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51Y1 -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 Google Patents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51Y1
KR200450451Y1 KR2020070021055U KR20070021055U KR200450451Y1 KR 200450451 Y1 KR200450451 Y1 KR 200450451Y1 KR 2020070021055 U KR2020070021055 U KR 2020070021055U KR 20070021055 U KR20070021055 U KR 20070021055U KR 200450451 Y1 KR200450451 Y1 KR 200450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beverage
cover
op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74U (ko
Inventor
박한솔
Original Assignee
박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누리 filed Critical 박누리
Priority to KR2020070021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5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2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캔 따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상태의 음료가 충진되는 원통형의 캔 본체와; 상기 캔 본체를 밀폐하며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두개의 개방부를 갖는 캔 커버; 및 상기 캔 커버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를 압박하여 절취 개방시키거나 개방된 두개의 개방부에 압입되어 절치된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캔 따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를 제공하면 각종 캔 속에 보관된 액상형 내용물을 어린 아동들도 쉽게 개봉시켜 마실 수 있게 되었고, 먹다 남은 음료수를 완전하게 밀봉시켜 재차 마실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OPENING STRUCTURE WHICH CAN EASILY OPEN and CLOSE BEVERAGE CAN}
본 고안은 음료수 캔 따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 따개를 캔 음료 상단부 크립 고정부로부터 해체 시켜 반대편으로 누르게 되면 캔 따개 돌기부에 의해 개봉하게 되고 개봉 후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캔 따개를 개봉된 구멍에 일치 시킨 후 누르게 되면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여 탄산음료를 나누어 섭취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Steel)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캔은 몸체 부분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캔 뚜껑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캔 뚜껑은 캔 따개, 캔 따개에 의해 절취 개방되는 부분이 형성되는 원판부재, 및 캔 따개를 원판부재에 고정시켜 주는 리벳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캔은 내포되는 내용물을 이용하고자 할 때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상부로 들어올려 원판부재에 구획된 개방 부분을 압박하여 개방 부분이 절취선을 따라 원판부재에서 절취되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캔에 있어서, 캔 뚜껑 및 캔 따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로서, 종래의 캔 뚜껑(100)은 캔 따개(102), 개방부(104), 및 리벳(10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 따개(102)는 손잡이부(108), 리벳 고정부(109), 누름부(110), 및 공간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공간부(112)는 공간 개시 단부(114), 및 공간 종지 단부(1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개방부(104)는 절취선을 따라서 캔 따개(102)에 의해 절취되어 개방되는 부분이다.
누름부(110)는 캔 따개(102)의 손잡이부(108)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캔 따개(102) 상부에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개방부(104)를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공간부(112)는 손가락으로 잡아당겼을 경우 손잡이부(108)가 캔 상면 방향에 대해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공간부(112)는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겼을 때 리벳(106)을 중심으로 누름부(110)가 탄력적으로 휘어져 개방부(104)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간부(112)의 내측에는 리벳(106)에 의해 캔 뚜껑(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리벳 고정부(109)가 구비된다. 공간 개시 단부(114)는 상기 공간부(11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공간 종지 단부(116)는 상기 공간부(1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기존의 캔 음료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캔 따개를 적용시킴에 따라, 캔 음료 따개는 상단 부 손잡이를 들어 올려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개봉되는데 이때 손잡이가 단락될 경우 마실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사용상에 어려움이 많으며, 야외 나들이시 탄산음료용 캔을 따서 마실 때 음료수의 양이 많아 어린 아동들이 한 번에 마시기에 벅찬 경우, 개봉된 캔 음료는 보관이 어려워 재차 마실 수 없게 되거나 마시는 중에라도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수 캔 따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 따개를 캔 음료 상단부 크립 고정부로부터 해체 시켜 반대편으로 누르게 되면 캔 따개 돌기부에 의해 개봉하게 되고 개봉 후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캔 따개를 개봉된 구멍에 일치 시킨 후 누르게 되면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여 탄산음료를 나누어 섭취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의 특징은, 액체상태의 음료가 충진되는 원통형의 캔 본체와; 상기 캔 본체를 밀폐하며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두개의 개방부를 갖는 캔 커버; 및 상기 캔 커버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를 압박하여 절취 개방시키거나 개방된 두개의 개방부에 압입되어 절치된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캔 따개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캔 커버는 연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높이의 가장자리를 갖는 원판형 부재와; 상기 원판형 부재의 중심선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부를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원판형 부재의 평면상에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두개의 개방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개방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음료출구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공기구멍으로 구성되며;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캔 따개는 상기 캔 커버상의 원판형 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반지름을 갖는 반원형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종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캔 커버상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지는 핀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일체화된 지지대; 및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여 상기 개방부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대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형 돌기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돌기부는 그 재질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을 사용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손잡이를 캔 커버의 자장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각종 캔 속에 보관된 액상형 내용물을 어린 아동들도 쉽게 개봉시켜 마실 수 있게 되었고, 먹다 남은 음료수를 완전하게 밀봉시켜 재차 마실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관계 사시도로서, 액체상태의 음료가 충진되는 원통형의 캔 본체(10)와, 상기 캔 본체(10)를 밀폐하며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두개의 개방부(221, 222)를 갖는 캔 커버(200), 및 상기 캔 커버(200)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를 압박하여 절취 개방시키거나 개방된 두개의 개방부에 압입되어 절치된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캔 따개(3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구성요소 중 캔 커버(200)와 캔 따개(3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캔 커버(200)는 연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높이의 가장자리를 갖는 원판형 부재(210)와, 상기 원판형 부재(210)의 중심선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부를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30), 및 상기 원판형 부재(210)의 평면상에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두개의 개방부(221, 2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221, 222)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음료출구(221)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공기구멍(222)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캔 따개(300)는 상기 캔 커버(200)상의 원판형 부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반지름을 갖는 반원형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310)의 종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캔 커버(200)상의 관통홀(230)에 삽입되어 지는 핀(311)과, 상기 손잡이(31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일체화된 지지대(320), 및 상기 개방부(221, 222)에 대응하여 상기 개방부(221, 222)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대(320)상에서 돌출되어 있는 원형 돌기부(321)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외에 부가되는 구성으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손잡이(310)를 캔 커버(200)의 자장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기능을 부연하여 살펴보면, 상기 개방부(221, 222)는 원형으로 설계하여 공기구멍(222)을 통해 캔 본체(10)내로 외부공기가 통하게 하여 캔 본체(10)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음료출구(22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클립 고정부는 손잡이(310)의 상단에 일체화시켜 제품 출하시 캔 상단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캔 따개(30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310)의 중앙을 가로 지르는 지지대(320)를 손잡이(310)와 일체화시켜 제작하고, 상기 지지대(320) 상단에 원형의 돌기부(321)를 성형하되 공기구멍(222)과 음료출구(221)와 일치되는 지점에 각각 견고히 고정시켜 만든다.
이때 상기 돌기부(321)는 그 재질을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으로 선택한다.
상기 핀(311)은 캔 따개(300)의 힌지 역활을 수행하는 것으로, 손잡이(310)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캔 커버(200)상의 관통홀(230)에 삽입되어, 손잡이(310)를 잡고서 회전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첨부한 도 2에서는 핀(311)이 상기 손잡이(310)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핀(311)은 손잡이(310) 하단부에 구멍을 관통시켜 캔 상단부 가장자리에 고정 시키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봉시에는 손잡이(310)를 회동시켜 돌기부(321)가 개방부(221, 222)를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개방부(221, 222)를 절취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개봉한 이후 음료를 음용하던 중 내용물의 무단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역시 손잡이(310)를 회동시켜 돌기부(321)가 절취된 개방부(221, 222)를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돌기부(321)가 상기 개방부(221, 222)에 압입되어지도록 한다.
첨부한 도 3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목업(MOOK-UP) 사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실시예와 응용예에 따른 목업 사진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캔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관계 사시도
도 3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목업 사진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실시예와 응용예에 따른 목업 사진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캔 본체
200 : 캔 커버
300 : 캔 따개
310 : 손잡이
320 : 지지대

Claims (6)

  1. 액체상태의 음료가 충진되는 원통형의 캔 본체와, 상기 캔 본체를 밀폐하며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두개의 개방부를 갖는 캔 커버, 및 상기 캔 커버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를 압박하여 절취 개방시키거나 개방된 두개의 개방부에 압입되어 절치된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캔 따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에 있어서:
    상기 캔 커버는 연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높이의 가장자리를 갖는 원판형 부재와, 상기 원판형 부재의 중심선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부를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원판형 부재의 평면상에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음료출구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공기구멍으로 구성되며;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캔 따개는 상기 캔 커버상의 원판형 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반지름을 갖는 반원형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종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캔 커버상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지는 핀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일체화된 지지대, 및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여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대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형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그 재질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캔 커버의 자장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KR2020070021055U 2007-12-31 2007-12-31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KR200450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55U KR200450451Y1 (ko) 2007-12-31 2007-12-31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55U KR200450451Y1 (ko) 2007-12-31 2007-12-31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74U KR20080000074U (ko) 2008-01-18
KR200450451Y1 true KR200450451Y1 (ko) 2010-10-06

Family

ID=4447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055U KR200450451Y1 (ko) 2007-12-31 2007-12-31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520B1 (ko) 2016-09-28 2018-08-24 이규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
KR20190100557A (ko) * 2018-02-20 2019-08-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용 캔 용기의 덮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76U (ko) * 1998-06-10 1998-10-07 이재근 개방이 용이한 식음용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76U (ko) * 1998-06-10 1998-10-07 이재근 개방이 용이한 식음용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520B1 (ko) 2016-09-28 2018-08-24 이규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
KR20190100557A (ko) * 2018-02-20 2019-08-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용 캔 용기의 덮개
KR102049523B1 (ko) 2018-02-20 2019-11-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용 캔 용기의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74U (ko) 200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911B2 (en) Rotating type cup lid
US5244113A (en) Container lid assembly
US9655463B2 (en) Insulated beverage-container holder
US4715510A (en) Set up piece for mounting on a can, containing a beverage
US5415312A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6648217B2 (en) Spill-proof disposable cup with integral sealing flap
US20100059516A1 (en) Container
JPH05504530A (ja) 容器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US20030102313A1 (en) Universal beverage can cover
JPH02121606A (ja) 飲料缶より直接液体を飲むための装置
KR200450451Y1 (ko) 음료수 캔을 쉽게 개폐 할 수 있도록 된 음료수 캔 따개
EA022676B1 (ru) Опора
US20050224495A1 (en) Spill resistant lid
US8905262B2 (en) Combined container holder opener and cap
JP2003072733A (ja) 紙カップ
EP1365966B1 (en) Opening assembly
AU2002225199A1 (en) Opening assembly
KR200425201Y1 (ko) 자동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컵용 컵뚜껑
US2170282A (en) Drinking device
RU32755U1 (ru) Банка для напитков
US11840384B2 (en) Container closure system
JP4514613B2 (ja) 2ピース製ヒンジキャップ
KR101592184B1 (ko)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JP2006522721A (ja) 缶その他の容器の蓋開閉の為のワイヤー・オープ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