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941Y1 - 청소용 솔 - Google Patents

청소용 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941Y1
KR200450941Y1 KR2020080000725U KR20080000725U KR200450941Y1 KR 200450941 Y1 KR200450941 Y1 KR 200450941Y1 KR 2020080000725 U KR2020080000725 U KR 2020080000725U KR 20080000725 U KR20080000725 U KR 20080000725U KR 200450941 Y1 KR200450941 Y1 KR 200450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yoke
cleaning brush
lozeng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380U (ko
Inventor
최종면
Original Assignee
최종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면 filed Critical 최종면
Priority to KR2020080000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4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46B5/0079Adjustable and stable shaft or handle, e.g. generally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루가 몸체에 대하여 특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청소 시 힘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손의 피로를 대폭 줄이고, 아울러 자루가 특정한 방향으로만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폭이 협소한 공간도 손쉽게 닦을 수 있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저면에 브러시가 다수 장착되고 상면 중앙에 요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요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를 포함하는 청소용 솔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는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그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40도 내지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자루는 요크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요크에 힌지 결합되어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긴 양쪽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청소용 솔이 개시된다.
청소, 솔, 요크, 자루

Description

청소용 솔{Cleaning Brush}
본 고안은 청소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루가 몸체에 대하여 특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청소 시 힘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손의 피로를 대폭 줄이고, 아울러 자루가 특정한 방향으로만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폭이 협소한 공간도 손쉽게 닦을 수 있는 청소용 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 바닥 및 화장실 바닥 등을 닦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청소용 솔은 브러시를 지지하는 몸체의 상면이나 측면에 손잡이 기능을 하는 자루가 장착되거나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자루가 몸체의 측면이나 브러시와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체를 구부리거나 무릎을 꿇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몸체의 상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브러시가 바닥면에 대해 수평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강한 물리적 힘이 전달되도록 손목을 과도하게 비틀거나 꺾어야 하므로 손목관절 손상을 초래하는 등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루의 설치 각도가 자유로이 변경가능한 볼 조인트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 방식의 청소용 솔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또한 자루의 회전각도 범위가 360도 방향으로 형성되는 특성상 사용 중 몸체에 대한 자루의 각도가 임의로 가변될 수밖에 없어 수시로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데다 자루의 자유회전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청소용 솔은 전후 또는 좌우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구석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여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사용 시 힘의 무게를 분산시켜 손의 피로를 줄이면서 폭이 협소한 곳도 쉽게 닦을 수 있는 청소용 솔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을 창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시 힘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폭이 협소한 공간도 손쉽게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저면에 브러시가 다수 장착되고 상면 중앙에 요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요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를 포함하는 청소용 솔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는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그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40도 내지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자루는 단부에 상기 요크와 힌지 결합을 위한 로커암이 형성되고, 그 로커암에 의해 요크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긴 양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요크가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자루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청소 작업 시 브러시가 바닥면과 수평하게 밀착된 상태를 자연스럽게 유지함과 동시에 사 용자로부터 전달되는 물리적 힘이 몸체의 저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훨씬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루가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긴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루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장소에 따라 자루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양측이 뾰족한 형태의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탄하지 못한 바닥이나 구석과 같은 협소한 공간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통용되는 고유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솔의 작동상태도로써,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솔은 몸체(10)와 자루(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몸체(10)는 자루(20)를 통해 가해진 힘을 전면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마름모꼴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자루(2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요크(11)가 마름모꼴 몸체(10)의 대각선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그 몸체(10)의 상면에 대하여 40도 내지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다수의 브러시(1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10)는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사출성형한 후 브러시(15)를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자루(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힘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일측 단부에는 몸체의 요크(11)와 힌지축(22)에 의해 마름모꼴 몸체(10)의 대각선 길이가 긴 양쪽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인트 결합되는 로커암(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자루(20)는 단부에 결합된 로커암(21)을 통해 몸체의 요크(11)와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자루(20)는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장소나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자루(20)의 타측 단부에는 그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2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커암(21)과 요크(11)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22)의 결합방식 및 로커암(21)과 자루(20)를 연결하는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리벳결합, 핀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루(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구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솔은 자루(20)가 몸체(10)에 대하여 40도 내지 45도 각도로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10)를 전방으로 밀어서 바닥을 닦을 경우에는 자루(20)를 몸체(10)와 일직선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루(20)를 통해 몸체(10)에 힘을 가하게 되면 브러시(15)가 바닥면과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물리적 힘이 몸체(10)에 골고루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청소를 하는 동안 브러시(15)를 바닥면과 밀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가압하는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되며, 몸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만 가하면 되므로 청소 시 힘이 훨씬 적게 드는 것이다.
더욱이 자루(20)가 마름모형 몸체(10)의 대각선 길이가 긴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장소에 따라 자루(20)의 각도를 좌우로 조절하여 평탄하지 못한 바닥이나 구석과 같은 협소한 공간도 몸체의 뾰족한 부분을 이용해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통상의 걸레로 몸체(10)를 휘둘러 싸서 사용할 경우에는 브러시(15)가 걸레의 직물구조 내로 파고들어감에 따라 걸레가 몸체(10)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자유로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매우 유리한 작용효과를 얻 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청소작업을 안정적이면서 한층 수월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솔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요크
15: 브러시
20: 자루 21: 로커암
22: 힌지축 23: 손잡이

Claims (1)

  1. 저면에 브러시가 다수 장착되고 상면 중앙에 요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요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를 포함하는 청소용 솔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는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그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40도 내지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자루는 단부에 상기 요크와 힌지 결합을 위한 로커암이 형성되고, 그 로커암에 의해 요크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마름모꼴 몸체의 대각선 길이가 긴 양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KR2020080000725U 2008-01-17 2008-01-17 청소용 솔 KR200450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25U KR200450941Y1 (ko) 2008-01-17 2008-01-17 청소용 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25U KR200450941Y1 (ko) 2008-01-17 2008-01-17 청소용 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80U KR20090007380U (ko) 2009-07-22
KR200450941Y1 true KR200450941Y1 (ko) 2010-11-11

Family

ID=4129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725U KR200450941Y1 (ko) 2008-01-17 2008-01-17 청소용 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4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547Y1 (ko) * 2000-01-14 2000-07-15 황현준 청소용 걸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547Y1 (ko) * 2000-01-14 2000-07-15 황현준 청소용 걸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80U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5246A1 (en) Cleaning devices having feedback between different cleaning states
US7516508B2 (en) Motorized cleaning implement
US7536743B2 (en) Multi-surfaces cleaning implement
US6397427B1 (en) Mop
US8276234B2 (en) Foldable textile holder for a flat mop
US11926032B2 (en) Tool handles having stationary and rotational portions
US7761949B1 (en) Bathtub brush with defined pivot
MX2008014652A (es) Cubeta y exprimidor para limpiador.
US20100005607A1 (en) Handle for cleaning implement
TWM528721U (zh) 自擰乾平板拖把
US20080072388A1 (en) Dual opposing swivelling head implement
KR200426096Y1 (ko) 청소용 걸레 밀대
WO2019040687A2 (en) COMBINED BROOM SPONGE AND BROOM
KR101726703B1 (ko) 자동 회전형 걸레 청소기
JP2008522771A (ja) モータ付き洗浄器具
KR200450941Y1 (ko) 청소용 솔
JP3157899U (ja) 揺動可能な清掃素子を有するモップ
CN203341677U (zh) 一种多面除垢拖把
CN203873694U (zh) 一种挤水地拖
CN214595773U (zh) 一种喷雾拖把
AU2008200286B2 (en) Cleaning implement head and cleaning implement
KR100523459B1 (ko)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KR200428061Y1 (ko) 빗자루 겸용 물걸레 청소구
CN211155614U (zh) 一种免手洗拖把
JP2023157684A (ja) 清掃具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