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88Y1 -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88Y1
KR200449588Y1 KR2020080010160U KR20080010160U KR200449588Y1 KR 200449588 Y1 KR200449588 Y1 KR 200449588Y1 KR 2020080010160 U KR2020080010160 U KR 2020080010160U KR 20080010160 U KR20080010160 U KR 20080010160U KR 200449588 Y1 KR200449588 Y1 KR 200449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rope
rope
los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476U (ko
Inventor
오세원
Original Assignee
오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원 filed Critical 오세원
Priority to KR2020080010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8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실수의 옆측에 유실수보다 높은 높이의 지주를 세움고정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로프 행거에는 지지로프의 상단을 체결하되, 상기 지지로프의 하단에는 지지로프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로프로써 유실수 가지를 지지하고자 지지로프를 유실수 가지에 체결하는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 혼자서 손쉽게 체결 혹은 해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실수, 지지장치, 지주, 지지로프, 지지로프 스토퍼.

Description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A supporting device for branches of fruit tree}
본 고안은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실수의 옆측에 유실수보다 높은 높이의 지주를 세움고정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로프 행거에는 지지로프의 상단을 체결하되, 상기 지지로프의 하단에는 지지로프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로프로써 유실수 가지를 지지하고자 지지로프를 유실수 가지에 체결하는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 혼자서 손쉽게 체결 혹은 해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실수에 과실이 열리게 되면, 과실의 높은 무게(평균 약 30kg)에 의해 가지가 부러지거나, 비바람등의 자연환경에 의해서도 가지가 손쉽게 부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과실을 전문으로 재배하는 농가에 큰 피해를 주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유실수의 가지를 보호하기 위해 제기된 다양한 방안 중,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된 실용신안공보(출원번호 제20-1997-021691호)(이하 선출원고안이라 약칭함)를 살펴보면, 이 역시 유실수의 가지가 부러지지 아니하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그림은 아래와 같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7-021691호>
Figure 112008054889512-utm00001
상기와 같은 선출원고안은 유실수 가지가 부러지기 쉬운 문제점은 해소할 수 있으나,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다양한 높이의 가지를 받쳐주기 위해 지지장치의 높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하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바람에 흔들릴 경우에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가지가 이탈될 우려가 높아 가지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목적조차 달성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상기 종래의 지지장치는 고정된 구조물이므로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유실수 가지의 외면과 지지장치의 마찰로 인해 유실수 가지에 상처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는 상기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실수 가지와 지면 사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들이 유실수 관리 등의 작업을 할 때에 상기 지지장치에 걸려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음은 물론 지지장치 또한 자주 넘어짐에 따라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된 유실수의 본체에 유실수의 본체보다 높은 높이의 지주를 밴드로써 고정하고, 유실수 가지를 지지하는 지지로프의 상측단을 지주의 상부에 고정하되, 그 하측단은 유실수 가지에 체결하여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실수 가지가 바람에 흔들릴 때에도 종래와 같이 지지장치를 이탈할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유실수 가지의 외면에 상처가 발생할 염려가 없이 유실수 가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유실수 가지의 하측에 작업공간이 발생하여 종래와 같이 작업할 때에 지지장치에 걸리지 아니하고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주와 지지로프로 이루어진 지지장치로써 유실수의 가지를 지지하게 될 경우, 작업자가 지지로프의 하측단을 유실수 가지에 체결할 때에 또 다른 작업자는 유실수 가지를 들어주어야 하므로 지지로프를 유실수의 가지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실수 가지에 체결되는 지지로프의 하측단은 유실수 가지의 일측 둘레를 한번 둘러싼 다음 일반적인 매듭구조로 단단하게 체결되는 바, 이러한 매듭구조로 단단하게 체결되는 지지로프는 생장하는 유실수 가지의 외면을 압박하게 되어 영양공급통로를 막히게 하거나, 그 압박의 정도가 심하게 되면 나무 옹이 등이 발생할 우려가 크며, 열매를 수확한 다음에는 유실수 가지의 생장을 위해 유실수 가지에 체결된 지지로프를 풀어주어야 하나, 상기와 같은 매듭구조로 체결되는 지지로프는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과정에서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추후 유실수 가지의 생장을 위해 풀어주어야 할 때에는 쉽게 풀리지 아니하여 작업시간을 더디게 하고,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유실수의 가지를 지지하는 지지로프의 하단에 지지로프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로프를 유실수 가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 및 해제가능케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유실수 가지를 더욱 안정감있고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는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로프 스토퍼는 테두리가 라운드 처리된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지지로프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로프가 측방향으로 끼움가능한 끼움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는 유실수 본체(1)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단면이 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바(bar)형의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2)와, 상기 지주(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로프 행거(3)와, 상기 지지로프 행거(3)에 상부가 고정가능하고, 하부는 유실수 가지(4)에 체결가능한 지지로프(5)와, 상기 지지로프(5)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로프 스토퍼(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유실수 본체(1)의 옆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2)는 녹이 슬지 아 니하는 견고한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단면은 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주(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로프 행거(3)는 지지로프(5)의 상부가 체결되는 지지로프 체결부(3a)와, 상기 지지로프 행거(3)를 지주(2)의 상부에 고정케 하는 고정부(3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로프 행거(3)는 녹이 쉽게 슬지 않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는 지지로프 행거(3)에 체결되고 하부는 유실수 가지(4)에 체결되는 지지로프(5)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로프로 사용가능하고, 상하부면의 폭은 넓고 그 두께는 좁은 띠형의 로프도 사용가능하며, 그 재질은 자외선에 강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로프(5)의 하단에 체결되는 지지로프 스토퍼(6)는 테두리가 라운드 처리된 금속판으로서, 상기 지지로프 스토퍼(6)의 일측에는 지지로프(5)가 관통하여 체결가능한 체결공(6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지지로프(5)가 측방향으로 긴밀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고정홈(6b)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끼움고정홈(6b)의 일측은 측방향으로 트여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트여진 부분을 통해 지지로프(5)가 측방향으로 끼움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6a)과 끼움고정홈(6b)이 형성되는 지지로프 스토퍼(6)의 외표면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를 유실수(100)에 설치를 하게 되면, 유실수(100)보다 높은 높이로 세움고정되는 지주(2) 는 유실수(100)에 밴드(7)로 수직고정되고, 상기 지주(2) 상부의 지지로프 행거(3)에 체결된 지지로프(5)의 하단에는 지지로프 스토퍼(6)가 체결되어 있어, 지지로프(5)의 하부를 유실수 가지(4)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주(2)는 그 내부가 비어 있되, 녹이 슬지 아니하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부식이 되지 아니할 뿐 아니라 형태 또한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여 가지당 평균 30kg의 무게를 가진 다수개의 유실수 가지(4)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주(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로프 행거(3)는 유실수 가지(4)를 지지하는 지지로프(5)의 상부가 고정체결되는 곳으로, 상기 지지로프 행거(3)는 다수개의 가지(4)에 각각 체결된 다수개의 지지로프(5)를 모두 수용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지지로프(5)가 체결되는 지지로프 체결부(3a)는 원형 테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로프 체결부(5)의 일측에는 한쌍의 나란한 고정부(3b)가 일체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지지로프 체결부(3a)와 고정부(3b)는 접혀진 듯이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3b)는 지주(2)의 상부 내측에 고정끼워지고, 지지로프 체결부(3a)는 지주(2)의 상부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지지로프 체결부(3a)에는 지지로프(5)의 상부가 체결되는 것으로, 지지로프(5)의 상단이 체결되는 지지로프 체결부(3a)는 원형 테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주(2) 주변에 있는 모든 가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로프 행거(3)에 상부가 체결되고 그 하부는 유실수 가지(4) 에 체결되어 유실수 가지(4)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로프(5)는 일반적인 로프로도 사용가능하나, 상하면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두께는 얇게 형성된 띠형의 로프로도 가능하며, 특히, 띠형으로 형성된 지지로프(5)는 유실수 가지(4)를 지지할 때에 상하면의 넓은 폭으로 인해 유실수 가지(4)를 안정감있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로프(5)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에 강하고, 인장력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칠렌 등의 합성섬유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로프(5)의 하단에는 지지로프 스토퍼(6)가 체결되어 있는 바, 상기 지지로프 스토퍼(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가 라운드 처리된 평평한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지지로프(5)의 하부가 관통하여 체결가능한 체결공(6a)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지지로프(5)의 하부를 끼워넣어 체결이 가능하고, 그 타측에는 지지로프(5)가 측방향으로 긴밀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고정홈(6b)이 형성되어 있되, 일측은 트여진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끼움고정홈(6b)을 통해 지지로프(5)를 측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상기 끼움고정홈(6b)에 지지로프(5)가 긴밀하게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로프 스토퍼(6)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표면에 방청재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재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체결구조로 형성된 지지로프 스토퍼(6)는 지지로프(5)의 하단에 체결되어 있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로프(5)의 하단은 지지로프 스토퍼(6)의 체결 공(6a)에 체결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로프(5)로 유실수 가지(4)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유실수 가지(4)를 한손으로 받쳐주고, 다른 한손으로는 지지로프(5)를 유실수 가지(4)를 둘러싼 다음, 지지로프(5)의 하단에 체결되어 있던 지지로프 스토퍼(6)의 끼움고정홈(6b)을 통해 지지로프(5)를 원터치로 체결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 유실수 가지(4)에 지지로프(5)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로프 스토퍼(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면의 일측에는 체결공(6a)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의 타측에는 끼움고정홈(6b)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로프(5)의 하단을 지지로프 스토퍼(6)의 체결공에 체결한 다음, 이를 유실수의 가지(4)에 걸친 후, 지지로프 스토퍼(6)의 끼움고정홈(6b)에 지지로프를 측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지지로프(5)를 원터치로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 지지로프 스토퍼(6)의 중앙에 절곡부(6c)를 형성하는 구조도 가능한데, 상기 일측의 체결공(6a)과 타측의 끼움고정홈(6b) 사이의 중앙에는 둔각으로 절곡된 절곡부(6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6c)에는 절곡된 각도가 고정유지되도록 보강살(6d)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둔각의 절곡부(6c)가 형성된 지지로프 스토퍼(6)는 유실수 가지(4)를 체결하는 지지로프(5)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절곡부(6c)와 보강살(6d)로 인하여 지지로프(5)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체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로프 스토퍼(6)의 끼움고정홈(6d)는 지지로프(5)가 체결된 상태에서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지로프(5)에 체결된 각도를 지지로프(5)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하게 되면, 고정되지 아니하고 드나듦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추후 유실수 가지(4)가 생장하여 가지가 굵어지더라도 종래처럼 유실수 가지(4)의 외면을 압박하지 아니하여 유실수 가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실수 가지(4)에서 열매를 따고 나면, 유실수 가지(4)의 생장을 위해 지지로프를 해제하여 주게 되는데, 종래와 같이 지지로프(5)를 매듭으로 체결한 구조는 가지(4)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면서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풀기가 매우 힘들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6)는 지지로프(5)를 체결할 때와 반대로 끼움고정공에서 지지로프(5)를 측방향으로 이탈시키게 되면 유실수 가지(4)에 체결된 지지로프(5)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로프의 하단에는 지지로프를 원터치로 체결할 수 있는 지지로프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 혼자서 유실수 가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로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매듭을 짓는 작업이 필요한 종래에 비해 원터치로 간편하게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이에 따라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장치가 유실수를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지지로프행거가 지주의 상부에 고정체결된 구조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로프 체결구조도 A,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로프 체결구조도 B,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로프 체결구조도 C,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의 상세 사시도 A,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의 상세 사시도 B이다.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는 유실수의 높이보다 1미터가량 높은 높이로써 견고한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비어 있으며,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 지주(2)와; 상기 지주(2)를 유실수 본체(1)에 체결하는 밴드(7)와; 상기 지주(2)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주(2)를 지반에서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지주 고정부(8)와; 지주(2)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3b) 및 지지로프(5)의 상단이 체결되는 지지로프 체결부(3a)로 이루어진 지지로프 행거(3)와; 상기 지지로프 행거(3)의 체결부(3a)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부는 유실수 가지(4)에 체결되는 지지로프(5)와; 직사각형판재로써 일측에는 지지로프(5)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공(6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로프(5)가 긴밀하게 끼워지되 그 일측은 외부로 트인 끼움고정홈(6b)이 형성된 지지로프 스토퍼(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2)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각형으로도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주(2)는 내부식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내부면과 외부면이 이루는 두께는 1.5mm ~ 3.0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2)의 상부에는 지지로프(5)의 상단이 체결되는 지지로프 행거(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로프 행거(3)는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로프 행거(3)와 관련하여 과제해결수단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지지로프 행거(3)는 지지로프(5)가 체결되는 체결부(3a)와 지주(2)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3b)가 일체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로프 행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프 체결부(3a)와 고정부(3b)는 하나의 강선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지로프 체결부(3a)에 해당하는 부분은 원형 테의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고정부(3b)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기 원형 테의 형태로 형성된 지지로프 체결부(3a)의 일측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절곡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로프 체결부(3a)와 고정부(3b)로 이루어지는 지지로프 행거(3)는 측면에서 봤을 때, ‘∩’자 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로프 행거(3)를 지주(2)의 상부에 고정하게 되면, 고정부(3b)가 지주(2)의 상부 내측에 긴밀하게 끼움고정되면서 지지로프 체결부(3a)는 지주(2)의 상부 외측에 드러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로프 행거(3)의 지지로프 체결부(3a)에 상단이 체결되고 하부는 유실수 가지(4)에 체결되는 지지로프(5)의 하단에는 지지로프 스토퍼(6)가 체결되는 바, 상기 지지로프(5)는 일반적인 형태의 로프로도 이용이 가능하나, 본 고안의 실 시예에 의한 지지로프(5)는 띠형으로서 상하면의 폭은 넓고 두께는 얇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6)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정 두께를 가진 타원형의 금속판으로서, 일측에는 지지로프(5)가 관통체결가능한 체결공(6a)이 원형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띠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로프(5)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로프 끼움고정홈(6b)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고정홈(6b)의 일측은 측방향으로 트여져 있어 상기 트인 부분을 통해 지지로프(5)가 측방향으로 끼워짐 혹은 이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끼움고정홈(6b)은 지지로프가 측방향으로 끼움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바, 수평으로 형성하거나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상기 끼움고정홈(6b)을 경사지게 형성할 때에는 트인 부분이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로프 스토퍼(6)는 중앙에 절곡부(6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절곡부(6c)의 절곡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곡부(6c)의 중앙에는 절곡부(6c)가 절곡각도를 유지하도록 보강살(6d)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보강살(6d)은 펀칭공법으로 일측은 돌출되어 있고, 그 배측은 함몰되어 있는 구성으로, 돌출된 부분은 둔각으로 절곡된 절곡부(6c)의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함물된 부분은 그 배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장치가 유실수를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지지로프행거가 지주의 상부에 고정체결된 구조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로프 체결구조도 A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로프 체결구조도 B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로프 체결구조도 C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의 상세 사시도 A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로프 스토퍼의 상세 사시도 B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지주
3 : 지지로프 행거 3a : 지지로프 체결부
3b : 고정부
4 : 유실수 가지 5 : 지지로프
6 : 지지로프 스토퍼 6a : 체결공
6b : 끼움고정홈 6c : 절곡부
6d : 보강살 7 : 밴드

Claims (11)

  1. 유실수의 가지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유실수 가지가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한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바(bar)형의 금속재로 유실수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유실수의 옆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유실수 본체에 밴드로서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으로 끼워 결합되는 원형 테의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로프 체결부와 그 일측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로프 행거와, 상기 지지로프 행거에 상부가 체결되고 하부는 유실수의 가지에 체결되는 지지로프와, 상기 지지로프의 하단에 체결되는 지지로프 스토퍼는 중앙에 둔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의 중앙에는 보강살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로프 스토퍼의 일측에는 지지로프의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지지로프가 측방향으로 끼움체결가능한 끼움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고정홈의 일측은 외부로 트여있고, 상기 끼운고정홈은 외부로 트인 일측이 아래로 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080010160U 2008-07-30 2008-07-30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KR200449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160U KR200449588Y1 (ko) 2008-07-30 2008-07-30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160U KR200449588Y1 (ko) 2008-07-30 2008-07-30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76U KR20080003476U (ko) 2008-08-20
KR200449588Y1 true KR200449588Y1 (ko) 2010-07-22

Family

ID=4149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160U KR200449588Y1 (ko) 2008-07-30 2008-07-30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6815A (zh) * 2017-11-27 2018-04-13 荔浦县冠升塑料制品厂 一种可灵活调节的果树支撑装置
CN110235687A (zh) * 2019-07-22 2019-09-17 河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适于枣树高接后防风折、整形及结果期承重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79B1 (ko) * 2018-03-09 2019-05-23 김은경 나뭇가지 지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0348U (ko) * 1979-03-28 1980-10-07
JPH08130989A (ja) * 1994-11-08 1996-05-28 Kohei Ueda 植物の整形用吊下げ支持具
KR20040027015A (ko) * 2002-09-27 2004-04-01 (주)엑스파미디어 스트리밍시 오디오의 대역폭을 줄이기 위하여 몰입형오디오를 이용한 새로운 다운믹싱 기법
KR200427015Y1 (ko) * 2006-07-10 2006-09-20 박성구 과수의 가지 처짐 방지장치
KR20090003371U (ko)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과실나무 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0348U (ko) * 1979-03-28 1980-10-07
JPH08130989A (ja) * 1994-11-08 1996-05-28 Kohei Ueda 植物の整形用吊下げ支持具
KR20040027015A (ko) * 2002-09-27 2004-04-01 (주)엑스파미디어 스트리밍시 오디오의 대역폭을 줄이기 위하여 몰입형오디오를 이용한 새로운 다운믹싱 기법
KR200427015Y1 (ko) * 2006-07-10 2006-09-20 박성구 과수의 가지 처짐 방지장치
KR20090003371U (ko)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과실나무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6815A (zh) * 2017-11-27 2018-04-13 荔浦县冠升塑料制品厂 一种可灵活调节的果树支撑装置
CN110235687A (zh) * 2019-07-22 2019-09-17 河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适于枣树高接后防风折、整形及结果期承重的方法
CN110235687B (zh) * 2019-07-22 2021-06-29 河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适于枣树高接后防风折、整形及结果期承重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76U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973B1 (en) Pipe or cable clamp
KR100556229B1 (ko) 고추작물용 지지대
KR200449588Y1 (ko) 유실수 가지용 지지장치
KR10105076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벨트
US20240130299A1 (en) Plant Support
US4979715A (en) Hanger for suspended ceiling
US20230240193A1 (en) Vegetation hanger
KR200372039Y1 (ko) 작물지지장치
CN207612796U (zh) 一种可同时作用多个目标的果树支撑装置
US11583114B2 (en) Basket hanger
KR20090003371U (ko) 과실나무 지지대
KR200412320Y1 (ko) 과실용 걸이구
CN207118373U (zh) 一种大棚塑料薄膜的固定装置
KR200430839Y1 (ko) 작물지지대
KR20100089998A (ko) 농작물 지지용 클립
KR20130025917A (ko) 인삼재배를 위한 해가림막용 지주대 결속장치
US20060150508A1 (en) Nursery pot stabilization system
US20130185994A1 (en) Plant support stake
KR20130003696U (ko)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JP5242312B2 (ja) 下垂緑化用材及び下垂緑化構造物
JP3184095U (ja) 植木鉢用支持具
KR101068898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200463872Y1 (ko) 수목 가지 지지구
AU200820277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straints
KR20170067114A (ko) 360도 회전 받침대가 구비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