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227Y1 -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 Google Patents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227Y1
KR200450227Y1 KR2020080009672U KR20080009672U KR200450227Y1 KR 200450227 Y1 KR200450227 Y1 KR 200450227Y1 KR 2020080009672 U KR2020080009672 U KR 2020080009672U KR 20080009672 U KR20080009672 U KR 20080009672U KR 200450227 Y1 KR200450227 Y1 KR 200450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heat
blowing fa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991U (ko
Inventor
임병기
Original Assignee
임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기 filed Critical 임병기
Priority to KR2020080009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2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전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발열부재를 포함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메인발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메인발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이동된 공기에 열을 가하여 더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보조발열부; 상기 보조발열부를 통하여 변환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의하면, 송풍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인,보조 발열부, 송풍팬

Description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Heater with a fan}
본 고안은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송풍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풍팬이 구비된 전기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란 난방장치의 하나로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덥혀 실내 온도를 높이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히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히터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패널(5)과,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2)과, 상기 반사판(2)의 전방에 설치되는 열선관(4)을 포함하는 발열부재(3)와, 상기 발열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그릴(7)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히터는 발열부재(3)를 발열시켜 그 후면에 위치하는 반사판(2)의 복사열을 통하여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발열부 재(3)로부터 가까운 부분은 매우 뜨겁고 강한 열이 발생하지만, 발열부재(3)로부터 먼 부분은 전혀 열이 미치지 않게 되는 등 발열부재(3)에서 발생하는 열에만 의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히터에 인접한 사용자에게는 난방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나,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사용자에게는 전혀 열이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난방의 범위가 일부분에 한정되어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송풍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발열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더운 공기로 변환하여 배출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전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발열부재를 포함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메인발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메인발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이동된 공기에 열을 가하여 더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보조발열부; 상기 보조발열부를 통하여 변환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발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되, 중앙부는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뚫려 있으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 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홀에 끼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발열부재;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부 양측에서 상기 고정홀에 결합된 제2발열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공기조절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송풍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발열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더운 공기로 변환하여 배출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보조발열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발열부(200), 송풍팬(300), 덕트(400), 보조발열부(500), 배출부(600)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발열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전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전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210)과, 상기 반사판(2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발열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판(210)은 제1발열부재(220)로 전기를 공급시에 발산되는 열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팬(300)은 모터(310)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하여 후술할 덕트(400)를 통하여 보조발열부(500)로 공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보조발열부(500)를 통한 더운 공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송풍팬(300)은 본 고안의 히터의 구동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스위치를 통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400)는 상기 송풍팬(30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덕트(400)는 상기 메인발열부(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상기 송풍팬(30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이동시에 상기 메인발열부(200)의 열기로 인하여 덕트(400) 내부의 온도가 소폭 상승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조발열부(500)는 상기 덕트(400)를 통하여 이동된 공기에 열을 가하여 더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발열부(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되, 하단부 일측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뚫려 있으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5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홀(511)에 끼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발열부재(520)와,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외부 양측에서 상기 고정홀(511)에 결합된 제2발열부재(5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3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열부(500)는 상기 덕트(400)를 이동하며 소정의 온도가 올라간 공기에 제2발열부재(520)를 통하여 강한 열을 가함으로써,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더운 공기를 실내의 넓은 공간으로 확산시키게 되어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발열부(500)는 제2발열부재(520)를 하나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난방시 차가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열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2 내지 4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보조발열부(500)를 통하여 변환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600)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공기조절판(6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패널(610)과 상기 패널(6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620)로 구성되어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기 배출부(600)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조절판(630)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배출홀(62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절판(630)은 상기 패널(6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작동버튼(800)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홀(62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실내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판(630)을 통하여 상기 배출홀(620)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 비된 히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는 먼저 작동버튼(800)을 통하여 송풍팬(300)을 구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0)내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300)의 구동에 의하여 덕트(400)를 통해 케이스(1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100)내의 상부에 위치한 보조발열부(50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이동된 공기의 온도를 높여 더운 공기를 형성하게 되며, 변환된 더운 공기가 배출부(6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실내에 확산되어 난방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더운 공기가 배출부(6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 공기조절판(630)을 통하여 배출부(600)에 형성되는 배출홀(620)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온도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히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보조발열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200: 메인발열부
210: 반사판 220: 제1발열부재
300: 송풍팬 310: 모터
400: 덕트 500: 보조발열부
510: 고정프레임 511: 고정홀
520: 제2발열부재 530: 고정수단
600: 배출부 610: 패널
620: 배출홀 630: 공기조절판
700: 그릴 800: 작동버튼

Claims (3)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전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발열부재를 포함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메인발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메인발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이동된 공기에 열을 가하여 더운 공기로 변환시키되,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 일측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뚫려 있으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홀에 끼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발열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부 양측에서 상기 고정홀에 결합된 제2발열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보조발열부;
    상기 보조발열부를 통하여 변환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공기조절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KR2020080009672U 2008-07-21 2008-07-2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KR200450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72U KR200450227Y1 (ko) 2008-07-21 2008-07-2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72U KR200450227Y1 (ko) 2008-07-21 2008-07-2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91U KR20100000991U (ko) 2010-01-29
KR200450227Y1 true KR200450227Y1 (ko) 2010-09-13

Family

ID=4419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672U KR200450227Y1 (ko) 2008-07-21 2008-07-2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2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335U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송풍이 가능한 양면 전기히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335U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송풍이 가능한 양면 전기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91U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58875B2 (en) A fan assembly
US7228857B2 (en) Electric oven with door cooling structure
JP4973065B2 (ja) 加熱調理器
JP3750059B2 (ja)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CN110848767B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WO2012127663A1 (ja) 浴室乾燥機
US20150083106A1 (en) Over-the-range oven
US20120285437A1 (en) Door of electric oven
JP2004162936A (ja) 加熱調理器
KR20150066086A (ko) 열풍식 히팅장치
KR200450227Y1 (ko)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KR101186614B1 (ko) 선풍기 겸용 온풍장치
US11499749B2 (en) Heating blower and heating device
JP4325640B2 (ja) 電磁加熱調理器
JP4992539B2 (ja) 電気ストーブの送風構造
US20110220637A1 (en) Heater Apparatus
KR20130077365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도자기
KR101813859B1 (ko) 온풍순환 난방 장판
KR200386476Y1 (ko) 전기온풍기
JP6802972B2 (ja) 温風暖房装置
JP5890237B2 (ja) 遠赤外線加熱機
KR100899835B1 (ko) 전기압력밥솥의 공냉시스템
KR200381168Y1 (ko) 온풍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히터
KR100675778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장치
KR100697117B1 (ko) 전기온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