) 및 세탁원판(400)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정방향래크(620)와 역방향래크(630)의 복귀 시에는 공회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페달(610)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탈수조(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탈수동력 전달기구에 대해 도 6 및 도 7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달(610)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하로 승강하며, 그 내주면에 나선형 가이드홈(711)이 형성된 가이드(710)와,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711)에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레일(721)이 형성되어 상기 탈수조(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바(720)로 이루어진 탈수동력 전달기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가이드(710)는 상기 페달(610)과 함께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 가능한 것으로 그 내주면에 나선형 가이드홈(7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710)에 대응하는 가이드바(720)는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된 것으로, 그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710)의 가이드홈(711)에 안내되는 나선형의 가이드레일(7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710)가 페달(610)에 의해 하강 시, 상기 가이드홈(711)에 상기 가이드레일(721)이 안내되어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력은 상기 가이드바(7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탈수동력 전달기구는 다수의 기어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특히 회전력을 직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교차축기어의 구조가 적용되고 있어 장기간 사용 시 기어이빨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탈수동력 전달기구는 가이드(710)와 가이드바(720)를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내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720)에는 대기어(730)가 고정되고, 상기 대기어(730)에 맞물리되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탈수조(200)에 연결된 탈수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소기어(740)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바(720)에 탈수조(200)를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탈수조(200)의 가속 회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바(720)에 비교적 큰 직경의 대기어(730)를 고정시키고, 이 대기어(730)에 맞물리도록 소기어(740)를 마련한다.
이때, 상기 소기어(740)의 회전중심에는 원웨이 클러치를 두어 일 방향 회전력만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에는 상기 탈수조(200)에 고정된 탈수조 회전축(220)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탈수조(20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청소용구는 기본적으로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치합회전부(300)와 함께 회전형 걸레(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세탁돌기(410)가 형성된 세탁원판(400)은 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와 상기 세탁돌기(410)가 접촉하여 높은 세탁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탈수조(200)에는 탈수용 치합돌기(210)를 추가하여, 탈수조(200) 내부에서 회전형 걸레(10)가 헛도는 현상을 예방하고, 본체(100)를 개선하여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구(110) 및 밸브기구(120)를 두어 사용자가 본체(100) 내부의 오염된 물을 보다 손쉽게 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본체(100) 내벽면에 형성된 세탁돌부(130)에 회전형 걸레(10)의 마포(11)가 충돌하여 세탁 효율을 높이고, 특히 상기 본체(100)의 형상을 개선하여 그 외측 저부의 단면적을 넓혀, 사용자가 페달(610) 조작 시 또는 각종 구성요소의 고속 회전 시에도 수평안정성을 확보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동력 전달기구의 첫 번째 실시형태의 경우, 치합회전부(300)에 연결된 세탁기어(510)와 세탁원판(400)에 연결된 세탁원판기어(520) 사이에 아이들기어(540)와 역전기어(530)를 두어, 페달(610) 없이도 회전형 걸레(10)의 신축 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페달(610) 조작 없이도 회전형 걸레(1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세탁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세탁동력 전달기구의 두 번째 실시형태의 경우, 페달(610)에 가해지는 답력이 정방향래크(620)와 역방향래크(630)를 통해 각각 정방향 피니언(640)과 역방향 피니언(650)으로 전달되어,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페달(610)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치합회전부(300)와 세탁원판(4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세탁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정방향 피니언(640)은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치합회전부 회전축(320)에 연결되고, 역방향 피니언(650) 또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세탁원판 회전파이프(420)에 연결되어 있어, 정방향래크(620)와 역방향래크(63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만 회전력을 상기 치합회전부(300) 및 세탁원판(400)에 전달하고, 상기 정방향래크(620)와 역방향래크(630)가 복귀할 때에는 공회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탈수동력 전달기구로 가이드홈(711) 및 가이드레일(721)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710) 및 가이드바(720)를 적용함으로써, 페달(610)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탈수조(200)의 회전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교차축기어를 포함한 다수의 기어기구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어 장기간 내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바(720)의 회전력이 직접 탈수조(200)에 전달되지 않고, 대기어(730) 및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소기어(740)를 적용하여 탈수조(200)의 고속 회전도 가능하며, 가이드(710)가 가이드바(720)로부터 상승 복귀할 때에는 공회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회전형 걸레 100 : 본체
110 : 배수구 120 : 밸브기구
130 : 세탁돌부 200 : 탈수조
210 : 탈수용 치합돌기 300 : 치합회전부
310 : 세탁용 치합돌기 320 : 치합회전부 회전축
400 : 세탁원판 410 : 세탁돌기
420 : 세탁원판 회전파이프 510 : 세탁기어
520 : 세탁원판기어 530 : 역전기어
540 : 아이들기어 610 : 페달
620 : 정방향래크 630 : 역방향래크
640 : 정방향 피니언 650 : 역방향 피니언
710 : 가이드 711 : 가이드홈
720 : 가이드바 721 : 가이드레일
730 : 대기어 740 : 소기어

Claims (8)

  1. 용기형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일 측에 위치하여 원심력을 통해 그 내부에 담긴 회전형 걸레를 탈수시키는 탈수조와;
    상기 본체 내부 타 측에 위치하여 세탁용 치합돌기를 통해 회전형 걸레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치합회전부와;
    다수의 세탁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치합회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세탁원판과;
    상기 치합회전부 및 상기 세탁원판에 연결되어 상기 치합회전부와 상기 세탁원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세탁동력 전달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조에는 회전형 걸레와의 치합을 위한 탈수용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은 경사각을 이루어 배수효율이 높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마련되며, 이 배수구에는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는 세탁돌부가 형성되어 세탁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본체의 외측 저부는 그 단면적이 확장되어 수평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치합회전부에 연결된 세탁기어와;
    상기 세탁원판에 연결된 세탁원판기어와;
    상기 세탁기어와 상기 세탁원판기어 사이에 맞물려 아이들상태로 회전하여 그 회전방향을 반전시키는 아이들기어 및 역전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된 페달과;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되, 서로 마주보도록 치형이 형성된 정방향래크 및 역방향래크와;
    상기 정방향래크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정방향 피니언과;
    상기 역방향래크에 치합하여 상기 치합회전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세탁원판을 회전시키는 역방향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받아 상하로 승강하며, 그 내주면에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탈수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탈수동력 전달기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피니언은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치합회전부에 연결된 치합회전부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역방향 피니언은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세탁원판에 연결된 세탁원판 회전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에는 대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대기어에 맞물리되 그 회전중심에 마련된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탈수조에 연결된 탈수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소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1020110040658A 2011-04-29 2011-04-29 청소용구 KR10107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658A KR101073803B1 (ko) 2011-04-29 2011-04-29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658A KR101073803B1 (ko) 2011-04-29 2011-04-29 청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803B1 true KR101073803B1 (ko) 2011-10-18

Family

ID=4503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658A KR101073803B1 (ko) 2011-04-29 2011-04-29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8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77B1 (ko) 2010-01-22 2010-10-29 (주)자몽나라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0990174B1 (ko) 2010-01-22 2010-10-29 (주)자몽나라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KR200451004Y1 (ko) 2010-08-09 2010-11-16 윤홍찬 청소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77B1 (ko) 2010-01-22 2010-10-29 (주)자몽나라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0990174B1 (ko) 2010-01-22 2010-10-29 (주)자몽나라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KR200451004Y1 (ko) 2010-08-09 2010-11-16 윤홍찬 청소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528B2 (en) Dehydrating device
JP6614511B2 (ja) 洗濯機の排水構造
US20170065144A1 (en) Cleaning Tool
CN111053502A (zh) 免手洗的电动拖把和清洗桶
KR100990174B1 (ko)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CN201806661U (zh) 一种旋转拖把杆
KR101073803B1 (ko) 청소용구
KR100990177B1 (ko) 세척 및 탈수 장치
CN201530927U (zh) 搓揉式洗衣机
CN101725013A (zh) 一种全自动洗衣洗鞋机
KR100436555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CN202262952U (zh) 一种清洁工具
KR200451004Y1 (ko) 청소용구
CN201870600U (zh) 具有清洗功能的甩干桶
CN211933945U (zh) 冲洗式净污分离电动拖把清洁工具
CN211883646U (zh) 免手洗的电动拖把和清洗桶
KR100438291B1 (ko) 부력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CN218880354U (zh) 一种具有托举式脱水桶的洗衣机
KR101123304B1 (ko) 세탁기 클러치의 제어 방법
CN203493583U (zh) 一种清洁工具
KR100436558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JP7240488B2 (ja) 洗濯機の排水装置、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213821284U (zh) 具有高效清洗和沥水功能的电动拖把清洗桶
KR20120004199U (ko) 수동식 세탁탈수장치
CN110495827B (zh) 一种具有蓄水功能的自动洗拖把的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