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62Y1 - 세차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세차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62Y1
KR200449462Y1 KR2020080008917U KR20080008917U KR200449462Y1 KR 200449462 Y1 KR200449462 Y1 KR 200449462Y1 KR 2020080008917 U KR2020080008917 U KR 2020080008917U KR 20080008917 U KR20080008917 U KR 20080008917U KR 200449462 Y1 KR200449462 Y1 KR 200449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rush
main body
whe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397U (ko
Inventor
최홍열
Original Assignee
최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열 filed Critical 최홍열
Priority to KR2020080008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6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7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using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B08B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Abstract

사용 조작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세차를 할 수 있는 세차용 브러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는 세척솔과 복수의 살수공이 마련된 본체 및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공급하는 물을 이용하여 브러쉬세척과 물세척이 동시에 가능하며, 본체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한 휠세척부가 마련되어 있는 세차용 브러쉬에 있어서 본체에 마련되는 버튼과, 버튼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며 걸림돌기를 갖는 프레임과, 휠세척부를 본체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유닛을 구비하여, 차량휠을 세척하고자 할 때 버튼을 누르면 걸림돌기에 체결되어 있는 휠세척부가 체결이 해제되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본체로부터 자동 인출되기 때문에 사용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세차용 브러쉬{Brush for washing car}
본 고안은 세차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세척과 브러쉬세척이 동시에 가능한 세차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차 방식은 먼저 차량에 물을 뿌려 이물질을 불린 후, 브러쉬 또는 수건을 사용하여 불린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물을 뿌려 헹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세제를 혼합하여 헹굼하는 공정과 광택 내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작업 시간이 더욱 연장되었다.
이러한 시간적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1987-0019923호에는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중공의 파지체와 연통되며, 저면에 솔과 살수공을 구비한 식모체를 연설하여 이루어진 세차용 브러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차용 브러쉬는 외부 급수원으로 상수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호스가 없거나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세차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솔 자체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차량의 휠과 같이 좁은 틈새는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장소의 제약 없이 브러쉬세척과 물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세차용 브러쉬를 2006년 출원하여 등록을 받았다(특허등록 제0779167호).
본 고안은 상기 특허를 개량한 것으로서, 사용 조작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세차를 할 수 있는 세차용 브러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는 세척솔과 복수의 살수공이 마련된 본체 및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공급하는 물을 이용하여 브러쉬세척과 물세척이 동시에 가능하며, 본체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한 휠세척부가 마련되어 있는 세차용 브러쉬에 있어서, 휠세척부를 탄성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스위치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의 상기 스위치유닛은 본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며 걸림돌기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휠세척부를 본체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휠세척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체결되어 있다가 버튼의 동작 시 체결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본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는 급수되는 물이 휠세척부를 통과하여 본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휠세척부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되는 통공이 마련되 며, 상기 통공은 휠세척부의 인출 시 밀폐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의 상기 휠세척부는 바디부와, 바디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윙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윙부에 걸린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의 상기 휠세척부는 바디부와, 바디부를 가이드하는 윙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공은 윙부에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의 상기 손잡이에는 개폐 가능한 호스연결구가 더 마련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척솔이 마련된 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본체와 손잡이를 연통하는 관통부가 내부에 마련되어 브러쉬세척과 동시에 물세척이 가능하며, 본체의 전방에는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한 휠세척부가 마련되어 있는 세차용 브러쉬에 있어서, 손잡이에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호스와 연결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호스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세차용 브러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는 차량휠을 세척하기 위한 휠세척부를 스위치유닛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휠세척부의 인출 시에는 휠세척부의 살수공을 통해서만 급수된 물이 집중적으로 빠져나오도록 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를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내부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세차용 브러쉬는 본체(10)와, 본체(10)로부터 연장 마련된 손잡이(11)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경량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다. 또한 본체(10) 하면에는 세척솔(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세척솔(12) 사이에는 복수의 살수공(13)들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살수공(13)들은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의 급수관(14)과 연통되어 있다.
손잡이(11)는 중공을 구비하며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급수관(14)과 연통되거나, 본체 내부를 관통하는 급수관(14)과 일체로 마련되어 본체(10)에 조립 연통된다. 손잡이(11)의 끝단에는 외부 급수장치로서 상수도 배관과 연결된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선(15)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선(15)에는 개폐가능한 밸브 역할을 하는 별도의 호스연결구(16)가 연결 가능하다.
따라서, 손잡이(11)에 급수장치의 호스를 연결하여 본체(10)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급수된 물은 손잡이(11)의 중공과 본체(10)의 급수관(14)을 통과하여 세척솔(12) 사이의 살수공(13)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므로, 세차 시 브러쉬세척과 물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내부의 급수관(14)과 연통되는 급수구(17)가 마련되어 있다. 급수구(17)는 손잡이(11)를 통해 물이 공급되기 어려운 경우 병, 페 트와 같은 휴대용 보관 용기(B)를 이용하여 본체의 급수관(1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구(17)는 통상의 보관 용기(B) 입구에 마련되는 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부를 구비하며, 보관 용기(B)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볼 체결구(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선택적으로 연장 가능한 휠세척부(20)가 마련된다. 휠세척부(20)는 본체(10)의 전방 일부를 개구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 휠의 틈새를 세척할 경우 본체(10)로부터 인출되며 좁고 가는 바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세척부(20)는 바디부(21)와, 윙부(22)로 이루어진다. 바디부(21)는 상술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하부에 세척솔(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세척솔(12) 사이에는 중앙살수공(13a)이 설치되어 있다. 바디부(21)의 내부 공간에는 급수관(14)이 수용되어 있다.
윙부(22)는 바디부(2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바디부(21)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한다. 또한, 윙부(22)의 전방에는 통공(23)이 마련되어 있다. 이 통공(23)은 급수관(14)으로 유입된 물이 휠세척부(20)의 바디부(21)를 통과한 후 본체(10)에 마련되는 살수공(13)(외곽살수공(13b)과 본체중앙살수공(13c)을 포함)으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급수관(14)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휠세척부(20)의 바디부(21)를 먼저 통과한 후, 윙부(22)의 통공(23)을 통해 본체(10)로 재유입되어 살수공(13)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급수관(14)의 측면에 도시된 미설명된 참조부호 19는 급수구(17)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에어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에는 스위치유닛(30)이 마련되어 휠세척부(20)가 버튼(31)의 누름 동작에 의해 본체(10)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유닛(30)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버튼(31)과, 버튼(31)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프레임(32)과, 휠세척부(20)를 본체(10)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버튼(31)은 본체(10)에 탄성스프링(34)을 통해 지지되며, 버튼(31)과 연동되는 프레임(32)은 양쪽으로 분기되어 휠세척부(20)의 윙부(22)에 걸리는 걸림돌기(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윙부(22)가 걸림돌기(35)에 체결되어 있을 때에는 휠세척부(20)가 본체(10)에 인입된 상태이며, 버튼(31)을 눌러 걸림돌기(35)를 하강시키면 휠세척부(20)가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브러쉬의 동작 상태를 도 4 및 도 5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스위치유닛(30)의 걸림돌기(35)가 휠세척부(20)의 윙부(22)를 걸고 있기 때문에 휠세척부(20)는 본체(1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공급된 물은 화살표 및 ①~⑤로 표시한 흐름을 따라 손잡이(11)의 중공 및 본체(10)의 급수관(14)과, 휠세척부(20)의 바디부(21) 및 윙부(22)의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본체(10)로 유입되므로, 모든 살수공(13a, 13b, 13c)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도 5는 사용자가 버튼(31)을 누름에 따라 스위치유닛(30)의 걸림돌기(35)와 윙부(22)의 걸림이 해제되어 휠세척부(20)가 본체(10)로부터 탄성적으로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공급된 물은 화살표 ①~③으로 표시한 흐름을 따라 휠세척부(20)의 살수공(13a)을 통해서만 빠져나오게 된다. 이는 휠세척부(20)가 인출됨으로써 윙부(22)의 통공(23)이 본체(10)의 내벽면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은 상수도배관뿐만 아니라 보관 용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휠세척부(20)를 본체(10)로부터 연장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10) 전체의 살수공(13a,13b,13c)을 통해 빠져나오므로 세차 시 물세척과 브러쉬세척이 모두 가능하며, 휠세척부(20)를 연장시킬 경우에는 휠세척부(20)의 살수공(13a)으로만 물이 빠져나오므로 차량휠만 부분적으로 물세척 및 브러쉬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0) 전체에 마련되는 살수공의 갯수는 약 54~68개가 바람직하다. 살수공(13)은 세척솔(12)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 바닥면을 길이방향을 따라 3등분해서 배치되는데 중앙측의 살수공(13a,13c)은 2열로 마련하고, 외곽측 살수공(13b)은 1열로 마련한다. 또한 외곽의 살수공(13b)은 등분한 공간의 중앙보다는 중앙살수공(13a,13c)측에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차량 청소 시 세척솔(12)에 앞서 물을 뿌려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브러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본체 12..세척솔
13..13a,13b,13c..살수공 14..급수관
16..연결호스구 17..급수구
20..휠세척부 21..바디부
22..윙부 23..통공
30..스위치유닛 31..버튼
32..프레임 33..탄성부재
35..걸림돌기

Claims (7)

  1. 세척솔과 복수의 살수공이 마련된 본체 및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공급하는 물을 이용하여 브러쉬세척과 물세척이 동시에 가능하며, 본체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한 휠세척부가 마련되어 있는 세차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휠세척부를 탄성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스위치유닛을 더 포함하되, 스위치유닛은 본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며 걸림돌기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휠세척부를 본체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휠세척부는 바디부와 바디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윙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윙부에 체결되어 있다가 상기 버튼의 동작 시 체결이 해제되면서 상기 휠세척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본체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브러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급수되는 물이 휠세척부를 통과하여 본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휠세척부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되는 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통공은 휠세척부의 인출 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브러쉬.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윙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브러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개폐 가능한 호스연결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브러쉬.
  7. 삭제
KR2020080008917U 2008-07-03 2008-07-03 세차용 브러쉬 KR200449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17U KR200449462Y1 (ko) 2008-07-03 2008-07-03 세차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17U KR200449462Y1 (ko) 2008-07-03 2008-07-03 세차용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97U KR20100000397U (ko) 2010-01-13
KR200449462Y1 true KR200449462Y1 (ko) 2010-07-12

Family

ID=4419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17U KR200449462Y1 (ko) 2008-07-03 2008-07-03 세차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4154U (ko) * 1974-03-26 1975-10-11
KR19980087829A (ko) * 1998-09-24 1998-12-05 성미현 휴대폰용 안테나 인출장치
KR20040048498A (ko) * 2002-12-03 2004-06-1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출 장치
KR100779167B1 (ko) * 2006-06-30 2007-11-29 최홍열 세차용 브러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4154U (ko) * 1974-03-26 1975-10-11
KR19980087829A (ko) * 1998-09-24 1998-12-05 성미현 휴대폰용 안테나 인출장치
KR20040048498A (ko) * 2002-12-03 2004-06-1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출 장치
KR100779167B1 (ko) * 2006-06-30 2007-11-29 최홍열 세차용 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97U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243Y2 (ko)
KR20100055054A (ko) 샤워기가 장착된 비상용 안구세척기
KR200449462Y1 (ko) 세차용 브러쉬
CN109197643A (zh) 手持可移动喷洗装置
KR101022991B1 (ko) 애완동물 샤워 장치
KR20110004337U (ko) 세차용 브러쉬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CN105780900B (zh) 一种智能座便器中喷头的自清洁结构
CN109197644A (zh) 可移动喷洗装置
CN211685022U (zh) 一种自动一体汽车清洗机
KR101609824B1 (ko) 헤드 교체식 세척 건
KR100779167B1 (ko) 세차용 브러쉬
CN209404689U (zh) 喷淋装置及包括其的洗碗机
CN202859048U (zh) 一种自动喷水拖把
CN202920062U (zh) 冲水式马桶刷
CN207040529U (zh) 一种便携式宠物洗浴系统
JP4318590B2 (ja) 浴室洗浄装置
KR101277632B1 (ko) 샤워기
CN215838591U (zh) 一种沐浴手持装置
CN214362386U (zh) 衣物护理用夹板
KR20130047867A (ko) 핸드샤워기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180092341A (ko) 애완 동물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용도 부스
CN207639411U (zh) 一种新型宠物狗洗澡喷头
KR200343507Y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230060438A (ko) 누름식 자동 세제 배출량 조절 기능 갖는 청소용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