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95Y1 - 천막조립체 - Google Patents

천막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95Y1
KR200449295Y1 KR2020080005789U KR20080005789U KR200449295Y1 KR 200449295 Y1 KR200449295 Y1 KR 200449295Y1 KR 2020080005789 U KR2020080005789 U KR 2020080005789U KR 20080005789 U KR20080005789 U KR 20080005789U KR 200449295 Y1 KR200449295 Y1 KR 200449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rail
slides
guid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290U (ko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환 filed Critical 조정환
Priority to KR2020080005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9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천막조립체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긴 한 쌍의 레일블럭과,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한 쌍의 레일블럭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활대들과, 상기 활대들 중 인접한 활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그 인접한 활대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천막본체들;을 구비하는 천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천막본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활대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과; 양단부가 상기 각 레일블럭 측에 고정되고, 상기 양단부의 사이의 결합부가 상기 활대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로 상기 활대들 및 상기 각 천막본체의 관통공들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막본체, 활대, 관통공, 가이드부재

Description

천막조립체{Tent assembly}
본 고안은 천막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활대들의 움직임에 따라 접힘 또는 펼침되는 천막본체가, 레일이나 활대들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천막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천막조립체는 인적이 드문 장소에 설치되기도 하나, 최근에는 상권이 형성된 상가건물의 앞쪽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가건물의 앞쪽에 설치되는 천막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항상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정공간을 차폐하는 천 재질의 천막본체가 접힘 또는 펼침되는 천막조립체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천막조립체의 일례가 특허등록 제78067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780672호에 개시된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개선책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즉, 천막본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접힘되는 경우에는 활대들 사이의 간격만큼 접히게 되어, 그 처짐길이가 길어 외관상 좋지 않고 그 처짐시에 레일에 접 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천막본체가 손상 또는 훼손되는 단점과, 상기 천막본체의 처짐으로 인한 무게와 상기 천막본체와 레일 간의 간섭 등에 의해 천막본체의 접힘 또는 펼침동작의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특허등록 제780672호에 개시된 기술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막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긴 한 쌍의 레일블럭과,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한 쌍의 레일블럭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활대들과, 상기 활대들 중 인접한 활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그 인접한 활대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천막본체들;을 구비하는 천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천막본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활대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과; 양단부가 상기 각 레일블럭 측에 고정되고, 상기 양단부의 사이의 결합부가 상기 활대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로 상기 활대들 및 상기 각 천막본체의 관통공들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레일블럭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활대가 구름접촉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각 가이드부재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된 브라켓을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상기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의 끝단부 간의 마찰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의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재질의 완충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막조립체에는 천막본체와 가이드레일 간의 간섭발생이 현저히 억제되고 천막본체의 처짐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막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막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천막조립체는 한 쌍의 레일블럭(1)과 활대(2)들과 복수의 천막본체(3)들과 복수의 관통공(31)들과 가이드부재(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1)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레일블럭(1)은 가이드레일(11)과 브라켓(1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상기 활대(2)들이 구름접촉되는 부분으 로 그 활대(2)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브라켓(12)은 상기 가이드부재(4)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그 가이드부재(4)를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활대(2)는,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한 쌍의 레일블럭(1)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블럭(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활대(2)는 상기 가이드레일(11)에 구름접촉되는 롤러(R)를 구비하여서,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활주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활대(2)들 중 인접한 활대(2)들 사이사이에는 천막본체(3)가 배치된다. 상기 천막본체(3)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인접한 활대(2)들 사이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인접한 활대(2)들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활대(2)들과 천막본체(3)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활대(2)들이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천막본체(3)는 접힘 또는 펼침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천막본체(3)가 도 1과 같이 펼쳐져 있는 상태가 도 3의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접혀져 있는 상태가 도 3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1)들은 상기 각 천막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활대(2)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31)들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가 상기 천막본체(3)의 내측과 외측에 교번하여 배치되면서 관통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는 상기 가이드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 고, 양단부가 상기 브라켓(12)과 편의상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브라켓에 고정된다. 즉, 상기 브라켓(12)은 상기 가이드레일(11)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레일(11)의 다른 끝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의 양단부 사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결합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1)들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활대(2)들을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의 결합부는 거의 스트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활대(2)들 및 관통공(31)을 관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4)로 강성와이어가 채용되었으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가 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천막조립체는 상기 활대(2)들이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천막본체(3)가 접힘 또는 펼침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상기 활대(2)들 및 상기 천막본체(3)가 상기 가이드부재(4)와의 간섭 없이 그 가이드부재(4)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천막조립체는 상기 천막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의 관통공(31)에 상기 가이드부재(4)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천막본체(3)가 접히는 경우에 도3의 점선과 같이 처짐길이가 작아지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활대(2)들 사이의 천막본체(3)의 폭만큼 그 천막본체(3)의 처짐길이가 길어짐에 반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4)들이 상기 관통공(31)에 끼워진 갯수만큼 천막본체(3)의 처짐을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천막본체(3)의 처짐길이가 작아짐으로써 상기 천막본체(3)의 처짐시에 그 천막 본체(3)와 가이드레일(11) 간의 간섭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천막조립체는 천막본체(3)의 가이드레일(11) 간의 간섭으로 천막본체(3)가 손상되는 것을 현저히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천막본체(3)가 접혀져 있는 경우에 그 처짐길이가 작아 종래기술에 비해 외관이 상대적으로 미려하게 될 수 있으며, 접힘 후 펼침 동작 수행시 모터(미도시)에 작용하는 부하가 작아져 제품의 동작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더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실시예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는 스프링(150)과 완충패드(55)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50)은 가이드레일(110)의 끝단부에 결합된 브라켓(120)을 탄성가압함으로써, 그 브라켓(120)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4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브라켓(120)이 가이드레일(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120)의 일측이 가이드레일(110)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브라켓(120)의 타측에 가이드부재(140)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스프링(150)이 상기 브라켓(120)을 도 4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40)가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패드(55)는 상기 브라켓(120)과 가이드레일(110) 간의 마찰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완충패드(55)는 상기 브라켓(120)과 가이드레일(110)의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본체(30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천요소(310)와 그 천요소(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천요소(3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고리(3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 형상의 가이드부재(400)가 상기 연결고리(320)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가이드부재(400)가 연결고리(320)의 관통공을 통해 천막본체(300)에 결합되는 구성과 압출바 형상을 가진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는 브라켓(220)에는 구멍(221)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0)에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245)가 상기 구멍(221)에 동축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45)의 수나사부에는 고정너트(250)가 결합되고 그 슬라이딩부재(245)의 끝단에는 가이드부재(240)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너트(250)와 브라켓(220)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255)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255)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막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레일블럭 11:가이드레일
12:브라켓 2:활대
3:천막본체 31:관통공
4:가이드부재 150:스프링
R:롤러

Claims (3)

  1.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긴 한 쌍의 레일블럭과,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한 쌍의 레일블럭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활대들과, 상기 활대들 중 인접한 활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그 인접한 활대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천막본체들;을 구비하는 천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천막본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활대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과;
    양단부가 상기 각 레일블럭 측에 고정되고, 상기 양단부의 사이의 결합부가 상기 활대들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로 상기 활대들 및 상기 각 천막본체의 관통공들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일블럭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활대가 구름접촉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각 가이드부재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된 브라켓을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의 끝단부 간의 마찰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의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재질의 완충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조립체.
KR2020080005789U 2008-04-30 2008-04-30 천막조립체 KR200449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89U KR200449295Y1 (ko) 2008-04-30 2008-04-30 천막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89U KR200449295Y1 (ko) 2008-04-30 2008-04-30 천막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90U KR20090011290U (ko) 2009-11-04
KR200449295Y1 true KR200449295Y1 (ko) 2010-06-29

Family

ID=4155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789U KR200449295Y1 (ko) 2008-04-30 2008-04-30 천막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221B1 (ko) * 2015-12-18 2018-02-06 주식회사 앤에스티 내구성이 강화된 글램핑 텐트용 천막의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763U (ko) * 1990-02-06 1991-10-23
JP2001227170A (ja) 2000-02-16 2001-08-24 Masao Kawamura 工事用仮設、簡易開閉式エアービームシート屋根
JP2003074214A (ja) 2001-09-07 2003-03-12 Penta Ocean Constr Co Ltd 仮設膜式開閉屋根構造
JP2006022500A (ja) 2004-07-06 2006-01-26 American Tent Kk 開閉式屋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763U (ko) * 1990-02-06 1991-10-23
JP2001227170A (ja) 2000-02-16 2001-08-24 Masao Kawamura 工事用仮設、簡易開閉式エアービームシート屋根
JP2003074214A (ja) 2001-09-07 2003-03-12 Penta Ocean Constr Co Ltd 仮設膜式開閉屋根構造
JP2006022500A (ja) 2004-07-06 2006-01-26 American Tent Kk 開閉式屋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221B1 (ko) * 2015-12-18 2018-02-06 주식회사 앤에스티 내구성이 강화된 글램핑 텐트용 천막의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90U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6006802D1 (de)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3171399U (ja) スライドレールの補強及び調整構造
TWI448262B (zh) 滑軌補強構造
RU2011108043A (ru) Эк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905698B (zh) 两个彼此铰接的车辆之间的带有铰接过桥的过渡部
KR200449295Y1 (ko) 천막조립체
CN109906535B (zh) 连接装置和管线引导设备
TWI607723B (zh) 滑軌總成
KR20160130394A (ko) 가이드 장치
CN112599009B (zh) 电子设备
TW201430204A (zh) 遮陽簾
RU2010149065A (ru) Уси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и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CN102613822B (zh) 可缓冲挡止的滑轨总成
CN106490866A (zh) 用于引导可相对于家具本体运动的家具拉出部的引导装置
TWI597433B (zh) 滑軌總成及其助滑裝置
KR102442729B1 (ko) 신축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니어 모터 구조
CN107150575B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遮蔽装置
CN113796684A (zh) 一种稳固的折叠椅
CN211299426U (zh) 长度可调的窗帘杆
JP7143520B2 (ja) 移動可能な家具部分をガイド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US20230116705A1 (en) Shading Device
EP1829742A3 (en) Folding bed, pariculary for caravans and the like
KR200457665Y1 (ko) 봉형 강재 정렬용 푸셔
CN204915214U (zh) 一种遮阳帘装置
CN212465431U (zh) 滑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