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785B1 - 유체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785B1
KR102257785B1 KR1020200168085A KR20200168085A KR102257785B1 KR 102257785 B1 KR102257785 B1 KR 102257785B1 KR 1020200168085 A KR1020200168085 A KR 1020200168085A KR 20200168085 A KR20200168085 A KR 20200168085A KR 102257785 B1 KR102257785 B1 KR 10225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tainer body
container
pad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민
Original Assignee
박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민 filed Critical 박동민
Priority to KR102020016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785B1/ko
Priority to PCT/KR2021/008243 priority patent/WO20221190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05B11/3001
    • B05B11/303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0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conic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튜브; 상기 배출 튜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패들; 및 상기 패들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에 남아 있는 유체의 잔여량 또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팅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저장 용기{FLUI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유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남아있는 유체의 잔여량 또는,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유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 액체 또는 겔 상태 등의 유체를 보관하기 위해 유체 저장 용기를 사용한다.
유체 저장 용기는, 일측에 용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
용기의 주입구에는 캡이 장착되어, 캡을 주입구로부터 개폐함에 따라 용기에 수용된 유체를 배출시키며 사용하게 된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의 주입구에 가압식 펌핑수단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식 펌핑수단의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용기 내부의 유체가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체 저장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유체 저장 용기는, 용기에 저장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제조된다.
그런데, 유체 저장 용기가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조된 경우,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 또는 용기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없고, 이에 사용자가 유체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며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073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 또는 용기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체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튜브; 상기 배출 튜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패들; 및 상기 패들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에 남아 있는 유체의 잔여량 또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팅 유니트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팅 유니트는, 상기 패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권취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팅 유니트는, 상기 패들의 회전을 상기 보빈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패들에 결합되는 베벨 피니언; 상기 베벨 피니언과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 기어; 및 상기 베벨 기어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이동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팁; 및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상기 접촉 팁과 접촉한 상기 단자에 해당하는 잔여량 또는 누적 배출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을 숫자, 텍스트,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펌핑 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저장 용기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 또는 용기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체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며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에서의 인디케이팅 유니트의 구성 및 이동체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에서의 이동체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의 인디케이팅 유니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인디케이팅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유체라 함은 기체, 액체 또는 겔 상태 등의 유체를 포함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1)는 용기 본체(10)와, 배출 튜브(20)와, 패들(30)과, 인디케이팅 유니트(4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유체를 수용한다. 용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용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주입구(13)에는, 일 실시예로서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를 배출 튜브(20)를 통해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펌핑 유니트(100)가 장착될 수 있다. 펌핑 유니트(1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배출 튜브(2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배출 튜브(20)의 내부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배출 튜브(20)의 일 영역에는, 패들(30)이 수용되는 패들 수용부(21)가 마련되어 있다.
패들(30)은 배출 튜브(20)의 패들 수용부(2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패들(30)은 배출 튜브(20)를 가로지르며 배출 튜브(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의 둘레를 따라 회전축(31)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날개(3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35)가 패들 수용부(21)를 통과하는 유체와 충돌하여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1)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패들(30)은 프로펠러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들(30)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날개(35)가 회전축(3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회전축(3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수차 형상 등 유체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패들(30)은 회전축(31)에 일방향 클러치 등을 장착하여, 패들(3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인디케이팅 유니트(40)는 패들(30)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용기 본체(10)에 남아 있는 유체의 잔여량을 표시한다.
인디케이팅 유니트(40)는, 보빈(41)과, 와이어(45)와, 이동체(51)와, 표시부(70)를 포함한다.
보빈(41)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패들(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와이어(45)는 보빈(41)의 회전에 따라 보빈(41)에 권취된다.
이동체(51)는 와이어(45)에 의해 보빈(41)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보빈(41)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5)가 보빈(41)에 권취되면서, 이동체(51)는 보빈(41)을 향해 접근하게 된다.
한편, 이동체(51)와 와이어(45)는 용기 본체(10)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는 이동체(51)와 와이어(4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트랙(15)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트랙(15)은, 이동체(51)와 와이어(45)가 보빈(41)의 권취 동작에 의해 이동할 때, 와이어(45)와 이동체(51)가 이동하는 이동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트랙(15)은 가이드 트랙(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용기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트랙은 이동체(51)의 이동 통로가 용기 본체와 독립적으로 분리되도록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체(51)와 와이어(45)는 용기 본체(10)의 주입구(13)가 형성된 넥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체(51)와 와이어(45)는 용기 본체(10)의 다른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패들(30)의 회전은 동력전달부(61)를 통해 보빈(4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61)는, 패들(30)에 결합되는 베벨 피니언(63)과, 베벨 피니언(63)과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 기어(65)와, 베벨 기어(65)와 보빈(41)을 연결하는 연결축(67)을 포함한다.
베벨 피니언(63)과 베벨 기어(65)는 일정 감속비를 가지며 맞물려 회전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부(61)를 마련함으로써, 패들(30)의 회전은 베벨 피니언(63)과 베벨 기어(65)를 거치면서 감속되어, 연결축(67)을 통해 보빈(41)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61)로서 베벨 피니언(63)과 베벨 기어(65)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베벨 피니언(63)과 베벨 기어(65) 대신에, 일정 감속비를 가지며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외치차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동력전달부(61)를 구비하지 않고, 패들(30)의 회전축(31)에 보빈(41)을 연결하여 패들(30)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45)를 보빈(41)에 권취할 수도 있다.
표시부(70)는 용기 본체(10)에 마련되어, 이동체(51)의 이동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70)로서 윈도우(71)가 마련되어 있다.
윈도우(71)는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이동체(51)의 이동 경로를 따라 용기 본체(10)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된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표면에는, 윈도우(71) 상에서의 이동체(51)의 위치에 따라 유체의 잔여량을 표시하는 마킹이 표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이동체(51)가 보빈(41)과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에 있을 경우 예컨대,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한 경우,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는 가득차 있는 상태이므로,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Full'이라는 마킹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51)가 보빈(41)과 가장 가까이 접근한 위치에 있을 경우 예컨대,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한 경우,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는 비어 있는 상태이므로,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Empty'이라는 마킹이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체(51)의 위치를 윈도우(71)를 통해 파악하여, 용기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로서 윈도우(71)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71)는 이동체(51)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펌핑 유니트(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펌핑 유니트(100)는 용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를 배출 튜브(20)를 통해 펌핑하여 배출시킨다.
펌핑 유니트(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가 펌핑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압력실(105)이 형성된 펌핑부(101)와, 펌핑부(101)의 압력실(105)에 압력을 가하며 펌핑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143)이 마련된 버튼부(141)를 포함한다.
펌핑부(101)는 용기 본체(10)의 주입구(13)에 장착되는 캡하우징(121)의 내부 중앙에 동축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압력실(11a)이 형성된 실린더(103)와, 실린더(103)의 압력실(105)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11)과, 이 코일스프링(111)의 상단에서 탄성 지지되며 일측에 통공(미도시)이 형성된 중공피스톤(123)과, 중공피스톤(12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이의 상단을 폐쇄하는 실린더캡(127)과, 버튼부(141)의 노즐(143)과 중공피스톤(123)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29)과, 실린더(103) 하단에 놓이는 강구체의 볼밸브(13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부(141)를 누르면, 코일스프링(111)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실린더캡(127) 내부를 따라 중공피스톤(123)이 하강하며, 이것에 의해 실린더(103)의 압력실(105)에 채워진 유체는 실린더(103)의 통공, 중공피스톤(123)의 중공부(미도시), 연결관(129)을 순차적으로 거쳐, 노즐(14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 때, 볼밸브(131)는 실린더(103) 내부 유체의 하강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배출 튜브(20)의 배출 통로를 폐쇄하며 압력실(105)과 용기 본체(10) 내부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141)를 놓으면, 코일스프링(111)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중공피스톤(123)이 상승하면서 통공이 폐쇄되어 유체 분사가 차단됨과 동시에, 실린더(103)의 압력실(105)에 진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0)에 저장된 유체는 볼밸브(131)를 상승시키면서 압력실(105)에 채워진다. 이러한 버튼부(141)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가 일정하게 분사된다.
여기서, 펌핑 유니트(100)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펌핑 유니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된 펌핑 유니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1)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가 용기 본체(10)에 가득찬 상태에서는 예컨대, 용기의 초기 사용 상태에서는, 이동체(51)가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1)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하며,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Full'이라는 마킹이 표시되어 있다.
이어서, 펌핑 유니트(100)를 작동하면, 펌핑부(101)의 펌핑 회수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는 배출 튜브(20)를 통해 펌핑하며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 튜브(20)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 튜브(20) 내에 위한 패들(30)이 통과하는 유량에 대응하여 일정 회전수만큼 회전을 하게 되고, 패들(30)의 회전은 베벨 피니언(63)과 베벨 기어(65)를 거쳐 일정 감속비로 감속되어 보빈(4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보빈(41)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5)가 보빈(41)에 권취되는 길이만큼, 이동체(51)는 가이드 트랙(15)을 따라 보빈(41)과 접근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펌핑 유니트(100)의 펌핑 회수가 누적됨에 따라, 패들(30)의 회전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고, 보빈(41) 역시 회전이 증가하며, 와이어(45) 또한 보빈(41)에 권취된 길이가 증가하여 이동체(51)는 가이드 트랙(15)을 따라 보빈(41)과 더욱 접근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이동체(51)의 위치를 윈도우(71) 통해 파악하여, 용기에 남아있는 유체의 잔여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Empty' 마킹이 표시된 윈도우(71)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용기 비어 있음을 확인하여, 용기에 유체를 리필하거나 또는 용기를 폐기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인디케이팅 유니트(40)는 패들(30)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용기 본체(10)에 남아 있는 유체의 잔여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들(30)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용기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할 경우, 표시부(70)의 표시된 마킹을 전술한 실시예와 반대 방향으로 표시함으로써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한 경우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Full'이라는 마킹을 표시하고,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한 경우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Empty'이라는 마킹을 표시하였지만, 반대로,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한 경우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0%'이라는 마킹을 표시하고, 이동체(51)가 보빈(41)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윈도우(71)에 위치한 경우 해당 윈도우(71)의 주변에는 '100%'이라는 마킹을 표시하여, 용기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1)의 인디케이팅 유니트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팅 유니트(40')는 전술한 일 실시예서의 인디케이팅 유니트와 달리, 표시부로서 액정 형태의 디스플레이부(81)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81)는 용기 본체(10)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예컨대, 용기 본체(10)의 넥 주변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용기 본체(10)에 남아있는 유체의 잔여량 또는 용기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부(81)가 용기 본체(10)에 남아있는 유체의 잔여량을 표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81)로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81)는 숫자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프로그레시브 바는 LED 등과 같은 발광부에 의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81)를 통해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을 표시하기 위해, 인디케이팅 유니트(40')는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와, 접촉 팁(85)과, 제어부(87)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는 용기 본체(10)에 남아있는 유체의 잔여량에 대응하여, 이동체(51)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유체의 총 용량을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의 간격 수로 나눈 값에 대응하는 양을 표시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의 간격 수가 8개이고,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유체의 총 용량이 80ml이라고 가정할 경우, 각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의 간격은 10ml 용량에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는 제어부(87)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다.
접촉 팁(85)은 이동체(51)에 마련되어, 이동체(51)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제어부(87)는 접촉 팁(85)이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접촉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거하여, 접촉한 단자에 해당하는 잔여량 또는 누적 배출량을 디스플레이부(8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용기의 초기 사용 상태에서, 도 9에 실선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접촉 팁(85)은 제1단자(83a)에 접촉하고, 이 후 펌핑부(101)의 펌핑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패들(30)이 회전하여, 보빈(41)에 와이어(45)의 권취가 증가하면서 이동체(51)가 보빈(41)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접촉 팁(85)이 제1단자(83a)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접한 단자와 접촉한 후, 도 9에 점선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접촉 팁(85)이 마지막에 위치한 제9단자(83i)와 접촉하면, 디스플레이부(81)에는 용기 본체(10)가 비어있음을 알리도록 프로그레시브 바가 표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촉 팁(85)이 제1단자(83a)에 접촉할 때 용기 본체(10)는 유체가 가득찬 초기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87)는 제1단자(83a)와 접촉 팁(85)의 접촉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81)의 전체 프로그레시브 바 중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프로그레시브 바만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그레시브 바를 통해 용기 본체(10)에 유체가 가득차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체(51)가 펌핑 유니트(1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접촉 팁(85)이 제1단자(83a)와 접촉 해제된 후 제2단자(83b)에 접촉하게 되면, 제어부(87)는 제2단자(83b)와 접촉 팁(85)의 접촉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81)의 전체 프로그레시브 바 중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와 두 번째 프로그레시브 바를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그레시브 바를 통해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은 70ml 정도 남아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동체(51)가 제1단자(83a)와 제2단자(83b) 사이에 위치할 때, 제어부(87)는 첫 번째 프로그레시브 바만을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81)를 통해 용기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팅 유니트(4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81)와, 복수의 단자(83a,83b,83c,83d,83e,83f,83g,83h,83i)와, 접촉 팁(85)과, 제어부(87)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인디케이팅 유니트(4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들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용기 본체에 남아 있는 유체의 잔여량 또는,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팅 유니트를 마련함으로써, 유체 저장 용기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유체의 잔여량 또는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유체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며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유체 저장 용기
10: 용기 본체
20: 배출 튜브
21: 패들 수용부
30: 패들
40,40': 인디케이팅 유니트
41:보빈
45: 와이어
51: 이동체
70: 표시부
71: 윈도우
81: 디스플레이부
100: 펌핑 유니트

Claims (10)

  1.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튜브;
    상기 배출 튜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패들; 및
    상기 패들의 누적되는 회전수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에 남아 있는 유체의 잔여량 또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팅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팅 유니트는,
    상기 패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권취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팅 유니트는,
    상기 패들의 회전을 상기 보빈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패들에 결합되는 베벨 피니언;
    상기 베벨 피니언과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 기어; 및
    상기 베벨 기어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유체 저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이동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팁; 및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상기 접촉 팁과 접촉한 상기 단자에 해당하는 잔여량 또는 누적 배출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잔여량 또는 상기 누적 배출량을 숫자, 텍스트,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유체 저장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펌핑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유체 저장 용기.
KR1020200168085A 2020-12-04 2020-12-04 유체 저장 용기 KR10225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85A KR102257785B1 (ko) 2020-12-04 2020-12-04 유체 저장 용기
PCT/KR2021/008243 WO2022119068A1 (ko) 2020-12-04 2021-06-30 유체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85A KR102257785B1 (ko) 2020-12-04 2020-12-04 유체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785B1 true KR102257785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085A KR102257785B1 (ko) 2020-12-04 2020-12-04 유체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7785B1 (ko)
WO (1) WO20221190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68A1 (ko)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비비엘코스메틱 유체 저장 용기
WO2023048492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비비엘코스메틱 유체 저장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8053U (ko) * 1987-04-24 1988-11-01
JP2009286460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吐出器
JP3207344U (ja) 2016-06-14 2016-11-10 マイコム株式会社 残量測定装置及びこれが用いられた噴霧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99Y1 (ko) * 2008-09-04 2010-09-09 신영우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JP7053364B2 (ja) * 2018-04-27 2022-04-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KR102257785B1 (ko) * 2020-12-04 2021-05-27 박동민 유체 저장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8053U (ko) * 1987-04-24 1988-11-01
JP2009286460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吐出器
JP3207344U (ja) 2016-06-14 2016-11-10 マイコム株式会社 残量測定装置及びこれが用いられた噴霧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68A1 (ko)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비비엘코스메틱 유체 저장 용기
WO2023048492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비비엘코스메틱 유체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068A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785B1 (ko) 유체 저장 용기
EP1910678B1 (en) Reciprocating pump with electronically monitored air valve having battery and solenoid electronic monitoring
AU2017202922B2 (en) Portable pressurized power source for fastener driving tool
US4748300A (en) Liquid level indicator switch
US9057370B2 (en) Negative dead volume syringe
US7094222B1 (en) Syringe device for simultaneous infusion and withdrawal
US11135354B2 (en) Fluid delivery pump
US3341076A (en) Fluid pressure-operated burette system
KR20200123805A (ko) 기밀 방식으로 폐쇄된 보틀을 위한 충전 장치
US6067854A (en) Apparatus for sensing liquid level
KR20230043051A (ko) 유체 저장 용기
JP2017104821A (ja) シリンジポンプ
CN105422072A (zh) 一种多球投球器
CN211434537U (zh) 双头药物注射笔
JP5685202B2 (ja) 電解液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8348106B2 (en) Fluid dispensing or feeding device
US2616524A (en) Lubricant pump
KR101812944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20134221A (ko) 유체 저장 용기
CN114632218A (zh) 一种气压驱动注射装置
CN209966648U (zh) 电动或气动连续注射器
CN209739820U (zh) 一种食用油瓶
KR200470943Y1 (ko) 잔량확인용 엘이디 램프를 갖는 에어리스 펌프용기
DE3365758D1 (en) Device for delivering precise doses of aerosol
RU7365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одиночными капл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