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870Y1 -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 Google Patents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870Y1
KR200449870Y1 KR20080010596U KR20080010596U KR200449870Y1 KR 200449870 Y1 KR200449870 Y1 KR 200449870Y1 KR 20080010596 U KR20080010596 U KR 20080010596U KR 20080010596 U KR20080010596 U KR 20080010596U KR 200449870 Y1 KR200449870 Y1 KR 200449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main body
discharge 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0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745U (ko
Inventor
손용권
Original Assignee
손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권 filed Critical 손용권
Priority to KR20080010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뿐 아니라 용기의 회수과정에서 마개의 분실없이 회수되도록 하여 용기의 재활용도를 증가시키며, 마개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하는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외부면에 상기 배출구(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개(20)가 결합되는 마개보조결합체(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를 수용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개구된 돌출구(5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구(50)에는 연결체(55)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돌출구(50)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구, 본체, 마개보조결합구체, 마개

Description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BOTTLE HAVING CADENCE DEVICE OF CAP}
본 고안은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뿐 아니라 용기의 회수과정에서 마개의 분실없이 회수되도록 하여 용기의 재활용도를 증가시키며, 마개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하는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나 음료수와 우유같은 식음료를 비롯하여 오일, 도표, 화학제품 등의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용기는 어느 것이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배출구에 대한 마개의 개폐착탈은 나사결합식 또는 탄성을 갖는 걸림단을 이용하는 가압식이 보통이다.
그리고, 용기의 규모가 커지거나 기밀을 강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수지재 내부캡이 부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용기는 내용물을 덜어내기 등으로 마개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배출구를 열어두었다가 재결합하는 일이 반복되며, 이때 마개는 실내 바닥 등 지면에 내려놓게 되고 이에 따라 주위 환경을 복잡하게 만들고 이물질로 마개가 오염될 뿐만 아니라 마개를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최근 자원에 대한 재활용의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마개가 부착된 상태로 용기를 회수하여 용기를 소독한 이후 재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데, 회수된 용기에 마개가 결합되어 있지 않아 재활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뿐 아니라 회수된 용기에 맞는 마개를 재차 제작함에 있어서 용기 제작에 따른 비용보다 마개를 제작하는 비용이 훨씬 많이 소모됨에 따라 이중적인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배출구에서 마개를 분리하였을 경우 분리된 마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보조결합부를 용기에 구성함으로써 마개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의 관리 및 취급을 용이하도록 하여 마개의 분실을 방지함으로써 용기가 회수되었을 경우에 마개도 함께 회수되도록 하여 마개를 따로 재차 제작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외부면에 상기 배출구(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개(20)가 결합되는 마개보조결합체(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를 수용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개구된 돌출구(5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구(50)에는 연결체(55)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돌출구(50)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60)가 형성된 것을 특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하측면에 배출구로부터 분리된 마개를 결합할 수 있는 마개보조결합체를 구비함으로써 마개를 실내 바닥 등 지면에 내려놓지 않게 되어 마개에 이물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마개를 분실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용기 회수시에 마개와 함께 회수되 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마개보조결찹체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는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배출구에 결합되는 마개와 상기 본체의 하측외부면에 결합되는 마개보조결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비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소재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배출구(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구(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구(30)는 개폐하는 마개(20)가 나사결합된다.
한편, 본원 고안의 특징부 구성인 마개보조결합체(4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외부면에 상기 배출구(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개보조결합 체(40)에 상기 배출구(30)에서 분리된 상기 마개(20)를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에 결합하게 되어 마개의 분실을 방지하여 용기를 회수시 마개가 달린 상태로 회수되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개의 내측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자는 더욱 위생적인 상태로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를 수용하도록 하측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고 일측이 개구된 돌출구(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구(50)에는 연결체(55)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돌출구(50)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60)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구(5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이 원형의 형상일 경우, 상기 본체(10)의 하측외주면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원기둥의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60)는 상기 연결체(55)를 매개로 상기 돌출구(50)와 연결되어 상기 마개(20)를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에 연결할 경우, 상기 덮개(60)를 상기 돌출구(50)에서 분리한 후 상기 마개(20)를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에 결합하게 되면 다시 상기 덮개(60)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구(50)의 개구부를 덮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하측면에 배출구(30)로부터 분리된 마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마개를 실내 바닥 등 지면에 내려놓지 않게 되어 마개에 이물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마개를 분실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용기 회수시에 마개와 함께 회수되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개보조결찹체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마개
30: 배출구 40: 마개보조결합체
50: 돌출구 55: 연결체
60: 덮개

Claims (1)

  1.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외부면에 상기 배출구(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개(20)가 결합되는 마개보조결합체(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마개보조결합체(40)를 수용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개구된 돌출구(5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구(50)에는 연결체(55)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돌출구(50)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KR20080010596U 2008-08-08 2008-08-08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KR200449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0596U KR200449870Y1 (ko) 2008-08-08 2008-08-08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0596U KR200449870Y1 (ko) 2008-08-08 2008-08-08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45U KR20100001745U (ko) 2010-02-18
KR200449870Y1 true KR200449870Y1 (ko) 2010-08-16

Family

ID=4424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0596U KR200449870Y1 (ko) 2008-08-08 2008-08-08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7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650A (ko) * 2006-04-21 2006-05-10 백영자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60043778A (ko) * 2006-04-25 2006-05-15 백영자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419374Y1 (ko) 2006-04-04 2006-06-20 주식회사 태평양 뚜껑을 보관할 수 있는 포장용기
KR200435196Y1 (ko) 2006-09-19 2007-01-10 이승준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374Y1 (ko) 2006-04-04 2006-06-20 주식회사 태평양 뚜껑을 보관할 수 있는 포장용기
KR20060040650A (ko) * 2006-04-21 2006-05-10 백영자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60043778A (ko) * 2006-04-25 2006-05-15 백영자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435196Y1 (ko) 2006-09-19 2007-01-10 이승준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45U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64B2 (en) Drink bottle
JP5613440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US20090065377A1 (en) Dual use cup assembly
JP6059489B2 (ja) 吐出容器
JP6084542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RU2007137265A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запор из пластмассы
MX2014009540A (es) Pieza de cierre para cuello de recipiente.
KR200449870Y1 (ko) 마개보조결합체가 구비된 용기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CN102687971B (zh) 一种盖子
CN105645486A (zh) 废液收集袋密封外加料系统
CN102317166A (zh) 密封容器
CN201325706Y (zh) 一种蜂蜜包装瓶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KR20080000223U (ko) 티 캡
KR200413210Y1 (ko) 접착제 용기 안전마개
CN203222216U (zh) 一种瓶盖
KR20130103647A (ko) 용기 목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면 구조
CN210823558U (zh) 存放有种子的包装瓶
JPS5811712Y2 (ja) 容器
KR20190091045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30101749A (ko)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CN103144839B (zh) 简易卡式瓶盖
JP6366499B2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及び首部構造
CN203652297U (zh) 塑料液体容器口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