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566Y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566Y1
KR200450566Y1 KR2020100008163U KR20100008163U KR200450566Y1 KR 200450566 Y1 KR200450566 Y1 KR 200450566Y1 KR 2020100008163 U KR2020100008163 U KR 2020100008163U KR 20100008163 U KR20100008163 U KR 20100008163U KR 200450566 Y1 KR200450566 Y1 KR 200450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yer
wall
phrase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프랑코 다마토
Original Assignee
세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세다 에스.피.에이.
Priority to KR2020100008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벽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컵은 구부러진 개구 에지를 갖는 인출용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용 개구에 마주 놓인 상기 컵의 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적어도 용기 벽은 연속하는 용기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자기 자신과 연결되는 2차원적인 블랭크로부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용기가 공지된 용기의 모든 장점들을 유지하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용기 내부의 열람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기 및 특히 용기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특히 액체 밀봉성 또는 유체 밀봉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재료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 가능하고, 성형 후에는 형태 안정적이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특히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및 이와 같은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상응하는 블랭크(blank)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상기와 같은 용기는, 예를 들어 음식물을 보관한 다음에 끄집어낼 목적으로 음식물이 그 내부에 채워지거나, 음식물을 직접 먹고 마실 목적으로 음식물이 그 내부에 채워지는 컵 등의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압착 용기에 대한 예는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 0 074 936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압착 용기는 적어도 2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벽을 갖는 관 형태의 바디를 포함한다. 상단부에 있는 인출용 개구는 음식물을 채울 목적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채워진 음식물을 먹고 마실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압착 용기의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2차원적인 블랭크가 사용되며, 상기 블랭크는 우선 롤링된 다음에 연속하는 용기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자신과 연결된다.
용기 벽의 재료는 방수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상대적으로 유연하고(flexible) 그리고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료이다. 따라서, 공지된 상기 용기의 경우에는 당연히 무언가 용기 내부에 채워져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무엇이 용기 내부에 채워져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일본국 공개 실용 신안 공보 JP 56-156 777호에는, 마찬가지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다른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용기는 딱딱한 종이로 이루어진 하나의 얇은 판(laminate) 그리고 상기 판의 양면에 제공된 폴리에틸렌 층으로부터 형성되었다. 용기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얇은 판 그리고 상기 판의 양면에 제공된 폴리에틸렌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용기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유럽공개특허문헌 EP 0074936 [특허문헌 2]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JP 56-156777
본 고안의 과제는, 공지된 용기의 모든 장점들을 유지하는 가운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용기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용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상응하는 블랭크도 또한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외관상으로 대립되는 특성들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시키는 재료가 용기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을 안전하게 용기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재료는 바람직하게 액체 밀봉성 또는 유체 밀봉성이다. 따라서, 액상 유체의 유입 및 유출 및/또는 기상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이 방지된다. 밀봉과 관련해서는, 음식물이 건조된 상태, 특히 쏟아 부을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가스 밀봉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음식물이 예컨대 O2 등과 같은 기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먹고 마시는 것과 관련된 자체 특성이 부정적으로 변동되지 않는다면, 상기와 같은 가스 밀봉성도 필요치 않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재료는 투명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용기를 상응하는 블랭크로부터 제조한 후에 용기 내부가 이물질 및 특히 불순물을 함유하는지의 여부 또는 용기의 손상 여부를 간단한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과 같은 일련의 장점들이 나타난다. 압착 용기의 이와 같은 시각적인 투명성은 적어도 스펙트럼의 가시 영역 (반투명)에 존재하며, 물론 이웃하는 스펙트럼 영역, 즉 적어도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투명성은 또한 상응하는 음식물이 주입될 때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음식물이 채워진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은 음식물이 채워지는 방향에 대해 수직의 방향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재료의 투명성은 용기를 채울 때의 장점들 이외에, 상응하는 음식물을 용기로부터 빼내려 하거나 상기 용기로부터 직접 음식물을 먹고 마시려 하는 소비자를 위한 일련의 장점들도 갖는다.
소비자에게 있어서도, 음식물의 채움 정도를 간단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양 이외에 예를 들어 주입된 음식물의 농도도 확인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확인 가능성은 경우에 따라 발생되는 음식물의 변색 또는 착색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변색은 예를 들어 음식물의 신선도에 대한 추론을 가능케 하며, 이 경우 음식물의 의도적인 채색은 추가적인 시각적 구매 충동을 야기할 수 있다.
재료 투명성의 다른 장점은,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먹고 마시는 경우, 음식물이 인출용 개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장소를 상기 인출용 개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압착 용기의 벽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용기를 기울일 때 음식물이 원치 않게 인출용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원칙적으로는, 용기 벽의 일부분만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바람직하게는 액체 밀봉성 및/또는 유체 밀봉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용기 벽의 나머지 부분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딱딱한 종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라서는, 전체 용기 벽이 상기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모든 장소에서 용기 벽을 통해 용기 내부를 볼 수 있다는 것도 보다 큰 장점이 된다. 따라서, 투명한 용기 벽 섹션을 발견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용기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용기 벽이 단 하나의 섹션에서만 투명하면/반투명하면, 최대 채움 정도뿐만 아니라 먹고 마실 때 상기 채움 정도의 감소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유리한 방식은 주입된 음식물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적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용기 벽이 주입된 음식물의 높이를 따라 상응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일련의 섹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상기 섹션들은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도 있다.
상응하는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롤(-스티렌)(PS),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P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응하는 층 재료의 밀봉성을 상황에 따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는 래커 코팅층이 제공될 수 있다.
음식물을 먹고 마실 목적으로 소비자에 의해서 용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벽은 유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마찬가지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바람직하게는 액체 밀봉성 또는 유체 밀봉성을 갖는 상응하는 재료에도 적용된다.
연속하는 용기 벽을 제조할 목적으로 블랭크를 자신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블랭크는 예를 들어 면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을 때까지 롤링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상기 가장자리 맞댐 장소를 따라 블랭크가 자기 자신과 연결되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의 연결 수단(결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연결은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용기를 롤링하거나 접은 후에는 상응하는 가장자리 맞댐 장소를 따라 연결부를 만들 뿐만 아니라 블랭크의 해당 가장자리를 오버랩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하며, 이 경우 상기 오버랩 영역은 특히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버랩 영역에서는 블랭크가 자기 자신과 연결된다.
투명하고 유체 밀봉성을 갖는 재료가 상응하는 블랭크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완성된 용기의 경우 또는 완전히 상기 재료로부터 제조된 용기 벽의 경우에도 상기 상단부에 인출용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인출용 개구의 개구 에지는 상응하는 재료의 특성 변동 없이 구부러질 수 있거나 롤링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개구 에지도 또한 재료의 투명성, 유체 밀봉성 및 형태 안정성과 같은 특성들을 가지게 된다.
성형 후에는 상응하는 재료가 형태 안정적이기 때문에, 개구 에지의 경우에는 상기 개구 에지가 구부림 공정 또는 롤링 공정 후에도 자신의 상응하는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상응하는 형태 안정성에 의해서는, 개구 에지가 다만 상응하는 블랭크의 상부 가장자리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상응하는 구부림 공정, 롤링 공정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개구 에지의 변형은 본 실시예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블랭크의 자유로운 상부 가장자리를 개구 에지로서 형성하는 것과 관련한 추가의 장점으로서는, 상응하는 가장자리가 유체 밀봉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더 관찰될 수 있다. 개구 에지로서 기능하는 상기와 같은 자유로운 상부 가장자리를 구부러지고, 롤링되었거나 다른 방식으로 변형된 개구 에지와 조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또한, 재료의 특성 변동 없는 형태 안정성은 예를 들어 소위 백색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백색 균열은, 예를 들어 처음에는 투명하지만 변형 공정 또는 구부림 공정 후에는 평소에 투명한 재료가 일반적으로 선 형태의 백색 혼탁을 갖게 되는 재료에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백색 균열은, 평소에 사용자가 용기를 잡거나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상응하는 압력을 가하게 되는 벽 영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굴곡선 혹은 주름선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 변동이 예를 들어 개구 에지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는 용납될 수 있다 하더라도, 상기 특성 변동은 매우 바람직하게 회피된다.
특히 전체 용기 벽이 상기 재료로부터 형성된 경우에는, 전체 용기가 상응하게 투명/반투명하고 그리고 액체 밀봉성/유체 밀봉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성형 후에도 형태 안정적이다. 이와 같은 형태 안정성은 특히 용기를 저장할 때 또는 제조 장소와 채움 장소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할 때 중요하다. 또한, 상응하는 형태 안정성에 의해서는, 압착 용기를 채울 때 추가의 조치 없이도 적어도 용기의 인출용 개구 영역이 개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음식물이 간단히 주입될 수 있다. 형태 안정성은 또한 음식물을 먹고 마시는 경우에도 도움이 되는데, 이 경우 용기는 심지어 음식물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빼낸 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형상을 유지한다. 음식물을 먹고 마실 목적으로 용기가 압력 행사에 의하여 압착되면, 압력 행사의 종료 후에 실제로 다시 용기의 처음 형상을 취하기 위해 상기 형태 안정성이 도움이 됨으로써, 음식물은 더 많이 용기 내부로 되돌아간다.
형태 안정성도 또한 투명성 및 밀봉성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오버랩 영역에서도 충분한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변동되어서는 안 되는 특성들 중에 하나이다.
상황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갖는 층들을 투명성 및 유체 밀봉성과 관련하여 서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벽은 2 개 이상의 상응하는 층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층들은 투명할 수 있다. 이 자리에서는, "투명성"이라는 개념이 다만 반투명하다는 특성만을, 그리고 "유체 밀봉성"이라는 개념이 다만 액체 밀봉성 또는 기체 밀봉성이라는 특성만을 나타낼 수 있고, 항상 이러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언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외부 층은 PP, 방향성 PP(공압출되거나(coextruded) 래커 코팅됨), PE, PET, PET(래커 코팅됨), PA, 방향성 PA(래커 코팅됨)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층을 위해서는 다음의 재료들을 생각할 수 있다: PP, PVC, PS, PA, PET 등.
다양한 층들과 관련하여, 상기 층들은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얇은 판은 넓은 표면에 걸쳐서 상응하는 층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그 경우 블랭크는 상기 얇은 판으로부터 천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얇은 판을 사용함으로써, 상응하는 특성들이 유지되는 가운데 상기 층들의 확실한 상호 결합이 가능해진다.
층을 제조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추가의 가능성은 상기 층들을 공압출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용기에 상응하는 블랭크를,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채우기 위해서 이미 지금까지 동일한 용기에 사용된 장치들을 위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변형되지 않은 블랭크는 엄격하게 2차원일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와 같은 블랭크는 한편으로는 이송을 위하여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블랭크로부터 용기를 접거나 롤링하기 위한 상응하는 장치에 간단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는, 적어도 상기 블랭크의 외부 면이 소정의 거칠기 또는 바닥 마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소정의 거칠기 또는 바닥 마찰은 예를 들어 상응하는 삽입 장치가 블랭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및 이미 채워진 상태에서 용기를 이송할 때 뿐만 아니라 상기 채워진 압착 용기를 저장할 때 또는 사용자가 이용할 때에도, 상기 압착 용기가 뾰족한 또는 끝이 날카로운 물체와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용기 벽에 상응하는 재료가 상기와 같은 물체에 대하여 특정한 기계적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재료의 투명성 또는 유체 밀봉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손상이 방지된다.
용기를 제조할 때 또는 나중에 상기 용기를 특히 벽 영역에서 취급할 때 부정적인 시각적 결함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료가 2 개 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응하는 층들이 영구적으로 해체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층들이 국부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기포 형성 등의 결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결함 이외에 경우에 따라서는 재료의 투명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영구적으로 해체 불가능한 결합에 대한 예들은 앞에서 기술된 라미네이팅 처리 방식 또는 공압출 방법이다.
상응하는 재료의 층들의 개수와 무관하게, 복수의 층들 중에서 단 하나의 층 또는 사용된 층들 중에서 소수의 층, 층이 다수인 경우에는 특히 중간층이 탄성적이지만 영구적으로 변형 가능한 그리고 변형 후에는 형태 안정적인 층이라는 것으로 충분하다.
최상의 유체 밀봉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액체 및 기체에 대한 밀봉성이 별도의 층에 의해서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이 액체 밀봉성을 갖고 및/또는 다른 층들 중에서 하나의 층이 기체 밀봉성을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오버랩 영역에서 상응하는 층들을 추가의 연결 수단, 예컨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간략한 실시예에서, 외부 및/또는 내부층은 적어도 오버랩 영역에서 연결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층 재료와 관련해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층이 차가운 또는 따뜻한 음식물을 위하여 열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음식물을 용기 내부에서 가열하기 위하여, 모든 층이 전자파를 투과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더 언급될 수 있다.
단 하나의 층만을 통과하는 액체 및 가스에 대한 유체 밀봉성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당연히 존재한다.
특히 오버랩 영역뿐만 아니라 인출용 개구의 영역 및 상기 개구의 에지에서는, 상응하는 재료의 자유 단부 또는 가장자리가 불충분하게 밀봉된다는 문제점이 자주 나타난다. 이와 같은 문제에 의해서는, 특히 음식물의 액체 성분들 또는 응결수와 같이 압착 용기 외부에도 존재하는 액체가 재료 내부로 침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투 현상이 일반적으로는 상응하는 재료의 두께 또는 상기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를 변동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시각적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융기 현상이 나타난다. 층의 자유 단부 또는 가장자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와 같은 액체 침투 현상에 의해서는, 압착 용기가 전체적으로 밀봉되지 않거나, 예를 들어 압착 용기의 형태 안정성과 같은 특성들이 상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히 액체의 침투에 의해서는, 압착 용기의 표면이 부드러워져서 재료가 용기로부터 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점들은 층의 가장자리가 유체 밀봉성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용기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형성하기 위하여 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문구가 찍힐 수 있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상응하는 블랭크를 처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를 채우거나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사용하는 후속 단계에서도, 상기 문구는 마찰에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문구는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나 층에 가해지는 작용에 의해서도 지워지지 않아야 한다.
용기 벽 재료가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문구가 용기 외부 면에 찍힌다. 이와 같은 내용은 공압출 된 층에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그렇지 않고 용기 벽 재료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면, 문구가 외부 층의 내부 면에 및/또는 중간층의 외부 면에 및/또는 중간층의 내부 면에 및/또는 내부 층의 외부 면에 제공되는 것이 장점이 된다. 그럼으로써, 다수의 문구들도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문구들은 그래픽 형상으로 또는 칼라 형상으로도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블랭크를 자기 자신과 연결하기에 충분한 열을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층은 초음파 흡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흡수 작용에 의해서는, 상응하는 층과 가장자리가 접촉되어 있거나 표면이 접촉되어 있는 층을 냉각 후에 상호 긴밀하게 결합된다. 특별히 상기 층은, 유체 밀봉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연화되도록 적절한 강도로 가열된다. 이와 같은 내용은 오버랩 영역에서 상호 접촉 상태에 있는 2 개 층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특히 상기 층들이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경우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초음파에 의한 상응하는 재료의 가열은 결합 및 냉각 공정 후에도 재료의 투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내용이 더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층들이 얇은 판으로 형성되면, 상기 층을 라미네이팅 처리하기 전에 문구를 찍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한편으로는 상기 문구가 직접적으로 용기의 외부 면에서 유해한 영향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음식물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들을 염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그밖에 재료의 층 구조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층 자체가 얇은 판일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재료의 2 개 또는 그 이상의 층만이 공압출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용기의 하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다수의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폐쇄된 단부가 벽의 하단부 섹션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실제로 폐쇄된 단부도 또한 용기 벽 및 그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고, 투명하며, 특히 유체 밀봉성을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벽의 하단부 섹션이 결합 전에 상호 압축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열 작용에 의하여 벽 섹션들은 자기 자신과 결합될 수 있다.
용기를 폐쇄하기 위해 별도의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폐쇄된 단부가 바닥 삽입부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상기 바닥 삽입부는 별도의 블랭크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삽입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상기 바닥 삽입부도 마찬가지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물론, 상기 바닥 삽입부를 용기 벽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하고, 바닥 삽입부 및 용기 벽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상응하게 열 및 압력을 소비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
용기의 인출용 개구 영역을 폐쇄하기 위하여, 특히 상기 개구의 에지 상에는 커버가 밀봉될 수 있다.
용기 벽 및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 삽입부를 위해서 사용되는 재료는 투명하지만, 칼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재료는 선명하게 투명하지 않고, 오히려 적색, 황색, 녹색 등으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 많은 칼라로 투명하다.
문구에 의해서 경우에 따라 야기되는 음식물의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문구는 용기 벽이 단층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용기의 외부 면에 찍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폴리에틸렌을 기초로 하는 다층 재료에서도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는 경우에 따라서는 공압출에 의해서도 제조된다. 용기 재료에 의한, 또는 용기 밀봉성으로 인한 유체의 침투 혹은 손실에 의한 음식물의 부정적인 영향도 물론 전혀 없다.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채워진 상태에서 용기가 아래로 떨어질 때, 상기 용기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료는 충격에 잘 견딜 수 있고 및/또는 관통에 대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용기에 대해서는, 용기 길이 방향에 걸쳐서도 변동될 수 있는 다양한 횡단면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동은 평소에는 동일한 횡단면의 치수 변동뿐만 아니라 다른 횡단면 형상으로의 변동도 포함한다. 상기 횡단면 형상에 대한 예는 원형, 대략 다각형, 대략 사각형 및 특히 정방형, 타원형, 콩 형상 등이다.
문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칼라 등과 같은 상응하는 수단을 찍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칼라를 찍음으로써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층 또는 틈새 등에 자국을 남김으로써 상기 문구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이 경우 문구는 3차원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거나 홀로그램(hologram)일 수 있거나 혹은 적어도 그와 같은 홀로그램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문구도 마찬가지로 광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문구가 가시용 윈도우를 제외한 전체 용기 벽을 커버하고, 상기 가시용 윈도우를 통해서만 용기 내부를 볼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가시용 윈도우를 용기 길이 방향 및/또는 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용기 내부에 있는 다양한 영역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의 채색에 따라서는, 음식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한 후에 비로소 상기 문구 자체가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가능성은 예를 들어 상기 문구가 주입된 음식물과 동일한 칼라를 가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음식물을 충분히 빼낸 후에 비로소 상기 문구의 특정 부분 및 상기 부분의 노출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자체 변동되는 문구가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타나거나 변동되는 문구는, 예를 들어 음식물을 충분히 빼낸 후에 비로소 사람들이 무언가에 당첨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특정한 당첨 게임 등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 에지는 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링은 1회 또는 다수 회의 롤링일 수 있다. 개구 에지가 구부러진 경우에는, 상기 개구 에지를 90°이상의 각만큼 나머지 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구부러뜨리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90°의 각에서는 개구 에지가 인출용 개구로부터 실제로 방사 방향 외부로 돌출한다.
인출용 개구의 각 위치에서 예를 들어 액체 음식물을 용기로부터 마실 수 있기 위해서는, 개구 에지가 바람직하게 상기 인출용 개구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적어도 구부러졌거나 롤링된 개구 에지가 주변에 다만 부분적으로만 및/또는 국부적으로만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용기 특성들 및 특히 용기 재료가 예를 들어 실온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기 및 특히 용기의 재료가 예컨대 멸균 장치를 위한 적어도 -50 ℃ 내지 +120 ℃의 온도 범위에서 견디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에 대한 내구성은 예를 들어 형태 안정성, 투명성, 유체 밀봉성 등과 관련이 있다. 문구와 관련해서는, 본 고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온도에 민감한 문구도 존재한다는 사실에 더 주목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구는 예를 들어 특정 온도에서 자신의 칼라를 변경시킴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정보 내용도 변경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소비자는 예를 들어, 냉각된 음식물이 충분히 낮은 온도인지의 여부, 또는 가열된 음식물도 또한 충분히 따뜻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용기를 간단한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고, 용기 저장기로부터 용기를 간단히 빼낼 수 있기 위하여, 용기는 적층되거나 적층 해체될 수 있다.
용기의 형태 안정성과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예를 들어 오버랩 영역에서의 용기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시 말해 원형 또는 예컨대 타원형 용기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오버랩 영역에도 상응하는 형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형태 안정성은 특히 오버랩 영역에서의 결합을 위해서 및 개구 에지를 위해서도 중요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형태 안정성에 의해서는 상기 영역에서 나타나는 비밀봉성이 방지되어야 한다.
냉각된 또는 가열된 음식물의 경우에는, 상응하는 온도가 적어도 소정 기간 동안 가급적 변동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층은 단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층은 한편으로는 특정 재료 때문에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층이 예를 들어 공기 등과 같은 단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거나 이웃하는 2 개 층 사이에 공기 갭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층, 특히 외부 층이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나머지 층(들), 특히 중간층 및/또는 내부 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층 또는 층들이 다만 국부적으로만 다른 층 상에 또는 다른 층들 상에 제공됨으로써,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 사용되지 않은 곳에서는 그에 상응하게 용기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이 경우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은 결합되지 않은 다양한 섹션들, 즉 용기 상에 패턴을 부여하는 섹션들로 형성될 수 있다.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 또는 층들이 용기 내부에서 상기 층 또는 층들 상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제공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 그리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층들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부 층이 외부 층과 특히 전체 내부 면에서 상기 층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별도에 접착제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결합 과정 동안에 상기 층들 중에서 하나의 층을 용융함으로써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시각적 외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층이 금속 코팅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코팅된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 층의 외부면이 금속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얇은 층이 용기의 외부 면에 존재한다. 상기 층은 예를 들어 가시용 윈도우 영역을 제외한 외부 층의 전체 외부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응하는 블랭크로 이루어진 용기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및/또는 롤링 또는 구부리기 위한 용기의 개구 에지를 간단히 통상적인 기계 내에서 제조할 수 있기 위하여, 용기 벽은 특히 오버랩 영역 또는 맞댐 가장자리 연결부 외부에 있는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층들만으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개구 에지에 대하여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가시용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시용 윈도우를 상기 영역 외부에 배치하면, 블랭크의 접착 또는 결합시에 그리고 구부러지거나 롤링된 에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특히 상응하는 가시용 윈도우의 에지에 의한 단점적인 작용들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배치 상태에 의해서는 높이가 낮기는 하지만 하나의 계단이 용기 벽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간단한 일 실시예에서는 용기, 경우에 따라서는 상응하는 문구, 부분적으로 금속 코팅된 영역, 래커 코팅 등을 가질 수 있는 용기 벽을 위해 단 하나의 층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도 참조된다.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에서는, 다른 재료들도 생각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 재료로서 사용된다.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과 관련해서는, 상기 층이 실제로 구조적으로는 상기 가시용 윈도우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시용 윈도우의 에지를 따라 불투명한 층에 고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맥락에서 구조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은, 상기 층 및 가시용 윈도우가 실제로 동일한 구조적 형상을 갖지만 상이한 치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층을 에지를 따라 나머지 층 또는 층들에 고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 가시용 윈도우에 비해 더 큰 치수를 갖는다. 이와 같은 고정이 모든 에지를 따라 이루어질 수는 없고, 오히려 예를 들어 다만 서로 마주 놓인 2 개 에지를 따라서만 또는 상기 에지들을 부분적으로 따라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밖에 생태학적인 이유에서는, 상이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다양한 층들이 별도의 사이클로 서로 해체 가능한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서문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또한 전술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랭크는 적어도 용기 벽을 제조할 목적으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폐쇄된 단부 및 개구 에지를 제조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지된 용기의 모든 장점들을 유지하는 가운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용기 내부의 관찰이 가능한, 개선된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선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14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용 윈도우를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추가의 여덟 가지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선 XV-X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이며,
도 16은 도 6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제로 원추형의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2차원적인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컵 형태로 형성된 용기(1)를 측면도로 보여준다. 상기 용기(1)는 도 1에 도시된 상단부에 인출용 개구(7)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용 개구는 롤링된 개구 에지(8)로부터 가장자리가 말려 있다(이와 관련해서는 도 2 참조).
개구 에지(8) 상에는 커버(21)가 밀봉 방식으로 제공되어 있다. 적어도 한 장소에서는 상기 커버로부터 특히 방사형 외부로 커버 손잡이(22)가 돌출하며, 상기 손잡이는 커버를 개구 에지(8)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이용된다.
용기 내부에는 액체, 페이스트, 쏟아 부을 수 있거나 부을 수 있는 음식물(2)이 주입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2)은 충전 레벨(23)까지 용기 내부에 주입된다.
용기(1)는 도 5에 따른 블랭크에 의해서 형성된 용기 벽(6)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벽(6)은 투명하고 유체 밀봉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제작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용기(1)가 인출용 개구(7)에 마주 놓인 단부(9)에 바닥 삽입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 삽입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벽(6) 위로 밀려지거나 상기 벽 내부로 삽입되어 유체 밀봉 방식으로 상기 벽과 연결된다.
상기 바닥 삽입부(25)는 용기 벽(6)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용기(1)는 용기 벽(6) 영역에 문구(15)를 갖는다. 상응하는 문구는 특히 용기 벽 내부를 볼 수 있는 재료의 경우에는 용기(1)의 외부 면(26)에 또는 용기 벽(6)의 외부 면에 찍힐 수 있다.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에서는 (특히 도 3 참조), 상기 문구가 제 1 층(외부 층)(3)의 내부 면(16)에 및/또는 제 2 층(중간층)(4)의 외부 면(17)에 및/또는 제 2 층(중간층)(4)의 내부 면(18)에 및/또는 제 3 층(내부 층)(5)의 외부 면(19)에 찍혀 있다. 사용된 층 재료에 따라서는, 상기 문구가 하나의 층의 하나의 면에 상이하게 배열됨으로써 다른 시각적 외형이 나타나며, 이 경우에는 문구도 또한 용기 벽(6)의 투명성 때문에 상이한 층들에서 또는 상기 층들의 면에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문구의 외관상의 3차원 특성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밖에, 다양한 문구들의 조합에 의해서는, 소비자가 외부로부터 상기 조합된 문구를 관찰할 때 다양한 칼라의 문구가 경우에 따라서는 칼라 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용기 벽(6)이 상단부에서 개구 에지(8)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로 구부러지거나 롤링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용기 벽에 상응하는 층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개구 에지를 형성하는 중에는 변형 가능성이 나타나고, 변형 후에는 형태 안정성이 나타난다.
도 3에는 용기 벽(6) 또는 도 5에 따른 블랭크(10)를 선 II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용기 벽이 3 개의 재료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하나의 재료 층이 사용되면, 상기 재료 층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롤(-스티렌)(PS),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층 재료에는, 경우에 따라 유체에 대한 개선된 밀봉성을 얻기 위하여 하나 또는 2 개의 래커 층이 마주 놓인 면에 제공된다.
층이 2 개 이상인 경우에는(도 3의 도면 부호 3, 4, 5 참조), 예를 들어 내부 층은 PP, PVC, PS, PA, PET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 한편, 외부 층은 예를 들어 PP, 방향성 PP, 폴리에틸렌(PE), PET, PA, 방향성 PA 등으로부터 형성되며, 이 경우 특히 방향성 PP, PET 및 OPA는 더 래커 코팅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방향성 PE를 공압출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도 3에 따른 다양한 층(3, 4 및 5)은 용기 벽(6)을 형성하기 위한 개별 층으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층들이 하나의 얇은 판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층이 하나의 얇은 판이거나, 또는 상기 층들이 공압출 될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용기 벽(6)을 위한 재료가 투명한 경우에는 상기 상응하는 문구(15)가 용기(1)의 외부 면(26)에 찍혀지는 한편, 다층 구조에서는 외부 층의 외부 면에 그리고 내부 층의 내부 면에 문구가 제공되지 않으면서, 각각 상응하게 다양한 층들의 내부 면 및 외부 면이 사용된다는 내용은 이미 언급되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를 위한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우에 따라 도 1에 따른 용기(1)의 경우에는, 용기 벽(6)이 유연함으로써, 음식물(2)을 빼내거나 먹고 마실 목적으로 상기 음식물을 인출용 개구(8)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용기(1)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히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과 같이 냉동된 제품의 경우에는, 압력에 추가하여 소비자의 손으로부터 열이 더 전달됨으로써, 액체로 된 음식물(2)의 하나의 층이 적어도 상기 음식물과 용기 벽(6)의 내부 면 사이에서 형성된다. 도 3에 따른 다양한 층(3, 4, 5)을 위해 앞에서 제시된 재료들의 경우에는, 용기 벽(6)에 유연성이 제공되었다. 그와 동시에, 특히 PET(폴리에스테르)의 사용에 의해서는, 도 1 또는 도 4에 따른 용기(1)를 상응하는 형상으로 안정시키는 층 재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층 재료는 유연하지만 또한 상대적으로 딱딱하다.
도 4에 따른 용기(1)는 폐쇄된 단부(9)에 손잡이(24)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도 마찬가지로 용기 벽(6)을 위한 블랭크(1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손잡이(24)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랭크(10)의 하단부 섹션(20)은 (도 5 참조) 블랭크의 롤링 후에 용기에 상응하는 형태로 압착되고, 열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긴밀하게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상기 폐쇄된 단부(9)는 상기 하단부 섹션(20)의 연결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 5에 따른 용기(1)의 경우에는 상응하는 문구(15)가 도 1에 따라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에 따른 블랭크에서 더 주목할 것은, 상기 블랭크가 둘레에 가장자리(14)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상기 가장자리는 경우에 따라 유체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밀봉된다. 블랭크(10)의 롤링 후에는, 예를 들어 서로를 향하는 길이 방향 가장자리(14)가 맞댐 이음부에 배치되어 서로 자체적으로 연결되거나 추가의 연결 부재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상기 롤링된 상태는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용기의 길이 방향(11)으로 연장되는 오버랩 영역(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장자리(14)가 중첩되고, 블랭크의 고정이 자체적으로 직접 제 1 층(외부 층)(3) 및 제 3 층(내부 층)(5)의 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오버랩 영역(12)에 추가로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상응하는 손잡이(24)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랭크(10)의 하단부 섹션(20)은 상호 압착될 수 있고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연결은 동시에 오버랩 영역(12)에서의 연결을 위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부호 (8)로 표기된 상기 블랭크(10)의 한 상단부 섹션은 외부로 구부리거나 롤링한 후에는 (도 1 및 2 참조) 개구 에지(8)로서 이용된다.
도 1 및 도 4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는 다만 예에 불과하고, 예를 들어 도 4에 비해 반대로 원추형으로 형성된 용기, 관 형태로 길게 늘어진 용기 등과 같은 다른 용기 형태들도 생각할 수 있다. 용기 벽(6)에 상응하게 투명하고 유체 밀봉성을 갖는 재료가 다만 용기 벽의 둘레 섹션에 용기의 길이 방향(11)으로 배치된 반면 용기 벽(6)의 나머지 섹션들은 불투명할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이 경우, 상기 상응하게 투명한 섹션은 용기 길이 방향(11)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하부 섹션으로도 구성되며, 상기 하부 섹션들은 경우에 따라 용기(1)의 원주 방향으로도 상호 변위된다. 상응하는 용기(1)를 간단히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용기 벽(6)이 전체적으로 상응하는 투명하고 유체 밀봉성을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층으로 구성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징은 특별히 용기 벽(6)의 재료 내부에 문구(15)를 배치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추가의 여덟 가지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특히 본 실시예들에는 실제로 원추형의 용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시용 윈도우(들)의 배열 상태도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따른 모든 다른 용기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의 용기들이 특히 가시용 윈도우의 형태, 배열 상태 및/또는 개수 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특히 이와 같은 상이한 부분들이 기술된다. 용기(1)의 나머지 세부 사항들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상응한다.
도 6에서는 실제로 직사각형의 가시용 윈도우(27)가 용기 벽(6)의 제 1 층(외부 층)(3)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사각형의 가시용 윈도우는 하단부(9)와 개구 에지(8) 사이에서 용기(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시용 윈도우(27) 옆의 면에는 소수의 채움 정도(충전 레벨) 표시(marking) 장치(28)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용기(1)의 길이 방향으로 보다 긴 축을 갖는 타원형의 가시용 윈도우를 보여준다. 상기 가시용 윈도우(27)는 상응하게 제 1 층(외부 층)(3)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8에는 용기(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보다 긴 축을 갖는 타원형의 가시용 윈도우(2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용기에서뿐만 아니라 도 7에 따른 용기에서도 커버(21)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21)는 두 가지 경우에 상응하는 인출용 개구(7) 내부로 삽입되고, 개구 에지(8)를 따라 주변을 둘러싸는 커버 에지(32)를 갖는다. 상기 커버 에지(32)는 용기 벽(6)에 또는 적어도 개구 에지(8) 가까이에서 나머지 용기(1)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예를 들어 도 1 참조)는 커버(21)로부터 상응하게 돌출할 수 있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응하는 블랭크의 상부 가장자리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 에지(8)가 (도 7 참조) 내부로 접혀 있으며, 이때 상기 접혀진 영역(33)과 용기 벽 사이에는 커버 에지(32)가 배치되어 그곳에 고정된다.
도 9에는 도 6에 따른 2 개의 타원형 가시용 윈도우(27)가 위·아래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사각형의 가시용 윈도우(27)가 용기(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뻗는다.
도 11의 추가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사각형 가시용 윈도우(27)의 보다 긴 축이 용기(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다음의 실시예들에서도, 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와 같이 다른 구조적 형상을 갖는 추가의 가시용 윈도우가 다른 개수로 배치되어 있다. 그에 대한 한 예로서, 도 10에 따라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사각형의 가시용 윈도우(27)는 도 11에 따른 다른 사각형 가시용 윈도우(27)와 조합될 수 있다. 상이한 구조적 형상 및 개수의 가시용 윈도우의 추가적인 조합들은 개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한 가지 추가 실시예가 두 가지 상이한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상응하는 가시용 윈도우(27)가 오버랩 영역(12) 또는 개구 에지(8)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오버랩 영역(12)에서 용기 벽이 자기 자신과 연결되는 과정이 예를 들어 가시용 윈도우의 개구 에지에 의해서 방해를 받지 않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응하는 기계 내부에서 구부러지거나 롤링된 개구 에지(8)가 아무 문제 없이 제작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시용 윈도우는 나머지 실시예에서도 상기 영역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도 14에는 가시용 윈도우(27)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의 세로 면은 용기 벽(6)의 경사와 평행하게 진행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도, 상기 가시용 윈도우가 다른 구조적 형상을 갖는 가시용 윈도우 및 상기와 같은 다수의 가시용 윈도우와 조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밖에, 추가의 가시용 윈도우(27)를 도 12에 따른 윈도우와 유사하게 이미 도시된 가시용 윈도우 아래에 배치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상기 윈도우는 도시된 가시용 윈도우(27)의 연장부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변위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에는 도 14의 선 XV-XV를 따라 절단된 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층(4)이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층(3)의 내부 면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상기 제 1 층(3)의 전체 내부 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만 상응하는 가시용 윈도우(27) 영역에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3 및 4)의 고정은 가장자리(29)에 의해서 둘러싸인 가시용 윈도우(27)의 에지(30)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에는 특히 도 6 내지 도 15에 따른 용기를 위한 2차원적인 블랭크(10)에 대한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시용 윈도우(27)의 상응하는 형상은 도 12 내지 도 13에 따른 실시예와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층(4)은 다만 가시용 윈도우(27) 영역에서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층 및 가시용 윈도우는 실제로 유사한 구조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층(4)은 각각 상응하는 가시용 윈도우(27)보다 약간 더 큰 치수를 갖는다. 그럼으로써, 가시용 윈도우(27)의 에지(30)를 따라 상기 제 2 층(4)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시용 윈도우(27)는 상기 제 1 층(3)의 가장자리(29)에 의해서 한정되어 있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장점들에 대해서, 소비자 및 가공과 관련된 장점들 측면에서 다시 한 번 간략하게 요약한다.
소비자와 관련된 본 고안에 따른 장점들에는, 상응하는 용기가 몇 가지 시각적인 독특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용기는 타원형, 원형, 대략 정방형 또는 다각형 그리고 콩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가시 스펙트럼 영역에서의 투과성에 의해서는, 용기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용기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 채움 정도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상태도 간단한 방식으로 체크될 수 있다. 문구의 다양한 가능성에 의해서는 추가의 시각적인 장점들이 나타난다. 문구는, 상기 문구를 시각적으로 특히 두드러지게 하는 광택 효과 및 광택 작용이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밖에, 문구는 3D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제외하고 전체 용기를 커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문구는 추가의 시각적 장점들을 제공하는 홀로그램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밖에, 문구는 음식물을 빼낼 때에 비로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가능성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당첨 등과 관련하여 소비자에게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소비자를 위해서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서 일련의 추가적인 기능적 장점들이 나타난다.
상기 장점들 중에서 한 가지 장점은 기체 상태의 및/또는 액상 유체에 대한 용기의 밀봉성이다. 상기 밀봉성은 상응하는 유체의 주입 및 유출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기체 상태의 유체가 용기 벽을 통해서 교환됨으로써, 먹고 마실 목적과 관련된 특성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히 건조된 음식물이 용기 내부에 주입된 경우에는, 상응하는 유체 밀봉성도 필요치 않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음식물은 예를 들어 산소, 이산화탄소 등에 의해서 공격을 받지 않으며, 또한 아무런 제약 없이 먹고 마실 목적에도 적합하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추가 장점은 상기 용기의 유연성인데, 이와 같은 유연성에 의하여 상응하는 음식물은 용기로부터 눌러서 빼내질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상기 용기는, 이 용기가 충격에 잘 견디고 관통에 대한 내구성을 가질 정도로 외부 작용에 대한 저항 능력을 갖추고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가 아래로 떨어질 때에도 상기 용기는 손상되지 않고, 날카로운 물체도 상기 용기를 쉽게 관통할 수 없다.
그와 동시에 상기 용기가 탄성적이기 때문에, 상기 용기는 압축 후에도 다시 자신의 원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용기의 밀봉성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유체가 내부로 침투될 수도 없고 외부로 유출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용기의 저항 능력이 개별 층들의 연결부까지 연장됨으로써, 하나의 층이 부분적으로 떨어질 위험도 방지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용기는, 외부 영향에 의해서 또는 용기 재료에 의해서도 먹고 마시는 것과 관련한 음식물의 자체 특성이 단점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음식물을 보존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용기의 형태 안정성은, 상기 용기가 유연하면서도 자신의 처음 형상으로 자동으로 되돌아가며, 특히 에지 또는 서로 접착된 층과 같은 용기의 변형된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처음에 주어진 형상 그리고 자신의 나머지 특성들을 유지하도록 선택되었다.
문구는 또한, 상기 문구가 음식물의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또는 마찰 동작 등과 같은 임의의 방식으로는 용기로부터 간단히 제거될 수 없도록 형성되고 배치된다. 그와 동시에, 용기는 음식물이 냉각되었거나 가열된 경우에도 편안한 잡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사용자와 관련된 이와 같은 다수의 장점들 이외에 가공과 관련된 유사한 다수의 장점들이 존재한다.
제조시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간단한 밀봉 가능성은, 특히 블랭크의 서로 접착된 부분들을 위해 중요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물론, 용기는 상기 서로 접착된 영역에서만 밀봉되지 않고, 오히려 용기의 재료 때문에도 밀봉된다. 그밖에, 용기는 문구를 간단한 방식으로 인쇄하거나 도포할 목적에도 적합하며, 이 경우에는 재료의 하나 또는 다수의 층에 문구를 도포할 수 있는 일련의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블랭크의 평탄성으로 인해, 상기 블랭크는 용이하게 처리 및 이송될 수 있다.
용기 재료의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재료는 변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인출용 개구의 에지 영역과 같이 원하는 바대로 변형된 영역에서도, 심지어 상기 영역이 다만 블랭크의 자유로운 상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 에지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재료는 자신의 형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형태 안정성은 또한 서로 연결되었거나 서로 접착된 용기 영역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상기 연결되었거나 접착된 영역들도 마찬가지로 용기 횡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용기를 추가로 가공하거나 채우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는데, 그 이유는 상기 용기가 형태 안정성에 의하여 언제나 자신의 원래 주어진 형상을 유지하고, 예를 들어 원래 의도했던 원형의 형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원형 또는 그보다 더 평탄한 형태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형태 안정성 때문에 그리고 용기의 상응하는 변형에 의해서, 우수한 적층 가능성 및 적층 해체 가능성이 나타나며, 이와 같은 가능성들도 마찬가지로 제조 기술적으로 그리고 이송 기술적으로 장점이 된다.
용기의 밀봉성은 상응하는 음식물을 주입할 때 중요한데, 그 이유는 주입할 때뿐만 아니라 나중에 이송할 때에도 상응하는 유체가 내부로 침투되거나 외부로 유출될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보다 낮은 온도 및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용기가 자신의 특성 및 형상과 관련하여 내구성을 갖는 것도 장점이 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밀봉성, 유연성, 형태 안정성, 투과성 등을 변동시키지 않으면서, 음식물이 주입된 다음에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예를 들어 용기를 멸균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고온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그밖에, 가열된 음식물을 먹고 마실 목적으로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응하게 높은 온도도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공과 관련된 장점은, 용기가 커버에 의해서 밀봉 방식으로 간단히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커버는 특히 인출용 개구 상에 올려질 수 있고, 상응하는 개방 정도와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다.
가시용 윈도우는 용기 내부에 대한 열람을 가능케 하고, 시각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이한 형태로 그리고 상이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1 용기 2 음식물
3 외부층 4 중간층
5 내부층 6 용기 벽
7 개구 8 개구 에지
9 단부 10 블랭크 12 오버랩 영역 27 가시용 윈도우

Claims (39)

  1. 제 1 층(외부층)(3), 제 2 층(중간층)(4), 제 3 층(내부층)(5)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벽(6)을 구비한 음식물(2)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1)로서,
    상기 용기(1)가 하나의 개구 에지(8)에 인출용 개구(7)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용 개구(7)에 마주 놓인 상기 용기의 단부(9)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벽(6)은 연속적인 용기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자기 자신과 연결된 2차원적인 블랭크(10)로부터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벽(6)은 부분적으로는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을 가짐과 동시에, 액체 밀봉성 또는 유체 밀봉성을 갖는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13)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재료는 상기 용기(1)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 가능하고, 성형 후에는 형태 안정적이며,
    상기 용기(1) 또는 상기 재료(13)가 적어도 -5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상기 특성을 유지하는 안정성 및 형태 안정성을 가지며,
    상기 재료(13)의 특성을 변동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개구 에지(8)는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롤링되고,
    상기 개구 에지(8)가 상기 블랭크(10)의 상부 가장자리(14)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벽(6)을 구성하는 상기 층들(3, 4, 5)의 각각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이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롤(PS), 폴리아미드(PA),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4)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래커 코팅된 층인 제 1 층(3) 또는 제 3 층(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10)가 열 또는 압력에 의해서 자기 자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10)가 용기 길이 방향(11)으로 연장되는 오버랩 영역(12)을 따라서 자기 자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10)가 맞닿는 부분에 배치된 가장자리(14)를 따라서 자기 자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오버랩 영역(14)에서의 연결을 위한 열(heat)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층이 초음파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이 PP, 공압출되거나 래커 코팅된 방향성 PP, 폴리에틸렌(PE), PET, 래커 코팅된 PET, PA 또는 래커 코팅된 방향성 PA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5)이 PP, PVC, PS, PA 또는 PET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또는 제 3 층(5)이 라미네이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 중에서 2 개 이상의 층이 공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되지 않은 블랭크(10)가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차원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5)은 액체 밀봉성을 갖고, 상기 제 1 층(3) 또는 제 2 층(4)은 기체 밀봉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또는 제 3 층(5)이 오버랩 영역(12)에서는 연결 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또는 제 3 층(5)의 가장자리(14)가 유체 밀봉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문구(1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구(15)가 상기 제 1 층(3)의 내부 면(16) 또는 상기 제 2 층(4)의 외부 면(17) 또는 내부 면(18)의 각각 또는 상기 제 3 층(5)의 외부 면(19)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구(15)는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또는 제 3 층(5)을 라미네이팅 처리하기 전에 찍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3)가 단층 재료인 경우에는 상기 문구(15)가 용기(1)의 외부 면(26)에 찍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공압출에 의해서 제조되고, PE를 기초로 하는 재료(13)가 다층 재료인 경우에는 상기 문구(15)가 용기(1)의 외부 면에 찍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구(15)가 3차원적인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구(15)가 홀로그램이거나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구(15)가 가시용 윈도우(27)를 제외한 전체 용기 벽(6)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구(15)는 음식물(2)을 부분적으로 빼낸 후에 비로소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층은 얇은 판(lami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단부(9)가 벽(6)의 하단부 섹션(20)의 연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단부(9)가 바닥 삽입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삽입부(25)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3)가 칼라이면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원형, 사각형, 정방형, 타원형, 콩 형상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된 개구 에지(8)가 인출용 개구(7)의 주변에 부분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 중 하나 이상의 층이 단열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및 제 3 층(5) 중에서, 상기 제 1 층(3)의 일부분은 불투명하며, 제 2 층(4) 또는 제 3 층(5)의 일부분은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 또는 층들이 전체 내부 면에서 상기 불투명한 층(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한 층의 한 면이 금속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벽(6)이 오버랩 영역(12) 또는 개구 에지(8) 외부에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층(들)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시용 윈도우(27)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용 윈도우는 불투명한 층(들)에 의해서 둘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3), 제 2 층(4) 또는 제 3 층(5)이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2 층(4)은 상기 가시용 윈도우(27)와 구조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시용 윈도우의 에지(30)를 따라 상기 불투명한 제 1 층(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벽(6)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2020100008163U 2003-07-10 2010-08-04 용기 KR200450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163U KR200450566Y1 (ko) 2003-07-10 2010-08-04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310622.9 2003-07-10
KR2020100008163U KR200450566Y1 (ko) 2003-07-10 2010-08-04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770A Division KR20080085069A (ko) 2003-07-10 2004-06-22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566Y1 true KR200450566Y1 (ko) 2010-10-12

Family

ID=4447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163U KR200450566Y1 (ko) 2003-07-10 2010-08-04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5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7284A (en) * 2018-09-19 2020-03-25 Coveris Flexibles Uk Ltd A recepta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7284A (en) * 2018-09-19 2020-03-25 Coveris Flexibles Uk Ltd A receptacle
GB2577284B (en) * 2018-09-19 2023-02-15 Coveris Flexibles Uk Ltd A recepta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5069A (ko) 용기
KR20060073924A (ko) 압착 용기
US11412824B2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having pre-formed multi-layer structural laminate
JP4818263B2 (ja) 容器
CA2008896A1 (en) Round container intended for dispatch in the empty st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50566Y1 (ko) 용기
KR200440893Y1 (ko) 압착 용기
US20170196383A1 (en) Doubled-layer disposable cup
EP0462455A1 (en)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with good oxygen and aroma barrier properties and manner of manufacturing the material
JPH11342982A (ja) 取手付き断熱容器
JP4379781B2 (ja) 液体収納用壜容器
KR101993834B1 (ko) 이미지가 인쇄된 고내구성 밀폐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022508A1 (en) Food package with window
JP3182071U (ja) 紙製中空円錐容器
JP2003054653A (ja) 電子レンジ用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