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916Y1 -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916Y1
KR200450916Y1 KR2020080016008U KR20080016008U KR200450916Y1 KR 200450916 Y1 KR200450916 Y1 KR 200450916Y1 KR 2020080016008 U KR2020080016008 U KR 2020080016008U KR 20080016008 U KR20080016008 U KR 20080016008U KR 200450916 Y1 KR200450916 Y1 KR 200450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line
acoustic signal
earphon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902U (ko
Inventor
박승교
김찬국
최득용
조대형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2020080016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5Flexible aerials; Whip aerials with a resilien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적용시 신호선이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체 접촉 또는 신호선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음향 재생 품질 및 안테나 신호 수신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며, 외부에서 수신된 안테나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하는 커넥터부,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이어폰 헤드부, 커넥터부와 이어폰 헤드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부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이어폰 헤드부에 공급하는 음향 신호선, 음향 신호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음향 신호선의 외주에 배치되는 탄성 안테나 및 음향 신호선과 탄성 안테나를 감싸는 절연 튜브를 포함하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신호선, 안테나, 연성, 이어폰, 전자파, 케이블

Description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EARPHONE ANTENNA DEVICE}
본 고안은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부와 이어폰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음향 신호선의 외주에 길게 배치된 탄성 안테나를 포함하여 인체에 적용시 신호선이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체 접촉 또는 신호선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음향 재생 품질 및 안테나 신호 수신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폰(Mobile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등 휴대용 전자 기기를 이용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청이 늘면서, 전자 기기의 디자인과 실용성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DMB 시청을 위해 안테나와 이어폰 장치를 전자 기기에 따로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테나가 이어폰 장치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부와, 인체에 직접 착용되는 헤드부 및 커넥터부와 헤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안테나 신 호 및 음향 신호 등의 전송로 역할을 하는 신호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상기 신호선은 연성이 좋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보관 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신호선의 연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착용 시 커넥터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얼굴과 목 등의 신체 부위에 쉽게 접촉되거나 또는 감긴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신체 부위에 접촉된 신호선으로부터 전자파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생긴다.
한편, 상기 신호선을 통해 흐르는 음향신호는 약전류 신호이므로 외부의 간섭 및 전력 손실 등을 원인으로 손상되기 쉬우며, 특히 신체 부위에 신호선이 접촉된 경우에는 인체의 접지특성(GND)에 의해 신호의 손실이 발생되어 헤드부에서의 음향 재생 품질이 떨어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종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신호선과 인체의 접촉이 안테나 신호의 수신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성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종래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잦은 구부러짐으로 인해 신호선이 꺾이는 경우가 발생되기 쉬우며, 이로 인하여 음향 재생 품질 및 안테나 신호 수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부와 이어폰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음향 신호선의 외주연에 길게 배치된 탄성 안테나를 포함하여 인체에 적용시 신호선이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체 접촉 또는 신호선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음향 재생 품질 및 안테나 신호 수신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 안테나를 통해 신호선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신호선을 원하는 형태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며, 신호선이 의도하지 않게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며, 외부에서 수신된 안테나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출력하는 커넥터부, 상기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이어폰 헤드부(120, 220), 상기 커넥터부(110, 210)와 상기 이어폰 헤드부(120, 2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부(110, 2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이어폰 헤드부(120, 220)에 공급하는 음향 신호선(131, 231), 상기 음향 신호선(131, 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신호선(131, 231)의 외주에 배치되는 탄성 안테나(133, 233) 및 상기 음향 신호선(131, 231) 및 상기 탄성 안테나(133, 233)를 감싸는 절연 튜브(135, 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부(210)는 상기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핀 접속부(211), 상기 핀 접속부(211) 및 상기 음향 신호선(231)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인쇄회로기판(212), 중공형의 내부에 상기 탄성 안테나(233)의 일단(233a)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12)의 단자(212a)를 압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게 형태의 연결핀(213p)을 갖는 안테나 홀더(213) 및 상기 핀 접속부(211), 상기 인쇄회로기판(212) 및 상기 안테나 홀더(213)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넥터 케이스(214, 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안테나(233)의 타단(233b)에는 보호 튜브(233s)가 더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음향 신호선(131)의 외주 중 상기 탄성 안테나(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탄성 안테나(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브 신호선(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는 음향 신호선의 외주에 길게 배치되는 탄성 안테나를 통해 음향 신호선의 연성을 보강하고, 인체에 적용시 커넥터부와 이어폰 헤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부가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 인체와 케이블부 간에 일정 거리가 유지되어 전자파의 영향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탄성 안테나는 음향 신호선과 이어폰 헤드부 사이의 3분의 2지점까지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부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하여 케이블부가 한번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신체 접촉 또는 케이블부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음향 재생 품질 및 안테나 신호 수신율의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탄성 안테나는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케이블부를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커넥터부(110), 이어폰 헤드부(120) 및 커넥터부(110)와 이어폰 헤드 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110)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모바일 폰(Mobile Phone) 및 PMP(Portable Media Player) 등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청이 가능한 전자기기(미도시)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부(110)는 전자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고, 외부에서 수신된 안테나 신호를 전자기기에 7출력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110)는 플러그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이어폰 헤드부(120)로 전송될 음향 타입이 모노 타입의 경우에는 2극으로, 스테레오 타입일 경우에는 3극으로, 안테나 또는 리모컨 신호를 포함하는 타입의 경우에는 4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110)가 4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극은 접지, 좌측 음향신호선, 우측 음향 신호선 안테나 신호선 또는 리모컨 신호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110)는 극의 증감,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좌 마이너스 신호선, 우 마이너스 신호선 등과 더 연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이어폰 헤드부(12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케이블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전자기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즉, 이어폰 헤드부(120)에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가 실장되고, 스피커는 케이블부(130) 중 음향 신호선(미도시)에 연결된다. 이어폰 헤드부(120)는 음향 타입에 따라 모노 타입과 스테레오 타입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통화 전용의 모노 타입의 경우에는 하나의 헤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어폰 헤드부(120)의 스피커는 각각 커넥터부(110)의 좌 및 우 음향 신호선과 접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부(130)는 커넥터부(110)와 이어폰 헤드부(120)를 연결하여, 커넥터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이어폰 헤드부(120)에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안테나 신호를 수신하여 커넥터부(110)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케이블부(130)는 내부에 음향 신호선과 탄성 안테나를 포함하며, 커넥터부(110)와 이어폰 헤드부(120) 사이에 리모컨(미도시)가 연결된 경우, 음향 신호선을 통해 리모컨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케이블부(130)의 음향 신호선은 좌 음향 신호선, 우 음향 신호선, 접지 및 리모컨 신호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음향 신호선은 통상적인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연선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의 탄성 안테나는 외부로부터 안테나 신호를 수신하여 커넥터부(110)에 전달하며, 음향 신호선에 비하여 보다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음향 신호선의 외주에 길게 배치되어 연선의 음향 신호선을 보강한다.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130)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를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110)와 케이블부(13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130)의 응용예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부(130)는 음향 신호선(131), 탄성 안테나(133) 및 절연 튜브(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음향 신호선(131)은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이어폰 헤드부(120)로 전달하고, 리모콘(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이어폰 헤드부(120)에 전달한다. 도 4에서, 음향 신호선(131)은 플러그형의 커넥터부(110) 각각의 단자(110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좌 음향 신호선(131a), 우 음향 신호선(131b) 및 접지(131c)로 이루어진 3선으로 이루어지나, 1선, 2선 또는 4선 이상의 배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음향 신호선(131)을 3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음향 신호선(131)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리 및 알루미늄 또는 이에 등가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가느다란 배선이 복수 개 꼬아진 연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 음향 신호선(131)의 재질 및 형태를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탄성 안테나(133)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안테나 신호를 커넥터부(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탄성 안테나(133)는 음향 신호선(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향 신호선(131)의 외주에 배치된다. 탄성 안테나(133)의 일단(133a)은 커넥터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133b)은 음향 신호선(131)과 이어폰 헤드부(120) 사이의 대략 3분의 2지점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탄성 안테나(133)의 타단(133b)은 케이블부(130)가 인체의 목부에 이르기 직전(도 1의 n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안테나(133)는 커넥터부(110)로부터 인체의 목부에 이르는 케이 블부(130)를 지지함으로써, 연성의 음향 신호선(131)이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이어폰 헤드부(120)에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인체로부터 케이블부(130)가 적절하게 이격되므로 전기 신호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을 예방하게 된다. 한편, 탄성 안테나(133)의 타단(133b)은 단부가 라운드진 보호 튜브(133s)로 인해 둘러싸여 케이블부(130)가 탄성 안테나(133)로부터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성 안테나(133)는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연성의 음향 신호선(13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안테나(133)는 대략 0.4mm 내지 0.6mm의 직경을 갖으며,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또는 이에 등가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 튜브(135)는 음향 신호선(131) 및 탄성 안테나(133)를 피복하여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선(131)과 탄성 안테나(133)를 보호한다. 절연 튜브(135)는 음향 신호선(131)과 탄성 안테나(133)를 압착하여 탄성 안테나(133)가 음향 신호선(131)의 외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즉, 절연 튜브(135)는 탄성 안테나(133)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탄성 안테나(133)가 케이블부(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안테나(133)가 음향 신호선(131)을 적절히 지지하도록 돕는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부(130)는 탄성 안테나(133)의 외주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서브 신호선(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신호선(137)은 음향 신호선(131)의 외주 중 탄성 안테나(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양단은 탄성 안테나(13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서브 신호선(137)은 외부로부터 안테나 신호를 수신하는 표면적을 높이는 역할을 하여, 케이블부(130)를 통한 안테나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서브 신호선(137)은 탄성 안테나(133)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 신호선(131)과 동일한 재질의 전선이거나 탄성 안테나(133)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 서브 신호선(137)의 형상 및 크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탄성 안테나(133)를 통해 음향 신호선(131)의 연성을 보강하고, 인체에 적용시 케이블부(130)가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 인체와 케이블부(130) 간에 일정 거리가 유지되어 전자파의 영향이 최소화된다. 즉, 본 고안의 탄성 안테나(133)는 음향 신호선(131)과 이어폰 헤드부(120) 사이의 대략 3분의 2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부(130)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하여 케이블부(130)가 한번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신체 접촉 또는 케이블부(130)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음향 재생 품질 및 안테나 신호 수신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안테나(133)는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케이블부(130)를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중 C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200)는 커넥터부(210)와, 이어폰 헤드부(220)와, 음향 신호선(231), 탄성 안테나(233) 및 절연 튜브(235)를 포함하는 케이블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부(21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5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10)는 핀 접속부(211), 인쇄회로기판(212), 안테나 홀더(213) 및 커넥터 케이스(214, 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핀 접속부(211)는 일단(211a)은 커넥터 케이스(214, 214)의 외부로 노출되어 전기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타단(211b)에는 인쇄회로기판(212)에 솔더링(soldering)되어 전자기기와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핀 접속부(211)는 상대적으로 플러그형 커넥터에 비해 연결을 위한 핀 수가 많게 설계된 것이나, 핀 접속부(211)와 이어폰 헤드부(220) 및 케이블부(230) 간의 기본적인 연결 및 신호 배선은 도 1 내지 도 5의 커넥터부(110)와 유사하다. 핀 접속부(211)는 8핀, 10핀, 20핀 및 24핀 등이 사용되며, 케이블부(230)를 구성하는 배선의 수 및 전자기기의 기능에 따라 적합하게 구성하 여 이용 가능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12)은 커넥터부(210)와 케이블부(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 케이스(214, 21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2)에는 음향신호 및 안테나 신호의 전달을 위한 회로가 구성되며, 노이즈 제거를 위한 별도의 회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212)은 하술할 안테나 홀더(213)와의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단자(212a)를 더 포함하여 탄성 안테나(233)로부터 수신되는 안테나 신호를 핀 접속부(2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212)에는 음향 신호선(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핀 접속부(211)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음향 신호선(231)에 전달시킨다.
상기 안테나 홀더(213)는 탄성 안테나(233)를 인쇄회로기판(212)에 결합 및 고정시킨다. 안테나 홀더(213)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탄성 안테나(233)의 일단(233a)이 중공형의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부(23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탄성 안테나(233)의 타단(233b)에는 케이블부(230)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튜브(233s)가 결합된다. 본 고안의 안테나 홀더(213)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212)의 단자(212a)에 압착 고정되는 연결핀(213p)을 더 포함한다. 안테나 홀더(213)는 황동 또는 이에 등가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탄성 안테나(233)로부터 수신되는 안테나 신호를 인쇄회로기판(212)으로 전달한다.
상기 커넥터 케이스(214, 215)는 핀 접속부(211), 인쇄회로기판(212) 및 안 테나 홀더(213)가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214)와 이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215)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 케이스(214, 215)는 인쇄회로기판(212)과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케이블부(23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200)는 탄성 안테나(233)가 다수의 핀이 제공되는 커넥터부(210)에 고정되므로 이어폰 헤드부(220)를 통해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는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안테나(233)는 안테나 홀더(213)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212)과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밖의 기본적인 작용은 도 1 내지 도 5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케이블부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케이블부를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와 케이블부의 연결 관계를 나 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케이블부의 응용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중 C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110, 210 : 커넥터부
211 : 핀 접속부 212 : 인쇄회로기판
213 : 안테나 홀더 214, 215 : 커넥터 케이스
120, 220 : 이어폰 헤드부 130, 230 : 케이블부
131, 231 : 음향 신호선 133, 233 : 탄성 안테나
133s, 233s : 보호 튜브 135, 235 : 절연 튜브

Claims (4)

  1. 삭제
  2.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며, 외부에서 수신된 안테나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출력하는 커넥터부;
    상기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이어폰 헤드부;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이어폰 헤드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이어폰 헤드부에 공급하는 음향 신호선;
    상기 음향 신호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신호선의 외주에 배치되는 탄성 안테나; 및
    상기 음향 신호선 및 상기 탄성 안테나를 감싸는 절연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핀 접속부;
    상기 핀 접속부 및 상기 음향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인쇄회로기판;
    중공형의 내부에 상기 탄성 안테나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단자를 압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게 형태의 연결핀을 갖는 안테나 홀더; 및
    상기 핀 접속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안테나 홀더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넥터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안테나의 타단에는 보호 튜브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선의 외주 중 상기 탄성 안테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탄성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브 신호선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KR2020080016008U 2008-12-02 2008-12-02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KR200450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08U KR200450916Y1 (ko) 2008-12-02 2008-12-02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08U KR200450916Y1 (ko) 2008-12-02 2008-12-02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02U KR20100005902U (ko) 2010-06-10
KR200450916Y1 true KR200450916Y1 (ko) 2010-11-11

Family

ID=4445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008U KR200450916Y1 (ko) 2008-12-02 2008-12-02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58A (ko) * 2019-05-27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02U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761B2 (en) Behind-the-ear wireless device
CN1973403B (zh) 便携式电话装置
JP4743240B2 (ja) 受信装置、中継ケーブル及び電源装置
KR102075779B1 (ko)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CN210143101U (zh) 一种蓝牙耳机及其蓝牙天线
CN112153508B (zh) 蓝牙耳机
US6411709B1 (en) Flexible microphone boom
JP2004522328A (ja) マイクロ波放射又は他のいかなる危険な放射も伝達又は放出しないイヤホン及びマイクロホン(パーソナル・スピーキング・デバイス)
US11728679B2 (en) Microphone, a headphone, a kit comprising the microphone and the headphon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sound using the kit
CN110445915A (zh) 一种电子设备
KR200450916Y1 (ko) 이어폰 겸용 안테나 장치
US20110122034A1 (en) Built-in antenna for headset
CN214154798U (zh) 一种适配器
CN115377663A (zh) 无线耳机
KR20100034790A (ko) 코일스프링 이어폰
KR200461107Y1 (ko) 이어폰 보호캡
KR101853123B1 (ko) 이어폰 안테나 장치
KR101172073B1 (ko) 헬리컬 구조를 갖는 이어폰 안테나 및 이에 연결되는휴대용 수신장치
KR200442678Y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CN214756830U (zh) 耳机配件以及耳机套件
CN210110395U (zh) 一种磁铁吸附式耳机
KR20100128615A (ko) 스트링 안테나 이어폰
KR100673254B1 (ko) 배터리에 안테나가 형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
CN112954535A (zh) 耳机配件以及耳机套件
JP2011139406A (ja) 変換ケーブル、アンテナ装置、およ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