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75Y1 -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 Google Patents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75Y1
KR200449575Y1 KR2020070019134U KR20070019134U KR200449575Y1 KR 200449575 Y1 KR200449575 Y1 KR 200449575Y1 KR 2020070019134 U KR2020070019134 U KR 2020070019134U KR 20070019134 U KR20070019134 U KR 20070019134U KR 200449575 Y1 KR200449575 Y1 KR 200449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stairs
joined
spac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293U (ko
Inventor
안희규
조영태
이형곤
Original Assignee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9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2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E04F11/1848Separate means for spacing balusters a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3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panels, and balustrade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며, 구조물에의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특히 철구조물 계단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경제적인 계단용 난간이 개시된다. 상기 계단용 난간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상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하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됨과 함께, 계단 측면부 측판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둘 이상의 지주;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와 평행하게, 상기 스페이서에 관통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살을 포함한다.
계단, 난간, 난간살, 플레이트

Description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Handrail for stairs of steel structure}
본 고안은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며, 구조물에의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특히 철구조물 계단과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경제적인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欄干, handrail)은 계단이나 다리 등의 가장자리에 세워 낙상(落傷)을 막고, 장식의 역할도 하는 금속재, 목재, 석재의 구조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접하는 난간은, 다리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보다, 아파트, 학교, 박물관, 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 계단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내부 계단은, 구조물의 층간 이동통로로서, 구조물의 설치공사 중에는 작업 인부 등의 작업통로로 사용된다. 물론, 이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임시로 난간이 설치된다. 건물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계단이나 난간은, 비교적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복잡한 구조이므로, 시공에 있어서 자체 구조의 안정성 및 시공의 정확성을 크게 필요로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계단 설치 과정은 거푸집(벽체, 계단참, 계단) 설치, 배근(계단, 계단참), 콘크리트 타설, 양생, 거푸집 해체(계단, 계단참, 벽체), 및 모르타르 마감 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철근콘크리트 계단 설치 작업은 다수의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공사 소요 인원 및 시간이 많고, 후속공정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구조물로 이루어진 계단이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 바로 설치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철구조물 계단의 사용으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후속공정이 자유롭고, 높은 정확도를 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인원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철구조물 계단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철구조물 계단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난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공사 중에 임시 난간을 사용하는 경우, 공사 완료 후 별도의 영구 난간이 설치되어야 한다. 임시 난간의 경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자체 구조가 안정하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히 설치되어야 할 뿐 아니라, 영구 난간 설치를 위하여 해체도 용이해야 한다. 영구 난간의 경우, 구조적 안정뿐만 아니라, 구조물과 조화 및 사용자의 심적 안정을 위하여, 의장적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임시 난간과 영구 난간을 구분하여 시공하는 경우,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의 정확도도 크게 요구되며, 의장적 특징을 요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난간의 형태가 필요하다. 또한, 시공 및 공정의 편리를 위하여 도입된 철구조물 계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한 난간의 형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며, 구조물에의 설치가 용이한 계단용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구조물 계단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기타 작업 및 운반이 편리한 조립형 계단용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심미감이 우수하여 의장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임시난간 뿐 만 아니라 영구난간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계단용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상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하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됨과 함께, 계단의 측면부 측판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둘 이상의 지주;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와 평행하게, 상기 스페이서에 관통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살을 포함하는 계단용 난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된 스페이서가 일체를 형성하여, 단면 형상이 구조적으로 우수하고,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철재 및 스테인리스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임시 설치뿐만 아니라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기 부재가 공장에서 제작되어 부품화 됨으로서 운반 및 양중(揚重)이 용이하다. 특히 볼트/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철골 구조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의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 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하여 시공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단의 길이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고, 심미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의 설치 측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계단(10)의 측면부 측판(12)에 고정되어 외력 및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20),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결합되어, 계단(10)을 오르내릴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부(30), 및 상기 지주(20)에 연결되어, 추락 등을 방지하는 난간살(40)을 포함 한다. 일반적으로, 계단은 층간 이동통로로서 중간에 계단참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있어서, 계단 시작부와 계단참사이의 공간을 도시한 것으로, 세 개의 지주(20)가 한 세트를 이루며, 지주(20) 사이에는 난간살(40)이 연결되어 보호망 역할을 하고, 세 개의 지주(20) 상단부에는 상기 레일부(30)가 일렬로 결합되어 있다. 즉, 도 1은 세 개의 지주(20)가 한 세트를 이룬 것을 도시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둘 이상의 지주(20)가 한 세트를 이룰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주의 A-A선 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는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22)가 설치되어 일체를 형성한다.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상단부는 각각 소정의 각도로 꺾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하단부도 소정의 각도로 꺾여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주(20)는 가운데 중공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일체 구조로 거동하고,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22)가 중간 마디 역할을 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간격은 5 내지 20cm이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cm이다. 상기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간격이 5cm보다 작으면,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사용으로 인한 구조적 안정 효과가 작아지며,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이격 간격이 20cm보다 크면, 특정 부위에 하 중이 집중되어 불안정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20)의 측면, 즉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측면은 통상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직사각형 모양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의 측면도로서,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측면은 심미적 효과를 발휘하도록 마름모형, 타원형 등일 수 있으며, 이는 계단용 난간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난간살(40)은, 추락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의 스페이서(22, 도 2 참조)에 연결되며, 레일부(30)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2) 중간에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지주(20)가 세트를 이루어 계단용 난간을 이루는 경우, 중간에 위치하는 지주(20)의 스페이서(22)에는 난간살(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연결홀(28)이 형성되며, 양 끝에 위치하는 지주(20)의 스페이서(22)에는 난간살(4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난간살(40)은 중간에 위치한 지주(20)의 스페이서(22)에 형성된 연결홀(20)을 통과하여, 양 끝에 위치한 지주(20)의 스페이서(22)에 형성된 고정홈(20)에 끼워져 맞추어져 지주(20)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지주(20)가 세트를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지주(20)의 스페이서(22) 중간에는 각각 고정홈(28)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난간살(40)은 복수개가 최상부 레일부(30)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위아래로 배열된 난간살(40)의 간격은 난간의 설치장소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난간살(40)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수 있으며,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4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된 분해 단면도이다. 상기 스페이서(22)는,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소정 간격으로 위아래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배열되고,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배열의 수가 달라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2)는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몸체부(23a), 상기 몸체부(23a)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23b), 및 상기 볼트부(23b)와 결합되는 너트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23b)의 직경과 동일한 홀(25a, 25b)이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홀(25a, 25b)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23a)의 단면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가 상기 몸체부(23a)에 끼워져 결합되면, 몸체부(23a)와 볼트부(23b)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1a, 21b)가 안쪽으로 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23b)와 너트부(24)의 결합으로 상기 플레이트(21a, 21b)가 스페이서(22)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22)가 하나의 마디역할을 하므로, 상기 지주(20)는 간단하고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3a)의 중간에는 난간살(40, 도 1 참조)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22)는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워지며, 양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홈(23c)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23a), 및 상기 몸체부(23a)의 양단에 형성된 홈(23c)에 결합되는 볼트부(23b)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23b)의 직경과 동일한 홀(25a, 25b)이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부(23a)의 단면은 상기 홀(25a, 25b)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몸체부(23a)가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이격 공간에 끼워져서, 상기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결국 상기 플레이트(21a, 21b)가 안쪽으로 휘어지지 않게 되다. 또한, 상기 볼트부(23b)가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홈(23c)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22)가 상기 플레이트(21a, 21b)에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마디역할을 하므로, 상기 지주(20)는 간단하고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23b)는 완충 및 마모 방지 효과를 발휘하도록 완충부(29)를 통하여 몸체부(23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3a)의 중간에는 난간살(40, 도 1 참조)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홈(23c)이 상기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 부분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23b)를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홈(23c)을 통하여 결합하여 상기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에 결합된 난간살(4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볼트부(23b)의 체결로 상기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에 결합된 난간살(40)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 인해 상기 난간살(4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2)는 계단의 측면(12)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된 분해 단면도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2)의 몸체부(23a)는 한편의 플레이트(21b)에 형성된 홀(25b)을 통하여,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23a)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23b)는 다른 플레이트(21a)에 형성된 홀(25a) 및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에 형성된 홀(25c)을 통과하여 너트부(24)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2)는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지주(20)를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22)는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와 결합하여 일체를 이룰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스페이서(22)의 몸체부(23a)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으며,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23a)의 중간에는, 난간살(40, 도 1 참조)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연결홀(28) 또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C부분의 확대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접합된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에는, 지 주(20)가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에 볼트(26a) 및 너트(26b)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홀(27a, 27b)이 위아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27a, 27b) 및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에 형성된 홀(27c)을 통하여, 상기 볼트(26a)와 너트(26b)를 체결하여, 상기 지주(20)를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에 고정한다. 즉, 지주(20)를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에 볼트(26a)/너트(26b) 체결방법으로 고정하므로, 난간 설치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작업의 정확도도 높아진다. 특히, 계단이 철구조물로 되어 있는 경우, 시공 및 공정의 편리 효과는 크게 발휘된다. 또한, 계단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인 경우에는, 즉, 계단 측면이 측면부 측판(12)이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철근 콘크리트 계단 측면에 홀을 형성하고, 앙커 등을 이용하여 지주(20)를 계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주(20)의 상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전달의 용이 및 레일부(30, 도 1 참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가 소정의 각도(θ1, θ2)로 꺾여 접합되어 있다. 상기 꺾임 각도(θ1, θ2)는 수평을 기준으로 40° 내지 90°이며, 5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꺾임 각도(θ1, θ2)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하중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꺾인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구조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상기 꺾임 각도(θ1, θ2)가 90°초과인 경우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사용으로 인한 구조적 안정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꺾임 각도(θ1, θ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장 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의 단면도이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1a, 21b)의 꺾임 각도(θ1, θ2)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하나의 플레이트(21a)는 90°로 꺾일 수 있으며, 다른 플레이트(21b)는 6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주(20)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의 구조적 안정 및 계단의 측면부 측판(12)과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θ3, θ4)로 꺾여 접합되어 있다. 즉, 하나의 플레이트(21a)는 측면(12)과 평행하게 직선을 형성하고(θ3 = 90°), 다른 플레이트(21b)는 60°의 각도로 꺾여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꺾임 각도(θ3, θ4)는 40° 내지 90°이며, 5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꺾임 각도(θ3, θ4)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하중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서,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꺾인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구조적으로 불리하며, 상기 꺾임 각도(θ3, θ4)가 90°초과인 경우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사용으로 인한 구조적 안정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1a, 21b)의 꺾임 각도(θ3, θ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계단의 형태에 따라 구조적 검토를 통하여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의 단면도이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가 상기 계단의 측면부 측판(12)의 양측에 위치하는 경우, 지주(20) 하단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1a, 21b)의 꺾임 각도(θ3, θ4)는 각각 90° 같을 수 있다.
상기 레일부(30)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21a, 21b)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가 상기 접합된 플레이트(21a, 21b)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레일부(30)의 하부에는 끼움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된 플레이트(21a, 21b)와 끼움홈(32)의 결합으로 지주(20)는 더욱 안정된 구조를 취할 수 있고, 상기 레일부(30)도 구조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30)의 단면은, 손잡이가 용이하도록 원형일 수 있으며, 측면이 움푹 들어간 모양일 수 있다. 상기 레일부(30)는 상기 난간살(40)과 마찬가지로, 일렬로 결합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전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포함된 지주(20) 및 레일부(30)는 철재, PVC, 및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계단 공사 중에 설치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공사 기간 단축 및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의 설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주의 A-A선 단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의 측면도.
도 4a 및 4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된 분해 단면도.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된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C부분의 확대된 분해 단면도.
도 6a 및 6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의 수직 단면도.

Claims (7)

  1.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상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하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됨과 함께, 계단의 측면부 측판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둘 이상의 지주;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와 평행하게, 상기 스페이서에 관통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살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와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인 계단용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상기 레일부의 하부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계단용 난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가 상기 계단의 측면부 측판에 볼트/너트로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계단용 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살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중간에 연결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계단용 난간.
  5. 삭제
  6.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상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하단부는 소정 각도로 꺾여 서로 접합됨과 함께, 계단의 측면부 측판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둘 이상의 지주;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와 평행하게, 상기 스페이서에 관통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살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워지며, 양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된 홈에 각각 결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중간에는 난간살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연결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계단용 난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홈은 상기 연결홀 또는 고정홈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계단용 난간.
KR2020070019134U 2007-11-28 2007-11-28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KR200449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134U KR200449575Y1 (ko) 2007-11-28 2007-11-28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134U KR200449575Y1 (ko) 2007-11-28 2007-11-28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93U KR20090005293U (ko) 2009-06-02
KR200449575Y1 true KR200449575Y1 (ko) 2010-07-21

Family

ID=4129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134U KR200449575Y1 (ko) 2007-11-28 2007-11-28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7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79A (ko) * 2002-10-24 2004-05-03 대덕전자 주식회사 캐패시터 내장형 인쇄 회로 기판 제조 방법
KR20070049444A (ko) * 2005-11-08 2007-05-11 주식회사 아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계단용 난간 구조
KR100726278B1 (ko) 2007-01-26 2007-06-08 주식회사 대진디에스피 난간용 기둥조립체
KR200436779Y1 (ko) * 2007-01-30 2007-10-04 오정석 난간살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79A (ko) * 2002-10-24 2004-05-03 대덕전자 주식회사 캐패시터 내장형 인쇄 회로 기판 제조 방법
KR20070049444A (ko) * 2005-11-08 2007-05-11 주식회사 아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계단용 난간 구조
KR100726278B1 (ko) 2007-01-26 2007-06-08 주식회사 대진디에스피 난간용 기둥조립체
KR200436779Y1 (ko) * 2007-01-30 2007-10-04 오정석 난간살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93U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20090077459A (ko) 난간의 난간지주
EP3807472A1 (en) Telescopic staircase system and uses thereof
KR101008261B1 (ko) 조립식 계단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200449575Y1 (ko) 철구조물 계단용 난간
TW201912904A (zh) 外牆懸臂式施工平台工法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1015765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0395096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100592657B1 (ko) 건축물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KR100554473B1 (ko)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JP2016204983A5 (ko)
KR102154971B1 (ko) 벽체고정식 계단발판모듈 구조
KR200279221Y1 (ko) 난간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KR100777866B1 (ko) 건축물 시공용 난간 지주어셈블리
KR200434150Y1 (ko)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KR20100010750U (ko)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101199887B1 (ko) 실내 계단용 난간지주
KR0140448Y1 (ko) 건축공사용 임시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