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199Y1 -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 Google Patents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199Y1
KR200450199Y1 KR2020080012056U KR20080012056U KR200450199Y1 KR 200450199 Y1 KR200450199 Y1 KR 200450199Y1 KR 2020080012056 U KR2020080012056 U KR 2020080012056U KR 20080012056 U KR20080012056 U KR 20080012056U KR 200450199 Y1 KR200450199 Y1 KR 200450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uter cylinder
shaft
rotary blad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31U (ko
Inventor
신영우
Original Assignee
신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우 filed Critical 신영우
Priority to KR2020080012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19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장 등의 액상조미료나 액체세제 등의 액상물질(이하 '유체')을 수용하는 용기에 구비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의 회전이 연결축부에 의해 게이지부로 전달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눈금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기울임에 따라 상부로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외통체로 구성된 통상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는 내부에 상기 입구부와 간격을 가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외통체의 내부공간 상단부측에 위치고정되어 유체의 외부 유출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회전날개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축부와; 외통체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표면에 단위 눈금이 표시된 계기판과, 연결축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날개의 회전에 따라 계기판 표면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로 구성된 게이지부를 포함하여; 유체의 외부 유출량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수가 연결축부에 의해 게이지부로 전달되어 유체의 양을 눈금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유량, 측정, 유량 체크, 마개, 뚜껑, 게이지.

Description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Structure of a cap with a flow check function}
본 고안은 간장 등의 액상조미료나 액체세제 등의 액상물질(이하 '유체')을 수용하는 용기에 구비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의 회전이 연결축부에 의해 게이지부로 전달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눈금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장 등의 액상조미료나 액체세제 등의 액상물질(이하 '유체')은 입구부를 가지는 용기내에 저장되어 그 필요에 따라 용기를 기울여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는 유출구로서의 상부면을 가지는 마개가 나사산 결합형태로 결합되거나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듯이 결합되어 평상시에 상기 유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한 마개를 가지는 용기는 저장된 유체의 정확한 사용량을 알 수가 없고, 음식을 조리함에 있어서 정확한 투입량을 알 수 없어 전적으로 사용자의 감각에 의지한 유출량의 조절이 이루어져야 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농약 또는 의약품, 세제류, 식품(조미료) 등과 같이 정확한 배출량이 요구될 때에는 계량 눈금이 표시된 마개를 이용하여 유체의 배출량을 계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계량 눈금이 형성된 마개의 사용에도 용기에 담겨진 유체를 마개에 따르는 과정에 있어서 손에 묻게 되거나 넘쳐 흘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에 따라 유체의 양을 체크하여 눈금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이 용이한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기울임에 따라 상부로 상기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외통체로 구성된 통상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는 내부에 상기 입구부와 간격을 가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기 외통체의 내부공간 상단부측에 위치고정되어 상기 유체의 외부 유출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축부와; 상기 외통체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표면에 단위 눈금이 표시된 계기판과, 상기 연결축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계기판 표면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로 구성된 게이지부를 포함하여; 유체의 외부 유출량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이 연결축부에 의해 게이지부로 전달되어 상기 유체의 양을 눈금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 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날개는 수직의 중심축을 가지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체와 접촉되는 면이 커지도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다수개의 날개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는, 상단부 내측면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안착턱을 더 형성하고,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면서 상단부 내측면에 꽉끼게 고정되는 환형대와, 상기 환형대와 일체형으로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중심에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축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거치대로 구성된 거치프레임을 더 포함하ㅎ한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거치프레임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축이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과, 상기 제1 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통체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지지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축과, 상기 돌출된 제2 축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외통체의 외측에 위치되는 최종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은, 상기 용기를 세워놓았을 때 틈새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력에 따라 상기 유체를 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떨어뜨리는 유체유도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관통지지홀을 관통하는 측에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관통지지홀이 형성된 외통체의 외측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최종기어의 기어이와 맞물려 회전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와, 상기 변속기와 일체형으로 상기 계기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과 연결된 연결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날개는 물레방아 형상으로, 상기 외통체의 내측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체는, 상단부 내측면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안착턱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면서 상단부 내측면에 꽉끼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유출개구부를 상면에 형성하도록 사각의 내벽을 가지는 거치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대향되는 양측에 축공이 관통되게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축홀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부의 회동축은, 상기 축공을 회동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일단부가 상기 외통체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지지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상기 전달기어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관통지지홀이 형성된 외통체의 외측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전달기어의 기어이와 맞물려 회전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와, 상기 변 속기어와 일체형으로 상기 계기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과 연결된 연결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계기판의 전면이 오픈되거나, 상기 계기판의 전면에 탈착가능한 뚜껑이 더 구비되어 유체의 유출량 측정이 완료된 상기 바늘을 수동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바늘과 연결축 사이에 태엽부재를 더 포함하여 유출량의 측정이 완료된 상기 바늘을 자동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에 의하면, 첫째, 유체의 유출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의 회전에 따라 이를 측정하여 게이지부의 눈금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정확한 유체의 사용량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농약 또는 의약품, 세제류, 식품(조미료) 등과 같이 정확한 량이 요구될 때에는 게이지부를 통해 쉽게 유출량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셋째, 회전날개의 회전력을 게이지부로 전달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여 정확한 유체의 유출량을 측정하고, 상기 게이지부의 눈금과 바늘에 의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유출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결합된 외통체(10)를 가지는 마개(1)의 내부공간에 유체(3)가 외부로 유출되는 흐름에 의해 생기는 힘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20, 20a)와,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회전수에 의해 유체의 배출 유량을 눈금(51a)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체(10)는 유체(3)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통상의 마개 구조에 적용되는 형상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고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뚜껑(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개(20)와 게이지부(40)를 연결하여 회전날개의 회전력을 게이지부로 전달하도록 기어를 가지는 연결축부(30, 30a)를 포함하여 정확한 유체의 유출량을 측정하고, 눈금(41a)과 바늘(42)에 의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게이지부(40)의 계기판(41) 상면에 표시될 수 있는 눈금(41a)은 상기 용기(2)에 저장된 유체(3)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기 용기(2)의 유체 저장용량에 따라 상기 연결축부(30, 30a)의 기어와 기어의 기어이 비를 조절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부(40)의 눈금(41a)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그 단위가 작게는 ㎖에서 ℓ로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에 따른 마개 구조를 가지는 마개(1)는, 상기 유체(3)를 수용하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2)의 기울임에 따라 상부로 상기 유체(3)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외통체(10)로 구성된 통상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먼저, 상기 외통체(10)는 내부에 상기 입구부(2a)와 간격을 가지는 내부공간(A)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개(20, 20a)는 상기 외통체(10)의 내부공간(A) 상단부측에 위치고정되어 상기 유체(3)의 외부 유출 흐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연결축부(30, 30a)는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중심축(21, 21a)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외통체(10)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표면에 단위 눈금(41a)이 표시된 계기판(41)과, 상기 연결축부(30, 30a)와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계기판(41) 표면의 눈금(41a)을 가리키는 바늘(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를 가지는 마개(1) 는, 상기 유체(3)의 외부 유출량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회전수가 연결축부(30, 30a)에 의해 게이지부(40)로 전달되어 상기 유체의 양을 눈금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는, 상기에 기술된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유체(3)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20, 20a)는 프로펠러 또는 물레방아 형상으로 상기 유체(3)와 접하는 면의 넓이를 최대로 하면서 상기 유체(3)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차,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날개(20)는, 수직의 중심축(21)을 가지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상기 외통체(10)의 내부공간(A) 상단부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방사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체(3)와 접촉되는 면이 커지도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다수개의 날개판(22)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3)가 저장된 용기(2)의 입구부(2a)를 기울이게 되면, 상기 유체(3)는 상기 외통체(10)를 통해 회전날개(20)의 날개판(22)을 밀어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날개(20)의 날개판(22)이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회전날개(20)의 회전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연결축부(30)로 전 달되고 다시 게이지부(40)로 연결되어 유체의 유출양이 눈금(41a)으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회전날개(20)는 상기 외통체(10)의 내부공간(A) 상단부측에 위치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외통체(10)는 상단부 내측면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안착턱(12)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10)는 상기 안착턱(12)에 안착되면서 상단부 내측면에 꽉끼게 고정되는 환형대(51)와, 상기 환형대(51)와 일체형으로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중심에 상기 회전날개(20)의 중심축(21)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홀(52a)이 형성된 거치대(52)로 구성된 거치프레임(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20)는 상기 거치프레임(50)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연결축부(30)는 다수개의 축과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외통체(10)의 내부공간(A)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날개(20)의 중심축(21)이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31)과, 상기 제1 축(31)의 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 기어(32)와, 상기 제1 기어(32)와 기어이가 맞물리며 회전력을 게이지부(40)가 형성된 외통체(10)의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기어(33)와, 상기 제2 기어(33)가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통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지지홀(11)을 회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축(34)과, 상기 제2 축(34)의 돌출된 타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외통체(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최종기어(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어(32)와 제2 기어(33)는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도록 구성 되거나, 용기(2)의 크기, 즉 상기 용기(2)에 저장된 유체(3)의 양에 따라 게이지부(40)가 상기 유체(3)의 양을 눈금(41a)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축(31)과 제2 축(34)은, 유체(3)의 사용이 완료되어 유출량 측정이 끝난 다음, 상기 용기(2)를 정위치로 세워놓았을 때 틈새, 즉 연결된 기어측의 틈새로 상기 유체(3)가 흘러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력에 따라 상기 유체(3)를 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떨어뜨리는 유체유도핀(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유도핀(6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2축을 감싸고 움직임에 따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환형의 관구조이거나 일자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축(34)은 상기 관통지지홀(11)을 관통하는 측에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씰(3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무씰(34a)을 관통하는 제2 축(34)은 회동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축부(30)로 부터 회전날개(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날개(20)의 회전수에 따라 눈금(41a)으로 유체(3)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게이지부(50)는, 상기 관통지지홀(11)이 형성된 외통체(10)의 외측부에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연결축부(30)의 최종기어(35)의 기어이와 맞물려 회전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43)와, 상기 변속기어(43)와 일체형으로 상기 계기판(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42)과 연결된 연결축(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변속기어(43)는 상기 최종기어(35)와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상기에 기술한 제1 기어(32)와 제2 기어(33)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연결되는 게이지부(40)가 유체(3)의 양을 표시하기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지부(40)의 바늘(42)은 연결축(44)의 움직임에 따라 계기판(41)의 표면을 움직이고 특정량을 지칭하는 눈금(51a)을 가리키게 된다.
한편, 재차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날개(20a)는 물레방아 형상으로, 상기 외통체(10)의 내측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21a)과, 상기 중심축(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판(22a)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유체(3)가 저장된 용기(2)를 기울이면 상기 유체(3)는 상기 회전날개(20a)의 날개판(22a)을 밀어 회전시키고 이는 연결축부(30a)를 통해 게이지부(40)로 전달되어 눈금(41a)으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외통체(10)는 상단부 내측면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안착턱(12)을 더 형성하고, 더불어 상기 회전날개(20a)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 상기 안착턱(12)에 안착되면서 외통체(10)의 상단부 내측면에 꽉끼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날개(20a)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유출개구부(54)를 상면에 형성하도록 사각의 내벽(53)을 가지는 거치프레임(50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다.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개구부(54)는 상기 회전날개(20a)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크기로 용기(2) 내의 유체(3)가 전부 상기 회전날개(20a)를 통해서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50a)은 회전날개(20a)의 거치가 용이하고 위치고정되기 쉽도록 대향되는 양측에 축공(55)이 관통되게 더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연결축부(30a)는 상기 회전날개(20a)의 중심축(21a)을 관통하는 축홀(21a-1)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는 회동축(36)과, 상기 회동축(36)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전달기어(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30a)의 회동축(36)은, 상기 축공(55)을 회동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일단부가 상기 외통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지지홀(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회동축(36)의 돌출된 단부에 상기 전달기어(37)가 일체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관통지지홀(11)이 형성된 외통체(10)의 외측부에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달기어(37)의 기어이와 맞물려 회전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43)와, 상기 변속기어(43)와 일체형으로 상기 계기판(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42)과 연결된 연결축(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1)는, 외통체(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회전날개(20, 20a)와 연결축부(30, 30a) 그리 고, 상기 외통체(10)의 외측에 상기 연결축부(30, 30a)와 연결되게 구비된 게이지부(40)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한 유체의 유출량을 측정하여 정확한 사용량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게이지부(4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측정이 완료된 상태의 바늘(42)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일시예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계기판(41)의 전면이 오픈되거나 또는 상기 계기판(41)의 전면에 탈착가능, 즉 개폐가능한 뚜껑(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유체의 유출량 측정이 완료된 상기 바늘(42)을 수동, 즉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바늘(42)과 연결축(44) 사이에 태엽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유출량의 측정이 완료된 상기 바늘(42)을 자동, 즉 상기 태엽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2 : 용기
3 : 유체 10 : 외통체
20, 20a : 회전날개 21, 21a : 중심축
30, 30a : 연결축부 40 : 게이지부
50 : 거치프레임 60 : 유체유도핀

Claims (12)

  1. 유체(3)를 수용하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2)의 기울임에 따라 상부로 상기 유체(3)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외통체(10)로 구성된 통상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는 내부에 상기 입구부(2a)와 간격을 가지는 내부공간(A)을 가지되;
    상기 외통체(10)의 내부공간(A) 상단부측에 위치고정되어 상기 유체(3)의 외부 유출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20, 20a)와;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중심축(21)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축부(30, 30a)와;
    상기 외통체(10)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표면에 단위 눈금(41a)이 표시된 계기판(41)과, 상기 연결축부(30, 30a)와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계기판(41) 표면의 눈금(41a)을 가리키는 바늘(42)로 구성된 게이지부(40)를 포함하여;
    유체의 외부 유출량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20, 20a)의 회전이 연결축부(30, 30a)에 의해 게이지부(40)로 전달되어 상기 유체의 양을 눈금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0)는 수직의 중심축(21)을 가지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체와 접촉되는 면이 커지도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다수개의 날개판(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는, 상단부 내측면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안착턱(12)을 더 형성하고, 상기 안착턱(12)에 안착되면서 상단부 내측면에 꽉끼게 고정되는 환형대(51)와, 상기 환형대와 일체형으로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중심에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축(21)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홀(52a)이 형성된 거치대(52)로 구성된 거치프레임(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날개(20)는 상기 거치프레임(5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30)는, 상기 회전날개(20)의 중심축(21)이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31)과, 상기 제1 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 기어(32)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기어(33)와, 상기 제2 기어가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통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지지홀(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축(34)과, 상기 돌출된 제2 축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외통체(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최종기어(3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31)과 제2 축(34)은, 상기 용기(2)를 세워놓았을 때 틈새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력에 따라 상기 유체를 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떨어뜨리는 유체유도핀(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축(34)은 상기 관통지지홀(11)을 관통하는 측에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씰(3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관통지지홀(11)이 형성된 외통체(10)의 외측부에 구비되되,
    상기 최종기어(35)의 기어이와 맞물려 회전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43)와, 상기 변속기와 일체형으로 상기 계기판(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42)과 연결된 연결축(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0a)는 물레방아 형상으로, 상기 외통체(10)의 내측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21a)과,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판(22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는, 상단부 내측면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안착턱(12)을 더 형성하고,
    상기 안착턱(12)에 안착되면서 상단부 내측면에 꽉끼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날개(20a)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유출개구부(54)를 상면에 형성하도록 사각의 내벽(53)을 가지는 거치프레임(50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50a)은 대향되는 양측에 축공(55)이 관통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30a)는, 상기 회전날개(20a)의 중심축(21a)을 관통하는 축홀(21a-1)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는 회동축(36)과, 상기 회동축(36)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전달기어(37)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축부(30a)의 회동축(36)은, 상기 축공(55)을 회동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일단부가 상기 외통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지지홀(11)을 관통하여 외측 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상기 회동축(36)의 단부에 상기 전달기어(37)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관통지지홀(11)이 형성된 외통체(10)의 외측부에 구비되되,
    상기 전달기어(37)의 기어이와 맞물려 회전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43)와, 상기 변속기어와 일체형으로 상기 계기판(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바늘(42)과 연결된 연결축(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계기판(41)의 전면이 오픈되거나, 상기 계기판(41)의 전면에 탈착가능한 뚜껑(45)이 더 구비되어 유체의 유출량 측정이 완료된 상기 바늘(42)을 수동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12. 제 6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40)는, 상기 바늘(42)과 연결축(44) 사이에 태엽부재를 더 포함하여 유출량의 측정이 완료된 상기 바늘(42)을 자동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KR2020080012056U 2008-09-04 2008-09-04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KR200450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56U KR200450199Y1 (ko) 2008-09-04 2008-09-04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56U KR200450199Y1 (ko) 2008-09-04 2008-09-04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31U KR20100002931U (ko) 2010-03-12
KR200450199Y1 true KR200450199Y1 (ko) 2010-09-09

Family

ID=4419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056U KR200450199Y1 (ko) 2008-09-04 2008-09-04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1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20U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튜브형 용기
WO2023048492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비비엘코스메틱 유체 저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785B1 (ko) * 2020-12-04 2021-05-27 박동민 유체 저장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238Y1 (ko) 2004-09-23 2004-12-29 상규 최 보온 저장용기
KR200371093Y1 (ko) 2004-09-23 2005-01-05 유상열 기계식 터빈유량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238Y1 (ko) 2004-09-23 2004-12-29 상규 최 보온 저장용기
KR200371093Y1 (ko) 2004-09-23 2005-01-05 유상열 기계식 터빈유량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20U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튜브형 용기
KR200491060Y1 (ko) * 2016-04-19 2020-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튜브형 용기
WO2023048492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비비엘코스메틱 유체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31U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235A (en) Self-measuring condiment cap
US2006009115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fluid
RU2635915C2 (ru) Контейнер с противокапельной крышкой
US3695487A (en) Dispenser cap
US2013000891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nsing fluid
US6082591A (en) Graduated sight glass container
US6929159B1 (en) Quantitative measuring dispenser
EP1756534A1 (en) Reconfigurable metered material dispenser
KR200450199Y1 (ko)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US9423285B2 (en) Medication dispenser
AU3253000A (en) Measuring dispenser
US2190092A (en) Cap for use with various types of vessels from which it is desired to dispense measured quantities of free flowing materials
US5839619A (en) Measuring dispenser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US3756479A (en) Coffee dispenser
US20220289437A1 (en) Liquid pouring spout
US20070075093A1 (en) Liquid dispensing arrangements
US20190193923A1 (en) Solid Particulate Measu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0405556Y1 (ko) 계량부가 구비된 용기
JP2007084107A (ja) 粉体又は粒体用可変計量振出し容器
JP6774904B2 (ja) 計量キャップ
AU2013254753B2 (en) Dosing device and method for dosing and dispensing by means of the dosing device
CN108414044B (zh) 计量分配器及其使用方法
GB2453333A (en) Liquid dispenser
US1829771A (en)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