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39Y1 - 천장용 장식구 - Google Patents

천장용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39Y1
KR200449639Y1 KR2020080003607U KR20080003607U KR200449639Y1 KR 200449639 Y1 KR200449639 Y1 KR 200449639Y1 KR 2020080003607 U KR2020080003607 U KR 2020080003607U KR 20080003607 U KR20080003607 U KR 20080003607U KR 200449639 Y1 KR200449639 Y1 KR 200449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ring
lamp
coupled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568U (ko
Inventor
성낙봉
Original Assignee
성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봉 filed Critical 성낙봉
Priority to KR2020080003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3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장용 장식구를 천장등의 하측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되, 상기 천장등의 일측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조명등을 인서트 몰딩하여 설치하여 상기 조명등이 천장용 장식구의 외부로 연출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조명등은 천장용 장식구의 장식공을 통하여 실내에 조명연출가능한 것이며 보다 화려하게 조명연출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천장용 장식구에는 다수의 장식고리와 장식볼이 결합되어져 상기 조명등을 통하여 실내에 연출되는 조명이 보다 화려하고 세련되어지도록 제공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명등과 천장용 장식구가 각각 천장등의 커버등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커버등의 일측으로 형성된 통공에는 상기 조명등을 갖는 볼트가 1차적으로 체결되어지고 상기 체결되어진 볼트의 외측으로 형성된 나사산을 통하여 상기 천장용 장식구가 결합되어져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것이다.
천장용 장식구, 제 1고리, 제 2고리, 볼트, 조명등

Description

천장용 장식구{The ceiling decoration articl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장식볼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천장용 장식구 B-천장등
1-제 1고리 2-제 2고리
3-커버등 4-볼트
5-연결바 11,21-장식공
12-조명공 31-통공
32-유리등 41-걸림환턱
42,121-나사산 43-조명등
51-장식고리 52-장식볼
본 고안은 천장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장용 장식구를 천장등의 하측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되, 상기 천장등의 일측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조명등을 인서트 몰딩하여 설치하고 상기 조명등이 외부로 연출가능하도록 상기 조명등의 하측으로 천장용 장식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천장용 장식구는 다수의 고리가 연결형성되며 상기 고리의 하측으로 장식볼이 결합되어져 상기 조명등을 통하여 실내에 연출되는 조명이 보다 화려하고 세련되어지는 실내 환경을 조성가능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대부분의 천장등은 빛의 밝기가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PL등을 천장등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천장등의 외측으로 커버등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천장등은 대부분 커버등에 의하여 빛의 밝기가 저감되는 문제점 등이 제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천장등은 투명한 다수의 장식볼을 연결하여 빛의 산란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빛의 산란성에 효과를 기대하기에 앞서 대부분의 PL등은 빛의 제한을 받는 커버등의 개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커버등의 일측으로 통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통공부에 별도의 조명등을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된 조명등의 경우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눈에 상기 조명등이 직접 비춰지게 됨으로써 상기 조명등에 의하여 실내생활에 제약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등의 일측으로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조명등을 설치하며 상기 조명등의 하측으로 천장용 장식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명등이 은은하게 실내를 비춰 질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천장용 장식구를 제 1고리와 제 2고리로 형성하고 상기 제 1고리와 제 2고리의 평면상에 다수의 장식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식공을 통하여 다수의 장식볼이 결합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고리와 제 2고리가 다수의 연결바에 의하여 한 몸체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장등(B) 하부에 형성된 커버등(3)의 일측으로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에 나사산(42)을 갖는 볼트(4)가 결합되어져 상기 볼트(4)와 나사결합되는 천장용 장식구(A)에 있어서, 상기 커버등(3)은 통공(31) 내측으로 조명등(43)을 갖는 볼트(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천장용 장식구(A)는 고리형상을 갖는 환형태의 제 1고리(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고리(1)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4)와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나사산(121)을 갖는 조명공(12)이 형성되어져 상기 조명등(43)이 상기 조명공(12)을 통하여 조명연출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고리(1)의 하측으로 고리형상의 제 2고리(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고리(1)와 제 2고리(2)는 다수의 연결바(5)에 의하여 연결결합되어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고리(1)와 제 2고리(2)의 평면상에는 다수의 장식공(11),(21)이 형성되어져 상기 장식공(11),(21)에 장식고리(51)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장식고리(51)의 단부에는 장식볼(52)이 각각 결합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천장등(B)의 일측으로 형성되어진 통공(31)에 천장용 장식구(A)가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천장용 장식구(A)는 상기 천장등(B)에 결합되어지는 조명등(43)이 실내에 비춰 질 수 있도록 상측으로 고리형상을 갖는 환형태의 제 1고리(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리(1)의 하측으로 제 2고리(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고리(1)와 제 2고리(2)는 다수의 연결바(5)에 의하여 연결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고리(1)의 중앙에 형성된 조명공(12)에는 상기 천장등(B)에 결합되는 볼트(4)와 결합가능한 나사산(121)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나사산(121)을 통하여 상기 천장용 장식구(A)가 천장등(B)과 결합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고리(1)와 제 2고리(2)의 평면상에는 다수의 장식공(11),(21)이 형성되어져 상기 장식공(11),(21)에 장식고리(5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장식고리(51)의 하부에는 장식볼(52)이 각각 결합되어져 상기 조명등(43)이 비춰 질 때 상기 장식볼(52)을 통하여 빛의 산란이 용이하게 실 내에 전달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저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천정등의 저부에는 다수의 통공(3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1)에는 각각의 볼트(4)를 결합하되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볼트(4)에 천장용 장식구(A)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천장용 장식구(A)에는 다수의 장식볼(52)이 결합되어져 상기 통공(31) 중앙의 조명등(43)으로부터 연출되는 조명이 은은하게 실내를 비춰지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에 도시된 천장용 장식구(A)는 상측으로 PL등이 내장설치되어진 천장등(B)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중앙에 도시된 천장용 장식구(A)는 상기 천장등(B)에 결합되어지기 이전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천장등(B)의 일측으로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에 볼트(4)를 결합하되 상기 볼트(4)는 외측으로 나사산(4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나사산(42)의 상측으로 걸림환턱(41)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볼트(4)의 나사산(42)에 천장용 장식구(A)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볼트(4)와 천장용 장식구(A) 사이에는 유리등(32)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볼트(4)와 천장용 장식구(A)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등(32)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지기 위하여 상기 볼트(4)의 걸림환턱(41) 상측으로 유리 등(32)이 개재되어지고 상기 유리등(32)의 하측으로 천장용 장식구(A)가 안내되어지며 이때 상기 천장용 장식구(A)의 조명공(12)은 상기 볼트(4)의 나사산(42)과 나사결합되어지면서 상기 유리등(32)을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안내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장식볼(52)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고리(1)와 제 2고리(2)에 각각 형성된 장식공(11),(21)에 장식고리(51)가 연결되어지고 상기와 같이 연결된 장식고리(51)의 하부에는 다수의 장식볼(52)이 결합되어져 상기와 천장등(B)으로부터 결합되어진 조명등(43)이 은은하게 실내를 비춰질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장식볼(52)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43)으로부터 연출되는 조명이 실내에 다양하게 연출가능하여 보다 화려한 실내 조명연출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도 가정에서 쉽게 설치가능하여 사용의 편의가 제공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장등으로부터 조명등이 설치되어지고 그에 따른 조명이 은은하게 실내를 비춰질 수 있도록 제공되어져 미려한 디자인감이 연출가능하다.
또한, 상기 천장등과 천장용 장식구 사이에 투명한 유리등이 안착되어져 보다 화려한 조명등을 통한 우아한 실내분위기 연출이 가능하고 특히 다수의 장식볼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반사되는 조명이 종전의 조명등과는 차원이 다른 우수한 조명효과가 연출되는 것이다.
특히 간단한 나사결합을 통하여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설치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 등이 제공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천장등 하부에 형성된 커버등의 일측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가 결합되어져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천장용 장식구에 있어서,
    커버등(3)은 통공(31) 내측으로 조명등(43)을 갖는 볼트(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천장용 장식구(A)는 고리형상을 갖는 환형태의 제 1고리(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고리(1)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4)와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나사산(121)을 갖는 조명공(12)이 형성되어져 상기 조명등(43)이 상기 조명공(12)을 통하여 조명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장식구(A).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리(1)의 하측으로 고리형상의 제 2고리(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고리(1)와 제 2고리(2)는 다수의 연결바(5)에 의하여 연결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장식구(A).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리(1)와 제 2고리(2)의 평면상에는 다수의 장식공(11),(21)이 형성되어져 상기 장식공(11),(21)에 장식고리(51)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장식고리(51)의 단부에는 장식볼(52)이 각각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장식구(A).
KR2020080003607U 2008-03-19 2008-03-19 천장용 장식구 KR200449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07U KR200449639Y1 (ko) 2008-03-19 2008-03-19 천장용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07U KR200449639Y1 (ko) 2008-03-19 2008-03-19 천장용 장식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68U KR20090009568U (ko) 2009-09-23
KR200449639Y1 true KR200449639Y1 (ko) 2010-07-27

Family

ID=4153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607U KR200449639Y1 (ko) 2008-03-19 2008-03-19 천장용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63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06Y1 (ko) 2001-03-31 2001-10-10 엄세탁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244440Y1 (ko) 2001-05-16 2001-10-29 밍 후아 흥 천장용 붙박이 램프 장치
KR20020036706A (ko) * 2000-11-09 2002-05-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KR20020044440A (ko) * 2000-12-06 2002-06-15 송재인 다중 재밍신호 발생장치
KR20040024325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용 카메라 장치
KR200424325Y1 (ko) * 2006-05-04 2006-08-18 유승백 천장 매립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706A (ko) * 2000-11-09 2002-05-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KR20020044440A (ko) * 2000-12-06 2002-06-15 송재인 다중 재밍신호 발생장치
KR200236706Y1 (ko) 2001-03-31 2001-10-10 엄세탁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244440Y1 (ko) 2001-05-16 2001-10-29 밍 후아 흥 천장용 붙박이 램프 장치
KR20040024325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용 카메라 장치
KR200424325Y1 (ko) * 2006-05-04 2006-08-18 유승백 천장 매립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68U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9082S1 (en) Lighting fixture
KR101089055B1 (ko)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 매다는 등
US20070014118A1 (en) Light fixture
KR200413753Y1 (ko) 천정등
CN203068353U (zh) 吸顶或吊顶用照明灯具
KR200465380Y1 (ko) 투광판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천장등
KR200449639Y1 (ko) 천장용 장식구
KR101346304B1 (ko) 광원이 승강되게 한 등기구
KR20090072037A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200456219Y1 (ko) 조명등
KR200391541Y1 (ko)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한 조명커버 착탈구조를 갖는조명등
KR101221654B1 (ko) 걸이식 조명커버를 갖는 매달림 천장등
CN205480558U (zh) 一种led灯
KR20090012880U (ko) 천장등용 장식프레임.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JP5597830B1 (ja) 電球式シーリングライト
KR101778000B1 (ko) 칵테일 잔 형태로 된 장식 조명등
KR20110000321U (ko) 조명등 고정볼트
KR100715258B1 (ko) 천정등
CN210771732U (zh) 基于灯带发光的led灯具
KR20130003110U (ko) 투톤 칼라로 조사되는 엘이디 조명등
KR200413547Y1 (ko) 샹들리에용 램프어셈블리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CN208967528U (zh) 模组化灯体及模组化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