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809Y1 - 과실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과실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809Y1
KR200449809Y1 KR2020100003046U KR20100003046U KR200449809Y1 KR 200449809 Y1 KR200449809 Y1 KR 200449809Y1 KR 2020100003046 U KR2020100003046 U KR 2020100003046U KR 20100003046 U KR20100003046 U KR 20100003046U KR 200449809 Y1 KR200449809 Y1 KR 200449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ire
longitudinal direction
net
protection device
v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기
Original Assignee
황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기 filed Critical 황성기
Priority to KR2020100003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2Cultivation of hops or v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고안은 과실 보호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과실 보호장치는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고, 차양막 및 지주대상에 간편하게 시공되어 꽃매미를 포함하는 해충의 침입이 긴밀하게 차단하도록 횡바(10), 제1장력와이어(20), 제2장력와이어(30)등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부ㆍ측면보호그물에 내설된 장력와이어 양단부를 당겨서 설치함에 따라 다수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고, 장력와이어에 의해 보호망의 단부가 차양막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꽃매미를 포함하는 해충의 침입이 차단됨과 아울러 처짐 및 늘어짐이 방지되어 강풍에 의해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실 보호장치{Fruit protective device}
본 고안은 과실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 및 해충으로부터 포도를 포함하는 과실을 보호하는 과실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도는 병충에 의해 상품의 가치가 급격히 떨어지고, 기후의 변화에 따라 당도가 변화되는 민감한 작물이다. 이에 기후의 변화에 따른 냉해 및 우천시 포도열매의 당도저하, 농약의 씻김방지를 위하여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설치된다.
그러나 근자에는 포도 수액을 먹고사는 꽃 매미를 포함하는 외래 해충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차양막만으로 해충의 피해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38837호에서 과수원등에 가로방향과, 지면과 연결되도록 하는 세로방향으로 방호망을 설치하여 해충으로부터 과수를 보호하려는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가로방호망과 세로방호망을 이용하여 과수원이 전체적으로 덮히도록 설치되므로 해충의 침입은 긴밀하게 방지되나, 전체시공에 따른 작업성저하 및 방호망의 과다소모로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상기한 시공비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8014호에서 포도밭 비가림용 설비에 씌워진 비닐막사이에 방호망 양단을 클립으로 고정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외곽에 있는 비가림용 설비에 씌워진 비닐막과 지면사이에 방호망을 클립으로 고정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여 꽃매미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통상의 포도밭길이가 100m이상인 거리를 고려할때, 클립을 최소 1m간격으로 고정한다하더라도 양단을 고정할 경우 200개소이상에 클립을 체결해야 하고, 또 포도를 수확후 철거시에도 200개이상의 클립을 일일이 분리해야 함에 따라 방호망의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방호망을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2인 1조로 양단을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당기면서 고정해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인력이 동시에 필요로 하지만, 고령화로 인해 일손이 부족한 농촌실정에 부적합한 실정이다.
또, 방호망이 3~10mm되는 망지로 형성되고, 망지의 특성상 신축성이 뛰어나 클립이 고정되는 부분만이 국부적으로 당겨져 비닐막과 인접하게 고정되고, 클립과 클립사이구간의 방호망은 처지면서 꽃 매미를 포함하는 해충이 자유로이 출입하므방호망이 재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시공후 태풍을 포함한 강풍이 불면 방호망이 신축성으로 인해 상하 좌우로 펄럭이면서 심하게 유동되어 늘어나거나 클립과 클립사이의 구간이 비닐막과 더욱 심하게 이격되어 수시로 유지보수해야 하는 폐단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일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시공 및 철거가 간편하고, 보호망의 단부가 전체적으로 비닐막과 긴밀하게 밀착시공되어 꽃매미를 포함하는 해충의 침입이 차단되며, 강풍에 의한 처짐 및 늘어짐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과실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는 과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차양막(1) 하단에 위치되면서 복열로 배치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10); 상기 차양막(1) 사이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보호그물(2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력와이어(20)가 내설되고, 제1장력와이어(2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양단이 외곽에 위치된 횡바(10)상에 고정되며, 상기 포도나무 외곽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측면보호그물(3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장력와이어(30)가 내설되고, 제2장력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을 덮은 상태로 끝단이 당겨져 상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는 과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차양막(1) 하단에 위치되면서 복열로 배치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10); 상기 차양막(1) 사이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보호그물(2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력와이어(20)가 내설되고, 제1장력와이어(2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부보호그물(22)과 함께 외곽에 위치된 횡바(10)를 선회하여 다른 인접하는 횡바(10)에 고정되며, 상기 포도나무 외곽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측면보호그물(3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장력와이어(30)가 내설되고, 제2장력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을 덮은 상태로 끝단이 당겨져 상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끝단이 당겨진 상태로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보조와이어(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장력와이어(20)(30)는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를 기준으로 2~10개 이격된 그물눈상에 위치되어, 제1, 2장력와이어(20)(30)를 기준으로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의 외측방향으로 보조그물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부ㆍ측면보호그물에 내설된 장력와이어 양단부를 당겨서 설치함에 따라 다수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고, 장력와이어에 의해 보호망의 단부가 차양막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꽃매미를 포함하는 해충의 침입이 차단됨과 아울러 처짐 및 늘어짐이 방지되어 강풍에 의해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ㆍ측면보호그물이 설치된 상태로 보조그물부가 틈새를 덮은 상태로 유지되어 해충의 침입이 차단되고, 또 사용중 상부ㆍ측면보호그물이 유동되면서 발생되는 이격된 공간까지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실 보호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호그물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측면보호그물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상부보호그물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a 내지 5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그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과실 보호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과실 보호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과실 보호장치는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고, 차양막 및 지주대상에 간편하게 시공되어 꽃매미를 포함하는 해충의 침입이 긴밀하게 차단하도록 횡바(10), 제1장력와이어(20), 제2장력와이어(30)등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실 보호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그물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보호그물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상부보호그물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횡바(10)는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차양막(1) 하단에 위치되면서 복열로 배치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개소에 구비된다. 횡바(10)는 중공의 원형 또는 각봉으로 형성되고,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 1처럼 복열로 시공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한다.
이에 횡바(10)가 지주대(2)와 함께 일체의 구조물을 형성함에 따라 강풍이 불더라도 지주대(2)의 휨이나 부러짐이 방지되고, 후술하는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과 함께 포도나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차양막(1) 사이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보호그물(2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력와이어(20)가 내설되고, 제1장력와이어(2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양단이 외곽에 위치된 횡바(10)상에 고정된다. 상부보호그물(22)은 pe,pp를 포함하는 물 흡수성이 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보호그물(22)을 직조하는 중에 도 2처럼 원사사이로 제1장력와이어(20)를 내설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보호그물(22)을 차양막(1) 사이에 미리 시공된 횡바(10)상부에서 펼친상태로 제1장력와이어(20) 양단을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도 4와 같이 외곽에 설치된 횡바(10)상에 결속하면 제1장력와이어(20)의 장력에 의해 상부보호그물(22)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차양막사이의 공간이 마감되되고, 이때 상부보호그물(22)은 횡바(10)상부에 안착되어 처짐이 방지된다.
이처럼, 적어도 80~150m로 형성된 긴 포도밭에 시공시 상부보호그물(22)을 길이방향으로 펼친 상태로 제1장력와이어(20) 양단의 결속 즉, 2개소를 고정하므로서 시공이 완료됨에 따라 다수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하고, 또 강풍이 불더라도 제1장력와이어(20)에 의해 상부보호그물(22)의 가장자리부분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되어 국부적인 늘어짐이 방지됨에 따라 차양막(1)과의 공간이격현상이 방지된다.
또, 제1장력와이어(20)가 상부보호그물(22)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내설됨에 따라 제1장력와이어(20)를 강하게 당겨 고정하더라도 상부보호그물(22)의 그물눈이 늘어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포도나무 외곽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측면보호그물(3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장력와이어(30)가 내설되고, 제2장력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을 덮은 상태로 끝단이 당겨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고정된다. 제2장력와이어(30)는 상기 제1장력와이어(20)와 동일하게 측면보호그물(32)을 직조하는 중에 원사사이로 위입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보호그물(32)은 pe,pp를 포함하는 물 흡수성이 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제2장력와이어(30)를 당겨 상부수용면접이 축소되면서 상단부가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에 밀착되도록 결속된다. 즉 측면호보그물(32)을 펼친상태로 포도밭의 외곽을 따라 측면을 마감하고, 제2장력와이어(30)의 단부를 당겨서 상부수용면적(예컨대, 측면보호그물(32)에 의해 형성된 구획의 상부개방부)을 축소시키면 자중에 의해 측면보호그물(32)이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간편한 설치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끝단이 당겨진 상태로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가 포도나무에 인접하도록 감싸듯이 위치고정됨에 따라 강풍이 불더라도 지면과 견고하게 밀착되어 해충의 침입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과실 보호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제 1실시예의 과실 보호장치에 있어서의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앞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실 보호장치는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고, 상기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차양막(1) 하단에 위치되면서 복열로 배치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10); 상기 차양막(1) 사이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보호그물(2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력와이어(20)가 내설되고, 제1장력와이어(2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부보호그물(22)과 함께 외곽에 위치된 횡바(10)를 선회하여 다른 인접하는 횡바(10)에 고정되며, 상기 포도나무 외곽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측면보호그물(3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장력와이어(30)가 내설되고, 제2장력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을 덮은 상태로 끝단이 당겨져 상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부보호그물(22)은 단부를 외곽에 위치된 횡바(10)를 축으로 선회하여 당겨진 상태로 인접하는 다른 횡바(10)상에 고정됨에 따라 상부보호그물(22)이 횡바(10)상에 지지되어 전면이 균일하게 당겨지면서 상부보호그물(22)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끝단이 당겨진 상태로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가 포도나무에 인접하도록 감싸듯이 위치고정됨에 따라 강풍이 불더라도 지면과 견고하게 밀착되어 해충의 침입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 실시예1, 2에서 상기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보조와이어(40)가 구비된다. 보조와이어(40)는 제1, 2장력와이어(20)(30)과 동일하게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을 직조하는 중에 원사사이로 위입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된다. 이에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를 설치한 상태로 보조와이어(40)를 당김으로서 제1, 2장력와이어(20)(30)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중앙부분까지 견고하게 지지되어 강풍에도 처짐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a 내지 5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그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5b에서, 실시예1, 2에서 상기 제1, 2장력와이어(20)(30)는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를 기준으로 2~10개 이격된 그물눈상에 위치되어, 제1, 2장력와이어(20)(30)를 기준으로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의 외측방향으로 보조그물부(50)가 형성된다.
일예로서, 상부보호그물(22)을 설치시 제1장력와이어(20)를 차양막(1)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면, 제1장력와이어(20)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그물부(50)가 차양막(1)을 덮은 상태로 상부보호그물(22)과 차양막(1)사이의 공간을 2중으로 마감하여 해충의 침입이 보다 긴밀하게 차단되고, 또 강풍으로 인해 상부보호그물(22)이 유동되면서 발생되는 이격된 공간까지 보조그물부(50)에 의해 마감되는 이점이 있다.
10: 횡바 20: 제1장력와이어 30: 제2장력와이어
40: 보조와이어 50: 보조그물부

Claims (5)

  1.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는 과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차양막(1) 하단에 위치되면서 복열로 배치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10);
    상기 차양막(1) 사이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보호그물(2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력와이어(20)가 내설되고, 제1장력와이어(2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양단이 외곽에 위치된 횡바(10)상에 고정되며,
    상기 포도나무 외곽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측면보호그물(3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장력와이어(30)가 내설되고, 제2장력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을 덮은 상태로 끝단이 당겨져 상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장치.
  2. 복열로 식립된 포도나무 줄기를 지지하는 지주대 상단에 차양막이 구비되는 과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의 식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차양막(1) 하단에 위치되면서 복열로 배치된 지주대(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10);
    상기 차양막(1) 사이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보호그물(2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력와이어(20)가 내설되고, 제1장력와이어(2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부보호그물(22)과 함께 외곽에 위치된 횡바(10)를 선회하여 다른 인접하는 횡바(10)에 고정되며,
    상기 포도나무 외곽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측면보호그물(32) 양측 가장자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장력와이어(30)가 내설되고, 제2장력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외곽에 위치된 횡바(10) 및 차양막(1)의 외곽부분을 덮은 상태로 끝단이 당겨져 상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에 위치된 제2장력와이어(30)는 끝단이 당겨진 상태로 측면보호그물(32)의 하부수용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장치.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보조와이어(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장력와이어(20)(30)는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를 기준으로 2~10개 이격된 그물눈상에 위치되어, 제1, 2장력와이어(20)(30)를 기준으로 상부ㆍ측면보호그물(22)(32)의 외측방향으로 보조그물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장치.
KR2020100003046U 2010-03-24 2010-03-24 과실 보호장치 KR200449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46U KR200449809Y1 (ko) 2010-03-24 2010-03-24 과실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46U KR200449809Y1 (ko) 2010-03-24 2010-03-24 과실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809Y1 true KR200449809Y1 (ko) 2010-08-12

Family

ID=4424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046U KR200449809Y1 (ko) 2010-03-24 2010-03-24 과실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0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396A (en) * 1988-02-05 1992-01-28 Traut Emma L Crop protection system
KR100301452B1 (ko) * 1998-10-09 2001-09-22 김강권 방조망 받침용 와이어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396A (en) * 1988-02-05 1992-01-28 Traut Emma L Crop protection system
KR100301452B1 (ko) * 1998-10-09 2001-09-22 김강권 방조망 받침용 와이어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8417B1 (de) Regen- oder Hagelschutzvorrichtung für Pflanzenkulturen
CA2424315C (en) Weather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moisture-sensitive specialized cultures of plant cultivation
US20110067298A1 (en)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the weather
US20150064415A1 (en) Agricultural covering
KR200471545Y1 (ko) 식물 재배용 접이식 방충망
US7461479B2 (en) Plant protection system
ITMI20121761A1 (it) Impianto antigrandine ed antiinsetto monofilare, ad apertura e chiusura rapida, per la protezione di coltivazioni di piante disposte in filari.
KR100489434B1 (ko)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KR20080091629A (ko) 노지 감귤의 당도를 높이기 위한 영농방법
KR200449809Y1 (ko) 과실 보호장치
KR101212007B1 (ko) 골짜기형 비가림 장치
IT201900005456A1 (it) Sistema di protezione per coltivazioni
KR101177789B1 (ko) 로프 및 그물망을 이용한 농작물용 비가림 구조물
CN205546627U (zh) 双层加棉养菌棚
KR20100003268U (ko) 농작물 보호용 망사 구축물
KR200175065Y1 (ko) 포도재배용 차양막 구조
WO2019086888A2 (en) Cultivation arrangement
KR200274674Y1 (ko) 폭설피해 방지용 인삼발
KR101434872B1 (ko) 시설 재배 구조물
KR200381017Y1 (ko) 인삼밭용 차광막 받침대
EP4056030A1 (en) System for protecting crops against weather conditions
JP6712975B2 (ja) 農業用被覆材
JP2020096622A (ja) 農業用被覆材
KR200192026Y1 (ko) 비닐하우스용 필름
WO2023059176A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при выращивании фруктов и овощ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