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83Y1 - 야외용 접이식 탁자 - Google Patents

야외용 접이식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83Y1
KR200449683Y1 KR2020090014463U KR20090014463U KR200449683Y1 KR 200449683 Y1 KR200449683 Y1 KR 200449683Y1 KR 2020090014463 U KR2020090014463 U KR 2020090014463U KR 20090014463 U KR20090014463 U KR 20090014463U KR 200449683 Y1 KR200449683 Y1 KR 200449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coupled
unfolded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483U (ko
Inventor
정채영
Original Assignee
정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채영 filed Critical 정채영
Priority to KR2020090014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8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8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holders for position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2003/083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being superimposed, hinged and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47B2200/0052Telescopic with two telescopic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상판을 각각 접고 펼 수 있으며, 본체 내에 서랍과 가동식 전등지지대를 장착한 휴대 가능한 야외용 접이식 탁자에 관한 것이다.
접이식 본체(10)는 두 개의 박스형 부재(11)로 결합 구성되며 아래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체의 하부 공간에는 상기 박스형 부재들의 접촉면에 인접하게 서랍(13)이 배치되며, 네 귀퉁이에는 회전돌출 및 회전수납 가능한 길이 조절식 다리(12)가 결합된다.
본체 위에는 추가로 접고 펼 수 있는 상판(14)구조가 더해지며 좌우 측면에는 상판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 상판지지대(15)가 추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탁자는, 상판의 지지나 전개 시에 요구되는 지지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대형화된 중량의 결합부를 갖는 종래의 절첩식 테이블과 달리 탁자 구조부재의 내부공간을 서랍 등에 의해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지지강도를 가지면서도, 야외 사용에 꼭 필요한 각종 편리한 기능, 예컨대 탁자 위 조명기능과 각종 물품수납기능 들을 발휘할 수 있다.
테이블, 탁자, 접이식, 절첩, 전등

Description

야외용 접이식 탁자{A folding type outdoor table}
본 고안은 조명기능과 물품보관 기능 및 다리길이 조절기능을 갖춘 휴대형 접이식 탁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볍고 조립분해가 간편한 접이식 탁자(또는 절첩식 테이블)는 야외 행사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간이 탁자는 사용목적에 적합한 강도를 확보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운반과 보관에 편리하도록 최대한 가볍고 컴팩트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주된 설계목표였다. 거기에 덧붙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였다.
통상의 접이식 탁자로서 공개특허공보 10-1994-0025518호에 기재된 절첩식 싱크대는, 지지대 사이에 개수대와 그릴 등 작업대가 설치되고 그 위에 상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야외에서 상판을 좌우로 슬라이딩 시켜 테이블을 전개하는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야외부페 등 대규모 행사용에는 적합하나 가족단위의 나들이용으로는 사용하기 힘든 철제의 대형테이블 구조이다. 주된 이유로는, 상기 테이블의 상판이 완전히 슬라이드-아웃 된 상태에서는, 본체와 상판 간 결합부에 매우 큰 지지력이 요구되므로 이 부분 상판 결합부에 적합한 설계구조로 는 상당한 크기와 중량을 갖는 강철프레임 외에는 별다른 설계구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접이식 탁자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3634호에 기재된 접이식 테이블을 살펴보면, 두 장의 상판에 각각 4개의 받침다리를 형성하고 상판이 서로 인접하는 쪽에 형성된 받침다리들을 서로 X자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받침다리를 접음과 동시에 상판이 서로 접히는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넓은 면적의 상판을 얇게 접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외의 다른 기능은 거의 첨가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면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받침다리가 독립적으로 전개되는 기능이나, 두 번 접힐 수 있어 테이블의 펼쳐진 면적 대비 휴대 시의 테이블 부피를 줄이는 기능은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트럭탑재 등에 의해 운반되는 행사용의 대형 탁자로만 사용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통상의 철제 대형 접이식 테이블과 같이, 상판의 지지나 전개 시에 요구되는 지지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대형화된 결합부 또는 구조물화된 결합부를 사용하여야만 했고 그에 따라 테이블 전체 구조의 크기가 커지면서 사람이 들고 다닐 수 없을 정도로 휴대성과 범용성이 떨어지는 종래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탁자 구조부재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지지강도를 가지면서도, 종래의 접이식 탁자와는 달리 야외 사용 시 필요한 각종 부가기능을 테이블 내부에 추가 탑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펼쳐진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탁자 위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탁자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특정 결합부에만 의존하지 않고, 내부의 구조물 배치공간을 활용하여 복합적으로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높은 강도를 지닌 결합부가 없이도 효과적으로 펼쳐진 탁자 상판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통상의 접이식 테이블에 적용되는 경첩(hinge)식의 결합부 외에 탁자 상판의 지지강도 보강을 위한 추가 구성은 먼저 절첩되는 탁자 중앙부의 굽힘강도 향상을 위하여 본체 상면 근처에서는 압축력만을, 본체 하면 근처에서는 인장력만을 받도록 굽힘단면의 두께가 두꺼운 탁자 본체구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본체 하면에는 굽힘력이 아닌 인장력만이 작용하게 되어 이 부분에 별도의 각도고정장치가 없는 작은 힌지결합부를 장착하는 것 만으로도 본체 상면 모서리의 지지력에 힘입어 탁자본체가 펼쳐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경량화를 위하여 탁자를 구성하는 부재를 얇은 판형부재, 예컨대 합성수지나 가벼운 나무판 등으로 제작한다. 이렇게 되면 국부적으로 강한 힘에 견디기 어려우므로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별도의 육면체 형 부재를 추가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이 부분이 서랍틀과 서랍이 된다. 이렇게 설계하면 내부가 복층 구조화 되어 마치 허니콤과 같은 고가의 복합재료소재와 대등하게 최소한의 중량으로 최대한의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두꺼운 본체의 내부공간은 위와 같이 구조보강부재의 역할을 하는 서랍이 구비되 며, 추가적으로 서랍 둘레로 생기는 빈 공간에는 전등을 수납한다.
본 고안의 전등은 자유롭게 휘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본체 외벽과 내부 서랍 사이의 공간에 최적 배치되므로 탁자의 전체 부피를 키우지 않으면서도 캠핑 저녁식사 등 야외활동에 꼭 필요한 탁자 위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가 따른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철판과 같이 무거운 소재나 복합재료와 같이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렴한 재료비용과 간단한 구조로 큰 지지강도를 갖는 접이식 탁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집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펼친 크기와 야외에 들고 다니기에 적절한 접은 크기로 설계 가능하므로 사용목적에서 높은 범용성을 발휘한다.
특히 야외 사용 시 비탈면이나 자갈밭에서도 효과적으로 탁자를 평평하게 세울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랜턴을 사용하지 않고도 탁자 위를 밝힐 수 있어 야외 저녁식사, 야외 회의 및 독서 등에도 매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고안의 일 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 기술하는 구체적인 실시예(specific example)에서 특정 기술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그들을 서로 결합한 특정 결합구조가 본 고안에 내재한 포괄적인 기술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대략 탁자 측면 한 변의 길이가 60cm 전후, 탁자 두께가 15~20cm 전후로 제작된 탁자이다.
도 1은 탁자가 접힌 상태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그림인데, 접이식 본체(10)는 두 개의 박스형 부재(11)로 결합 구성되며 아래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하부 공간에는 상기 박스형 부재들의 접촉면에 인접하게 서랍(13)이 배치된다.
상기 본체의 좌 우측 모서리에는 한 쌍의 상판(14)이 결합되는데, 상기 상판(14)은 상기 본체가 접히고 펼쳐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와 상판은 플라스틱 재질도 가능하며, 경첩이 배치되는 본체 가운데 부분이나 양쪽 모서리 부분은 부분적으로 강화 플라스틱이나 나무가 사용될 수 있다.
서랍(13)은 서랍틀에 의해 본체와 결합되는데, 이로써 본체 가운데에 가장 부하가 많이 걸리는 부분 근처에는 직육면체형 지지부재가 총 3개가 적층 배치되는 셈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구조 보강이 이루어지므로 굳이 철판이나 두꺼운 나무 등으로 무겁게 만들지 않아도 여타의 소규모 접이식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등하거나 우수한 지지력을 발휘한다.
다만 상판(14)이 젖혀졌을 때 상판이 아래로 처지는 부분이 문제인데 이 부분의 구조는 후술하는 상판지지대(15)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은 탁자가 완전히 접혀진 모양이고, 도 1의 하단은 반쯤 펼쳐진 상태의 모양이다.
도 2는 접이식 탁자의 본체만이 펼쳐진 형태(위)와 상판까지 모두 펼쳐진 형태(아래)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접이식 탁자의 상 하면 구조를 나타낸 것인데, 서랍이 열리고 닫힐 수 있고(아래) 본체의 네 귀퉁이에는 다리(12)가 결합된다.
다리(12)가 본체(10)와 결합되는 구조는 도면상으로는 자세히 관찰되지 않지만 다리 뿌리 부분이 회전하여 서랍(13)과 본체(10)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접혀서 수납된다. (도 3 위 그림 본체 측면공간 참조)
상기 다리(12)는 길이 조절식 구조로 형성되며, 끝 부분에 탄성 재질(예컨대 알루미늄 판으로 만들어진 사각뿔이거나, 고무재질로 된 반구형 구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로 된 받침부재(121)가 더 결합되어 자갈밭이나 개울가, 기타 흙비탈 등 다양한 형태의 표면에서도 효과적으로 탁자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체 측면에 장착된 상판지지대(15)는 아직 접힌 상태로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도 4는 접이식 탁자의 하면 및 4둘레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좌측면도(좌측단)와 후면도(하단)의 모습은 다리(12)가 접어 넣어지고 본체(10)가 접힌 것이며, 우측단과 상단의 모습은 본체와 다리가 펼쳐진 것이다.
다리(12)는 서랍과 본체 외벽 사이의 공간에 회전수납하기에 알맞은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고, 통상의 길이 조절식 구조로서 도면 상단에서와 같이 봉 내부는 빠른 인출에 편리하도록 스프링이 내장된 다단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봉의 중간 마디마다 링 또는 클램프 또는 고정볼트 등에 의한 고정장치가 장착되어 야외에서 비탈이나 개울가, 또는 모래밭 등 지표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곳에 탁자가 놓일 때에도 탁자 상면을 평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상판(14)이 펼쳐졌을 때 상판과 상판에 놓일 물건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상판지지대(15)가 추가로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상판지지대(15)는 본체(10)의 좌우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측면에 결합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상판(14)의 중심부 근처를 받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전기스탠드 장치가 장착되는데 도 4의 가운데 그림을 살펴보면, 본체 좌상부 귀퉁이에 서랍(13)과 다리(12) 사이에는 스탠드배터리(163)와 스탠드본체(164)가 장착 가능한 공간이 있다.
즉, 왼쪽 서랍을 오른쪽 서랍보다 약간 작게 만들면서 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은 왼쪽 서랍은, 본 고안 서랍(13)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본체 가운데 부분 지지강도 보강역할은 정상적으로 수행하므로 그 크기가 약간 작다 하여 본체가 펼쳐졌을 때의 지지 강도를 크게 떨어뜨리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작은 왼쪽 서랍 옆, 본체(10) 하면에는 전등(16)이 결합된 가동식 전등지지대(16)가 결합되고 전등(161)은 서랍 뒷편의 공간에 배치되는데, 이때 전등지지대(16)와 전등(161)을 꺾어서 배치하는 것은 종래의 접이식 탁자들과 차별화되는 본 고안 접이식 탁자의 핵심적인 구조이다.
상기 가동식 전등지지대(16)는 일단은 본체의 하면(정확히는 본체 스탠드)에 고정되며(고정단), 본체의 하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전등(161)을 달게 되는 타단은 특별히 고정되거나 지지되지 않으므로(자유단), 상기 전등지지대(16)는 의도적으로 굽혔을 때 쉽게 휘어지며, 본체의 가장자리(측면외벽)를 돌아서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식 전등지지대(16)는 원통 링 형상의 단위결합부재(162)들을 서로 연속적으로 결합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통상의 금속제 링으로 구형의 가정용 전기스탠드에 주로 쓰여지는 방식을 생각하면 쉽다), 이러한 구성은 굽힘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뿐 아니라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5는 접이식 탁자의 전등과 서랍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가동식 전등지지대(16)는 그 재질의 특성상 필요에 따라 휘어서 본체(10) 아래쪽의 탑재장소로부터 본체 위쪽의 탁자면으로 돌출시켜 세울 수 있으며, 세워진 상태에서의 휨 각도에 상관없이 전등(161)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약간의 충격에는 반응하지 않게끔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지속적인 진동과 충격에 노출되는 거친 야외환경에서 사용할 때, 빠르고 쉽게 전등을 꺼내고 넣을 수 있고, 전등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에 매우 편리하다.
한편 상판지지대(15)는 본체 측면으로부터 회전 돌출되어 상판(14)을 지지하는데, 비록 얇은 판형 부재이나 큰 굽힘강도를 갖도록 세로로 세워져서 상판을 지지한다. 따라서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도 상판(14)에 놓인 물건들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기재된 기술구성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단순한 변경제작 및 간단한 확장 설계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고유한 기술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 탁자가 접힌 상태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고안 탁자의 본체와 상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고안 탁자의 상 하면 구조를 나타낸 그림.
도 4는 본 고안 탁자의 하면 및 4둘레면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본 고안 탁자의 전등과 서랍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낸 그림.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탁자본체 11: 박스형 부재
12: 탁자다리 121: 받침부재
13: 서랍 14: 상판
15: 상판지지대 16: 전등지지대
161: 전등 162: 단위결합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두 개의 박스형 부재(11)로 결합 구성되며 아래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접이식 본체(10)와;
    상기 박스형 부재들의 접촉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서랍(13)과;
    상기 본체의 네 귀퉁이에 배치되어 회전돌출 및 회전수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리(12)와;
    상기 본체의 좌 우측 모서리에서 상기 본체가 접히고 펼쳐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14)과;
    일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돌아서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는 가동식 전등지지대(16)와;
    상기 가동식 전등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 서랍 뒤편 공간에 수납 가능한 전등(161);과
    상기 본체(10)의 좌우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측면에 결합되며, 돌출 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지지대(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리(12)는 길이 조절식 구조로 형성되며, 끝 부분에 탄성 재질의 받침부재(121)가 더 결합되며
    상기 가동식 전등지지대(16)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측면외벽을 돌아서 상부로 돌출되었을 때, 돌출각도와 돌출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전등(161)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굽힘변형 및 변형상태유지가 가능한 연속 결합된 구조의 단위결합부재(162)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자.
KR2020090014463U 2009-11-06 2009-11-06 야외용 접이식 탁자 KR200449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63U KR200449683Y1 (ko) 2009-11-06 2009-11-06 야외용 접이식 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63U KR200449683Y1 (ko) 2009-11-06 2009-11-06 야외용 접이식 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83U KR20090012483U (ko) 2009-12-07
KR200449683Y1 true KR200449683Y1 (ko) 2010-07-30

Family

ID=4424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63U KR200449683Y1 (ko) 2009-11-06 2009-11-06 야외용 접이식 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6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319B1 (ko) * 2014-08-27 2015-03-12 이상호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테이블
KR20150004559U (ko) 2014-06-13 2015-12-23 박종원 변환탁자
KR20160065626A (ko) 2014-12-01 2016-06-0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20190110839A (ko) * 2018-03-21 2019-10-01 김선용 레저용 이동식 파고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81B1 (ko) * 2010-04-09 2013-03-13 황영선 홈바 기능을 갖는 전통 고가구
KR101332707B1 (ko) * 2011-05-03 2013-11-25 주식회사 파세코 조립식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62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머지드 트렌치 디램 로직 소자 제조 방법
KR200398598Y1 (ko) * 2005-07-12 2005-10-13 장창덕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401962Y1 (ko) * 2005-08-29 2005-11-23 김용석 확장형 쇼파 테이블
KR20080006455U (ko) * 2008-12-03 2008-12-23 윤풍안 접이식 독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62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머지드 트렌치 디램 로직 소자 제조 방법
KR200398598Y1 (ko) * 2005-07-12 2005-10-13 장창덕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401962Y1 (ko) * 2005-08-29 2005-11-23 김용석 확장형 쇼파 테이블
KR20080006455U (ko) * 2008-12-03 2008-12-23 윤풍안 접이식 독서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559U (ko) 2014-06-13 2015-12-23 박종원 변환탁자
KR101500319B1 (ko) * 2014-08-27 2015-03-12 이상호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테이블
KR20160065626A (ko) 2014-12-01 2016-06-0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20190110839A (ko) * 2018-03-21 2019-10-01 김선용 레저용 이동식 파고라
KR102186321B1 (ko) * 2018-03-21 2020-12-03 김선용 레저용 이동식 파고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83U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683Y1 (ko) 야외용 접이식 탁자
US6234089B1 (en) Foldable table top
US10524563B2 (en) Table top and frame
US6158361A (en) Foldable table frame
DE60207887D1 (de) Zusammenlegbarer tragbarer klapptisch mit zusammenklappbaren beinen
US7073450B2 (en) Stackable tabletop for fordable table
CA2821531C (en) Foldable shelving unit and method for deploying and compacting same
CA2418361C (en) Wheeled platform for erectable canopy shelter
KR20080003634U (ko) 접이식 테이블의 절첩 구조
KR20160003566U (ko) 캠핑용 테이블
KR101845726B1 (ko)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 및 조립방법
KR200456067Y1 (ko) 상판 접이식 책상
KR20170003038U (ko) 두루마리처럼 돌돌 말리는 휴대용 야외 테이블
CN210960856U (zh) 一种波浪三折圆桌
KR101654910B1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EP2663972B1 (en) Expanding devices
CN109043973B (zh) 一种方便储存、运输的展示架
KR100383060B1 (ko) 절첩식 콘테이너 하우스
JP3155995U (ja) 折畳み式物載せ台
CN211459189U (zh) 折叠式石桌结构
JP3233469U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
KR102556397B1 (ko)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JP3155667U (ja) コンテナ
CN217089905U (zh) 一种便于组装的折叠桌
TWI707644B (zh) 摺疊式置物架之腳架展立定位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